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88B1 - 슬링용 밴드 - Google Patents

슬링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88B1
KR101516488B1 KR1020130125879A KR20130125879A KR101516488B1 KR 101516488 B1 KR101516488 B1 KR 101516488B1 KR 1020130125879 A KR1020130125879 A KR 1020130125879A KR 20130125879 A KR20130125879 A KR 20130125879A KR 101516488 B1 KR101516488 B1 KR 10151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tient
sling
pack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riority to KR102013012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8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by a support moving on air cush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밴드에 유체 팩을 구비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킨 슬링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장애 등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일상생활이나 재활 운동을 할 때 환자의 상체를 들고 내리거나 환자가 넘어지지 않게 상체를 잡아줄 때에는 상체용 슬링을 사용한다. 상기한 상체용 슬링은 환자몸통을 감싸는 밴드로부터 받는 집중압박의 문제로 인하여 슬링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환자몸통이 밴드로부터 집중압박을 받는 문제가 해소된 슬링용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환자몸통을 감싸는 밴드의 내측에 유체 팩을 구비한 슬링용 밴드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링용 밴드(1)는,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슬링용 밴드(1)가 환자몸통을 압박하여 감싸더라도 환자는 불편하지 않게 밴드(2)의 내측에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구비되어 집중압박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를 사용하면서 환자몸통이 밴드(2)로부터 강하게 감싸여 들거나 지지되더라도 환자몸통은 밴드(20)로부터 집중압박을 받지 않고,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 의해 분산된 압력을 받아서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의 착용감은 좋아서 슬링용 밴드(1)를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링용 밴드{The band for Sling}
본 발명은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유체를 수용한 팩이 구비된 슬링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장애 등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일상생활이나 재활 운동을 할 때, 환자의 상체를 들고 내리거나 환자가 넘어지지 않게 상체를 잡아주기 위하여 상체용 슬링을 사용한다. 일례로 문헌 1의 다목적 슬링은 환자몸통을 밴드로 감싸서 환자의 상체를 들고 내리거나 또는 환자의 상체를 잡아주는데 사용된다.
[문헌 1] KR 출원번호: 10-2012-0106829 2012. 9. 26. 도 1.
상기 다목적 슬링은,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기가 편하게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내릴 때 사용하고, 상기 다목적 슬링에 하체받침대를 설치하면,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함께 들어서 환자는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그리고 좌변기에서 휠체어 등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환자가 이동할 때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거나 입기도 가능하다. 환자가 일어서거나 앉기가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내려서 환자가 서거나 앉는 데에도 편리하게 사용된다. 상기 다목적 슬링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4는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든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5는 종래의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16은 종래의 완충재를 구비한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다목적 슬링(a)은 환자몸통(b)을 밴드(c)로 감싸서 들거나 지지 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밴드(c)가 환자몸통(b)을 감싸서 어느 정도 조임이 있어야만 환자몸통(b)이 밴드(c)의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밴드(c)가 환자몸통(b)을 감싸서 조일 때 밴드(c)가 환자몸통(b)의 외면에 고르게 밀착되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환자몸통(b)은 늑골 등에 의해서 몸통을 형성하고, 환자몸통(b)의 형상도 사람별로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즉, 슬링의 밴드(c)가 환자몸통(b)을 감싸서 조이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몸통(b)의 외면에서 약간 튀어나온 늑골(d) 등의 부위는 밴드(c)로부터 집중압박을 받게 된다. 환자몸통(b)이 밴드(c)로부터 받는 압박의 강도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환자몸통(b)의 일부가 밴드(c)로부터 집중압박을 받으면 견디기 힘든 고통으로 환자는 다목적 슬링(a)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환자몸통(b)의 일부가 밴드(c)로부터 받는 집중압박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재질과 형상의 완충재(e)를 밴드(c)에 부착시켜 집중압박의 문제를 해소하려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환자몸통(b)이 밴드(c)로부터 받는 압박의 강도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늑골(d) 등에 받는 압박의 강도가 약간은 완화 되었으나 근본적으로 해소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다목적 슬링(a)의 사용에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환자몸통이 슬링용 밴드로부터 받는 집중압박의 문제가 해소된 슬링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을 압박하여 감싸서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더라도 밴드가 환자몸통의 일부에 집중압박을 가하지 않는 슬링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환자몸통을 감싸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있어서,
