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570B1 -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 Google Patents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570B1
KR102307570B1 KR1020190139582A KR20190139582A KR102307570B1 KR 102307570 B1 KR102307570 B1 KR 102307570B1 KR 1020190139582 A KR1020190139582 A KR 1020190139582A KR 20190139582 A KR20190139582 A KR 20190139582A KR 102307570 B1 KR102307570 B1 KR 10230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adult
ring
wor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677A (ko
Inventor
유승현
황종석
박명숙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5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른과 아이가 함께 착용한 상태에서 아이의 보행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어른과 아이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의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른의 어깨에 매는 형태의 지지부, 상기 아이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하네스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네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WEARABLE GAIT REHABILITATION DEVICE FOR CHILDREN}
본 발명은 아이의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한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른과 아이가 함께 착용한 상태에서 어른과 아이가 함께 보행을 할 수 있도록 체결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성마비란 출생 전, 출생 시 또는 출생 후 아직 뇌가 미성숙한 시기에 생기는 뇌의 병변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기능 장애를 총칭하는 말이다. 이는 단일 질병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과 병변을 포함한 임상 증후군이라 할 수 있으며, 비진행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뇌성마비는 소아 장애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운동 협응 능력과 자세 및 동작의 이상과 지연과 같은 운동 장애를 주 증상으로 갖고 있다. 또 언어 장애, 정신지체, 학습장애, 경련, 감각 장애와 같은 문제점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2010년 조사된 뇌성마비 유병율은 인구 1000명당 3.2명으로 높은 수준이다.
뇌성마비 환자는 보행조차 쉽지 않으며, 보행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훈련이 필수적이다. 성장이 다 된 성인의 경우에는 보행 훈련 장치의 도움을 받아야지만 훈련이 가능하지만,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부모의 보조로 간단하게도 보행 훈련을 많이 하는 실정이다. 부모나 트레이너 등 어른이 보행 훈련 아이를 뒤에서 잡아주는 형태로 보행 훈련을 하게 되는데,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랜 시간 훈련을 지속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보행을 보조해주는 어른이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미국공개특허 2008/0018163 미국등록특허 7,341,025 일본등록특허 587635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뇌성마비 등 보행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아이의 보행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신체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른과 아이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의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른의 어깨에 매는 형태의 지지부; 상기 아이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하네스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네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른의 좌우 어깨에 착용되는 좌우 어깨스트랩; 및 상기 좌우 어깨스트랩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깨스트랩 상에서 상기 어른의 어깨에 위치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패드(pa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아이의 등부위에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1 고리부; 상기 제 2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2 고리부; 및 일단에 상기 제 1 고리부가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2 고리부가 체결되는 연결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른의 발에 착용되는 제 1 신발; 및 상기 아이의 발에 착용되는 제 2 신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신발은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신발의 상면에 제 1 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신발의 하면에 제 2 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탈착부가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탈착부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른의 하체에 착용되는 바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지의 전면에 제 3 탈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아이의 후면에서 상기 어른과 접촉하는 부위에 제 4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3 탈부착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부모 또는 트레이너가 허리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의 체중을 신체에 분산시키고, 보행 보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뇌성마비 아동 등 보행이 원활하지 못한 아이들이 복잡한 보행 보조 장치 없이도 효과적으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착용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간의 고정 구조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100)는 상기 어른(191)의 어깨에 매는 형태의 지지부(101); 상기 아이(192)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하네스부(102); 및 상기 지지부(101)와 상기 하네스부(102)를 연결하는 연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1)는 어른(191)의 어깨에 착용되는 형태로, 가방을 앞으로 매는 형태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어깨에 착용된 지지부(101)는 아이(192)의 체력을 어깨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로, 하네스부(102)와 연결부(103)를 통하여 연결되어 아이(192)가 보행할 수 있도록 체간을 곧게 유지시켜주도록 상체를 들어 올리게 도와준다.
하네스부(102)는 아이(192)의 몸에 밀착되도록 착용되어, 아이(192)의 몸무게를 효과적으로 견인시킨다. 이때 아이(192)의 체중에 의해서 신체가 눌리거나 쓸리지 않도록, 쿠션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복수 개의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네스부(102)는 지지부(101)와 연결부(103)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네스부(102)에 의해서 고정된 아이(192)의 신체가 연결부(103)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101)에 매달리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하네스부(102)는 허리에 감기는 제 1 벨트(2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벨트(201)가 착용된 상태에서 두 다리를 사이를 통과하여 제 1 벨트(201)의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를 연결하는 사타구니 연결부(202) 및 아이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타구니 연결부(202)는 장착 및 해제가 편하도록 일단 및/또는 타단에 사타구니버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된 상태에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패드(206)를 포함한다.
