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74B1 -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74B1
KR102335274B1 KR1020190116485A KR20190116485A KR102335274B1 KR 102335274 B1 KR102335274 B1 KR 102335274B1 KR 1020190116485 A KR1020190116485 A KR 1020190116485A KR 20190116485 A KR20190116485 A KR 20190116485A KR 102335274 B1 KR102335274 B1 KR 10233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belt
user
upper body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775A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주) 솔리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솔리렉스 filed Critical (주) 솔리렉스
Priority to KR1020190116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4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liding movements, e.g. simulating movements of a natural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1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torsional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3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tretch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Robo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면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위치되는 상체지지부,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굽혀진 상체를 세워주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으로 위치되는 근력보조부, 사용자의 각 팔이 끼워져 상기 상체지지부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걸이부, 상기 각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장착부, 및 상기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골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허리 또는 상체를 굽혔을 경우,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몸을 세울 수 있도록 근육을 보조할 수 있어 근육통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Wearable musculoskeletal guard}
본 발명은 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하여 근육을 보조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이물감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종래보다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과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동작이라도 신체 장애자 또는 근력이 쇠약한 노약자는 이를 행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신체 장애자 또는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이러한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근력 보조 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12-0064410호에는 '근력 보조 외골격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단단한 소재의 외골격을 통해 근력을 보조해 주는 구조이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저하되고, 사용을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근력 보조 장치에서는 복잡한 관절 구조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복잡한 링크 관절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금속 재질의 제품 무게를 지지하기 위한 외부 구조물에 대한 체결 구조를 포함하여 이물감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보조장치는 고가임에 따라, 사람들이 쉽게 구매하지 못하여 실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고, 노약자와 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 및 노동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면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위치되는 상체지지부,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굽혀진 상체를 세워주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으로 위치되는 근력보조부, 사용자의 각 팔이 끼워져 상기 상체지지부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걸이부, 상기 각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장착부, 및 상기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골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장착부,를 포함하여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허리 또는 상체를 굽혔을 경우,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몸을 세울 수 있도록 근육을 보조할 수 있어 근육통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면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위치되는 상체지지부,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굽혀진 상체를 세워주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으로 위치되는 근력보조부, 사용자의 각 팔이 끼워져 상기 상체지지부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걸이부, 상기 각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장착부, 및 상기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골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장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체지지부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체지지부는, 사용자의 상체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상체지지부, 사용자의 상체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등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상체지지부, 및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와 하부상체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의 하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상부간격조절롤, 상기 각 상부간격조절롤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상체지지부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하부간격조절롤, 상기 복수의 상부간격조절롤과 복수의 하부간격조절롤을 교대로 거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와이어, 및 상기 간격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간격조절다이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다이얼은,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간격조절와이어를 감고, 반대로 눌러진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와 하부상체지지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이동시킬 경우,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간격조절와이어가 풀린다.
또한, 사용자와 상기 하부상체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상체지지부와의 이격된 부분을 감싸기 위한 간격덮개,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근력보조부는, 탄성을 갖고,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에 각각 위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장착부에 의해 해당 무릎부분에 장착되는 메인밸트부, 및 상기 각 메인밸트부의 상단부를 상기 상체지지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부는, 일정 길이로, 상기 해당 메인보조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보조연결밸트, 상기 보조연결밸트가 통과되도록 상기 상체지지부에 구비되는 보조연결고리, 상기 보조연결밸트의 일면에 구비되는 보조연결벨벳, 및 상기 보조연결벨벳에 걸려지도록 상기 보조연결밸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연결걸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각 메인밸트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분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장착밸트,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의 각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고정부, 및 상기 하부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의 각 단부를 사용자의 무릎으로 쪼이기 위한 하부쪼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부는 벨크로이다.
그리고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는, 각 단부가 사용자의 무릎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쪼임부는, 무릎 하단부 안쪽을 쪼이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쪼임부는 벨크로이다.