밴드의 내측에는 상기 밴드와 유사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의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한 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용 밴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링용 밴드는,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가 환자몸통(45)의 둘레를 감싸서 압박하더라도 환자는 불편하지 않다. 그 이유는 밴드(2)가 조이는 힘이 밴드(2)의 내측에 배치된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통하여 환자몸통(45)에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 원리는 팩(10)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9)가 받는 압력은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팩(10)의 모든 부위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상기 팩(10)이 환자몸통(45)에 밀착된 부위에도 동일하게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를 사용하면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통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압력을 환자몸통(45)이 받아서 슬링용 밴드(1)의 착용감이 좋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링용 밴드(1)를 구비한 다목적 슬링(29)을 장애인 화장실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다목적 슬링(29)을 이용하여 화장실 내에서 이동과 용변을 보기위해 하의를 벗거나 입기가 쉬워져서 화장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링용 밴드의 A-A'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부착된 포켓에 구비된 개폐부 부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사용된 유체를 수용한 팩의 한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유체를 수용한 팩의 B-B'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를 설치한 다목적 슬링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부위의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포켓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구비된 팩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C'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유체를 수용한 팩이 밴드의 내측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의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에서 체결부위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
도 13c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에서 체결부의 부분도
도 13d는 본 발명의 유체를 수용한 팩에 가압펌프를 설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든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종래의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완충재를 구비한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환자몸통을 감싸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있어서,
밴드의 내측에는 상기 밴드와 유사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의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한 팩을 채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용 밴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의 기술은 슬링용 밴드가 좌우로 분리된 분리형이나 하나로 구성된 일체형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분리형으로 구성된 슬링용 밴드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링용 밴드의 A-A'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부착된 포켓에 구비된 개폐부 부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는 좌우 밴드(2)가 환자몸통을 좌우에서 감싸는 길이와 적당한 높이로 제작되고, 좌우 밴드(2)의 후단에는 집게프레임의 하부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고정부(3)가 배치된다. 상기 좌우 밴드(2)의 전단에는 좌우 밴드(2)의 전방을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기 위하여, 한쪽에는 버클의 몸체(4)를 조립한 벨트(6)가 고정되고, 다른 쪽에는 버클의 삽입체(5)를 구비한 벨트(6)가 고정되며, 상기 좌우 밴드(2)의 전방에는 밴드 고리(11)가 상부에 각각 구비된다.
포켓(8)은 높이가 밴드(2)의 높이 보다는 약간 크고, 포켓(8)의 길이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밴드(2)의 길이와 유사하거나 약간 더 길게 제작한다. 상기 포켓(8)은 외면을 상기 밴드(2)의 내면에 재봉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유체(9)를 수용한 팩(10)은 상기한 포켓(8)의 내부를 꽉 채우게 제작하여 포켓(8)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포켓(8)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8)의 후방에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13)를 만들고, 상기 개폐부(13)는 유체(9)를 담은 팩(10)을 포켓(8)의 내부에 넣거나 빼어내는데 사용된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상기 포켓(8)의 내부에 넣으면 임의로 포켓(8)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포켓(8)의 개폐부(13)에는 벨크로 등을 이용한 잠금장치(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상기 포켓(8)에 넣고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포켓(8)으로부터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게 개폐부(13)를 밀폐시켜도 무방하다.
