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692A - 분리형 경추보호대 - Google Patents

분리형 경추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692A
KR20190110692A KR1020180032447A KR20180032447A KR20190110692A KR 20190110692 A KR20190110692 A KR 20190110692A KR 1020180032447 A KR1020180032447 A KR 1020180032447A KR 20180032447 A KR20180032447 A KR 20180032447A KR 20190110692 A KR20190110692 A KR 2019011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ser
neck
sliding groo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0692A/ko
Publication of KR2019011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자의 목을 고정시켜 경추를 보호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스펀지;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커버; 상기 제2 커버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2 스펀지;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커버; 및 상기 제3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3 스펀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경추보호대{Separable Cervical Collar}
본 발명은 분리형 경추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상자의 목을 고정시켜 경추를 보호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보호대는 교통사고, 추락 등과 같은 각종 사고로 인해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에 손상을 입은 응급환자를 이송하거나 의식불명의 환자에 대하여 경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추를 고정시켜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어 사고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경추 안으로 나 있는 척수강은 척수와 경추신경이 통과하는데, 뇌에서 사지로 전달되는 운동신경과 사지 및 몸통의 각 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감각신경들이 척수로 연결되어 척수강을 통과한다. 또 심장 박동과 호흡을 조절하고 소화를 하게 하는 자율신경이 경추 전면 주위로 지나가는데, 이러한 경추에 골절이나 탈구가 일어날 경우에는 사망하거나 사지가 마비될 수 있으므로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경추보호대는 응급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구조대가 언제든지 환자의 경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의료 보조기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추보호대가 가장 많이 구비된 곳은 119구조대나 구급대로서, 이와 같은 119구조대나 구급대에는 응급사고가 일어났을 때 언제든지 환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경추보호대가 갖춰져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경추보호대는 기계적 고정장치로, 머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만들어졌다. 그러나, 경추보호대 자체만으로는 적절한 척추고정을 할 수 없어, 수동 고정 또는 다른 척추 고정장비와 함께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경추보호대는 부상자의 목길이가 서로 판이하게 다르며 이러한 부상자의 목길이를 목측으로 대략 가늠하여 착용 시키고 착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면 다시 해제하여 다른 것으로 착용 시키게 되어 부상자의 경추에 대한 부상의 정도를 악화시키게 되는 요인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경추보호대는, 경추보호대의 외피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벨크로지에서 일측의 벨크로지가 일점 또는 이점 만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경추보호대의 양단을 벨크로지로 결합시키고 힘을 제외하면 일점 또는 이점 만이 고정된 벨크로지가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어렵게 고정시킨 경추보호대의 풀어진 벨크로지를 다시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심해서 다뤄야할 부상자의 경추의 부상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748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0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경추보호대의 기능적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앞판과 뒤판으로 서로 분리시키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식 착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착용 후 환자의 경추 고정 정도와 둘레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경추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경추보호대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외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노브의 회전에 대응하여 다른 커버와의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제1 커버;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스펀지; 사용자의 아래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목 길이 또는 사용자의 목 고정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커버와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커버;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커버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2 스펀지; 사용자의 목 뒤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이 상기 제1 커버의 양측에 체결되는 제3 커버; 및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제3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3 스펀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버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가 연결 설치되는 양측 턱관절 부분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1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제1 커버 본체; 상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 커버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홈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포인트 노브 및 제2 포인트 노브;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외측인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제3 커버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양측에 장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및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상하 수직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의 하부와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하부의 사이 공간에 기어로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버 본체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경추 근위부 방향으로 굽어진 “U”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사용자의 경추 원위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또는 상기 제2 포인트 노브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연결시키는 연결 뭉치; 상기 연결 뭉치로부터 하측 길이 방향으로 “U”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로드; 및 상기 기어 뭉치의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기어 뭉치와 대향하는 상기 연장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래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뭉치는, 상기 제1 포인트 노브의 연장 로드와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연장 로드의 사이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맞물려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기어를 형성하는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기어 커버; 및 후단이 상기 메인 기어에 연결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전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 연결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또는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슬라이딩 확인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버는,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커버 본체;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홈; 및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턱 앞 부분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양측을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양측에 연결 설치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은, 가운데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굽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커버는,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커버 본체; 및 상기 제3 커버 본체에 형성된 체결수단에 의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커버와 대향하는 내측에 부착수단을 형성하는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부는, 제1 커버와 대향하는 내측의 부착수단이 벨크로(velcro)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 커버에 내부 스펀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 후 사용자의 목이나 턱 등과 접촉하여 오염된 내부 스펀지를 분리하고 새로운 내부 스펀지를 부착하도록 하여 외부 커버의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길이 또는 사용자의 목 고정 형태에 대응하여 보호대의 체결 형태를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호대를 필요 위치에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어 부상자나 보호자의 보호대의 착용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경추보호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슬라이딩 확인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2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3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경추보호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형 경추보호대(10)는, 제1 커버(100), 제1 스펀지(200), 제2 커버(300), 제2 스펀지(400), 제3 커버(500) 및 제3 스펀지(600)를 포함한다.