그리고 상기 골반장착부는, 상기 메인밸트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골반장착밸트, 상기 메인밸트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골반장착밸트, 사용자의 골반을 감싼 상기 제1골반장착밸트와 제2골반장착밸트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고정부, 상기 각 메인밸트부를 상호 연결하여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골반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반고정부는 벨크로이다.
그리고 상기 제2골반고정부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메인밸트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2골반고정끈, 일정 길이를 갖고, 타단부가 상기 메인밸트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2골반체결끈, 상기 제2골반고정끈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골반체결암부, 및 상기 제2골반체결암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골반체결끈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골반체결수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에 맞도록 상기 제2골반체결수부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제2골반체결암부에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어깨걸이부는, 일정 길이로 신축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 어깨에 걸려지기 위한 한 쌍의 상부어깨걸이밸트,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각 상부어깨걸이밸트에 대응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의 각 측단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옆구리에 위치되는 하부어깨걸이밸트, 상기 해당 하부어깨걸이밸트를 해당 상부어깨걸이밸트에 연결시키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깨걸이연결부, 및 사용자의 가슴쪽에 위치된 상기 각 상부어깨걸이밸트를 상호 연결하여 어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어깨걸이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깨걸이연결부는, 상기 하부어깨걸이밸트의 일단부가 통과되도록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연결고리, 상기 하부어깨걸이밸트의 일면에 구비되는 어깨연결벨벳, 및 상기 어깨연결벨벳에 걸려지도록 상기 하부어깨걸이밸트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연결걸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깨걸이연결부는,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의 타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어깨상부간격조절롤, 상기 각 어깨상부간격조절롤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어깨걸이밸트의 일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어깨하부간격조절롤, 상기 복수의 어깨상부간격조절롤과 복수의 어깨하부간격조절롤을 교대로 거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어깨간격조절와이어, 및 상기 어깨간격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어깨간격조절다이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깨간격조절다이얼은,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어깨간격조절와이어를 감고, 반대로 눌러진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와 하부어깨걸이밸트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이동시킬 경우,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어깨간격조절와이어가 풀린다.
또한, 상기 제2어깨걸이연결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어깨고정끈, 일정 길이를 갖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어깨체결끈, 상기 어깨고정끈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체결암부, 및 상기 어깨체결암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어깨체결끈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체결수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에 맞도록 상기 어깨체결수부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어깨체결암부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 근력보조부와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발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장착부는, 상단부가 상기 각 근력보조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발부근에 위치되는 발장착밸트, 사용자의 발뒷꿈치가 끼워져 발바닥을 감싸도록 내부에 발끼움공을 갖고, 발장착밸트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발고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발의 좌측와 우측에 위치된 상기 발고정부의 해당 부위를 쪼으기 위한 발쪼임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에 의하면,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허리 또는 상체를 굽혔을 경우, 탄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몸을 세울 수 있도록 근골격계를 보조할 수 있어 근육통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부와 하부장착부, 골반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장착부의 제2골반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걸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어깨걸이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상체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에 더 구비된 발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력보조부와 하부장착부, 골반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장착부의 제2골반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걸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어깨걸이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상체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에 더 구비된 발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10)는 상체지지부(100)와 근력보조부(200), 어깨걸이부(300), 하부장착부(400) 및 골반장착부(500)를 포함한다.
상체지지부(10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면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위치된다.
이 상체지지부(100)는 복수의 통기공(10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식혀주거나 땀을 배출 및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근력보조부(200)는 한 쌍으로,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굽혀진 상체를 세워주도록 상단부가 상체지지부(100)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으로 위치된다.
