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300A -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 Google Patents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300A
KR20230049300A KR1020210132256A KR20210132256A KR20230049300A KR 20230049300 A KR20230049300 A KR 20230049300A KR 1020210132256 A KR1020210132256 A KR 1020210132256A KR 20210132256 A KR20210132256 A KR 20210132256A KR 20230049300 A KR20230049300 A KR 2023004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knee
elastic support
pati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호
Original Assignee
곽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준호 filed Critical 곽준호
Priority to KR102021013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300A/ko
Publication of KR2023004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3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tretch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내반슬(오다리) 또는 외반슬(안장다리)환자의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바깥측으로 설치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 측인 내측으로 설치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교정하도록 마련된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교정 무릎보조기(L)는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사이의 무릎의 움직임에 따른 각도로 회동하는 회동유닛(100)과; 상기 회동유닛(100)의 상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대퇴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2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상기 회동유닛의(100) 하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종아리에 결합고정되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4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하향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종아리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동유닛(100)의 외측 일면에 서로마주보며 동일 극성의 자력에 의한 밀어내는 반발력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이 서로마주보며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하단과 제2탄성지지부재의 상단을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측으로 계속적으로 밀어내거나 끌어 당기도록 마련된 자력부재(600);로 형성된 것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인 착용에 의한 착용시간 증대에 따른 내외반슬을 빠르게 교정할 수 있고,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내외측 방향의 선택적 가압을 통해 내외반슬의 교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리 길이와 상관없이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자력부재의 자력에 의해 내외반슬의 교정과정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능한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교정 무릎보조기{Leg correction knee brace}
본 발명은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오다리나 안장다리를 교정할 수 있고,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내외측 방향의 선택적 가압을 통해 오다리 및 안장다리 교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리 길이와 상관없이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의 대퇴부와 종아리측에 착용하는 보조기는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의 무릎 및 그 주변부위에 착용되어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제어 및 안정화시키고, 관절의 굴곡 상태를 제한하거나 교정하며, 통상적으로 제어하기 가능한 방법에 의해 무릎부상의 재발을 방지시키도록 사용되고 있다.
특히,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붙지 않고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내반슬 환자나,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 아랫부분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외반슬 환자를 위한 무릎보조기구의 경우, 착용자가 직립하거나 다리를 펴는 상태에서 대퇴골을 경골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좁아져 있는 무릎 뼈 사이가 무리한 압박을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다리를 펴는 과정에서, 대퇴골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는 경골측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지지대와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종래의 무릎보조기는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와, 착용자의 전방측으로의 회전각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의 이동경로가 서로 겹치게 되고 독립적인 방향성으로 인해 서로 방해를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 및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011357호로 제안된 고정지지대의 하단에 하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자형 구멍과, 상기 "+"자형 구멍의 종방향 구멍에 종방향으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볼트와, 상기한 볼트에 나사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자형 구멍의 횡방향 구멍에 위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작동으로 상기의 볼트를 승강이동시켜주는 회전너트 및 상기한 볼트의 하단에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 채 끝단이 화살촉모양으로 뾰죽한 회전방지돌기로 이루어진 회전각도제어구와, 상단 부분은 상기 "+"자형 구멍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각도제어구의 회전너트만 내,외측으로 노출되게 하는 내,외측 노출구멍이 각각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단 내,외측에 고정 부착되며, 하단부분은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부분 내,외측을 커버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내,외측 덮개판과,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외측 덮개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연 각각에는 일정각도범위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톱니의 반대쪽으로는 상기 회동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회전제어돌기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어되는 호형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굴곡조절판 및 신전조절판으로 구성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용 각도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굴곡 및 신장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지만, 힘과 하중의 지지를 위해 고정지지대와 회동지지대가 각도조절장치에 의존하여 설치됨으로서, 하중의 중심이 고정/회동지지대 외측 또는 내측으로 편심되어 종아리부 또는 대퇴부를 압박하거나 외측으로 밀려나 들뜬 공간이 형성되어 무릎관절의 뒤틀림 등의 문제점을 악화시킨다.