도 1은 제1 커버(100), 제1 스펀지(200), 제2 커버(300), 제2 스펀지(400), 제3 커버(500) 및 제3 스펀지(600)가 분해된 상태의 분리형 경추보호대(10)이고, 도 2는 각각의 구성이 결합된 상태의 분리형 경추보호대(10)이다.
제1 커버(100)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외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노브(도 3의 조절 노브(153))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커버(300) 와의 연결 각도가 조절된다.
제1 스펀지(200)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는 제1 커버(100)의 내측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펀지(2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쿠션감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등)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땀 등과 같은 노폐물에 오염되어 세균 등이 번식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품 처리 등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제2 스펀지(400) 및 제3 스펀지(600) 역시 제1 스펀지(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100)는, 제1 스펀지(200)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돌기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스펀지(200)는, 체결돌기가 위치하는 부분에 체결돌기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펀지(2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땀 등과 같은 노폐물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구성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염된 제1 스펀지(200)를 제1 커버(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제1 커버(100)를 다시 체결함으로써, 전체 구성을 다시 구입할 필요 없이 오염된 구성인 제1 커버(100)만을 교체하여 제1 커버(100)의 지속적인 사용을 도모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커버(300), 제2 스펀지(400), 제3 커버(500) 및 제3 스펀지(600)의 경우에도 동일한 교체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제2 커버(300)는, 사용자의 아래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버(100)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목 길이 또는 사용자의 목 고정 형태에 대응하여 제1 커버(100)와의 연결 각도를 조절한다.
제2 스펀지(400)는,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향하는 제2 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다.
제3 커버(500)는, 사용자의 목 뒤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이 제1 커버(100)의 양측에 체결된다.
제3 스펀지(600)는,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향하는 제3 커버(500)의 내측에 장착된다.
경추보호대는 응급 구조/구난 환경에서 환자의 기도 확보와 경추(cervical vertebrae)신경의 보호를 위해 제일 먼저 사용되는 장비로써,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시에는 심각한 신체장애나 생명을 잃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응급의료장비이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 제품이 생산되지 않아 주로 외국에서 수입된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사람의 체형에 맞춰지지 않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많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형 경추보호대(1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인의 목 특징을 반영한 인체 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한 경추보호대를 구현함으로써, 증가하는 응급 구조 및 구난 상황에서 시민들의 안전을 재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1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100)는, 제1 커버 본체(110), 두 개의 포인트 노브(120-1, 120-2), 전면 커버(130), 체결부(140) 및 기어 뭉치(150)를 포함한다.
제1 커버 본체(110)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커버(300)가 연결 설치되는 양측 턱관절 부분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1 슬라이딩 홈(160)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 본체(110)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경추 근위부 방향(즉, 사용자의 목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굽어진 “U”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딩 홈(160)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사용자의 경추 원위부 방향(즉,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40° 내지 50° 등)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인트 노브(120)는, 상부가 제1 슬라이딩 홈(160)과 제2 커버(300)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홈(320)을 연결하며,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2 커버(300)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포인트 노브(120)는,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슬라이딩 홈(320)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포인트 노브(120)는,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멀어지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홈(320)을 하측 방향으로 끌어내리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방향인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홈(320)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슬라이딩 홈(160)은, 도 5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버(300)의 제2 슬라이딩 홈(32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2 슬라이딩 홈(320)과 "+" 형태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 커버(130)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제1 커버 본체(110)의 외측인 전면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130)는, 제1 슬라이딩 홈(160)에 연결된 제1 포인트 노브(120-1) 또는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1 포인트 노브(120-1) 또는 제2 포인트 노브(120-2) 의 슬라이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홈(160)과 대향하는 부분에 제1 슬라이딩 홈(160)과 대응하는 형태의 슬라이딩 확인홈(17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슬라이딩 확인홈(17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인트 노브(120)의 상부, 즉 연결 뭉치(121)가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슬라이딩 확인홈(170)을 통해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연결 뭉치(121)의 현재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뭉치(121)가 슬라이딩 확인홈(170)의 가장 상측에 위치할 경우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300)의 연결 각도가 가장 크다는 것(즉, 제2 커버(300)가 가장 높이 올라가 있는 상태)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연결 뭉치(121)가 슬라이딩 확인홈(170)의 가장 하측에 위치할 경우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300)의 연결 각도가 가장 작다는 것(즉, 제2 커버(300)가 가장 낮게 위치하고 있는 상태)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제3 커버(500)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커버 본체(110)의 양측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140)는, 밴드부(520)의 재질에 대응하여 벨크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뭉치(150)는, 제1 포인트 노브(120-1) 및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상하 수직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하부와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하부의 사이 공간에 기어로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포인트 노브(120)는, 연결 뭉치(121), 연장 로드(122) 및 래크 기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뭉치(121)는, 제1 슬라이딩 홈(160)과 제2 슬라이딩 홈(320)에 동시에 삽입되어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3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뭉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 로드(122)가 연장 형성된다.