어깨걸이부(300)는 한 쌍으로, 사용자의 각 팔이 끼워져 상체지지부(100)를 장착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부장착부(400)는 각 근력보조부(200)를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골반장착부(500)는 해당 근력보조부(200)를 사용자의 골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장착 후, 허리 또는 상체를 굽힐 경우, 인장된 후, 탄발력에 의해 상체나 허리를 용이하게 펼수 있어 물건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근력보조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밸트부(210)와 보조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메인밸트부(210)는 탄성을 갖고,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에 각각 위치되며, 하단부가 하부장착부(400)에 의해 해당 무릎부분에 장착된다.
그리고 보조연결부(220)는 각 메인밸트부(210)의 상단부를 상체지지부(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연결부(220)는 보조연결밸트(222)와 보조연결고리(224), 보조연결벨벳(226) 및 보조연결걸이(228)를 포함한다.
보조연결밸트(222)는 일정 길이로, 해당 메인밸트부(21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보조연결고리(224)는 보조연결밸트(222)가 통과되도록 상체지지부(100)에 구비된다.
보조연결벨벳(226)은 보조연결밸트(222)의 일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연결걸이(228)는 보조연결벨벳(226)에 걸려지도록 보조연결밸브(222)의 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하부장착부(400)는 하부장착밸트(410)와 하부고정부(420) 및 하부쪼임부(430)를 포함한다.
하부장착밸트(410)는 각 메인밸트부(100)의 하단부에 일체로 분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고정부(420)는 분기된 하부장착밸트(410)의 각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하부쪼임부(430)는 하부고정부(420)에 의해 고정된 분기된 하부장착밸트(410)의 각 단부를 사용자의 무릎으로 쪼이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하부고정부(420)는 벨크로로, 벨벳과 고리가 분기된 각 하부장착밸트(410)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분기된 하부장착밸트(410)는 각 단부가 사용자의 무릎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하부쪼임부(430)는 무릎 하단부 안쪽을 쪼이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한, 하부쪼임부(430)는 벨크로, 벨벳과 고리가 하부고정부(420)에 의해 고정된 분기된 각 하부장착밸트(410)의 각단부를 무릎 하단부 안쪽으로 쪼여 더욱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골반장착부(500)는 제1골반장착밸트(510)와 제2골반장착밸트(520), 골반고정부(530) 및 제2골반고정부(540)를 포함한다.
제1골반장착밸트(510)는 메인밸트부(1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또한 제2골반장착밸트(520)는 메인밸트부(10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골반고정부(530)는 사용자의 골반을 감싼 제1골반장착밸트(510)와 제2골반장착밸트(5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골반고정부(540)는 각 메인밸트부(100)를 상호 연결하여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골반고정부(530)는 벨크로로, 벨벳과 고리가 제1골반장착밸트(510)와 제2골반장착밸트(520)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고정시킨다.
또한 제2골반고정부(54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골반고정끈(542)과 제2골반체결끈(544), 제2골반체결암부(546) 및 제2골반체결수부(548)를 포함한다.
제2골반고정끈(542)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메인밸트부(1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골반체결끈(544)은 일정 길이를 갖고, 타단부가 메인밸트부(10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다.
제2골반체결암부(546)는 제2골반고정끈(542)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2골반체결수부(548)는 제2골반체결암부(546)에 대응되도록 제2골반체결끈(544)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골반고정부(54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착용자에 맞도록 제2골반체결수부(548)의 위치를 조절한 후, 제2골반체결암부(546)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어깨걸이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어깨걸이밸트(310)와 하부어깨걸이밸트(320), 어깨걸이연결부(330) 및 제2어깨걸이연결부(340)를 포함한다.
상부어깨걸이밸트(310)는 한 쌍으로, 일정 길이로 신축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체지지부(100)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 어깨에 걸려지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하부어깨걸이밸트(320)는 일정 길이를 갖고, 각 상부어깨걸이밸트(310)에 대응되도록 타단부가 상체지지부(100)의 각 측단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옆구리에 위치된다.
