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417B1 - 무릎 견인기 - Google Patents

무릎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417B1
KR101574417B1 KR1020140034837A KR20140034837A KR101574417B1 KR 101574417 B1 KR101574417 B1 KR 101574417B1 KR 1020140034837 A KR1020140034837 A KR 1020140034837A KR 20140034837 A KR20140034837 A KR 20140034837A KR 101574417 B1 KR101574417 B1 KR 10157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member
guide groove
frame
knee joint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04A (ko
Inventor
장기용
Original Assignee
강민영
장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영, 장기용 filed Critical 강민영
Priority to KR102014003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417B1/ko
Priority to US14/476,853 priority patent/US10045873B2/en
Publication of KR2015011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paralle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parallel pivots
    • A61F2005/013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parallel pivots ge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부 견인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하부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릎 견인기{KNEE RETRACTOR}
본 발명은 무릎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관절이란 일반적으로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뼈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뼈로 연결되어 있는 곳을 의미하며, 인체의 운동은 모두 관절 위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행하는 관절을 가동 관절이라고도 하며, 인체의 대부분 골격은 이 관절로 연결되고 있다.
여러 관절들 중 무릎 관절은 다리의 중간 부위로서 무릎뼈 사이를 이루는 경첩 모양의 관절이다.
이러한 무릎 관절은 폄 운동 및 굽힘 운동에 관여한다. 또한, 무릎 관절은 뼈의 구조 상 불안정한 관절로 근육, 인대, 관절막 등 관절 외의 조직이 무릎 관절의 안정도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 염증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관절염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면 관절의 기형이 유발되는데, 특히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신체의 장애를 유발하는 가장 간 원인이 된다.
이러한 관절염의 치료를 위해서 연구되고 있으며, 2009년 7월 13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KR10-2010-00090619에서는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견인부재의 회전축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스토퍼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이 구부러지는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연결부재가 무릎 관절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하고,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무릎 관절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하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부 견인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하부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대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직선 부재 및 상기 상부 직선 부재와 상기 상부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상부 경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하부 직선 부재 및 상기 하부 직선 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경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 및 상기 하부 견인부재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회전축이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요소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돌출요소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하부 돌출요소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돌출요소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하부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보다 무릎 관절의 뒤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곡선 또는 직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제2 가이드 홈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견인부재, 하부 견인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보호하는 덮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부 견인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하부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대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상부 직선 부재와 상기 상부 직선 부재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하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하부 직선 부재와 상기 하부 직선 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반대쪽 끝단과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견인부재의 회전축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스토퍼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이 구부러지는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연결부재가 무릎 관절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하고,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무릎 관절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가이드 홈은 곡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가이드 홈은 직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4(a), (b) 및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스토퍼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 관절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 관절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가이드 홈은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가이드 홈은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도 4(a), (b) 및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스토퍼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 관절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 관절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는 상부 프레임(100), 하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00)은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00)은 대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직선 부재(110) 및 상부 직선 부재(110)와 상부 견인부재(130)를 연결하는 상부 경사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00)은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프레임(200)은 대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하부 직선 부재(210) 및 하부 직선 부재(210)와 하부 견인부재(230)를 연결하는 하부 경사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상기 상부 프레임(100)의 끝단과 상기 하부 프레임(200)의 끝단에 구비되어, 무릎 관절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과 분리 형성되거나, 상부 프레임(100) 및 하부 프레임(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일부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전 둘레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부 견인부재(130) 및 하부 견인부재(230)는 사분원을 포함하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견인부재(130)과 하부 견인부재(230)가 사분원으로 마련된 경우, 각각의 사분원은 호 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접촉 부분은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회전 중심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접촉 부분의 위치에 따라 상부 경사 부재(120)와 하부 경사 부재(220)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경사 부재(120)와 하부 경사 부재(220)는 상부 직선 부재(110)와 하부 직선 부재(210)로부터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를 향하여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부 경사 부재(120)와 하부 경사 부재(220)는 경사지지 않으면서, 상부 직선부재(110)와 하부 직선부재(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회전 방향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릎 관절이 펴지는 경우, 상부 견인부재(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하부 견인부재(2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커질 수 있다.