연결 뭉치(121)는,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2 슬라이딩 홈(320)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연결 뭉치(121)는,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멀어지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홈(320)을 하측 방향으로 끌어내리는 운동을 하게 되며, 이와 반대되는 방향인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슬라이딩 홈(320)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연장 로드(122)는, 연결 뭉치(121)로부터 하측 길이 방향으로 “U”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기어 뭉치(150)와 대향하는 상부 또는 하부에 래크 기어(123)를 형성한다.
래크 기어(123)는, 기어 뭉치(150)의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기어 뭉치(150)와 대향하는 연장 로드(1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가 기어 뭉치(1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가 기어 뭉치(150)의 하부에 위치한다고 할 경우,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는 하부에 래크 기어(123)를 형성하게 되고,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는 상부에 래크 기어(123)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뭉치(150)는, 메인 기어(151), 기어 커버(152) 및 조절 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어(151)는,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와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의 사이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래크 기어(123)에 맞물려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기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가 메인 기어(15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가 메인 기어(151)의 하부에 위치한다고 할 경우, 메인 기어(151)가 시계 방향(clock wise)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는 이에 대응하여 들어 올려지게 되고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 역시 이에 대응하여 들어 올려지게 될 것이다.
반대로, 메인 기어(151)가 반시계 방향(counter clock wise)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포인트 노브(120-1)의 연장 로드(122)는 이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제2 포인트 노브(120-2)의 연장 로드(122) 역시 이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게 될 것이다.
기어 커버(152)는, 메인 기어(151)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다.
조절 노브(153)는, 후단이 메인 기어(151)에 연결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전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하도록 전단에 요철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2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커버(300)는, 제2 커버 본체(310), 제2 슬라이딩 홈(320) 및 회동축(330)을 포함한다.
제2 커버 본체(310)는,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이 제1 커버(100)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한다.
제2 슬라이딩 홈(320)은, 제2 커버 본체(310)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딩 홈(320)은, 제1 슬라이딩 홈(16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슬라이딩 홈(160)과 "+" 형태로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 뭉치(121)가 제1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슬라이딩 홈(32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 커버 본체(310)와 제1 커버(100)의 연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딩 홈(320)은, 가운데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굽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홈(320)이 굽은 형태가 아닌 단순한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라면, 연결 뭉치(121)의 좌우 수평 이동에 따른 제2 커버 본체(310)와 제1 커버(100)와의 연결 각도가 이동 전반에 걸쳐 선형적으로 변할 것이다.
그러나, 제2 슬라이딩 홈(320)가 굽은 형태로 형성될 경우라면, 연결 뭉치(121)의 좌우 수평 이동에 따른 제2 커버 본체(310)와 제1 커버(100)와의 연결 각도가 이동의 각 말단에서 비선형적으로 변하여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조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회동축(330)은, 제2 커버 본체(310)의 턱 앞 부분이 회동할 수 있도록 제2 커버 본체(310)의 양측을 제1 커버 본체(110)의 양측에 연결 설치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3 커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커버(500)는, 제3 커버 본체(510) 및 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버 본체(510)는,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밴드부(520)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
밴드부(520)는, 제3 커버 본체(510)에 형성된 체결수단에 의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며, 제1 커버(100)의 체결부(1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커버(100)와 대향하는 내측에 부착수단을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부(520)는, 제1 커버(100)와 대향하는 내측의 부착수단이 벨크로(velcro)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국인 체형에 맞는 경추보호대의 제작이 가능해짐으로서, 경추보호대 부목 제작기술의 표준화와 의료기업체의 의료기기 제작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 분리형 경추보호대
100: 제1 커버
110: 제1 커버 본체
120-1, 120-2: 포인트 노브
121: 연결 뭉치
122: 연장 로드
130: 래크 기어
130: 전면 커버
140: 체결부
150: 기어 뭉치
151: 메인 기어
152: 기어 커버
153: 조절 노브
160: 제1 슬라이딩 홈
170: 슬라이딩 확인홈
200: 제1 스펀지
300: 제2 커버
310: 제2 커버 본체
320: 제2 슬라이딩 홈
330: 회동축
400: 제2 스펀지
500: 제3 커버
510: 제3 커버 본체
520: 밴드부
600: 제3 스펀지

Claims (11)

  1.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외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노브의 회전에 대응하여 다른 커버와의 연결 각도가 조절되는 제1 커버;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스펀지;
    사용자의 아래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목 길이 또는 사용자의 목 고정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커버와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커버;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커버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2 스펀지;