어깨걸이연결부(330)는 해당 하부어깨걸이밸트(320)를 해당 상부어깨걸이밸트(310)에 연결시키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어깨걸이연결부(340)는 사용자의 가슴쪽에 위치된 각 상부어깨걸이밸트(310)를 상호 연결하여 어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어깨걸이연결부(330)는 어깨연결고리(332)와 어깨연결벨벳(334) 및 어깨연결걸이(336)를 포함한다.
어깨연결고리(332)는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일단부가 통과되도록 상부어깨걸이밸트(3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어깨연결벨벳(334)은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일면에 구비된다.
어깨연결걸이(336)는 어깨연결벨벳(334)에 걸려지도록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어깨걸이연결부(330')는 어깨상부간격조절롤(332')과 어깨하부간격조절롤(334'), 어깨간격조절와이어(336') 및 어깨간격조절다이얼(338')을 포함한다.
어깨상부간격조절롤(332')은 상부어깨걸이밸트(310)의 타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어깨하부간격조절롤(334')은 각 어깨상부간격조절롤(332')에 대응되도록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일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어깨간격조절와이어(336')는 복수의 어깨상부간격조절롤(332')과 복수의 어깨하부간격조절롤(334')을 교대로 거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어깨간격조절다이얼(338')은 어깨간격조절와이어(336')를 감거나 풀기 위해 구비된다.
이 어깨간격조절다이얼(338')은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어깨간격조절와이어(336')를 감아 상부어깨걸이밸트(310)와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간격을 좁혀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한다.
반대로 어깨간격조절다이얼(338')의 눌러진 상태를 해제하여 상부어깨걸이밸트(310)와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시킬 경우, 어깨간격조절다이얼(338')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어깨간격조절와이어(336')가 풀린다.
이에, 상부어깨걸이밸트(310)와 하부어깨걸이밸트(320)의 총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어깨걸이연결부(340)는 어깨고정끈(342)과 어깨체결끈(344), 어깨체결암부(346) 및 어깨체결수부(348)를 포함한다.
어깨고정끈(342)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부어깨걸이밸트(3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또한 어깨체결끈(344)은 일정 길이를 갖고, 타단부가 상부어깨걸이밸트(31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된다.
어깨체결암부(346)는 어깨고정끈(342)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어깨체결수부(348)는 어깨체결암부(346)에 대응되도록 어깨체결끈(344)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어깨걸이연결부(340)에 의하면, 착용자에 맞도록 어깨체결수부(348)의 위치를 조절한 후, 어깨체결암부(346)에 체결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상체지지부(100')는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 및 간격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상부상체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상체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상체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상체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부상체지지부(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간격조절부(130')는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간격조절부(130')는 상부간격조절롤(132')과 하부간격조절롤(134'), 간격조절와이어(136') 및 간격조절다이얼(138')을 포함한다.
상부간격조절롤(132')은 상부상체지지부(110')의 하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간격조절롤(134')은 각 상부간격조절롤(132')에 대응되도록 하부상체지지부(120')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간격조절와이어(136')는 복수의 상부간격조절롤(132')과 복수의 하부간격조절롤(134')을 교대로 거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간격조절다이얼(138')은 간격조절와이어(136')를 감거나 풀기 위해 구비된다.
이 간격조절다이얼(138')은 회전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간격조절와이어(136')를 감아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의 간격을 좁혀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한다.
반대로 간격조절다이얼(138')의 눌러진 상태를 해제하여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어느 하나 이상을 이동시킬 경우, 간격조절다이얼(138')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간격조절와이어(136')가 풀린다.
이에,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의 총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체지지부(100')는 간격덮개(140')를 더 포함한다.
