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751B1 -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 Google Patents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751B1
KR100758751B1 KR1020060093319A KR20060093319A KR100758751B1 KR 100758751 B1 KR100758751 B1 KR 100758751B1 KR 1020060093319 A KR1020060093319 A KR 1020060093319A KR 20060093319 A KR20060093319 A KR 20060093319A KR 100758751 B1 KR100758751 B1 KR 10075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elderly
armp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재
Original Assignee
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재 filed Critical 박홍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64Attachments on the trainee preventing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여 보행 또는 운동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척추를 직립된 상태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를 편안하게 지탱한 상태에서 직립보행운동 등을 수행하게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은,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면서 상부, 하부 및 전방부가 개방된 몸체부;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따라 설치되는 겨드랑이 지지부; 상기 몸체부 및 겨드랑이 지지부 중에서 어느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벨트; 및 상기 몸체부 전방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착탈가능하게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유닛;을 포함한다.
안전재킷, 몸체부, 겨드랑이 지지부, 지지벨트, 결속유닛

Description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SAFE JACKET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이 운동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이 운동장치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제1실시예의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20 : 제2실시예의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100 : 몸체부 120 : 겨드랑이 지지부
150 : 지지벨트 170 : 결속유닛
250 : 보조지지벨트 260 : 척추밴드
본 발명은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여 보행 또는 운동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척추를 직립된 상태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체를 편안하게 지탱한 상태에서 직립보행운동 등을 수행하게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나 재활환자에게 있어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정해진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신체적으로 허약하고 불안정한 상태의 고령자나 재활환자에게 있어서, 운동 중에 갑자기 현기증을 일으켜 쓰러지거나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져 넘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고령자 및 재활환자를 위한 런닝머신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런닝머신 양측 벨트트랙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바와, 시속 0.1-0.2km의 저속에서 천천히 움직이는 벨트트랙과, 응급시 작동을 중단시키는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고령자나 재활환자가 런닝머신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바를 잡고 저속으로 움직이는 벨트트랙 위에서 천천히 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고령자나 재활환자가 운동 중 갑자기 현기증을 일으켜 쓰러지거나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져 손잡이바를 놓치고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했을 시에는 전혀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령자나 재활환자가 운동 중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안정되게 몸체를 위치한 상태에서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또한, 고령자 및 재활환자의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위하여 IT기술을 이용한 홈케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홈케어 시스템을 통해 가정에서 담당의사의 원격진단 및 처방을 받게 됨으로써 고령자 및 재활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 또는 입원함에 따라 발생하는 심적 부담감 및 의료비 부담 등을 줄일 수 있고, 가정 내에서의 진단, 치료 내지는 재활운동 등을 통해 자신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홈케어 시스템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호자 없이도 안전하고 손쉽게 운동 및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운동장치 또는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현실적 필요성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켜 주면서 각종 운동 또는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운동장치 및 보호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본 출원인은 고령자 및 재활환자가 운동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국내 출원번호 제 10-2006-16604호(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보조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출원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보조장치에는 노인 및 재활환자가 운동 중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고 안정되게 몸체를 위치하게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고정구가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안전고정구는 신체적으로 부자유스러운 노인이나 재활환자가 쉽게 착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고, 겨드랑이 지지부에 쿠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고, 겨드랑이 벨트에 편안하고 부드러운 쿠션 완충제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척추를 보호하고 몸체의 직립상태를 유지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편안하게 각종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 보호자 없이도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 또는 각종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은,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면서 상부, 하부 및 전방부가 개방된 몸체부;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
상기 각 겨드랑이 지지부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벨트; 및
상기 몸체부 전방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착탈가능하게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척추밴드; 및 상기 몸체부 및 척추밴드 중에서 어느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지지벨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의 상면에는 완충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표면을 감싸는 피복재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통풍공을 가지고, 상기 피복재는 다수의 통풍공을 가진 망사 및 쿠션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및 피복재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더 개재된다.
