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119B1 - 무릎보조기 - Google Patents

무릎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119B1
KR101112119B1 KR1020090084237A KR20090084237A KR101112119B1 KR 101112119 B1 KR101112119 B1 KR 101112119B1 KR 1020090084237 A KR1020090084237 A KR 1020090084237A KR 20090084237 A KR20090084237 A KR 20090084237A KR 101112119 B1 KR101112119 B1 KR 10111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knee
piece
fixe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543A (ko
Inventor
설상범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메디텍 filed Critical (주)오케이메디텍
Priority to KR102009008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1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지지대가 하부지지대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직선이동 및 회동됨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서로 대면하는 지지대끼리 연결되어 종아리부 또는 대퇴부에 결속시키는 다수의 지지밴드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지지패드가 상/하부지지대와도 결속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패드가 다리의 종아리부와 대퇴부 측부를 보다 밀접하게 밀착되도록 본 발명의 지지패드와 같은 형태를 제공하며,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회전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더욱이 상기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연결되는 각 끝단부에 만곡부와 톱니기어 형태로 맞물림형태로 회동하도록 하여 기존의 회동부재만으로 회동하는 상/하부지지대에 발생되는 상/하부지지대에 가해지는 힘이 회동부재로 분산되어 무릎 양측부에 들뜬현상(공간발생)이 발생하여 무릎과의 밀착이 어려워 무릎관절이 더욱 악화되는 종래의 무릎보조기와는 달리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맞물려 하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분산으로 인해 무릎 양측부를 더욱 밀착시켜 무릎관절의 보호/치료에 극대화를 제공하며,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회동을 일으키는 회동부재에 의해 적정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되도록 메인멈춤바를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멈춤바가 지지대에 직접 결속시켜 고정/멈춤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멈춤에 따른 힘과 하중이 직접 상/하부지지대에 전달되도록 하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한다.
무릎, 보조, 종아리, 대퇴부, 지지대, 지지밴드, 결착대, 회동부재, 회동조절, 회동덮개, 메인멈춤, 지지패드, 굴곡, 신전

Description

무릎보조기{Orthopedic knee joint brace}
본 발명은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병, 부상, 선천적 이유 등으로 고통을 받거나 교정이 필요하거나 보조기구의 사용이 요구되는 인체의 무릎관절의 안정화 및 조정을 도모하는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보조기는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의 무릎 및 그 주변부위에 착용되어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제어 및 안정화시키고, 관절의 굴곡 상태를 제한하거나 교정하며, 통상적으로 제어하기 가능한 방법에 의해 무릎부상의 재발을 방지시키도록 사용되고 있다.
특히,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붙지 않고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내반슬 환자나,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 아랫부분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외반슬 환자를 위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경우, 착용자가 직립하거나 다리를 펴는 상태에서 대퇴골을 경골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좁아져 있는 무릎 뼈 사이가 무리한 압박을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다리를 펴는 과정에서, 대퇴 골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는 경골측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지지대와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종래의 무릎보조기는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와, 착용자의 전방측으로의 회전각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의 이동경로가 서로 겹치게 되고 독립적인 방향성으로 인해 서로 방해를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 및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011357호로 제안된 고정지지대의 하단에 하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자형 구멍과, 상기 "+"자형 구멍의 종방향 구멍에 종방향으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볼트와, 상기한 볼트에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자형 구멍의 횡방향 구멍에 위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작동으로 상기의 볼트를 승강이동시켜주는 회전너트 및 상기한 볼트의 하단에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채 끝단이 화살촉모양으로 뾰죽한 회전방지돌기로 이루어진 회전각도제어구와, 상단부분은 상기 "+"자형 구멍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각도제어구의 회전너트만 내,외측으로 노출되게 하는 내,외측 노출구멍이 각각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단 내,외측에 고정 부착되며, 하단부분은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부분 내,외측을 커버하는 상태로 형성 되는 내,외측 덮개판과,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외측 덮개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연 각각에는 일정각도범위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톱니의 반대쪽으로는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회전제어돌기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호형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굴곡조절판 및 신전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용 각도조절장치로서,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굴곡 및 신장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지만, 힘과 하중의 지지를 위해 고정지지대와 회동지지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존하여 설치됨으로서, 하중의 중심이 고정/회동지지대 외측 또는 내측으로 편심되어 종아리부 또는 대퇴부를 압박하거나 외측으로 밀려나 들뜬 공간이 형성되어 무릎관절의 뒤틀림 등의 문제점을 악화시키고, 이는 하중과 힘이 지지대로 전달되지 않고 각도조절장치로 전달되는 것이 원인이 되며, 고정지지대 하부와 회동지지대 상부가 일정 공간으로 이격되게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연계되어 있어 힘과 하중이 편심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각도제어구에 의해 메인멈춤이 조절되기 때문에 힘과 하중으로 인해 제어부분이 한곳에 몰려 즉, 회전각도제어구에 집중되어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지지대가 하부지지대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직선이동 및 회동됨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서로 대면하는 지지대끼리 연결되어 종아리부 또는 대퇴부에 결속시키는 다수의 지지밴드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지지패드가 상/하부지지대와도 결속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패드가 다리의 종아리부와 대퇴부 측부를 보다 밀접하게 