이 간격덮개(140')는 사용자와 하부상체지지부(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상체지지부(110')에 구비되어 하부상체지지부(120')와의 이격된 부분을 감싸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간격덮개(140')에 의해 하부상체지지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 상부상체지지부(110')와 하부상체지지부(12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상체지지부(100')는 모든 실시 예의 근력보조부(200), 어깨걸이부(300), 하부장착부(400) 및 골반장착부(500)와 결합되어 사용 가능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근육 보조장치(10)는 발장착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발장착부(600)는 각 근력보조부(200)와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발장착부(600)는 발장착밸트(610)와 발고정부(620) 및 발쪼임부(630)를 포함한다.
발장착밸트(610)는 상단부가 각 근력보조부(2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발부근에 위치된다.
그리고 발고정부(620)는 사용자의 발뒷꿈치가 끼워져 발바닥을 감싸도록 내부에 발끼움공(622)을 갖고, 발장착밸트(61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발고정부(6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발쪼임부(630)는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발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발고정부(620)의 해당 부위를 쪼으기 위해 구비된다.
이 발쪼임부(630)는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하나의 띠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벨크로로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하부장착부(400)를 보조하여 사용자의 발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어 하부장착부(400)는 물론, 골반장착부(500)와 함께 견고한 장착이 가능해짐에 따라, 하측으로 가해지는 탄발력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어 근육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발장착부(600)는 각 실시 예의 다른 구성들과 결합되어 사용됨이 당연하다.
10 :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100, 100' : 상체지지부
200 : 근력보조부 210 : 메인밸트부
220 : 보조연결부 300 : 어깨걸이부
310 : 상부어깨걸이밸트 320 : 하부어깨걸이밸트
330 : 어깨걸이연결부 340 : 제2어깨걸이연결부
400 : 하부장착부 410 : 하부장착밸트
420 : 하부고정부 430 : 하부쪼임부
500 : 골반장착부 510 : 제1골반장착밸트
520 : 제2골반장착밸트 530 : 골반고정부
540 : 제2골반고정부 600 : 발장착부

Claims (10)

  1.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면적으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위치되는 상체지지부;
    탄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굽혀진 상체를 세워주도록 상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으로 위치되는 근력보조부;
    사용자의 각 팔이 끼워져 상기 상체지지부를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어깨걸이부;
    상기 각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장착부; 및
    상기 근력보조부를 사용자의 골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지지부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근력보조부는,
    탄성을 갖고, 사용자의 각 다리 뒷쪽에 각각 위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장착부에 의해 해당 무릎부분에 장착되는 메인밸트부; 및
    상기 각 메인밸트부의 상단부를 상기 상체지지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연결부는,
    일정 길이로, 상기 해당 메인밸트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보조연결밸트;
    상기 보조연결밸트가 통과되도록 상기 상체지지부에 구비되는 보조연결고리;
    상기 보조연결밸트의 일면에 구비되는 보조연결벨벳; 및
    상기 보조연결벨벳에 걸려지도록 상기 보조연결밸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연결걸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각 메인밸트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분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장착밸트;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의 각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고정부; 및
    상기 하부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의 각 단부를 사용자의 무릎으로 쪼이기 위한 하부쪼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는 각 단부가 사용자의 무릎 하단부를 감싼 후, 상기 하부고정부에 의해 각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쪼임부는 무릎 하단부 안쪽으로 쪼여 하부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분기된 하부장착밸트는 각 단부가 무릎 하단부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골반장착부는,
    상기 메인밸트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골반장착밸트;
    상기 메인밸트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골반장착밸트;
    사용자의 골반을 감싼 상기 제1골반장착밸트와 제2골반장착밸트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골반고정부;
    상기 각 메인밸트부를 상호 연결하여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골반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근력보조부와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발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장착부는,
    상단부가 상기 각 근력보조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사용자의 발부근에 위치되는 발장착밸트;
    사용자의 발뒷꿈치가 끼워져 발바닥을 감싸도록 내부에 발끼움공을 갖고, 발장착밸트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발고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발의 좌측와 우측에 위치된 상기 발고정부의 해당 부위를 쪼으기 위한 발쪼임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부는,
    일정 길이로 신축성을 갖고, 일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 어깨에 걸려지기 위한 한 쌍의 상부어깨걸이밸트;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각 상부어깨걸이밸트에 대응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상체지지부의 각 측단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옆구리에 위치되는 하부어깨걸이밸트;