어깨끈(203)은 착용한 상태 아이의 등 부분에서 좌우가 교차될 수 있으며, 교차된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교차연결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의 가슴부분에서 좌우 어깨끈(203)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가슴버클(20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192)는 어깨끈(203)을 착용한 후 가슴버클(205)을 체결하여 착용한 상태로 유지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벨트(201) 역시 아이(192)의 허리를 두른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허리버클(2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부(102)의 착용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교차연결부(204)에는 제 2 연결링(401)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연결링(401)은 후술할 제 1 연결링(507)과 연결부(103)를 통하여 연결되어, 아이(192) 신체 무게를 어른(19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103)는 제 1 고리부(503), 제 2 고리부(403) 및 일단에 상기 제 1 고리부가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2 고리부가 체결되는 재 1 연결로프(4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리부(403)는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제 2 연결링(401)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고리부(503, 403)는, 등산용 고리(카라비너)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및 제 2 연결링(401)에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포함될 것이다.
이와 같이, 아이(192)는 허리버클(207)을 체결하고, 가슴버클(205)을 체결하며, 사타구니버클을 체결하여 전체 신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아이(192)의 등 뒤에서 교차되는 어깨끈(203)은 아이의 좌우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아이(192) 신체의 무게를 견인하기 위한 제 2 연결링(도 4의 401)을 구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03)의 경우에는 아이(192)의 신체 무게를 중력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을 제공해 줄 수 있지만, 아이(192)가 앞뒤로 제대로 고정되기 위한 앞뒤연결부(405, 406 및 도 5의 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뒤연결부(405, 406 및 504)에 대해서는 이하 도 5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의하면, 지지부(101)는 어른의 좌우 어깨에 착용되는 좌우 어깨스트랩(501); 및 상기 좌우 어깨스트랩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103)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링(5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링(507)과 제 2 연결링(401)은 연결부(103)를 통하여 연결되어, 아이(192) 신체 무게를 어른(191)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연결부(103)는 제 1 및 제 2 연결링(507, 401)과 연결되어 아이(192)의 체중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보행 보조 시, 아이(192)가 앞뒤로 제대로 고정되기 위한 앞뒤연결부(405, 406, 504)를 위해서 상기 제 1 벨트(201)는, 착용된 상태에서 후방에 제 3 연결링(4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벨트(505) 역시 어른(191)의 허리에 착용되고, 제 2 벨트(505)의 전방에 제 4 연결링(50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및 제 4 연결링(402, 506)은 앞뒤연결부(405, 406 및 504)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앞뒤연결부(405, 406 및 504)는 제 3 고리부(405), 제 2 연결로프(406) 및 제 4 고리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고리부(405)는 아이(192)가 착용한 제 1 벨트(201)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 3 연결링(402)와 체결되고, 제 4 고리부(504)는 어른(191)의 허리에 착용되는 제 2 벨트(505)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4 연결링(506)과 체결되어, 아이의 허리와 어른의 허리를 서로 앞뒤 방향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내지 4 연결링(507, 401, 402, 506)와 제 1 내지 제 4 고리부(503, 403, 405, 504)의 연결은 사용자가 손쉽게 탈착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체결 구조에 의하면, 아이(192)는 어른(191)에게 자신의 체중을 대부분 의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 시 앞뒤로 흔들리는 것도 제한할 수 있어 어른(191)의 신체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더 나아가, 어른(191)의 하체와 아이(192)의 하체가 서로 붙어있을 수 있는 구조를 더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어른의 신발(601)과 아이의 신발(602)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와, 어른의 하체와 아이의 하체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간의 고정 구조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른의 신발(601) 상면(발등부위)에 제 1 탈착부(603)가 구비되고, 아이의 신발(602) 하면에 제 2 탈착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어른의 신발(601) 및 아이의 신발(602)가 서로 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예를들어 제 1 및 제 2 탈착부는 벨크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192)가 간편하게 어른(191)의 신발(601) 위에 자신의 신발(602)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에서와 같이, 어른의 신발(601) 하부 측면에서 연장되는 보조발판(7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발판(701) 상면에 마찬가지로 제 1 탈착부(603)가 구비되고, 아이의 신발(602)의 하면에 제 2 탈착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제 1 및 제 2 탈착부가 서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아이(192)의 하체 후면에 제 3 탈착부(610)가 구비되고, 어른(191)의 하체 전면에 제 4 탈착부(6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른의 신발(601)과 아이의 신발(602)이 서로 체결되면서 동시에 아이의 하체와 어른의 하체가 체결될 수 있어, 아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어른과 아이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의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른의 어깨에 매는 형태의 지지부;
    상기 아이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하네스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하네스부를 연결하여, 상기 아이의 신체 무게를 중력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연결부;
    상기 아이를 앞뒤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앞뒤연결부;
    상기 어른의 하체에 착용되는 바지;
    상기 어른의 발에 착용되는 제 1 신발; 및