상기한 포켓(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알맞게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밴드(2)로부터 정 위치에 머물게 하고, 둘째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외부의 사물로부터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도하며, 셋째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압박을 받을 때 팽창하여 터지지 못하게 감싸는 기능도 한다. 상기한 포켓(8)은 미끄러지지 않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환자몸통이 포켓(8)으로부터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유체(9)를 수용한 팩(10)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사용된 유체를 수용한 팩의 한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체를 수용한 팩의 B-B'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은 호형의 직사각 판상으로 상기 포켓(8)의 내부를 꽉 채우는 크기로 제작된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팩(10)의 내면과 외면의 일부를 부착시킨 부착점(15)을 다수 형성한다. 상기 부착점(15)은 팩(10)의 내면과 외면을 부착시킨 것으로서 부착점(15)은 사용압력에 떨어지지 않게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팩(10)의 외면과 내면을 부착시킨 부착점(15)은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적절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팩(10)의 외면과 내면을 부착시킨 부착점(15)은 적절한 위치에 각각 형성하여 팩(10)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팩(10)의 외면과 내면의 일부를 부착시킨 부착점(15)이 없다면 팩(10)은 공처럼 부풀어 오르거나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유체(9)를 수용한 팩(10)은 슬링용 밴드(1)를 사용할 때 사용압력을 받더라도 유체(9)가 팩(10)의 외부로 누설 되지 않게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해야 하고, 팩(10)의 한쪽에 압력을 받으면 유체(9)는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팩(10)의 모든 곳으로 압력이 전달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유체(9)는 팩(10)의 내부에서 어느 곳으로든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한 유체(9)는 액체 내지 기체를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사용압력을 받거나 환자몸통의 구조에 의해 팩(10)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밴드(2)는 환자몸통에 닿지 않게 상기 포켓(8)과 포켓(8)의 내부에 들어있는 팩(10)의 두께는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 한편, 상기 팩(10)의 내부에는 스펀지와 같이 외부의 압력을 받으면 체적이 줄고 외부의 압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물질을 채우고, 팩(10)에 수용된 물질의 틈새에 유체(9)를 채워서 사용해도 된다. 이 때 물질의 틈새에 채워진 유체(9)는 팩(10)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양을 채워야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를 설치한 다목적 슬링의 사시도이다.
다목적 슬링(29)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30)의 교차점에 집게 축(34)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는 좌우 밴드(2)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부(3)를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30)의 하부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한다. 행거프레임(31)은 상기 집게프레임(30)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상기 행거프레임(31)의 전단에는 밴드로프(32)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밴드로프(32)의 하단은 좌우 밴드(2)의 전방에 구비된 밴드 고리(11)를 각각 걸어서 지지하고, 백가드(33)는 전방에 유체 팩(35)을 구비하여 좌우 집게프레임(30)의 하부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부위를 가리게 상기 집게 축(34)에 설치된다. 상부에 배치된 네 개의 슬링로프(36)는 하단을 좌우 행거프레임(31)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하고 상단은 슬링 고리(37)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한 다목적 슬링(29)에 설치된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를 환자몸통에 바람직하게 착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몸통의 가운데 부근을 좌우 밴드(2)로 감싸고, 집게프레임(30)은 하단이 좌우로 벌어지게 좌우 밴드(2)를 당겨서 전방의 좌우에 구비된 버클의 몸체(4)에 삽입체(5)를 각각 삽입하여 체결한다. 