밀착되도록 본 발명의 지지패드와 같은 형태를 제공하며,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회동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회전운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더욱이 상기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연결되는 각 끝단부에 만곡부와 톱니기어 형태로 맞물림형태로 회동하도록 하여 기존의 회동부재만으로 회동하는 상/하부지지대에 발생되는 상/하부지지대에 가해지는 힘이 회동부재로 분산되어 무릎 양측부에 들뜬현상(공간발생)이 발생하여 무릎과의 밀착이 어려워 무릎관절이 더욱 악화되는 종래의 무릎보조기와는 달리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맞물려 하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분산으로 인해 무릎 양측부를 더욱 밀착시켜 무릎관절의 보호/치료에 극대화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회동을 일으키는 회동부재에 의해 적정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되도록 메인멈춤바를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멈춤바가 지지대에 직접 결속시켜 고정/멈춤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멈춤에 따른 힘과 하중이 직접 상/하 부지지대에 전달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종아리부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하부지지대와, 대퇴부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수평으로 서로 대면되는 각각의 상/하부지지대가 서로 연결되도록 종아리부와 대퇴부 전/후면을 지지하여 결착되는 상/하부지지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는 지지밴드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단부와 하부지지대의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종아리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결착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부와 하부지지대의 하부에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상대각도를 형성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지지밴드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지지대에 서로 대면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한쌍씩 배열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외측 일면을 면접하여 결속하는 안내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 외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외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구가 형성된 제1, 2, 3, 4지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지지패드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안내홈이 5~30°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와 연계되어 고정/회동되는 상/하부지지대에 있어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 끝단부에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에 일부 수용하여 맞물리도록 하부지지대 끝단부에 톱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메인멈춤바가 상기 하부지지대의 끝단부에 형성된 톱니부에 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릎관절의 통증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연골의 좌우 밸런스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는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는 신체의 해부학적 형상에 대응하게 다양한 팽출높이를 갖고, 굴곡이 있는 하지 근육별로 각기 다른 크기의 지지패드를 상/하부지지대에 연결하면서 동시에 지지밴드도 함께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의 지지패드를 설치함에 따라, 더욱 신체와의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경제상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인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대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는 무릎 뼈 사이의 이격간격이 좁은 내측부 또는 외측부측에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 회동하는 회동부재를 설치하면,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상부지지대의 직선이동과 전방측으로의 회동이 상호 보완적으 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착용자의 관절 굴곡상태를 정상적으로 교정 및 제어하면서도 관절 움직임 및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며,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무릎보조기의 상/하부의 포켓부와 가동부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함에 따라 제품유지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튼튼한 재질을 사용하여 의료기기로서 손색이 없고, 환자 등과 같은 착용자들에게 신뢰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릎보조기의 상/하부를 구성하는 포켓부와 가동부에 가장 많은 하중과 힘이 부가되어 상/하측지지대의 밀착성을 증가하기 위해 상/하부지지대와 면접하여 연결되는 각 끝단부에 톱니기어와 만곡부가 맞물림구조를 이루어 힘의 분산화로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밀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된 톱니기어에 의한 메인멈춤바의 작동이 이루어져 힘과 하중에 의한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아리부(20)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하부지지대(300)와, 대퇴부(10)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대(200)와, 상기 수평으로 서로 대면되는 각각의 상/ 하부지지대(200, 300)가 서로 연결되도록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 전/후면을 지지하여 결착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는 지지밴드(40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상단부와 하부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를 지지하는 결착대(50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상부와 하부지지대(300)의 하부에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상대각도를 형성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부재(600)가 구비되는 무릎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고정되어 지지밴드(400)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서로 대면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한쌍씩 배열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의 외측 일면을 면접하여 결속하는 안내홈(710)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710)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구(7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720) 외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된 수용홈(7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730) 외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구(740)가 형성된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10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100)에서 종아리부(20) 양측부를 지지하여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하부지지대(300)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대(300) 상부에 연계되어 대퇴부(10)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대(200)가 제공된다.
