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893B1 - 무릎 견인기 - Google Patents

무릎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893B1
KR101460893B1 KR1020130060181A KR20130060181A KR101460893B1 KR 101460893 B1 KR101460893 B1 KR 101460893B1 KR 1020130060181 A KR1020130060181 A KR 1020130060181A KR 20130060181 A KR20130060181 A KR 20130060181A KR 101460893 B1 KR101460893 B1 KR 10146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groove
connection
protrud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용
Original Assignee
장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KR102013006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끝단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는 부분은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무릎이 펴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무릎이 굽혀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되어,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릎 견인기{KNEE RETRACTOR}
본 발명은 무릎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관절이란 일반적으로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뼈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뼈로 연결되어 있는 곳을 의미하며, 인체의 운동은 모두 관절 위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행하는 관절을 가동 관절이라고도 하며, 인체의 대부분 골격은 이 관절로 연결되고 있다.
여러 관절들 중 무릎 관절은 다리의 중간 부위로서 무릎뼈 사이를 이루는 경첩 모양의 관절이다.
이러한 무릎 관절은 폄 운동 및 굽힘 운동에 관여한다. 또한, 무릎 관절은 뼈의 구조 상 불안정한 관절로 근육, 인대, 관절막 등 관절 외의 조직이 무릎 관절의 안정도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 염증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관절염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면 관절의 기형이 유발되는데, 특히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만성적으로 신체의 장애를 유발하는 가장 간 원인이 된다.
이러한 관절염의 치료를 위해서 연구되고 있으며, 2009년 7월 13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KR10-2010-00090619에서는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무릎 관절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무릎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하는 무릎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끝단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는 부분은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무릎이 펴지면서 타원형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무릎이 굽혀지면서 타원형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요소, 상기 제2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요소,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돌출요소와 상기 제2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외측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3 돌출요소와 상기 제4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내측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1홈 및 상기 제2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2홈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3홈 및 상기 제4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4홈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5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6 돌출요소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5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5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6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6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가이드부재를 보호하도록 덮개가 더 제공되며, 상기 덮개 외측에서 상기 제1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돌출요소와 연결되어 회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동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대는, 끝단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제1 연결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는 부분은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관절이 펴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관절이 굽혀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요소, 상기 제2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요소,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돌출요소와 상기 제2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외측 링크부 및 상기 제3 돌출요소와 상기 제4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내측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5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6 돌출요소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5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5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6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6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골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무릎 관절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릎을 펴고 굽히는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무릎 관절을 견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연결부의 외측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연결부의 내측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덮개가 씌워진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덮개가 씌워진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무릎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덮개가 씌워진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무릎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연결부 외측을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연결부의 내측을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를 착용하여 무릎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에 덮개가 씌워진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덮개가 씌워진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무릎이 펴질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8은 덮개가 씌워진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의 무릎이 굽혀질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는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및 가이드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대퇴부의 상면에 끼워져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상부프레임(100)의 형상 또한 도 1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마다 대퇴부의 사이즈가 다를 수 있으므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0)에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패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패드는 상부프레임(100)에 벨크로(velcro)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의 끝단에는 제1 연결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10)는 상부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부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0)의 단부는 타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부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하부프레임(200)의 제2 연결부(210) 또한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톱니들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00)의 끝단과 맞닿도록 하부프레임(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퇴부의 상면에 하부프레임(200)이 착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200)에서도 상부프레임(100)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프레임(200)에 탈부착 가능한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끝단에서 제2 연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의 단부는 타원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부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톱니들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맞닿는 부분의 타원 형상에 의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회전하면서 상부프레임(100) 및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릎을 펴는 경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타원 형상의 장축이 서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는 최대가 된다. 