그러면 좌우 밴드(2)의 전방은 상호 연결된 상태가 되어서 환자몸통은 좌우 밴드(2)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링 고리(37)를 들면, 좌우 집게프레임(30)이 회동하여 벌어져 있던 좌우 집게프레임(30)의 하단이 만나면서 좌우 밴드(2)는 환자몸통을 더 조이면서 환자의 상체가 다목적 슬링(29)에 의해 들리더라도 환자몸통은 좌우 밴드(2)의 아래로는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몸통은 좌우 밴드(2)의 내측에 구비된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내장한 포켓(8)이 밀착되고, 좌우 집게프레임(30)의 하부가 만나는 부위는 유체 팩(35)을 구비한 백가드(33)가 환자몸통의 후방을 지지 및 보호하기 때문에 좌우 밴드(2)의 후방도 환자몸통에 닿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다목적 슬링(29)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해 좌우 밴드(2)가 환자몸통을 감싸서 조이면 조이는 힘에 비례해서 포켓(8)의 내부에 구비된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는 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9)에 형성된 압력은 파스칼의 원리에 의해 환자몸통을 고르게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 밴드(2)가 환자몸통을 감싸 조이는 원리와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가 환자몸통에 닿은 부위의 부분단면도이다.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를 이용하여 환자몸통(45)을 감싸서 조이면, 환자몸통(45)과 밴드(2)의 사이에는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내장한 포켓(8)이 위치되기 때문에 포켓(8)은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포켓(8)의 외측은 신축성이 거의 없는 밴드(2)의 내면과 닿아 있기 때문에 포켓(8)의 외측은 변형은 거의 없다. 반면에 환자몸통(45)과 맞닿은 포켓(8)의 내측은 환자몸통(45)의 형상에 따라 유체(9)를 수용한 팩(10)이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환자몸통(45)에서 늑골(46) 등으로 인하여 돌출된 부분은 돌출된 부분만큼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 의해 포켓(8)은 외부로 밀리고, 포켓(8)이 외부로 밀린 만큼 포켓(8)의 두께는 얇아져서 환자몸통(45)과 밴드(2)의 사이는 가까워지며, 환자몸통(45)에서 들어간 부위와 맞닿은 부분의 포켓(8)은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 형성된 압력으로 밀려나와 환자몸통(45)의 들어간 공간을 채우며, 포켓(8)은 포켓(8)의 내면이 밀려나온 만큼 두꺼워져서 환자몸통(45)과 밴드(2)의 사이는 멀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포켓(8)은 전반적으로 환자몸통(45)에 고르게 밀착되어 슬링용 밴드(1)에 분산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유체(9)를 수용한 팩(10)과 상기 팩(10)을 내장한 포켓(8)은 적절하게 두꺼워야 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로 환자몸통(45)을 감싸서 조일 때 밴드(2)는 환자몸통(45)에 닿지 않고,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내장한 포켓(8)이 환자몸통(45)에 닿아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좌우 밴드(2)가 환자몸통(45)에 닿으면 닿은 부위를 통하여 환자몸통(45)에는 집중압박이 발생될 수 있어서 환자가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밴드(2)가 환자몸통을 감싸서 들 때 환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포켓(8)이 밴드(2)로부터 아래로 밀려서 밴드(2)의 상부가 환자몸통에 닿을 수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밴드(2)의 일부가 환자몸통에 닿으면 환자는 불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켓(8)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8)이 밴드(2)의 아래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에 구비된 포켓에 포켓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b)에서, 포켓(8b)에는 전후방에 종 방향으로 전방로프(16)와 후방로프(17)를 각각 배치하여 재봉 등의 방법으로 포켓(8b)의 내측에 고정하고,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상부로프(18)를 배치하여 전방로프(16)와 후방로프(17)의 사이를 재봉 등의 방법으로 포켓(8b)의 상부에 고정한다. 전방로프(16)의 상단은 포켓(8b)으로부터 연장하여 루프(19)를 만들어서 밴드(2)의 전방에 구비된 밴드 고리(11)에 걸어주고, 상부로프(18)의 후단은 포켓(8b)으로부터 길게 연장된 단부에 루프(20)를 형성한다. 상기 루프(20)는 다목적 슬링(29)에 구비된 백가드(33)나 집게프레임(30)에 적절하게 고정하여 아래로 쳐지지 않게 지지한다. 