    사용자의 목 뒤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이 상기 제1 커버의 양측에 체결되는 제3 커버; 및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제3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3 스펀지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가 연결 설치되는 양측 턱관절 부분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1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제1 커버 본체;
    상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 커버에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홈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포인트 노브 및 제2 포인트 노브;
    사용자의 목 앞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외측인 전면을 덮는 전면 커버;
    상기 제3 커버의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양측에 장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및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상하 수직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의 하부와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하부의 사이 공간에 기어로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뭉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본체는,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경추 근위부 방향으로 굽어진 “U”형태로 형성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사용자의 경추 원위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또는 상기 제2 포인트 노브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연결시키는 연결 뭉치;
    상기 연결 뭉치로부터 하측 길이 방향으로 “U”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로드; 및
    상기 기어 뭉치의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기어 뭉치와 대향하는 상기 연장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래크 기어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뭉치는,
    상기 제1 포인트 노브의 연장 로드와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연장 로드의 사이 공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맞물려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측을 따라 기어를 형성하는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기어 커버; 및
    후단이 상기 메인 기어에 연결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전단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단에 요철을 형성하는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 연결된 상기 제1 포인트 노브 또는 상기 제2 포인트 노브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슬라이딩 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슬라이딩 확인홈을 형성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사용자의 아래턱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커버 본체;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양측 턱관절 부분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홈; 및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턱 앞 부분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커버 본체의 양측을 상기 제1 커버 본체의 양측에 연결 설치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은,
    가운데 부분이 하측 방향으로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는,
    사용자의 목 뒤 부분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커버 본체; 및
    상기 제3 커버 본체에 형성된 체결수단에 의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커버와 대향하는 내측에 부착수단을 형성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제1 커버와 대향하는 내측의 부착수단이 벨크로(velcro)로 형성되는, 분리형 경추보호대.
KR1020180032447A 2018-03-21 2018-03-21 분리형 경추보호대 KR20190110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47A KR20190110692A (ko) 2018-03-21 2018-03-21 분리형 경추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447A KR20190110692A (ko) 2018-03-21 2018-03-21 분리형 경추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692A true KR20190110692A (ko) 2019-10-01

Family

ID=6820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447A KR20190110692A (ko) 2018-03-21 2018-03-21 분리형 경추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0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944A1 (en) * 2022-03-09 2023-09-14 Trend Medical, Llc Trauma coll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65U (ko) 2010-01-11 2010-02-01 서정연 경추 보호대
KR101126748B1 (ko) 2009-10-08 2012-03-29 (주) 텔트론 경추 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48B1 (ko) 2009-10-08 2012-03-29 (주) 텔트론 경추 보호대
KR20100001065U (ko) 2010-01-11 2010-02-01 서정연 경추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944A1 (en) * 2022-03-09 2023-09-14 Trend Medical, Llc Trauma coll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853B2 (en) Shoulder and arm orthosis
KR100758751B1 (ko)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EP0516169A1 (en) Eye mask
EP3492038B1 (en) Maxillary protraction device
KR101031453B1 (ko) 의료용 팔 지지대
US20170065448A1 (en) Brace for protecting a region of a limb
KR101883055B1 (ko) 경추보호대
KR101766200B1 (ko) 기능성 목디스크 보호대
KR20090063296A (ko) 목 보조기
EP1680055B1 (en) Cervical collar
KR20190110692A (ko) 분리형 경추보호대
CN213666036U (zh) 一种骨科临床用腿部夹板
CN207383604U (zh) 外科手术专用口罩
US20100168628A1 (en) Head flexion support device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KR200465621Y1 (ko) 편마비 환자를 위한 어깨뼈 외전보조기
KR20090063297A (ko) 목 보조기
KR20080006437A (ko)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CN210228336U (zh) 一种椎管内穿刺体位摆放辅助工具
EP3229628B1 (en) An airway opening device for helmets and a helmet comprising the same
CN205494109U (zh) 一种悬吊式膝关节固定器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JP6285017B2 (ja) 肩鎖関節脱臼または鎖骨遠位端骨折の治療用肩装具
US20240091583A1 (en) Cervical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