상기 지지벨트 및 보조지지벨트 각각은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벨트 및 보조지지벨트는 상호 평행한 상태로 운동장치의 프레임측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1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10)은 사용자의 등 및 양쪽 옆구리를 감싸는 몸체부(100)와, 사용자의 양쪽 겨드랑이를 끼우고 안전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120)와,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상면에 장착되는 완충재(125)와, 좌우 양측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단부에 연결고리(153)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지지벨트(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그 상부, 하부 및 전방부가 개방되어 사용자의 등 및 양쪽 옆구리 부위를 안전하게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몸체부(100)는 사용 자의 등 부분을 감싸는 등지지부(111) 및 상기 등지지부(111)의 좌우 양측에 전방측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옆구리 지지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전방부에는 사용자의 몸체를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키는 하나 이상의 결속유닛(170)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결속유닛(170)의 단부에 결속구(buckle),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착수단(171)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5) 및 이 프레임(115)의 외표면을 감싸는 피복재(1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15)은 몸체부(1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도록 합성수지 등과 같이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5)에는 다수의 통풍공(11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복재(116)에는 상기 프레임(115)의 외표면을 감싸면서 착용시 통기성 및 착용감이 좋도록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망사 및/또는 스폰지 등과 같이 쿠션기능을 가진 완충재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프레임(115)의 사용자 몸체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스펀지 등과 같은 완충재(118)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5)은 상기 몸체부(100)의 등지지부(111) 및 옆구리 지지부(112) 각각에 해당하는 부분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구조 또는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좌우 양측의 겨드랑이 지지부(120)는 겨드랑이를 통해 몸체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옆구리 지지부(112)의 상부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겨드랑이 지지부(120)는 벨트 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각 단부에는 연결고리(153)를 통해 지지벨트(150)가 직접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몸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겨드랑이 지지부(120)에는 그 상면에 쿠션기능을 가지는 완충재(125)가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 중 안전사고 발생시 겨드랑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지지벨트(150)는 각 하단부가 좌우 양측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양단부에 연결고리(153)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상단부에는 걸림구(156)가 형성되어 런닝머신, 스탭퍼, 사이클 등과 같은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에 전후좌우 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각 지지벨트(150)의 걸림구(156)는 프레임(301)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돌기(302)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지벨트(150)는 조절유닛(155)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조절유닛(155)으로는 지지벨트(150)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트라이 글라이드(tri glide) 등과 같은 다양한 조절수단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조절유닛(155)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추어 지지벨트(150)의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지지벨트(150)는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제1실시예의 안전재킷(1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의 지지벨트(150)를 통해 각종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측에 4점 이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각종 운동장치(300)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사고 발생시 보다 안정되게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함과 더불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자세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안전재킷(20)은 몸체부(100)의 하부면에 복수의 보조지지벨트(250)를 구비하고, 몸체부(100)의 하단면에 척추밴드(26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조지지벨트(250)는 각 하단부가 몸체부(100) 또는 척추밴드(260)측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그 상단부에는 걸림구(256)가 구비되어 런닝머신, 스탭퍼, 사이클 등과 같은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각 걸림구(256)는 프레임(301)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돌기(302)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각 보조지지벨트(250)에는 내부에 조절유닛(255)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조절유닛(255)은 지지벨트(150)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트라이 글라이드(tri glide) 등과 같은 다양한 조절수단이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조절유닛(255)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추어 보조지지벨트(250)의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함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조지지벨트(250)는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복수의 보조지지벨트(250) 및 복수의 지지벨트(150)는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측에 상호 평행한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몸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척추밴드(260)는 사용자의 허리 일부분에 착용된 후에 그 양단을 결속구(buckle),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수단(261)에 의해 부착시켜 사용자의 몸통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및 보호한다.