상기 수평으로 서로 대면되는 각각의 상/하부지지대(200, 300)가 서로 연결되도록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 전/후면을 지지하여 결착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는 지지밴드(400)로서, 상기 지지밴드(400)는 서로 대면되는 상부지지대(200)를 연결하여 대퇴부(10) 전/후면을 연결하도록 한쌍씩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대(300)도 마찬가지로 종아리부(20)의 전/후면을 지지하도록 한쌍씩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상단부에 연결된 전/후면 지지밴드(40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서로 대면되는 상부지지대(200)를 연결하여 고정된 결착대(50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연결된 전/후면 지지밴드(400)중 상기 상부지지대(200)에 형성된 결착대(500)와 대응되도록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서로 대면되는 하부지지대(300)를 연결시켜 고정되는 결착대(500)가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착대(500)는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 전면 또는 후면을 받쳐주는 지지역할을 하도록 판상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인 탄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어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 전/후면 일부면과 면접하여 무릎보조기(10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대면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제공된다.
상기 결착대(500)는 후자에 설명되는 제1지지패드(700a)와 제4지지패드(700c)의 제2결속구(740)를 통과하여 수용홈(730)을 지나 제1결속구(720)를 통해 상/하부지지대(200, 300) 일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600)는 상부지지대(200) 하단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가이드홈(612)이 형성된 고정편(61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611)에 연장되며 원형의 형태로 중앙에 하부지지대(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자유홈(310)과 힌지(615)에 의해 연결되어 구속없이 회동하도록 제2자유홈(614)이 형성된 원형편(613)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편(613)의 외주면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616)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616) 외측면에 제1톱니부(61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한쌍의 회동조절판(610)과, 상기 회동조절판(610) 양측을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일측부가 상기 고정편(611)과 상부지지대(200)의 하단부에 같이 고정되도록 하며, 일측에는 원형편(613)의 절개부(616)에 형성된 제1톱니부(617)에 탈부착되도록 제1결속핀(622a)을 조정하는 굴곡바(621a)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굴곡바(621a)와 소정의 길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절개부(616)에 형성된 제1톱니부(617)에 탈부착하도록 제2결속핀(622b)을 조정하는 신전바(621b)가 형성되고, 후면의 일면에 제3자유홈(628)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바(629)가 형성되어 고정된 조절편(627)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덮개부(62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착홈(210)과 상기 회동조절판(610)의 고정편(611)에 형성된 가이드홈(612)에 결속되는 형틀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부(631) 내에 내속되어 일단은 제3결속핀(634)에 의해 관통되어 회동덮개부(620) 후면의 일면에 고정된 조절편(627)의 제3자유홈(628)에 내속되고, 타단은 한쌍의 돌출편(63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편(635) 양면에는 조절편의 가이드바(629)를 따라 이동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이동편(632)이 형성되 고, 상기 제3결속핀(634)이 일측 회동덮개부(620)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 제2레버(633)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메인멈춤바(630)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전바(621b) 또는 굴곡바(621a)를 원하는 각도에 조정하는 것은, 상기 회동조절판(610)의 원형편(613)에 형성된 절개부(616)의 제1톱니부(617)에 상기 굴곡바(621a)의 제1결속핀(622a) 또는 신전바(621b)의 제2결속핀(622b)을 조정하는 제1레버(623)에 의해 부착하며, 상기 제1레버(623) 양측으로 형성된 멈춤편(624)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대(300)가 회동하는 반경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전바(621b) 또는 굴곡바(621a)는 회동덮개부(620)의 외주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지지대(300)가 회동시 상기 신전바(621b) 또는 굴곡바(621a)에 형성된 멈춤편(624)에 의해 멈추어져 있으며, 상기 멈춤편(624)과 연장되어 상기 힌지(615)에 관통되도록 제4자유홈(626)이 형성된 연장편(625)이 더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신전바(621b)와 굴곡바(621a)가 각도 조절을 위해 이동할 때 더욱 강한 결속과 외부의 충격 또는 하중과 힘에 의해 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615)와 연결되어 있다.