상기한 상부로프(18)의 후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20)의 형상을 만들지 않고 기타의 방법으로 백가드(33)나 집게프레임(30)에 고정하여 포켓(8b)의 후방이 아래로 쳐지지 않게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포켓(8b)은 전방이 고리(11)에 걸어서 다목적 슬링(29)에 구비된 밴드로프(32)에 지지되고 후방은 백가드(33)나 집게프레임(30)에 지지되어 외력을 받더라도 포켓(8b)이 밴드(2)의 아래로 처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유체(9)를 수용한 팩(10)에 의해서 포켓(8)의 내면은 환자몸통(45)의 외면에 고르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유체(9)를 수용한 팩(10)의 구조를 다르게 하여 환자몸통(45)의 외면에 보다 고르게 밀착되게 한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구비된 팩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C'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a)은 호형의 직사각 판상으로 상기 포켓(8)의 내부를 꽉 채우는 크기로 제작된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a)은 내면을 향하여 볼록 형상의 돌기(40)로 한 면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팩(10a)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과 내면의 일부를 부착시킨 부착점(15a)을 다수 구성하며, 상기 부착점(15a)은 사용압력에 떨어지지 않게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팩(10a)의 외면과 내면을 부착시킨 부착점(15a)은 팩(10a)을 일정한 두께로 유지하기 위함에 있다. 상기 유체(9)를 수용한 팩(10a)은 형상변형이 쉬우면서 터지지 않고 팽창이 거의 없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팩(10a)에서 돌기(40)가 형성된 면을 환자몸통과 닿는 방향으로 배치하면 환자몸통의 외면에 형성된 굴곡을 따라 팩(10a)의 돌기(40)가 개별적으로 들어가거나 밀려나기 때문에 밀착성이 좋고, 팩(10a)이 환자몸통을 부드럽게 감싸거나 펴기도 쉽다. 상기한 돌기(40)를 도면에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나타냈지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은 밴드(2)의 내측에 유체(9)를 수용한 팩(10)을 직접 부착시킨 슬링용 밴드(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유체를 수용한 팩이 밴드의 내측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슬링용 밴드(1c)에서, 유체(9)를 수용한 팩(10c)은 외측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밴드(2c)의 내측에 직접 부착해서 구성한다. 상기한 팩(10c)은 상기 밴드(2c) 보다는 약간 크게 제작하고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유체(9)를 수용한 팩(10c)은 외면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밴드(2c)의 내면에 직접 부착하여 제작하면 제작원가를 절감하는 장점이 있고, 환자가 상기 슬링용 밴드(2c)를 착용하면 환자몸통과 팩(10c)의 사이에 포켓이 없어서 환자몸통과 팩(10c)의 사이는 밀착성이 좋아진다. 특히 상기한 팩(10c)의 내면을 도 10에 예시한 형상으로 제작하면 밀착성이 개선되는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슬링용 밴드(1)가 좌우로 분리된 분리형이 아니고 하나로 구성된 일체형 슬링용 밴드의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에서 체결부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이며, 도 13c는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에서 체결부의 부분도이다.
슬링용 밴드(1a)에서 밴드(2a)는 환자몸통을 감쌀 수 있는 길이와 적당한 높이로 제작되고, 밴드(2a)의 상부 좌우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슬링 로프(5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2a)의 일단에는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기 위한 버클의 몸체(4a)를 구비한 벨트(6a)가 고정되고, 밴드(2a)의 타단에는 버클의 삽입체(5a)를 구비한 벨트(6a)가 고정된다. 상기 밴드(2a)는 일단의 외면에 고리 형상의 벨크로(55)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접착벨트(49)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벨트(49)의 내면에는 상기 밴드(2a)의 외면에 구비된 벨크로(55)에 접착 내지 분리가 가능한 루프 형상의 벨크로(56)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밴드(2a)의 일단에 구비된 접착벨트(49)는 밴드(2a)로 환자몸통을 감쌀 때 접착벨트(49)의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56)가 타단 밴드(2a)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55)에 접착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밴드(2a)의 내측에 배치된 포켓(8d)은 높이가 상기 밴드(2a) 보다는 약간 크고, 포켓(8d) 길이는 상기 밴드(2a) 보다는 더 길게 제작하여 다양한 체격을 지닌 사람들도 함께 사용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9)를 수용한 팩(10d)은 상기 포켓(8d)의 내부를 꽉 채우게 구성하여 포켓(8d)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밴드(2a)가 환자몸통을 감싸서 조이더라도 밴드(2a)는 포켓(8d)의 내부를 채운 유체(9)를 수용한 팩(10d)에 의해 환자몸통에는 닿지 않아야 한다.