    상기 아이의 발에 착용되는 제 2 신발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발의 상면에 제 1 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신발의 하면에 제 2 탈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신발이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탈착부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지의 전면에 제 3 탈부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아이의 후면에서 상기 어른과 접촉하는 부위에 제 4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3 탈부착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아이의 허리에 감기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아이의 두 다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벨트의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를 연결하는 사타구니 연결부, 상기 아이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끈을 포함하고,
    상기 어깨끈은 상기 아이의 등 부분에서 좌우가 교차되고, 상기 교차되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교차연결부 및 상기 아이의 가슴 부분에서 상기 어깨끈을 체결하기 위한 가슴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른의 좌우 어깨에 착용되는 좌우 어깨스트랩 및 상기 좌우 어깨스트랩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교차연결부에 제 2 연결링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1 고리부; 상기 제 2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2 고리부 및 일단에 상기 제 1 고리부가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2 고리부가 체결되는 제 1 연결로프 및 상기 제 1 연결로프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른의 허리에 착용되는 제 2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벨트의 후방에 제 3 연결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벨트의 전방에는 제 4 연결링이 구비되며,
    상기 앞뒤연결부는 상기 제 3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3 고리부; 상기 제 4 연결링과 체결되기 위한 제 4 고리부 및 일단에 상기 제 3 고리부가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제 4 고리부가 체결되는 제 2 연결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어깨스트랩 상에서 상기 어른의 어깨에 위치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패드(p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의 보행 보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39582A 2019-11-04 2019-11-04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KR10230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82A KR102307570B1 (ko) 2019-11-04 2019-11-04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82A KR102307570B1 (ko) 2019-11-04 2019-11-04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77A KR20210053677A (ko) 2021-05-12
KR102307570B1 true KR102307570B1 (ko) 2021-09-30

Family

ID=7591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82A KR102307570B1 (ko) 2019-11-04 2019-11-04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5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121B2 (ja) * 1991-06-20 2000-04-10 チタン工業株式会社 補強材用六チタン酸カリウム繊維
JP2000300397A (ja) 1999-04-20 2000-10-31 Shinichi Tachibana 幼児介助具
JP3145389B2 (ja) 1990-08-05 2001-03-1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発熱体
KR101176168B1 (ko) 2011-03-10 2012-08-22 김태유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JP2013208397A (ja) 2012-03-30 2013-10-10 Kyushu Univ 歩行運動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150U (ko) * 1987-09-24 1989-03-27
KR960026616U (ko) * 1995-01-18 1996-08-17 정인옥 아기보행용 안전벨트
JP3030121U (ja) * 1996-04-12 1996-10-18 元三 飯尾 幼児用歩行運動補助ベルト
US7341025B1 (en) 2006-04-06 2008-03-11 Lucky Bums, Inc. Gait training harness
US20080018163A1 (en) 2006-07-21 2008-01-24 Winn Rodney W Harness system for an infant or young child
KR100934193B1 (ko) * 2007-06-25 2009-12-29 김은희 유아용 보행 보조구
JP3145389U (ja) * 2008-07-04 2008-10-09 平岡 まり ペットの多頭用散歩リード
US8534233B1 (en) * 2012-04-18 2013-09-17 Steven Han Hands-free pet leash
KR20140078112A (ko) * 2012-12-17 2014-06-2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슈트형 하네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389B2 (ja) 1990-08-05 2001-03-12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発熱体
JP3030121B2 (ja) * 1991-06-20 2000-04-10 チタン工業株式会社 補強材用六チタン酸カリウム繊維
JP2000300397A (ja) 1999-04-20 2000-10-31 Shinichi Tachibana 幼児介助具
KR101176168B1 (ko) 2011-03-10 2012-08-22 김태유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JP2013208397A (ja) 2012-03-30 2013-10-10 Kyushu Univ 歩行運動補助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k-nomi/2213743337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77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0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child to walk
US7341025B1 (en) Gait training harness
US20120292361A1 (en) Backpack exoskeleton
US9775425B2 (en) Backpack with stabilizing handles
US11813223B2 (en)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US20080018163A1 (en) Harness system for an infant or young child
TWM445974U (zh) 用於健走機之吊掛式座椅
CN102469869A (zh) 儿童载具
US9226867B2 (en)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JP5444575B1 (ja) 人体吊上げ用ハーネス
CN105943322A (zh) 一种牵拉式防跌倒助步器
JP4960706B2 (ja) 整形外科用ブレース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20160023293A (ko) 다리에 착용하는 보행보조기
JP2007082798A (ja) 障害者用姿勢補助具
JP2007185246A (ja) 吊り具
KR101469628B1 (ko) 보행 보조기
KR102307570B1 (ko) 아동용 웨어러블 보행재활 장치
JP2006305123A (ja) 義足
US7063678B1 (en) Exercise vest for use with an unweighting system to correct a scoliosis condition
US10426678B2 (en) Child support structure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US20030234267A1 (en) Carrier saddle for small children
KR101362787B1 (ko) 의료 보조기구
CN216963480U (zh) 一种康复训练平衡杠
US20200253809A1 (en) Modular harness for patients with post-neurologic inj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