도 5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멈춤바(630)의 작동에 있어, 상기 일측 회동덮개부(620)의 제2레버(633)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2레버(633)의 작동과 동시에 제3결속핀(634)이 상기 각 회동덮개부(620) 후면에 고정된 조절편(627)의 제3자유홈(628)을 따라 이동되며, 또한 동시에 상기 조절편(627)의 일단에 형성 된 가이드바(629)를 따라 상기 메인멈춤바(630)의 이동편(632)에 형성된 단차진 돌출편(635)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되어 상기 서로 이격된 돌출편(635)이 상기 하부지지대(300)의 상단부를 결속하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는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고정되어 지지밴드(400)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서로 대면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한쌍씩 배열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의 구조는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의 외측 일면을 면접하여 결속하는 안내홈(710)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710)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구(7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720) 외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된 수용홈(7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730) 외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구(7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의 안내홈(710)에 상/하부지지대(200, 300) 일면이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710) 양측으로 형성된 제1결속구(720)를 통해 대면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의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에 형성된 제1결속구(720)와 연결되도록 지지밴드(400)를 결속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밴드(400)는 전/후면 별도로 분리되게 설치됨으로서, 이는 종아리부(20)와 대퇴부(10)의 전/후면을 분리된 지지밴드(400)에 의해 더욱 밀착하도록 하는데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착대(500)의 체결을 위해 상기 결착대(500) 일단이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의 제2결속구(740)를 통해 수용홈(730)을 지나 제2결속구(740)를 관통하여 안내홈(710)에 고정된 상/하부지지대(200, 300) 일면에 같이 고정되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에는 상/하부지지대(200, 300), 지지밴드(400) 및 결착대(500)가 동시에 고정 및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부위별 조립의 간소화와 견고함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패드(700c)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안내홈(710)이 5~30°의 기울기(θ)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있어 하부지지대(300) 양측에 설치된 제3지지패드(700c) 한쌍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안내홈(710)이 5~30°의 기울기(θ)를 가져, 상기 종아리부(20)의 내측 즉, 무릎 내측부를 직접 면접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무릎 내측부에 비교적 경사진 각도를 가지게 되어 있어 기존 어떤 무릎보조기라도 이 부분에서는 공간이 형성되게 마련이며,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제3지지패드(700c) 1개가 경사각을 가져 자연스럽게 종아리부(20) 내측부를 면접하여 밀접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는 착용자의 다리 체형에 맞게 선택하여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를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600)와 연계되어 고정/회동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있어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하부 끝단부에 만곡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20)에 일부 수용하여 맞물리도록 하부지지대(300) 끝단부에 제2톱니부(32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 상기 만곡부(220) 주변에 상기 제2톱니부(320)가 면접하여 회동시에는 자유롭게 회동하지만, 회동을 멈춘 상태에서는 밀접하게 면접되어 신체의 하중과 힘을 지지하도록 하여 회동부재(600)에 직접적인 지지를 덜어주어 상기 회동부재(600)의 피로를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회동부재(600) 및 나아가 무릎보조기(100)에 수명의 연장을 제공되며, 자연스러운 회동과정을 거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600)의 메인멈춤바(630)가 상기 하부지지대(300)의 끝단부에 형성된 제2톱니부(320)에 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멈춤바(630)의 이동편(632)에 형성된 돌출편(635)이 상기 제2톱니부(320)에 결착되어 회동되는 하부지지대(300)의 움직임을 절대적으로 멈추게 하는 역할로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릎보조기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 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지지밴드 체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결착대 조립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회동부재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상부지지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하부지지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회동부재의 회동조절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회동부재의 회동덮개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신전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상/하부지지대에서 회동부재의 