상기한 일체형 슬링용 밴드(1a)를 환자가 착용할 때에는 밴드(2a)의 양단을 당겨 환자몸통을 압박하면서 감싸고 밴드(2a)의 일단에 구비된 접착벨트(49)를 함께 당겨서 접착벨트(49)의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56)를 타단 밴드(2a)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55)에 밀착하면 벨크로(55, 56)는 상호 접착되고, 이어서 밴드(2a)의 양단에 구비된 버클의 몸체(4a)와 삽입체(5a)를 상호 각각 체결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그러면 환자몸통과 밴드(2a)의 사이에 개재된 유체(9)를 수용한 팩(10d)에 의해 포켓(8d)의 내면이 환자몸통에 고르게 밀착되어 밴드(2a)가 조이는 힘은 고르게 분산되어 착용감이 좋다. 환자가 상기 슬링용 밴드(1a)를 착용한 다음 좌우 슬링 로프(50)를 들어서 환자몸통을 들거나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일체형 슬링용 밴드(1a)를 환자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착용할 때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밴드(2a) 보다는 포켓(8a)의 길이를 더 길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환자몸통의 굵기가 다양하여도 벨트(6a)나 버클이 환자몸통에 닿지 않게하여 범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일체형 슬링용 밴드(1a)를 환자가 착용했을 때, 환자 몸통의 굵기가 적절하다면 포켓(8)의 양단이 도 13b에서와 상호 약간 떨어져 있거나 마주 닿고, 환자몸통의 굵기가 가늘다면 도 13c와 같이 포켓(8d)의 양단은 상호 겹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켓(8d)의 양단이 겹치더라도 포켓(8d)에 들어있는 유체(9)를 수용한 팩(10d)은 변형되어서 환자몸통을 압박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따라서 밴드(2a)나 포케(8d)의 길이는 사용하는 환자몸통의 굵기에 적절하게 제작하면 된다. 여기서 분리형 슬링용 밴드(1)에서도 밴드(2)나 포케(8)의 길이도 같은 원리로 적절하게 제작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우 슬링로프(50)를 들었을 때 감싸고 있는 밴드(2a)의 아래로 환자몸통이 빠지지 않도록 환자몸통을 밴드(2a)로 강하게 감싸서 조이기란 불편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압펌프를 이용하는 것인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유체를 수용한 팩에 가압펌프를 설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밴드(2e)의 내측에 구비된 포켓(8e)의 내부에는 유체(9)를 수용한 팩(10e)이 구비된다. 상기 팩(10e)에는 가압펌프와 압력센서 그리고 배기부에 유체(9)가 흐를 수 있게 연결되고, 가압펌프와 압력센서 그리고 표시장치는 중앙처리장치에 제어 내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며, 조작부는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조작부를 제어하면 가압펌프가 가동하여 팩(10e)의 내부에 유체(9)를 희망하는 용량과 압력으로 넣거나 뺄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밴드(2e)를 환자몸통에 감싸서 느슨하게 착용하고, 조작부를 제어해서 가압펌프로 팩(10e)의 내부에 유체(9)를 희망하는 압력으로 주입하면 환자몸통과 밴드(2e)의 사이는 포켓(8e)에 들어있는 유체(9)가 채워진 팩(10e)에 의해 격리되어 환자몸통이 밴드(2c)의 아래로 빠지지 않고 들거나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팩(10e)의 속을 채운 유체(9)의 압력은 표시장치에서 읽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고, 팩(10e)의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지 못하게 구성하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팩(10e)의 내부를 채우는 유체(9)의 압력은 이용하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면 환자몸통이 밴드(2e)의 조임으로부터 필요이상의 압박을 받지 않아서 좋고, 또한 팩(10e)의 내부에 채우는 유체(9)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낮아서 환자몸통이 밴드(2e)의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 밴드 9: 유체 8: 포켓 10: 팩

Claims (3)

  1.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환자몸통의 둘레를 압박하여 감싸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있어서,
    환자의 상체가 슬링용 밴드의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면서 균일한 압박을 받을 수 있게, 밴드의 내측에는 밴드와 유사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의 내부에는 유체를 수용한 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용 밴드.
