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628B1 -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628B1
KR101469628B1 KR1020140081627A KR20140081627A KR101469628B1 KR 101469628 B1 KR101469628 B1 KR 101469628B1 KR 1020140081627 A KR1020140081627 A KR 1020140081627A KR 20140081627 A KR20140081627 A KR 20140081627A KR 101469628 B1 KR101469628 B1 KR 10146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uxiliary leg
lower support
auxiliary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영
Original Assignee
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영 filed Critical 강선영
Priority to KR102014008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628B1/ko
Priority to PCT/KR2015/006607 priority patent/WO20160031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2Knee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기구의 사용이 요구되는 무릎관절의 안정화 및 조정을 위해 무릎부위에 착용되는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대퇴부를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1 결합부가 하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 종아리부를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2 결합부가 상향 연장 형성되어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하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 보조기{WALKING SUPPORTER}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보조기구의 사용이 요구될 때 다리에 착용되는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근력이 약한 노약자나 근력이 저하된 환자 또는 장애인들은 별도의 보행 보조기 없이는 보행이 힘들며, 주변 환경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일반적인 보행 보조기로는 손으로 붙잡고 보행하는데 사용되는 지팡이나, 일정 높이의 프레임 상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바퀴가 장착된 보행 훈련기, 그리고 근력이 약화된 관절 부위에 장착하는 관절 보조기 등이 있다.
그런데, 지팡이나 보행 훈련기는 일어선 상태에서 상체의 힘으로 보행을 보조하는 것일 뿐이어서 실질적으로 보행을 돕는데 한계가 있고, 사용자의 상체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을 보조하기 때문에 체력의 소모가 커서 단거리 이동에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또한, 관절 보조기의 경우, 관절 보조기를 착용한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들은 다리 힘이 약하여 보행중 균형을 잃고 뒤로 넘어질 때가 많은데, 종래의 관절 보조기에는 이에 대한 아무런 대비가 없다.
특히 이들이 계단을 내려올 때에는, 계단을 밟는 한쪽 다리에 순간적으로 강한 부하가 걸리므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발바닥 전체가 계단을 확실히 딛도록 하는 한편, 발바닥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KR 10-0814427 B1 (2008.03.1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보조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단을 내려올 때 발을 딛는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다리의 길이가 조절되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다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퇴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1 결합부가 하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 종아리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2 결합부가 상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다리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지지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조다리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재와, 상기 절곡부재의 중공에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편자 형태이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이 상기 연장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이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재의 단부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 양단부는 전방에서 서로 이격하며,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 양단에 상기 상부지지대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지르는 탄성밴드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아리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다리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지지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조다리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보조다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이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에 회전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볼 수용홈으로 조절구가 삽입되고, 상기 조절구의 일단에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회전볼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보조다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소정 각도 꺾인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다리 뒷부분이 보조다리에 의해 지지되므로,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고 뒤로 넘어지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지면과 접촉하는 하단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므로,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보조다리를 계단의 단턱에 밀착시킴으로써, 계단을 쉽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격에 맞춰 보조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보조다리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게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다리의 결합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꺾임부가 형성된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100)는 대퇴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대(200)와, 종아리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300), 및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보조다리(500)를 포함한다.
상부지지대(200)와 하부지지대(300)는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310)에 의해 힌지 결합하며,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다리(500)는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서 지면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쏠릴 때 넘어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한편, 계단을 내려갈 때 발을 딛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사시도이다.