메인멈춤바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관절을 회동하는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지지패드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기울기를 가진 지지패드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의 지지패드 밀착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의 기울기를 가진 지지패드의 밀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무릎보조기 100, 상부지지대 200, 결착홈 210, 만곡부 220, 하부지지대 300, 제1자유홈 310, 제2톱니부 320, 지지밴드 400, 결착대 500, 회동부재 600, 회동조절판 610, 고정편 611, 가이드홈 612, 원형편 613, 제2자유홈 614, 힌지 615, 절개부 616, 제1톱니부 617, 회동덮개부 620, 굴곡바 621a, 신전바 621b, 제1결속핀 622a, 제2결속핀 622b, 제1레버 623, 몸춤편 624, 연장편 625, 제4자유홈 626, 조절편 627, 제3자유홈 628, 가이드바 629, 메인멈춤바 630, 형틀부 631, 이동편 632, 제2레버 633, 제3결속핀 634, 돌출편 635, 제1, 2, 3, 4지지패드 700a, 700b, 700c, 700d, 안내홈 710, 제1결속구 720, 수용홈 730, 제2결속구 740

Claims (6)

  1. 종아리부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하부지지대(300)와, 대퇴부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면되는 한쌍의 상부지지대(200)와, 상기 수평으로 서로 대면되는 각각의 상/하부지지대(200, 300)가 서로 연결되도록 종아리부와 대퇴부 전/후면을 지지하여 결착되는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는 지지밴드(40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상단부와 하부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종아리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결착대(50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상부와 하부지지대(300)의 하부에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상대각도를 형성하도록 회동되는 회동부재(600)와,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고정되어 지지밴드(400)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지지대(200, 300)에 서로 대면하여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한쌍씩 배열되며, 상기 상/하부지지대(200, 300)의 외측 일면을 면접하여 결속하는 안내홈(710)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710)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구(7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구(720) 외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된 수용홈(7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730) 외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구(740)가 형성된 제1, 2, 3, 4지지패드(700a, 700b, 700c, 700d)가 구비되는 무릎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600)는 상부지지대(200) 하단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가이드홈(612)이 형성된 고정편(611)이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611)에 연장되며 원형의 형태로 중앙에 하부지지대(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자유홈(310)과 힌지(615)에 의해 연결되어 구속없이 회동하도록 제2자유홈(614)이 형성된 원형편(613)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편(613)의 외주면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616)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616) 외측면에 제1톱니부(61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한쌍의 회동조절판(610);과,
    상기 회동조절판(610) 양측을 각각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일측부가 상기 고정편(611)과 상부지지대(200)의 하단부에 같이 고정되도록 하며, 일측에는 원형편(613)의 절개부(616)에 형성된 제1톱니부(617)에 탈부착되도록 제1결속핀(622a)을 조정하는 굴곡바(621a)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굴곡바(621a)와 소정의 길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절개부(616)에 형성된 제1톱니부(617)에 탈부착하도록 제2결속핀(622b)을 조정하는 신전바(621b)가 형성되고, 후면의 일면에 제3자유홈(628)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바(629)가 형성되어 고정된 조절편(627)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덮개부(620);와,
    상기 상부지지대(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착홈(210)과 상기 회동조절판(610)의 고정편(611)에 형성된 가이드홈(612)에 결속되는 형틀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부(631) 내에 내속되어 일단은 제3결속핀(634)에 의해 관통되어 회동덮개부(620) 후면의 일면에 고정된 조절편(627)의 제3자유홈(628)에 내속되고, 타단은 한쌍의 돌출편(635)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편(635) 양면에는 조절편(627)의 가이드바(629)를 따라 이동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이동편(632)이 형성되고, 상기 제3결속핀(634)이 일측 회동덮개부(620)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 제2레버(633)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메인멈춤바(6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전바(621b)와 굴곡바(621a)는 제1레버(623) 양측으로 형성된 멈춤편(624)과, 상기 멈춤편(624)과 연장되어 상기 힌지(615)에 관통되도록 제4자유홈(626)이 형성된 연장편(6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600)의 메인멈춤바(630)가 상기 하부지지대(300)의 끝단부에 형성된 제2톱니부(320)에 결속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조기.