척추밴드(260)는 사용자의 척추를 압박,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쿠션재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제2실시예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벨트(150) 및 보조지지벨트(250)에 의해 안전재킷(10)이 각종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측에 8점 이상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척추밴드(260)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가 압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각종 운동장치(300)를 사용함에 있어 안전사고 발생시 보다 안정되게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함과 더불어, 보다 안정된 직립자세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령자 및 재활환자가 사용하는 각종 운동장치에 설치되어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령자 및 재활환자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고, 겨드랑이 지지부에 편안하고 부드러운 쿠션 완충제를 장착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고, 겨드랑이 지지부에 편안하고 부드러운 쿠션완충제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는 겨드랑이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척추를 보호하고 몸체를 직립상태로 유지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편안하게 직입 전신 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공무릅수술을 받은 고령자나 척추 디스크 환자가 안전하고 쉽게 재활을 위한 직립전신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보호자 없이도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 또는 각종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어 홈케어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면서 상부, 하부 및 전방부가 개방된 몸체부(100);
    사용자의 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부(100) 좌우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120);
    각 하단부가 상기 각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상단부는 운동장치(300)의 프레임(301)측에 전후좌우 각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는 4개 이상의 지지벨트(150); 및
    상기 몸체부(100) 전방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착탈가능하게 결속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유닛(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척추밴드(260); 및
    상기 몸체부(100) 및 척추밴드(260) 중에서 어느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4개 이상의 보조지지벨트(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벨트(150) 및 보조지지벨트(250)는 상호 평행한 상태로 운동장치의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120)의 상면에는 완충재(12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15) 및 이 프레임(115)의 외표면을 감싸는 피복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5)은 다수의 통풍공(115a)을 가지고, 상기 피복재(116)는 다수의 통풍공을 가진 망사 및 쿠션기능을 가지는 완충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5) 및 피복재(116)의 사이에는 완충재(118)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093319A 2006-07-12 2006-09-26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KR100758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410 2006-07-12
KR20060065410 2006-07-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958A Division KR100796251B1 (ko) 2007-02-09 2007-02-09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KR1020070013957A Division KR20080006437A (ko) 2007-02-09 2007-02-09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751B1 true KR100758751B1 (ko) 2007-09-14

Family

ID=3873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19A KR100758751B1 (ko) 2006-07-12 2006-09-26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00546A1 (ko)
JP (1) JP2009542406A (ko)
KR (1) KR100758751B1 (ko)
CN (1) CN101484100A (ko)
WO (1) WO200800782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38B1 (ko) * 2011-06-15 2013-03-21 이동근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KR101516488B1 (ko) * 2013-10-22 2015-05-04 김록곤 슬링용 밴드
KR20160026815A (ko) 2015-12-10 2016-03-09 정부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KR20160025899A (ko) 2014-08-28 2016-03-09 정부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8163B1 (en) * 2011-02-03 2015-03-03 David J. Vidmar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US20130178767A1 (en) * 2012-01-06 2013-07-11 Retrainer Inc. Physical therapy support device
ITRM20120338A1 (it) * 2012-07-16 2014-01-17 Ciriaco Scoppetta Deambulatore a sospensione.
ITRM20120552A1 (it) * 2012-11-13 2014-05-14 Emanuele Simeone Apparato per la riabilitazione posturale.