상부지지대(200)는 탄성과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가죽이나 플라스틱 또는 카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대퇴부 후방을 감싸서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부지지대(200)는 사용자의 대퇴부 골격 및 피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폭을 가진 만곡된 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대(20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인 2개의 부재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2개의 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결합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부지지대(200)의 길이 등 규격을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부지지대(200)의 좌우 양단부는 전방에서 양쪽으로 서로 이격하며, 상부지지대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지르도록 탄성밴드(400)가 결합된다. 이때, 탄성밴드(400)의 일단은 상부지지대(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결속홈(220)에 결합되고, 탄성밴드(400)의 타단은 상부지지대(2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결속홈(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지지대(200) 착용시, 사용자의 대퇴부 전방은 탄성밴드(400)에 의해 지지되고, 대퇴부 후방은 상부지지대(2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탄성밴드(400)의 일측에 길이조절용 고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부지지대(200)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질러 버클(미도시)에 의해 상호 착탈되는 벨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탄성밴드(400) 또는 벨트의 일단에 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지지대(200)의 좌우 양단에서 제1 결합부(210)가 하향 연장 형성된다. 제1 결합부(2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띠 형태이며, 제1 결합부(210)의 상단은 상부지지대(200)에 결합되고, 하단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폭이 확장된 원형의 제1 힌지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이 제1 힌지결합부(211)는 핀 또는 리벳 등의 힌지부재에 의해 후술하는 하부지지대(300)의 제2 힌지결합부(311)와 힌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 힌지결합부(211)의 외측에 제2 힌지결합부(311)가 힌지 결합하는 경우, 제1 힌지결합부(211)가 사용자의 대퇴부와 접촉하게 되며, 마찰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힌지결합부(211)의 내측에는 스펀지 등 부드러운 재질의 내피(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힌지결합부(211)의 내측에 제2 힌지결합부(311)가 힌지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2 힌지결합부(311)의 내측에 스펀지 등 부드러운 재질의 내피(23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대퇴부와 접촉하는 상부지지대(200) 및 사용자의 종아리부와 접촉하는 하부지지대(300)의 내측에 이러한 내피(23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의 사시도이다.
하부지지대(300) 역시 전술한 상부지지대(200)와 마찬가지로, 탄성과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가죽이나 플라스틱 또는 카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지지대(300)는 사용자의 종아리부 후방을 감싸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하부지지대(300)는 사용자의 종아리부 골격 및 피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폭을 가진 만곡된 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부지지대(30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로 대칭인 2개의 부재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2개의 부재를 서로 겹쳐서 체결구로 결합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하부지지대(300)의 길이 등 규격을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하부지지대(300)의 좌우 양단부는 전방에서 양쪽으로 서로 이격하며, 하부지지대(300)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지르도록 탄성밴드(400)가 결합된다. 이때, 탄성밴드(400)의 일단은 하부지지대(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 결속홈(320)에 결합되고, 탄성밴드(400)의 타단은 하부지지대(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결속홈(320)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지지대(300) 착용시, 사용자의 종아리부 전방은 탄성밴드(400)에 의해 지지되고, 종아리부 후방은 하부지지대(3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탄성밴드(400)의 일측에 길이조절용 고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하부지지대(300)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질러 버클(미도시)에 의해 상호 착탈되는 벨트(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탄성밴드(400) 또는 벨트의 일단에 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대(300)의 좌우 양단에서 제2 결합부(310)가 상향 연장 형성된다. 제2 결합부(3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 띠 형태이며, 제2 결합부(310)의 하단은 하부지지대(300)에 결합되고, 상단은 위쪽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폭이 확장된 원형의 제2 힌지결합부(311)가 형성된다.
제2 힌지결합부(311)는 핀 또는 리벳 등의 힌지부재에 의해 전술한 상부지지대(200)의 제1 힌지결합부(211)와 힌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1 힌지결합부(211)의 내측에 제2 힌지결합부(311)가 힌지 결합하는 경우, 제2 힌지결합부(311)의 내측에 스펀지 등 부드러운 재질의 내피(230)가 구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는 일단이 하부지지대(300)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절곡되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다리(500)가 형성된다. 보조다리(500)는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 또는 탄소섬유 등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다리(500)의 타단은 하부지지대(30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소정 간격 연장된 후 하향 절곡되며, 지면으로 향할수록 사용자의 다리로부터 멀어지게끔 하단이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보조다리(500)의 하단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로부터 소정 간격 후방의 지면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지 않게끔 받쳐주게 된다.
여기서, 보조다리(500)는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절곡되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0)와, 연장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520)를 포함한다.