이때,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이 각각 대퇴부(TH)와 하퇴부(LL)를 견인하게 되어, 무릎 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무릎 관절은 지면과의 접촉 시 생기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반대로, 무릎을 굽히는 경우, 제1 연결부(110)의 장축과 제2 연결부(210)의 단축이 대체로 평행한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또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톱니 형상은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에서는 제1 연결부(110)의 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맞닿아 회전 가능한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10)의 단부와 제2 연결부(210)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에는 복수 개의 돌출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10)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요소(112), 제1 연결부(110)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요소(114) 및 제1 연결부(11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5 돌출요소(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10)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요소(212), 제2 연결부(210)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요소(214) 및 제2 연결부(21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6 돌출요소(2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210)의 돌출 요소는 후술할 가이드부재(300)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210)의 측면에는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00)는 외측 가이드부재(310) 및 내측 가이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310)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연결부(110)로부터 제2 연결부(21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내측 가이드부재(320)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 연결부(110)로부터 제2 연결부(210)까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310)는 제1 돌출요소(112)와 제2 돌출요소(21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가이드부재(310)에는 제1 돌출요소(112)가 삽입되는 제1홈(312) 및 제2 돌출요소(212)가 삽입되는 제2홈(314)이 형성되며, 제1홈(312)은 제1 연결부(110) 측에 그리고 제2홈(314)은 제2 연결부(210) 측에 배치되고 제1홈(312)과 제2홈(314)은 외측 가이드부재(310) 상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홈(312)과 제2홈(314)은 외측 가이드부재(310)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홈(312)과 제2홈(314)에 삽입되는 제1 돌출요소(112)와 제2 돌출요소(212)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회전하면서 제1홈(312)과 제2홈(314)에서 각각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돌출요소와 외측 가이드부재(310)의 홈의 결합은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홈 내에서 돌출요소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가이드부재(320)는 제3 돌출요소(114)와 제4 돌출요소(214)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가이드부재(320)에는 제3 돌출요소(114)가 삽입되는 제3홈(322) 및 제4 돌출요소(214)가 삽입되는 제4홈(324)이 형성되어 제3 돌출요소(114)와 제4 돌출요소(214)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3홈(322)과 제4홈(324)은 내측 가이드부재(320)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홈(322)과 제4홈(324)에 삽입되는 제3 돌출요소(114)와 제4 돌출요소(214)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회전하면서 제3홈(322)과 제4홈(324)에서 각각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돌출요소와 내측 가이드부재(320)의 홈 결합은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외측뿐만 아니라 내측에서도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홈 내에서 돌출요소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부재(310)에는 제5 돌출요소(116)가 삽입되는 제5홈(316)과 제6 돌출요소(216)가 삽입되는 제6홈(318)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홈(316) 및 제6홈(318)의 곡선 형상은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회전하면서 그려지는 궤적과 동일한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5홈(316)과 제6홈(318)에 삽입되는 제5 돌출요소(116)와 제6 돌출요소(216)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회전하면서 제5홈(316)과 제6홈(318)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지지대(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지지대(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된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무릎 지지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펴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부프레임(100)에 대해 하부프레임(200)이 회전하면서 무릎이 펴질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210)는 제1 연결부(110)의 톱니 형상의 단부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회전하면서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제1 연결부(110)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는 최대가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210)의 제2 돌출요소(212)는 외측 가이드부재(310)의 제2홈(314)을 통해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제2 연결부(210)의 제4 돌출요소(214)는 내측 가이드부재(320)의 제4홈(324)을 통해 오른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210)의 제6 돌출요소(216)는 외측 가이드부재(310)의 제6홈(318)을 통해 곡선의 아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퇴부에 착용되어 있는 상부프레임(100)과 하퇴부에 착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므로, 무릎을 펼 때에 무릎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중에 의한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연골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무릎 지지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상부프레임(100)에 대해 하부프레임(200)이 화살표(A1)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무릎이 굽혀질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210)는 제1 연결부(110)의 톱니 형상의 단부와 맞물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0)는 회전하면서 제1 연결부(110)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210)의 제2 돌출요소(212)는 외측 가이드부재(310)의 제2홈(314)을 통해 왼쪽으로 이동되고, 제2 연결부(210)의 제4 돌출요소(214)는 내측 가이드부재(320)의 제4홈(324)을 통해 왼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210)의 제6 돌출요소(216)는 외측 가이드부재(310)의 제6홈(318)을 통해 곡선의 위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퇴부에 착용되어 있는 상부프레임(100)과 하퇴부에 착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00)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사용자는 무릎을 자연스럽게 굽힐 수 있다.