반면, 무릎 관절이 굽혀지는 경우, 상부 견인부재(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하부 견인부재(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는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회전축이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300)에는 제1 돌기(310), 제2 돌기(320), 제1 가이드 홈(330) 및 제2 가이드 홈(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310)는 상부 견인부재(130)의 회전축, 즉 회전 중심에 위치되고, 제2 돌기(320)는 하부 견인부재(230)의 회전축, 즉 회전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견인부재(130)에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1 돌기(310)에 장착 가능한 상부 홈(140)이 형성되고, 하부 견인부재(230)에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2 돌기(320)에 장착 가능한 하부 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310), 제2 돌기(320), 상부 홈(140) 및 하부 홈(240)은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되므로, 가이드 부재(300)에 형성된 제1 돌기(310) 및 제2 돌기(320) 또한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은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서,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은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보다 무릎 관절의 뒤쪽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홈(330)에는 상부 돌출요소(150)가 삽입되어 안내되고, 제2 가이드 홈(340)에는 하부 돌출요소(250)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돌출요소(150)는 상부 프레임(1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하부 돌출요소(250)는 하부 프레임(2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는 상부 경사 부재(120) 및 하부 경사 부재(220)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은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는 또한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 또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곡선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직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 또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 내에서 선형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는 상부 경사 부재(120) 및 하부 경사 부재(220)에서 각각 내측뿐만 아니라 외측을 향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릎 관절이 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커지게 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는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 내에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하여 안내되고,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 수 있다.
반면, 무릎 관절이 굽혀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는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 내에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끝단을 향하여 안내되고,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원활하게 회전되고, 무릎 관절을 구부리고 펴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도 4(a), (b) 및 (c)를 참조하여,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에는 스토퍼(4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00)는 곧은 부분(410)과 곧은 부분(410)의 양단에 구비된 장착 부분(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곧은 부분(410)은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장착 부분(420)은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부분(420)은 곧은 부분(410)에 대하여 피봇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곧은 부분(410)과 장착 부분(42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와 같이, 곧은 부분(410)의 길이가 길 경우, 장착 부분(420)은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의 서로 멀리 떨어진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가 서로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4(b)와 같이, 곧은 부분(41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장착 부분(420)은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의 서로 근접한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가 서로 근접한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더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b)에는 다른 형태의 스토퍼(400)가 각각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스토퍼(400)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가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 내에서 스토퍼(400)에 의해 고정되어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또한, 가이드 부재(300)는 스토퍼(40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스토퍼(400)가 장착되는 위치에 움푹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400)는 상부 돌출요소(150)와 하부 돌출요소(250)의 제1 가이드 홈(330)과 제2 가이드 홈(340) 내 이동을 제한하여,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에는 상부 연결 부재(160) 및 하부 연결 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 부재(160)는 대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상부 직선 부재(110)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 연결 부재(260)는 하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하부 직선 부재(2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연결 부재(160)와 하부 연결 부재(260)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반대쪽 끝단과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연결 부재(160)와 하부 연결 부재(260)는 무릎 관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상부 연결 부재(160)과 하부 연결 부재(260)는 무릎 관절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결 부재(160)는 무릎 관절의 위쪽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되고, 하부 연결 부재(260)는 무릎 관절의 아래쪽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릎 관절에 인접하게 형성된 상부 연결 부재(160)와 하부 연결 부재(260)에 의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을 제작하는 데 비교적 낮은 강도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직선 부재(110)의 중간 위치에 상부 연결 부재(160)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직선 부재(210)의 중간 