이때, 보조다리(500)의 연장부(510)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그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연장부(510)는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 결합되어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재(511)와, 절곡부재(511)의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부재(511)의 일측에는 고정홀(513)이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부재(5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높이조절홀(514)이 관통 형성된다. 보조다리(500)의 길이 조절시에는 높이조절부재(512)를 절곡부재(511)의 중공에 삽입하여 연장부(510)의 전체적인 길이를 맞춘 후, 고정홀(513)과 높이조절홀(514)을 관통하도록 고정핀 등의 핀부재(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지지부(520)는 연장부(5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부(52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지부(520)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지지부(520)는 연장부(510)의 하단이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521)와, 몸체(52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벌어지는 한 쌍의 날개부(522)를 포함하여 'U'자의 편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521)의 상측에 삽입홈(523)을 가진 삽입부(524)가 돌출 형성되고, 이 삽입홈(523)에 전술한 높이조절부재(512)의 하단이 삽입되어, 삽입부(524)의 일측에서 높이조절부재(512)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핀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20)의 저면에는 충격흡수를 위해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을 가진 충격흡수부재(52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20')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날개부(522)가 몸체(521)에 대하여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23')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다리(500) 사용시, 사용자가 계단을 내려올 때에는 지지부(520)의 후단을 계단의 단턱에 접촉시킴으로써 발 딛는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지지부(520)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2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10)의 하단이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521')가 형성되는 몸체(522')와, 탄성부재(523')에 의해 몸체(522')의 후방에 탄성 지지되는 돌출부재(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522')의 상측에는 연장부(510)의 하단이 결합되는 삽입부(524')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522')의 후단 양측에는 공간부(5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돌출부재(524')가 결합된다.
몸체(522') 내부의 공간부(521')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23')가 설치되는데, 탄성부재(523')의 일단은 공간부(521') 내벽에 결합되고, 타단은 돌출부재(524')의 공간부(521') 삽입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돌출부재(524')의 후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523')의 탄성 변형과 함께 돌출부재(524')가 몸체(522') 내부로 들어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음 방지와 충격 흡수를 위해 돌출부재(524')의 후단과 몸체(522')의 저면에 충격흡수부재(526')가 구비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 하나의 보조다리(500)가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부지지대(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보조다리(50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 하나, 그리고 하부지지대(3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총 세 개의 보조다리(500)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다리를 세 방향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지지대(200) 없이 하부지지대(300)와 보조다리(500)만을 사용하여 의족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안정적인 보행을 위해 복수 개의 보조다리(5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7은 계단을 내려갈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사용자의 후방에서 바라본 보행 보조기의 장착 모습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100)를 장착하면, 상부지지대(200)에 의해 대퇴부가 감싸져서 지지되고 하부지지대(300)에 의해 종아리부가 감싸져서 지지된다.
이때,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게 되면, 제1 힌지결합부(211)와 제2 힌지결합부(311)를 중심으로 상부지지대(200)와 하부지지대(300)가 상대 회전하면서 다리 모양에 맞춰 보행 보조기(100)의 형태가 변형된다.
하부지지대(300)의 후방에서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500)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 뒷부분이 지지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 힘이 풀리면서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고 뒤로 넘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계단(10)을 내려갈 때, 보조다리(500)의 지지부(520)를 계단(10)의 단턱(20)에 접촉시켜 아래로 미끄러트림으로써, 발 디딜 곳을 확실히 확보하는 한편, 계단(10)을 디딜 때 전달되는 하중을 보조다리(500)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계단(10)을 밟을 때 지지부(520)가 계단(10)의 단턱(20)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감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과 지지부(520)가 동일한 층계 상에 동시에 안착되어, 안정적인 자세로 계단(10)을 밟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다리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지지대(300)와 지지부(520,520')에 대하여 보조다리(5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다리(500)의 양단에 구형의 회전볼(515)이 구비되고, 하부지지대(300)와 지지부(520,520')에는 회전볼(515)이 수용되도록 볼 수용홈(610)이 형성된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각각 구비된다. 