특히, 연골이 연화되어 물렁물렁해질 경우,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역을 제대로 못할 수 있다. 이때 무릎을 굽힐 때마다 통증이 발 생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를 착용함으로써 무릎을 굽힐 때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는 무릎을 굽히고 펴는 운동을 할 때 이로우며, 특히, 관절염을 겪고 있는 환자가 사용할 때 통증이 완화될 수 있고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10)에는 제1 연결부(110), 제2 연결부(210) 및 가이드부재(3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4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덮개(400)는 제1 연결부(110), 제2 연결부(210) 및 가이드부재(300)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덮개(400)에는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동요소(410)가 제공되며, 이동요소(410)는 제1 돌출요소(112) 및 제2 돌출요소(212)와 연결되어, 제1 돌출요소(112) 및 제2 돌출요소(21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이동요소(410)에 야광물질을 포함할 경우, 어두운 곳에서도 눈에 선명하게 띌 수 있으므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무릎이 펴지고 굽혀지는 경우, 이동요소(410)는 다음과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요소(410)가 덮개 외측에서 제1 돌출요소(112) 및 제2 돌출요소(21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요소(410)의 이동방향은 제1 돌출요소(112) 및 제2 돌출요소(212)의 이동방향에 따른다.
예를 들어, 무릎이 펴질 경우, 제1 돌출요소(112)는 왼쪽으로 선형 이동되고 제2 돌출요소(212)는 오른쪽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무릎이 굽혀지는 경우, 제1 돌출요소(112)는 오른쪽으로 선형 이동되고 제2 돌출요소(212)는 왼쪽으로 선형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출요소(112)와 제2 돌출요소(212)는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장축 또는 단축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400)에 이동요소(410)를 더 포함하여 제1 돌출요소(112) 및 제2 돌출요소(212)의 이동뿐만 아니라 제1 연결부(110) 및 제2 연결부(210)의 회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지지대(10) 는 무릎뿐만 아니라, 팔꿈치 등 무릎과 유사한 운동을 하는 관절에 관절지지대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팔꿈치에 관절지지대를 착용할 경우, 상부지지대는 위팔에 착용되고, 하부지지대는 아래팔에 착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대의 단부에는 제1 연결부가 구비되고, 하부지지대의 단부에는 제2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는 팔을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는 크기 및 치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타원형으로 마련되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단부는 톱니 형상을 구비하여, 톱니 형상이 맞물리면서 타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내측과 외측에는 링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측 링크부 및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외측 링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위팔과 아래팔이 굽히고 펼 때 팔꿈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여 위팔과 아래팔의 굽히고 펴는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무릎 견인기는 무릎을 펼 때 대퇴부와 하퇴부를 견인하게 되어 무릎 관절의 대퇴골과 연골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어, 지면과 접촉 시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연골을 보호할 수 있고, 무릎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무릎뿐만 아니라 다른 관절에도 적용 가능한 관절 지지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무릎 견인기
100: 상부프레임
110: 제1 연결부
112: 제1 돌출요소
114: 제3 돌출요소
116: 제5 돌출요소
200: 하부프레임
210: 제2 연결부
212: 제2 돌출요소
214: 제4 돌출요소
216: 제6 돌출요소
300: 가이드부재
310: 외측 가이드부재
312: 제1홈
314: 제2홈
316: 제5홈
318: 제6홈
320: 내측 가이드부재
322: 제3홈
324: 제4홈
400: 덮개
410: 이동요소
TH: 대퇴부
LL: 하퇴부
A1: 화살표

Claims (12)

  1. 대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끝단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퇴부에 착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는 부분은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무릎이 펴지면서 타원형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무릎이 굽혀지면서 타원형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요소, 상기 제2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요소,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돌출요소와 상기 제2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외측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3 돌출요소와 상기 제4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내측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1홈 및 상기 제2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2홈이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3홈 및 상기 제4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4홈이 상기 내측 가이드부재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 및 상기 내측 가이드 부재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서 이중적으로 지지되는 무릎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는 무릎 견인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5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6 돌출요소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5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5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6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6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무릎 견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릎 견인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가이드부재를 보호하도록 덮개가 더 제공되며, 상기 덮개 외측에서 상기 제1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돌출요소와 연결되어 회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동요소를 더 포함하는 무릎 견인기.