US10463563B2 (en) * 2013-01-20 2019-11-05 Bion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9855177B2 (en) 2013-01-20 2018-01-02 Bion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9682000B2 (en) 2013-01-20 2017-06-20 Bion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10500123B2 (en) 2015-11-11 2019-12-10 Biones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ort track and power rail switching in a body weight support system
JP6428581B2 (ja) * 2015-11-26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装置
US11464696B2 (en) 2016-09-09 2022-10-11 Bion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CA3050322A1 (en) 2017-02-14 2018-08-23 Bion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ody weight support system
US10369397B2 (en) * 2017-02-23 2019-08-06 Damien Allen Jump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11020306B2 (en) * 2017-12-04 2021-06-01 Dynamic Movement Frameworks, LLC Unweighting devices
CN108525201A (zh) * 2018-03-13 2018-09-14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下肢康复机器人的外置安全保护系统装置
CN108970026B (zh) * 2018-07-16 2020-08-04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锻炼腿部脚部的复健方法
US10470962B1 (en) * 2019-07-12 2019-11-12 Robert Filderman Apparatus for rehydrating spinal disks and relieving spinal disk pain
CN112516522A (zh) * 2020-11-27 2021-03-19 陈欣 一种骨盆运动控制平衡训练机器人
CN113599772A (zh) * 2021-08-30 2021-11-05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一种具有防摔功能的体育考试用辅助训练装置
EP4344692A1 (en) * 2022-09-28 2024-04-03 Guido Belforte Suspension and weight relief system for walking on the ground and for leg rehabilitation exercis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86A (ja) 1997-10-08 1999-04-27 Nippon Medix:Kk 歩行介助装置
JP2000229108A (ja) 1999-02-10 2000-08-22 Senoh Corp 歩行訓練装置
KR20040082259A (ko) * 2003-03-19 2004-09-24 김광수 하중감량 런닝머신
KR20050011599A (ko) * 2003-07-23 2005-01-29 노인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0623417B1 (ko) 2006-02-21 2006-09-13 박홍재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948A (en) * 1988-06-03 1989-06-13 Cho Kang Rai Natural ventilation type footwear
US5273502A (en) * 1991-06-19 1993-12-28 Soma, Inc. Therapeutic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DE10036100C1 (de) * 2000-07-25 2002-02-14 Adidas Int Bv Schuh
US20070142185A1 (en) * 2005-12-21 2007-06-21 Teresa Woodman Walking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986A (ja) 1997-10-08 1999-04-27 Nippon Medix:Kk 歩行介助装置
JP2000229108A (ja) 1999-02-10 2000-08-22 Senoh Corp 歩行訓練装置
KR20040082259A (ko) * 2003-03-19 2004-09-24 김광수 하중감량 런닝머신
KR20050011599A (ko) * 2003-07-23 2005-01-29 노인규 척추 견인용 조끼
KR100623417B1 (ko) 2006-02-21 2006-09-13 박홍재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38B1 (ko) * 2011-06-15 2013-03-21 이동근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KR101516488B1 (ko) * 2013-10-22 2015-05-04 김록곤 슬링용 밴드
KR20160025899A (ko) 2014-08-28 2016-03-09 정부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KR20160026815A (ko) 2015-12-10 2016-03-09 정부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7827A1 (en) 2008-01-17
CN101484100A (zh) 2009-07-15
JP2009542406A (ja) 2009-12-03
US20100000546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751B1 (ko)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US11974958B2 (en) Self contained powered exoskeleton for a disabled user
US4691696A (en) Lumbar spinal brace
JP5698665B2 (ja) 患者抱き上げ用具
US11813223B2 (en)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US20100130901A1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9226867B2 (en)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US20190059733A1 (en) Tremor reduction device
KR100796251B1 (ko)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US3750659A (en) Orthopedic apparatus for legs to enable standing
US9827133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20230061558A1 (en) Multiple actuator vibration therapy
KR20080006437A (ko)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운동장치
CN106726373A (zh) 一种临时行走辅助机器人
Konz et al. Effect of restricted spinal motion on gait
KR101370884B1 (ko) 기능성 자세 교정기
JP2022530416A (ja) 装着可能補助デバイス
KR101481811B1 (ko) 의자 보조기구
CN213911245U (zh) 一种骨科临床用康复辅助装置
US20140316315A1 (en) Protection member and contact tool
CN210301352U (zh) 一种精神患者束缚装置
CN211050109U (zh) 术后行走护理装置
RU628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у больных с остеохондрозом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230001772U (ko) 보행 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