회전볼(515)은 보조다리 결합부(600)의 볼 수용홈(6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지지대(300)와 지지부(520,520')에 대한 보조다리(5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보조다리(500) 회전시 보조다리(500)의 일측이 하부지지대(300) 또는 지지부(520,520')의 일측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그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9는 하부지지대(300)의 일측에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구비되고, 이 보조다리 결합부(600)의 볼 수용홈(610)에 절곡부재(511) 끝단의 회전볼(515)이 수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회전볼(515)은 절곡부재(5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곡부재(511)의 끝단은 테이퍼져서 절곡부재(511)의 회전 각도가 최대한 확보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다리 결합부(600)는 하부지지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지지대(3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하부지지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다리 결합부(600)에는 회전볼(515)을 수용하기 위한 볼 수용홈(610)이 형성된다. 이때, 볼 수용홈(610)은 구형의 공간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볼(515)을 볼 수용홈(610)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보조다리 결합부(600)는 2개의 분리 가능한 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볼 수용홈(610)의 입구 면적을 회전볼(515)의 직경 보다 크게 하여 회전볼(515)을 볼 수용홈(610)에 삽입한 후, 후술하는 가압부(620)를 회전볼(515) 방향으로 밀착시켜 회전볼(51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다리 결합부(600)의 일측에는 예컨대 나비볼트 등의 조절구(630)가 결합된다. 조절구(630)의 일단은 보조다리 결합부(600)를 관통하여 볼 수용홈(610) 내부로 연장되며, 볼 수용홈(610) 내부로 연장된 조절구(630)의 일단에는 회전볼(515)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620)가 구비된다. 이 가압부(620)는 회전볼(515)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볼 수용홈(610) 내에 회전볼(515)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압부(620)의 회전볼(515) 대향면은 회전볼(515)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과 같이 회전볼(515)이 볼 수용홈(6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함에 따라, 하부지지대(300)에 구비되는 보조다리 결합부(600)에 대하여 절곡부재(511)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절곡부재(511)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에는, 조절구(630)를 조작하여 가압부(620)가 회전볼(515)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이때, 가압부(620)는 회전볼(515)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며, 회전볼(515)의 타측이 볼 수용홈(610)의 내벽에 가압 지지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회전볼(515)과 절곡부재(511)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절곡부재(511) 끝단의 회전볼(515)이 하부지지대(300)의 보조다리 결합부(600)에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높이조절부재(512)의 끝단에 회전볼(515)이 구비되고 이 회전볼(515)이 지지부(520,520')의 보조다리 결합부(600)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지지부(520,520')의 상측에 전술한 실시예의 삽입부(524,525') 대신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형성되고, 이 보조다리 결합부(600)의 볼 수용홈(610)에 높이조절부재(512) 끝단의 회전볼(515)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부(520,520')를 보조다리(500)에 대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지지대(300)에 대하여 보조다리(50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하부지지대(300)와 보조다리(500)의 각도를 넓게 벌릴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다리(500)가 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가 일측으로 휘어진 장애인의 경우, 보조다리(500)를 반대쪽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지지대(300)에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구비되어 보조다리(5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때 지지부(520,520')에도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구비되어 보조다리(500)에 대하여 지지부(520,520')를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처럼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하부지지대(300) 및/또는 지지부(520,52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지지대(200)를 함께 이용하거나, 상부지지대(200) 없이 하부지지대(300)와 보조다리(500)만을 사용하여 의족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정적인 보행을 위해 복수 개의 보조다리(5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꺾임부가 형성된 보행 보조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다리(500)의 하단부 즉, 높이조절부재(512)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소정 각도 꺾인 꺾임부(5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520,520')는 보조다리(500)의 후방에 이격하여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지지부(520,520')의 삽입부(524,525')는 꺾임부(516)의 각도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꺾임부(516)의 하단에 회전볼(515)이 구비되고 지지부(520,520')에 보조다리 결합부(600)를 형성하여, 지지부(520,520')를 지면에 평행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다리(500)의 상단에 회전볼(515)이 구비되고 하부지지대(300)에 보조다리 결합부(600)가 형성되어, 보조다리(500)를 하부지지대(300)에 대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지지대(200)를 함께 이용하거나, 상부지지대(200) 없이 하부지지대(300)와 보조다리(500)만을 사용하여 의족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정적인 보행을 위해 복수 개의 보조다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보행 보조기
200 : 상부지지대
300 : 하부지지대
400 : 탄성밴드
500 : 보조다리
510 : 연장부
511 : 절곡부재
512 : 높이조절부재
520,520' : 지지부
600 : 보조다리 결합부
610 : 볼 수용홈
620 : 가압부
630 : 조절구

Claims (20)

  1. 대퇴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1 결합부가 하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대;