  9. 끝단에 제1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제1 연결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부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는 부분은 타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타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서로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는 관절이 펴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관절이 굽혀지면서 상기 타원형의 단축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출요소, 상기 제2 연결부의 초점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출요소, 상기 제1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3 돌출요소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중심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4 돌출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돌출요소와 상기 제2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외측 링크부; 및
    상기 제3 돌출요소와 상기 제4 돌출요소를 연결하는 내측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1홈 및 상기 제2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2홈이 상기 외측 링크부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3홈 및 상기 제4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4홈이 상기 내측 링크부에 일직선 상에 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외측 링크부 및 상기 내측 링크부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서 이중적으로 지지되는 관절 지지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는 관절 지지대.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5 돌출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외측에는 제6 돌출요소가 마련되며, 상기 외측 링크부에는 상기 제5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5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6 돌출요소가 삽입되는 제6홈이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관절 지지대.
KR1020130060181A 2013-05-28 2013-05-28 무릎 견인기 KR10146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81A KR101460893B1 (ko) 2013-05-28 2013-05-28 무릎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81A KR101460893B1 (ko) 2013-05-28 2013-05-28 무릎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893B1 true KR101460893B1 (ko) 2014-11-12

Family

ID=5228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81A KR101460893B1 (ko) 2013-05-28 2013-05-28 무릎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850B1 (ko) 2015-06-30 2015-09-25 (주)엔에스시스템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194A (ja) * 1999-08-17 2003-02-18 メディ バイロイト ヴァイヘルミューラー ウント フォイクトマ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関節矯正器
JP2003159267A (ja) * 2001-11-28 2003-06-03 Junpei Yamazaki 膝ブレース
JP2007275455A (ja) * 2006-04-11 2007-10-25 Jun Tomori 関節継手構造
JP2010069059A (ja) * 2008-09-19 2010-04-02 Aitorino:Kk 膝装具および膝装具用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194A (ja) * 1999-08-17 2003-02-18 メディ バイロイト ヴァイヘルミューラー ウント フォイクトマ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関節矯正器
JP2003159267A (ja) * 2001-11-28 2003-06-03 Junpei Yamazaki 膝ブレース
JP2007275455A (ja) * 2006-04-11 2007-10-25 Jun Tomori 関節継手構造
JP2010069059A (ja) * 2008-09-19 2010-04-02 Aitorino:Kk 膝装具および膝装具用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850B1 (ko) 2015-06-30 2015-09-25 (주)엔에스시스템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794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586197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1500297B1 (ko) 휜 다리 교정용 하의
KR20130101847A (ko) 무릎보호대
JP6390991B2 (ja) 関節補助器具
KR20110083143A (ko) 착용형 로봇
CN207940950U (zh) 一种可调膝关节矫形器
KR20140086479A (ko) 무릎변형 방지기구
JP6172717B2 (ja) 膝関節用装具
JP6534321B2 (ja) 膝用サポータ
KR101460893B1 (ko) 무릎 견인기
KR102011203B1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KR101711749B1 (ko) 무릎 견인기
KR20120106235A (ko) 무릎관절 보조기
US10045873B2 (en) Knee traction apparatus
US20140336553A1 (en) Active knee orthosis
JP6459692B2 (ja) 膝部を覆う着用物品
JP6475725B2 (ja) 膝関節用装具
JP2009045378A (ja) 蝶番関節の安定性促進サポーター
KR101182719B1 (ko) 무릎관절 교정기
KR101418833B1 (ko) 내외측 힌지 상호작용식 무릎보조기
KR20190046369A (ko) 관절 보조장치
KR20220054064A (ko) 무릎 보호대
KR102496198B1 (ko)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KR101495565B1 (ko) 무릎질환용 통증완화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