  2.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환자몸통의 둘레를 압박하여 감싸는데 사용되는 슬링용 밴드에 있어서,
    환자의 상체가 슬링용 밴드의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되면서 균일한 압박을 받을 수 있게, 밴드의 내측에는 밴드와 유사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유체를 수용한 팩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용 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팩의 내부에 유체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주입 내지 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용 밴드.
KR1020130125879A 2013-10-22 2013-10-22 슬링용 밴드 KR10151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79A KR101516488B1 (ko) 2013-10-22 2013-10-22 슬링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79A KR101516488B1 (ko) 2013-10-22 2013-10-22 슬링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488B1 true KR101516488B1 (ko) 2015-05-04

Family

ID=5339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879A KR101516488B1 (ko) 2013-10-22 2013-10-22 슬링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082U (ko) * 1996-08-16 1998-05-25 유영호 에어백이 구비된 코르셋
JP2003038584A (ja) * 2001-07-27 2003-02-12 Amano Corp 介護リフト用吊り具
KR100758751B1 (ko) * 2006-07-12 2007-09-14 박홍재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082U (ko) * 1996-08-16 1998-05-25 유영호 에어백이 구비된 코르셋
JP2003038584A (ja) * 2001-07-27 2003-02-12 Amano Corp 介護リフト用吊り具
KR100758751B1 (ko) * 2006-07-12 2007-09-14 박홍재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68777A1 (en) Back support belt and the lifting sling in communication with this back support belt
WO2006004576A3 (en) Improved female condom
US20150224009A1 (en) Adjustable cinch clip
US5396906A (en) Back support belt
CA2246484A1 (en) Stowable rescue device for patient transport
US6892403B2 (en) Hoisting harness
JP2004358196A (ja) 腰痛防止装着具
KR101516488B1 (ko) 슬링용 밴드
CN214967809U (zh) 一种急诊护理急救箱
CN208436022U (zh) 骨科护理专用助行器
US20050146172A1 (en) Seat cushioning device
GB2422547A (en) Crutch support strap
CN210158749U (zh) 姿势矫正装置
KR101824384B1 (ko) 탈부착 가능한 사다리형 안전로프가 구비된 추락방지용 안전대
CN213639998U (zh) 一种具有减压功能的背包
CN211272095U (zh) 一种便携式防摔倒腋下拐杖
CN210727982U (zh) 一种精神科用快速束缚装置
CN210785266U (zh) 一种外骨骼机器人腿部调节结构
CN216628984U (zh) 一种防手脚压疮隔离垫圈
JP4439793B2 (ja) 輸液システム
CN205729606U (zh) 一种医用冰敷袋
CN212466370U (zh) 一种急性门诊用急诊箱
CN215229332U (zh) 一种便于使用的急救包
CN219593972U (zh) 一种耐割舒适减压双肩包
CN216823822U (zh) 一种医疗急诊用颈部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