    상기 해당 하부어깨걸이밸트를 해당 상부어깨걸이밸트에 연결시키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어깨걸이연결부; 및
    사용자의 가슴쪽에 위치된 상기 각 상부어깨걸이밸트를 상호 연결하여 어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어깨걸이연결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깨걸이연결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어깨고정끈;
    일정 길이를 갖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어깨걸이밸트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어깨체결끈;
    상기 어깨고정끈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체결암부; 및
    상기 어깨체결암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어깨체결끈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어깨체결수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에 맞도록 상기 어깨체결수부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어깨체결암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사용자의 상체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상체지지부;
    사용자의 상체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상체지지부; 및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와 하부상체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상부상체지지부의 하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상부간격조절롤;
    상기 각 상부간격조절롤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상체지지부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하부간격조절롤;
    상기 복수의 상부간격조절롤과 복수의 하부간격조절롤을 교대로 거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와이어; 및
    상기 간격조절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간격조절다이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10. 삭제
KR1020190116485A 2019-09-22 2019-09-22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102335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85A KR102335274B1 (ko) 2019-09-22 2019-09-22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485A KR102335274B1 (ko) 2019-09-22 2019-09-22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75A KR20210034775A (ko) 2021-03-31
KR102335274B1 true KR102335274B1 (ko) 2021-12-06

Family

ID=7523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485A KR102335274B1 (ko) 2019-09-22 2019-09-22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139B1 (ko) * 2021-04-30 2023-09-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근력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용 웨어러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JP5687074B2 (ja) * 2011-01-12 2015-03-18 グンゼ株式会社 腰部負担軽減装具
JP2019055033A (ja) 2017-09-21 2019-04-11 株式会社東芝 サポートウェア、及び動作支援システム
JP6527629B1 (ja) * 2018-10-08 2019-06-05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動作補助作業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176A (ja) * 1981-11-06 1983-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ダ装置のデ−タ校正方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ko) * 2010-04-14 2011-10-06 하병욱 척추보조기
JP5687074B2 (ja) * 2011-01-12 2015-03-18 グンゼ株式会社 腰部負担軽減装具
JP2019055033A (ja) 2017-09-21 2019-04-11 株式会社東芝 サポートウェア、及び動作支援システム
JP6527629B1 (ja) * 2018-10-08 2019-06-05 学校法人早稲田大学 動作補助作業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75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886B2 (en) Orthopedic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CA2961159C (en) Physiotherapeutic, ambulatory, and mobility vest
US9364363B2 (en) Ank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4425912A (en) Knee protector/stabilizer
US6428495B1 (en) Hamstring brace
JP2651953B2 (ja) 調節自在の膝サポーター
ES2726939T3 (es) Conjunto de bandas de pernera y arnés de seguridad que lo incluye
US20040225245A1 (en) Knee brace with directional elastic
US20150133842A1 (en)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CA2259889C (en) Sports brace
US20060293623A1 (en) Orthopedic restraint and method for shoulder remediation
KR102335274B1 (ko)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102335273B1 (ko) X자 벤드형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EP3485852A1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and upper body support method
KR101509445B1 (ko) 관절 지지장치
US7624519B1 (en) Foot and ankle protective apparatus
KR200484137Y1 (ko) 무릎 보호용 하의
KR101931211B1 (ko)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
KR20230160627A (ko) 허리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보호대
KR20170092065A (ko) 깁스 보호용 방수커버
CN111202660A (zh) 助行防护装置
JPH10127674A (ja) 膝用サポータ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JP6974288B2 (ja) 補助ウェア
KR102307570B1 (ko)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