위치에 하부 연결 부재(260)가 형성된 경우,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의 반대쪽 끝단에 상부 연결 부재(160)와 하부 연결 부재(260)가 형성된 경우 보다,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은 낮은 강도의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에서 상부 직선 부재(110)와 하부 직선 부재(210)가 탄성 재질로 마련될 경우, 사용자들의 대퇴부와 하퇴부의 크기에 상관 없이 무릎 견인기(10)를 사용할 수 있고,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는 상부 견인부재(130), 하부 견인부재(230) 및 가이드 부재(300)를 보호하는 덮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500)는 상부 견인부재(130), 하부 견인부재(230) 및 가이드 부재(300)가 외부 노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무릎 견인기(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덮개(500)는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부 견인부재(130), 하부 견인부재(230) 및 가이드 부재(300)의 유지 보수에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무릎에 착용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무릎 관절이 굽혀진 상태에서 무릎 관절을 펴지는 경우, 상부 견인부재(130)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1 돌기(31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하부 견인부재(230)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2 돌기(32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견인부재(130)에는 제1 돌기(310)에 장착 가능한 상부 홈(140)이 형성되고, 하부 견인부재(230)에는 제2 돌기(320)에 장착 가능한 하부 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상부 돌출요소(150)가 가이드 부재(300)의 제1 가이드 홈(330)을 따라 상부 프레임(10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하여 이동되거나,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하부 돌출요소(250)가 가이드 부재(300)의 제2 가이드 홈(340)을 따라 하부 프레임(200)의 반대쪽 끝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커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회전을 종료하는 경우, 그러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400)가 가이드 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다.
반면, 도 6을 참조하여, 무릎 관절이 펴진 상태에서 무릎 관절이 굽혀지는 경우, 상부 견인부재(130)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1 돌기(31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하부 견인부재(230)는 가이드 부재(300)의 제2 돌기(32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상부 돌출요소(150)가 가이드 부재(300)의 제1 가이드 홈(330)을 따라 상부 프레임(100)의 끝단을 향하여 이동되거나, 하부 프레임(200)에 구비된 하부 돌출요소(250)가 가이드 부재(300)의 제2 가이드 홈(340)을 따라 하부 프레임(200)의 끝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는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00) 사이의 각도가 커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견인부재(130)와 하부 견인부재(230)가 회전을 종료하는 경우, 그러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스토퍼(400)가 가이드 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상부 견인부재와 하부 견인부재의 회전축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되게 하고, 스토퍼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이 구부러지는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상부 연결 부재 및 하부 연결 부재가 무릎 관절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하고,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켜 무릎 관절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무릎 견인기
100: 상부 프레임
110: 상부 직선 부재
120: 상부 경사 부재
130: 상부 견인부재
140: 상부 홈
150: 상부 돌출요소
160: 상부 연결 부재
200: 하부 프레임
210: 하부 직선 부재
220: 하부 경사 부재
230: 하부 견인부재
240: 하부 홈
250: 하부 돌출요소
260: 하부 연결 부재
300: 가이드 부재
310: 제1 돌기
320: 제2 돌기
330: 제1 가이드 홈
340: 제2 가이드 홈
400: 스토퍼
410: 곧은 부분
420: 장착 부분
500: 덮개
TH: 대퇴부
LL: 하퇴부

Claims (10)

  1.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부 견인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하부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상기 상부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대퇴부로부터 상기 무릎 관절의 앞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상기 하부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하퇴부로부터 상기 무릎 관절의 앞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견인부재 및 상기 하부 견인부재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대퇴부 및 상기 하퇴부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킬 수 있는 무릎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대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직선 부재 및 상기 상부 직선 부재와 상기 상부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상부 경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퇴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하부 직선 부재 및 상기 하부 직선 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경사 부재를 포함하는 무릎 견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 및 상기 하부 견인부재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무릎 견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회전축이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릎 견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요소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상부 돌출요소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하부 돌출요소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 가이드 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돌출요소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하부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무릎 견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보다 무릎 관절의 뒤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곡선 또는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무릎 견인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또는 제2 가이드 홈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무릎 견인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견인부재, 하부 견인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보호하는 덮개가 더 제공되는 무릎 견인기.
