KR19980064999U -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 Google Patents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999U
KR19980064999U KR2019970009960U KR19970009960U KR19980064999U KR 19980064999 U KR19980064999 U KR 19980064999U KR 2019970009960 U KR2019970009960 U KR 2019970009960U KR 19970009960 U KR19970009960 U KR 19970009960U KR 19980064999 U KR19980064999 U KR 19980064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houlder
support
shoulder joi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494Y1 (ko
Inventor
김영옥
Original Assignee
김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옥 filed Critical 김영옥
Priority to KR2019970009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4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깨 관절 외전(外展) 보조용 팔걸이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어깨 관절부분의 부상시에 어깨를 고정시켜 일정기간 동안 치료를 할때 사용되는 본 고안의 팔걸이는 사람의 체형이나 부상상태에 따라 받침각도를 조절하여 팔을 벌려서 고정시킬 수 있게되어 어깨 관절의 강직을 예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우며 신경부상시에도 신경회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광하협상의 공기주머니 형태로 구성된 주받침대(10) 일측에 공기주입구(11)를 설치하고 측면에 결착끈(12)(12')을 부설하여 신체에 결착고정케하고 주받침대(10)에 보조받침대(20)를 부착하되 장방향의 보조받침대(20) 선단에 파지환봉(22)을 부설하고 양측에 결착끈(23)(23')을 부설하여 팔을 고정시킬 수 있게한 어깨 관절 외전 보조용 팔걸이이다.

Description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본 고안은 어깨 관절 외전(外展) 보조용 팔걸이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깨 관절부분의 부상시에 어깨를 고정시켜 일정기간 동안 치료를 할때 사용되는 본 고안의 팔걸이는 사람의 체형이나 부상상태에 따라 받침각도를 조절하여 팔을 벌려서 고정시킬 수 있게되어 어깨 관절의 강직을 예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우며 신경부상시에도 신경회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깨 관절 부상시에는 부상정도에 따라 석고로 깁스를 하거나 어깨끈으로 팔을 매달아서 어깨를 보호할 수 있게 하였으나 어깨부상시에도 어깨죽지부분을 50°의 각도를 유지시켜 주면 신경부위가 굴절되지 않고 원활하게 소통되어 최상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석고 깁스를 하거나 어깨끈을 사용하여 팔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팔이 몸에 밀착상태로 유지되므로 이렇게 장기간이 지나면 어깨 관절이 굳어지는 관절강직상태로 될뿐만 아니라 신경부위가 굴절되어 신경회복이 더디고 겨드랑이 부분이 밀착되면서 겨드랑이 통풍을 막게 되었었다.
또한 어깨부위를 소정각도로 유지케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많은 무게가 나가고 신체의 접촉면에 많은 압력을 주게되므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데는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주머니 형태의 팔걸이를 구성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보조받침대로 팔목을 고정시켜 팔걸이에 팔을 소정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받침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보조받침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팔걸이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팔걸이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받침대의 사용상태도로서
(가)는 일반적인 받침기능이고
(나)는 손가락 신전운동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받침대11 : 공기주입구
12,12' : 결착끈13 : 결착구
14 : 매직테이프20 : 보조받침대
21 : 매직테이프22 : 파지환봉
23,23' : 결착끈23a : 매직테이프
24 : 지지대25 : 당김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팔걸이의 주받침대를 나타낸 것으로, 상광하협상의 공기주머니형태로 주받침대(10)를 구성하여 일측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1)로 공기를 주입하고 측면에 결착구(13)를 가진 결착끈(12)(12')을 부설하여 신체의 가슴측부에 결착고정케하고 상기 주받침대(10) 상면에는 매직테이프(14)를 부설하여 보조받침대(20)를 부착할 수 있게한다.
그리고 상기 주받침대(10)에 보조받침대(20)를 부착하는 수단은 매직테이프 외에도 여러가지 부착수단을 갖는 것이다.
도 2는 보조받침대를 나타낸 것으로, 장방향의 보조받침대(20) 저면에 매직테이프(14)를 부설하여 선단에는 손을 감싸줄수 있고 탄력성을 가진 파지환봉(22)을 부설하여 보조받침대(20)의 양측에 매직테이프(23a)를 가진 결착끈(23)(23')을 부설하여 팔을 고정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 팔걸이의 주받침대(10)의 보조받침대(20)를 부착시킨 측면도와 전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지지대, 25는 당김줄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어깨 관절 부상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팔을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부상당한 사람의 체형이나 부상정도에 따라 팔걸이의 고정위치를 설정한 다음 팔걸이의 주받침대(10)를 결착끈(12)(12')으로 신체의 가슴측부에 결착시키고 보조받침대(20)에 결착끈(23)(23')으로 부상당한 팔을 고정시킨 후 보조받침대(20)를 주받침대(10) 상면에 부착시키면 팔이 소정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즉, 도 5에서와 팔걸이에 팔이 소정각도로 고정되므로 석고깁스를 한 것과 같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어깨 관절이 굴절되지 않으므로 관절강직을 예방하면서 어깨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6 (가)에서와 같이 보조받침대(20) 선단의 파지환봉(22)에 손을 감싸줄수 있어서 파지운동으로 신경회복을 기할 수 있고 도 6 (나)에서와 같이 파지환봉(22)에 지지대(24)를 설치하여 그 지지대(24)에 연결한 당김줄(25)을 손으로 당겨주는 신전운동으로 신경회복에 도움을 줄수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팔걸이의 주받침대(10)가 공기주머니 형태로 되어 그 무게를 최대한 줄일수 있게되므로 어깨에 무리가 없고 어린이나 노인들이 사용하더라도 일상생활에 부담을 주지않으며, 공기주입량 조절에 의해서도 팔의 고정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팔걸이는 공기주머니 형태의 주받침대를 신체의 가슴측부에 결착시켜 팔을 소정각도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관절절곡에 따른 관절강직을 예방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일상생활에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고 신경회복운동을 겸할 수 있어서 어깨 관절의 치료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광하협상의 공기주머니 형태로 구성된 주받침대(10) 일측에 공기주입구(11)를 설치하고 측면에 결착끈(12)(12')을 부설하여 신체의 결착고정케하고 주받침대(10)에 보조받침대(20)를 부착하되 장방형의 보조받침대(20) 선단에 파지환봉(22)을 부설하고 양측에 결착끈(23)(23')을 부설하여 팔을 고정시킬 수 있게한 어깨 관절 외전 보조용 팔걸이.
KR2019970009960U 1997-04-30 1997-04-30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KR200145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60U KR200145494Y1 (ko) 1997-04-30 1997-04-30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60U KR200145494Y1 (ko) 1997-04-30 1997-04-30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999U true KR19980064999U (ko) 1998-11-25
KR200145494Y1 KR200145494Y1 (ko) 1999-06-15