KR1020090084237A 2009-09-08 2009-09-08 무릎보조기 KR10111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37A KR101112119B1 (ko) 2009-09-08 2009-09-08 무릎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37A KR101112119B1 (ko) 2009-09-08 2009-09-08 무릎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43A KR20110026543A (ko) 2011-03-16
KR101112119B1 true KR101112119B1 (ko) 2012-02-22

Family

ID=4393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37A KR101112119B1 (ko) 2009-09-08 2009-09-08 무릎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1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28B1 (ko) * 2014-07-01 2014-12-10 강선영 보행 보조기
KR101521270B1 (ko) * 2012-12-28 2015-05-20 (주)유진메디케어 무릎변형 방지기구
KR101557914B1 (ko) 2013-06-10 2015-10-0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CN104983503A (zh) * 2015-06-04 2015-10-21 上海崎耘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双髁膝关节矫形器
KR200483045Y1 (ko) 2016-09-28 2017-03-28 정은희 각도 조절 무릎보조기
KR20190014294A (ko) 2017-08-01 2019-02-1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신전굴곡형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무릎보조기
KR20190085600A (ko) 2018-01-11 2019-07-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1186B (zh) * 2011-04-14 2013-04-10 万得医疗器材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治疗骨性关节炎的矫形护托
KR101309712B1 (ko) * 2011-11-03 2013-09-23 주식회사 에이스하이텍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101441642B1 (ko) * 2012-11-26 2014-09-23 선동윤 무릎 보조기
KR101495565B1 (ko) * 2014-03-17 2015-02-25 신종호 무릎질환용 통증완화 보조기구
KR101574417B1 (ko) 2014-03-25 2015-12-03 강민영 무릎 견인기
KR101522964B1 (ko) * 2015-02-04 2015-05-27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무릎 골관절염 완화용 교정기
KR101651509B1 (ko) * 2015-03-04 2016-08-26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무릎 통증 완화 장치
CN107898598A (zh) * 2017-12-05 2018-04-13 无锡市第九人民医院 一种充气式医用膝关节伸直装置
KR102255057B1 (ko) 2019-04-30 2021-05-24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전방십자인대 보조기
KR102183496B1 (ko) 2020-01-14 2020-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무릎보조기
KR102183576B1 (ko) 2020-01-20 2020-11-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공압 접촉력 가변형 무릎보조기
KR20230005705A (ko) 2021-07-01 2023-01-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경량 인체 밀착 경첩형 무릎보조기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3-04-13 곽준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CN114869700A (zh) * 2022-03-25 2022-08-09 东莞永胜医疗制品有限公司 一种膝关节支具的磁吸扣结构及膝关节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935B1 (ko) * 1997-09-12 1999-11-15 유영호 무릎정형보조기
US20060155229A1 (en) * 2005-01-12 2006-07-13 Ceriani Dylann D Support assembly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 length-adjusting mechanism
KR100834074B1 (ko) *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KR20090011357A (ko) * 2007-07-26 2009-02-02 류실근 무릎관절 보조기구용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935B1 (ko) * 1997-09-12 1999-11-15 유영호 무릎정형보조기
US20060155229A1 (en) * 2005-01-12 2006-07-13 Ceriani Dylann D Support assembly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 length-adjusting mechanism
KR20090011357A (ko) * 2007-07-26 2009-02-02 류실근 무릎관절 보조기구용 각도조절장치
KR100834074B1 (ko) * 2008-01-11 2008-06-02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70B1 (ko) * 2012-12-28 2015-05-20 (주)유진메디케어 무릎변형 방지기구
KR101557914B1 (ko) 2013-06-10 2015-10-0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KR101469628B1 (ko) * 2014-07-01 2014-12-10 강선영 보행 보조기
WO2016003125A1 (ko) * 2014-07-01 2016-01-07 주식회사 스탠딩톨 보행 보조기
CN104983503A (zh) * 2015-06-04 2015-10-21 上海崎耘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双髁膝关节矫形器
KR200483045Y1 (ko) 2016-09-28 2017-03-28 정은희 각도 조절 무릎보조기
KR20190014294A (ko) 2017-08-01 2019-02-1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신전굴곡형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무릎보조기
KR20190085600A (ko) 2018-01-11 2019-07-1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조기
KR102055665B1 (ko) 2018-01-11 2019-12-1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43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119B1 (ko) 무릎보조기
US10898363B2 (en)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JP3548121B2 (ja) 矢状調節部を有する膝装具
US9572704B2 (en) Ankle foot orthosis
EP2612624B1 (en) Functional knee brace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support
US6960177B2 (en) Brace for osteoarthritic knee
KR101496683B1 (ko)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US7608051B1 (en) Osteoarthritis knee orthosis
CA2412218C (en) Knee brace
KR101626907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EP1334704B1 (en) Body prosthetic implement
EP3212134B1 (en) Orthopedic device having a dynamic control system
CN105491979A (zh) 具有免荷功能的膝关节矫形器
CN106535833A (zh) 膝关节矫形器
EP1302184B1 (en) Joint brace for the control and the regulation of the knee joint bending
KR20160020004A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20126326A (ko)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JP2023548643A (ja) 除荷関節装具装置
EP3946174B1 (en) Hinge assembly for an orthopedic device
JP7397013B2 (ja) 整形外科用ブレースの偏心および多中心連結張力ジョイント
JP6775802B2 (ja) 下腿回旋装具
KR100555005B1 (ko) 하지 보조기의 족관절 장치
WO2024050142A1 (en) Unloading knee-ankle-foot orthotic apparatus with conforming and distracting hinge
EP2437693B1 (en) Orthosis for a human l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