  9.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부 견인부재가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고, 끝단에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하부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대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상부 직선 부재와 상기 상부 직선 부재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하퇴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하부 직선 부재와 상기 하부 직선 부재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반대쪽 끝단과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상기 대퇴부로부터 무릎 관절의 앞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 부재는 상기 하퇴부로부터 상기 무릎 관절의 앞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견인부재와 상기 하부 견인부재의 접촉 부분이 무릎 관절의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견인부재 및 상기 하부 견인부재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대퇴부 및 상기 하퇴부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킬 수 있는 무릎 견인기.
  10. 삭제
KR1020140034837A 2014-03-25 2014-03-25 무릎 견인기 KR10157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37A KR101574417B1 (ko) 2014-03-25 2014-03-25 무릎 견인기
US14/476,853 US10045873B2 (en) 2014-03-25 2014-09-04 Knee tra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37A KR101574417B1 (ko) 2014-03-25 2014-03-25 무릎 견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4A KR20150111204A (ko) 2015-10-05
KR101574417B1 true KR101574417B1 (ko) 2015-12-03

Family

ID=5418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37A KR101574417B1 (ko) 2014-03-25 2014-03-25 무릎 견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5873B2 (ko)
KR (1) KR101574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65B1 (ko) * 2018-01-11 2019-12-1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조기
IT201800006628A1 (it) * 2018-06-25 2019-12-25 Snodo policentrico tensionatore per ortesi o tutori ortopedici adibiti alla riabilitazione di articolazion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267A (ja) * 2001-11-28 2003-06-03 Junpei Yamazaki 膝ブレー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583A (en) * 1985-01-29 1987-10-06 Don Joy Orthopedic, Inc. Four-poi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brace
US5443444A (en) * 1994-07-19 1995-08-22 Professional Care Products Incorporated Orthopaedic polycentric hinge
US7311687B2 (en) * 2004-04-21 2007-12-25 Djo, Llc Osteoarthritis brace
KR20100090619A (ko) 2009-02-02 2010-08-16 조경일 발목보호대와 탈,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KR101112119B1 (ko) 2009-09-08 2012-02-22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267A (ja) * 2001-11-28 2003-06-03 Junpei Yamazaki 膝ブレ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4A (ko) 2015-10-05
US20150272768A1 (en) 2015-10-01
US10045873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794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1363834B1 (ko) 족관절 보조장치
JP2005237962A (ja) 身体関節の位置を矯正するための装具
EP2975961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KR101521270B1 (ko) 무릎변형 방지기구
KR101574417B1 (ko) 무릎 견인기
JP6390991B2 (ja) 関節補助器具
KR102663218B1 (ko) 착용식 의자
CN106031673A (zh) 膝关节矫形器的大腿骨架
US20170266013A1 (en) Artificial knee joint implant
KR20200071205A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681454B1 (ko) 착용식 의자의 착좌 지지 장치
WO2007110050A3 (de) Exoprothese oder orthese zur stabilisierung des menschlichen kniegelenkes
US8915873B2 (en) Knee brace with a reciprocal hinge
KR101711749B1 (ko) 무릎 견인기
KR20120106235A (ko) 무릎관절 보조기
KR101182719B1 (ko) 무릎관절 교정기
KR101460893B1 (ko) 무릎 견인기
KR102017518B1 (ko) 관절 보조장치
KR101418833B1 (ko) 내외측 힌지 상호작용식 무릎보조기
KR20190110692A (ko) 분리형 경추보호대
KR102062598B1 (ko) 관절 보조장치
KR102565354B1 (ko) 슬라이딩 차단 스위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KR20110049470A (ko) 회전체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무릎 보조기
JP2010069059A (ja) 膝装具および膝装具用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