Family

ID=1950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60U KR200145494Y1 (ko) 1997-04-30 1997-04-30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4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18B1 (ko) * 2021-03-19 2021-11-1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어깨 외전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24B1 (ko) 2008-12-02 2009-02-11 문성대 어깨관절 외전 보조기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7-10-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18B1 (ko) * 2021-03-19 2021-11-1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어깨 외전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494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265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7422025B1 (en) Walker device with arm and hand support
US11963900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CA2061355A1 (en) Lumbar Support Having Repositionable Pad-Accommodating Pouches
KR20160137463A (ko) 탄력성을 보유한 어깨 보호대
KR101031453B1 (ko) 의료용 팔 지지대
KR19980064999U (ko)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KR200375248Y1 (ko)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0318259Y1 (ko) 어깨걸이 포대기의 허리 지지구조
KR101941523B1 (ko) 손목과 손바닥이 일체화된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부목
US20040220502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back
JPH0686793A (ja) 身体障害者用の杖
CN210932102U (zh) 一种下肢良肢位摆放装置
CN210750133U (zh) 一种骨科康复拐
KR102335273B1 (ko) X자 벤드형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102335274B1 (ko)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JP2902368B2 (ja) 姿勢矯正具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JPH0316563A (ja) 牽引治療用ベッド
JP4186041B2 (ja) トランスファー・ラバーストリング
CN211095085U (zh) 一种颈托
CN214128966U (zh) 肩关节固定防护护肩
CN220443141U (zh) 一种肘关节脱臼术后康复护具
JP4755979B2 (ja) 保持器具
JP2507826Y2 (ja) 腰痛者歩行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