    종아리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며, 좌우 양단에서 제2 결합부가 상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다리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조다리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재와, 상기 절곡부재의 중공에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연장부의 하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편자 형태이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이 상기 연장부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이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단부에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 양단부는 전방에서 서로 이격하며, 상기 상부지지대의 좌우 양단에 상기 상부지지대 전방의 이격 공간부를 가로지르는 탄성밴드의 양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2. 종아리부의 일측을 감싸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다리는,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조다리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4. 삭제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후방에 보조다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이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의 일단에 회전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볼 수용홈으로 조절구가 삽입되고, 상기 조절구의 일단에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구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상기 회전볼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보조다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회전볼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볼이 수용되는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소정 각도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KR1020140081627A 2014-07-01 2014-07-01 보행 보조기 KR10146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27A KR101469628B1 (ko) 2014-07-01 2014-07-01 보행 보조기
PCT/KR2015/006607 WO2016003125A1 (ko) 2014-07-01 2015-06-29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627A KR101469628B1 (ko) 2014-07-01 2014-07-01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628B1 true KR101469628B1 (ko) 2014-12-10

Family

ID=5267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627A KR101469628B1 (ko) 2014-07-01 2014-07-01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9628B1 (ko)
WO (1) WO20160031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20A (ko) * 2019-06-17 2020-12-28 노태진 보행보조 기구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916A1 (it) 2016-04-27 2017-10-27 Perini Fabio Spa Macchina troncatrice di rotoli con mole di affilatura e metodo di affilatura
CN106726043A (zh) * 2016-12-26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三中心医院 脊柱损伤康复训练及防护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366A (ja) * 1993-07-09 1997-03-11 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運動装置及び技術
JP2001224612A (ja) * 2000-02-17 2001-08-21 Ryosuke Ogura 歩行用補助具
KR101112119B1 (ko) * 2009-09-08 2012-02-22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JP2012110396A (ja) * 2010-11-22 2012-06-14 Emi Yasui 歩行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8917A1 (en) * 1993-07-09 2008-05-08 Kinetecs, Inc. Exercise apparatus and technique
KR101141905B1 (ko) * 2010-05-28 2012-05-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환자용 보행 보조 장치
JP2013150714A (ja) * 2012-01-25 2013-08-08 Toyota Motor Corp 歩行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366A (ja) * 1993-07-09 1997-03-11 キネ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運動装置及び技術
JP2001224612A (ja) * 2000-02-17 2001-08-21 Ryosuke Ogura 歩行用補助具
KR101112119B1 (ko) * 2009-09-08 2012-02-22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JP2012110396A (ja) * 2010-11-22 2012-06-14 Emi Yasui 歩行補助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20A (ko) * 2019-06-17 2020-12-28 노태진 보행보조 기구
KR102238690B1 (ko) 2019-06-17 2021-04-09 노태진 보행보조 기구
KR102337390B1 (ko) * 2021-03-24 2021-12-08 이춘식 하지용 보행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3125A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263A (en) Leg support crutch
US5178595A (en) Walking device to assist those with an injury to a lower limb
EP2442763B1 (en) Orthotic lift apparatus
US20100106065A1 (en) Orthotic Assembly for Selectively off-Loading a Weight-Bearing Joint
US8021316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8403872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KR101469628B1 (ko) 보행 보조기
US8540655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CA2935571C (en) Lower extremity isolating leg brace
WO2018035273A1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WO2019156002A1 (ja) 歩行補助具、歩行補助方法
KR20160023293A (ko) 다리에 착용하는 보행보조기
KR102071611B1 (ko) 발목 근력 보조기
JP2008546460A (ja) 人体のための処理装置
KR101413329B1 (ko) 보행 보조 장치
JP2018079132A (ja) 下肢動作支援装具
US20120290102A1 (en) Knee Crutch System
JP6396126B2 (ja) 下肢装具
CN106726373A (zh) 一种临时行走辅助机器人
CN116270144A (zh) 一种下肢免负重行走辅助支具
CA2543217C (en) Pressure off knee brace
CN210785275U (zh) 足踝骨科医疗康复辅助步行器
JP6932831B2 (ja) エクソスケルトンサブ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ようなサブアセンブリを含むエクソスケルトン構造体
EP0195186A2 (en) Stabilizing orthesis
JP5962617B2 (ja) 前面支柱式長下肢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