이는 하중과 힘이 지지대로 전달되지 않고 각도조절장치로 전달되는 것이 원인이 되며, 고정지지대 하부와 회동지지대 상부가 일정 공간으로 이격되게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연계되어 있어 힘과 하중이 편심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각도제어구에 의해 메인 멈춤이 조절되기 때문에 힘과 하중으로 인해 제어부분이 한곳에 몰림에 따른 문제점으로 회전각도제어구에 집중되어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무릎보조기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6543호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무릎보조기나 앞서 상술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각도조절장치는 각각의 구성이 복잡하고, 착용자의 다리길이에 적합하도록 별도 주문제작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무릎보조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각도조절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하게 맞추어야 하는 특성상 전문지식이 없으면 사실상 의료기관에서 전문가 소견에 따라 착용기능을 맞추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지속적 착용으로 인한 불편함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은 환자가 착용하는 데 있어 게을리하게 되고, 이는 곧 내반슬, 외반슬 환자와 같이 일상생활은 할 수 있으나 다리가 곧게 유지되지 않아 미관상 좋지 못한여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는 환자의 경우에는 더더욱 착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착용을 거부하게 되어 빠른 교정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한 다리 교정 시간이 증대되며, 개인 의료비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무릎보조기는 사용법 역시 숙지하지 않으면 쉽게 착용이 어렵고, 일상생활에서 상당히 불편하게 작용하여 주로 병,의원에 입원한 상태에 있거나 일상생활을 하지 않는 잠자리에서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간이 다리 교정을 위하여 권장되는 착용시간보다 적어 실질적 다리교정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다리 교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상기 종래 무릎보조기는 실질적으로 내반슬이나 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교정하기 보다는 무릎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이고, 내반슬이나 외반슬 환자의 경우는 수술적으로 교정한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기구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뿐 교정효과는 얻기 힘든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 무릎 보조기를 개량하여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교정을 위한 별도의 교정장치가 현재 개시되고 있다.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640호, 내외반슬 교정 장치가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 교정장치는 무릎보조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교정용 신발 부분을 수평 회전하게 하여 신발의 교정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내외반슬을 교정하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내외반슬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 내외반슬 교정장치는 교정용 신발이 구성되어야만 가능하고, 교정용 신발과 지지대 프레임과의 높이차이를 조정하여 내외반슬이 교정됨과 함께 신발과 지지대 사이의 높이차이를 조정함으로써, 내외반슬을 교정하는 것으로, 일상생황에서 신발을 신은 상태로는 착용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내외반슬의 교정과정에서 계속적이 신발의 각도와 지지대 프레임과 신발의 높이차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0084호,공개일자2010년10월12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6543호,공개일자2011년03월16일.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3997호,공개일자2014년12월18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640호, 등록일자 2018년04월09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인 착용에 의한 착용시간 증대에 따른 오다리나 안장다리(이하, 내외반슬)를 빠르게 교정할 수 있고,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내외측 방향의 선택적 가압을 통해 내외반슬의 교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리 길이와 상관없이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자석에 의한 자력에 의해 내외반슬의 교정과정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능한 다리교정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외반슬 외에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환자의 무릎관절의 부목역할과 더불어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에 따른 무릎관절의 위치 변형없이 정위치 교정을 통해 수술 내지는 시술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는 내반슬(오다리) 또는 외반슬(안장다리)환자의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바깥측으로 설치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 측인 내측으로 설치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교정하도록 마련된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교정 무릎보조기(L)는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사이의 무릎의 움직임에 따른 각도로 회동하는 회동유닛(100)과; 상기 회동유닛(100)의 상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대퇴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2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상기 회동유닛의(100) 하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종아리에 결합고정되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4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하향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종아리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동유닛(100)의 외측 일면에 서로마주보며 동일 극성의 자력에 의한 밀어내는 반발력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이 서로마주보며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하단과 제2탄성지지부재의 상단을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측으로 계속적으로 밀어내거나 끌어 당기도록 마련된 자력부재(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유닛(100)은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이 중첩되어 결합되고,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 중앙에 축결합되어 하부 원형편 상에서 상부 원형편이 자유회동 내지는 회동 구속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동조절축(116)이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원형편의 회동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회동조절판(110)과;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일측으로 제1탄성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결합고정부(120)와;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상부 원형편(114)의 일측으로 제2탄성지지부재(4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결합고정부(130)와;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바닥측으로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 측면에 접촉시, 상기 제1결합고정부(200)와 제2결합고정부(400)가 피부측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회동에 따른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움직임과 대퇴부, 종아리의 위치변동에 따른 접촉마찰에 의한 피부손상과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넌슬립패드(1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고정부(120)와 제2결합고정부(130)는 원형의 파이프형태 또는 직사각형상의 파이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탄성변형 후, 원상복원되는 스프링강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되, 와이어 형상,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회동유닛(100) 사이,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회동유닛(100) 사이에는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고,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유동형 커프밴드(3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자력부재(600)가 제1, 2탄성지지부재(200,400)가 결합된 회동유닛(100)의 일면에 결합시, 동일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외측으로 착용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착용하며,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착용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외측으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유닛(100)과 제1탄성지지부재(200), 제2탄성지지부재(400), 자력부재(600)는 내외반슬 환자의 좌우측 다리 각각의 무릎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은 다리의 외측으로 또 다른 한 측은 가랑이측 내측으로 접촉결합되도록 대칭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지속적인 착용에 의한 착용시간 증대에 따른 내외반슬을 빠르게 교정할 수 있고, 통증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내외측 방향의 선택적 가압을 통해 내외반슬의 교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리 길이와 상관없이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자력부재의 자력에 의해 내외반슬의 교정과정에 따른 자동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외반슬 외에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환자의 무릎관절의 부목역할과 더불어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에 따른 무릎관절의 변형없이 정위치 교정을 통해 수술 내지는 시술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ake2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내반슬 다리에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외반슬 다리에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동일 극성일 때의 내반슬 다리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서로 다른 극성일 때의 내반슬 다리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내반슬 다리에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외반슬 다리에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동일 극성일 때의 내반슬 다리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서로 다른 극성일 때의 내반슬 다리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는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착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착용불편함이 최소화되어 착용시간 증대가 가능하여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교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모양에 따른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가압하여 교정함과 동시에 내외반슬 환자의 교정과정에서 변화되는 다리 각도에 따른 가압력을 자력에 의한 자동조절을 통해 달성할 수 있어 착용통증을 최소화하면서 교정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다리 길이와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여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내외반슬 외에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환자의 무릎관절의 부목역할과 더불어 무릎관절 수술 내지는 시술에 따른 무릎관절의 변형없이 정위치 교정을 통해 수술 내지는 시술한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유닛(100), 제1탄성지지부재(200), 제2탄성지지부재(400), 자력부재(600)로 구성되어 내반슬(오다리) 또는 외반슬(안장다리)환자의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바깥측으로 설치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 측인 내측으로 설치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교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동유닛(100)은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사이의 무릎의 움직임에 따른 각도로 회동하는 것으로, 통상의 무릎보조기의 회동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회동유닛(100)은 후술되는 제1,2 탄성지지부재의 탄성 변형에 따라 복귀되도록 고정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유닛(100)은 한 쌍의 회동조절판(110), 제1결합고정부(120), 제2결합고정부(130), 넌슬립패드(14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조절판(110)은 통상의 무릎보조기의 회동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이 중첩되어 결합되고,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 중앙에 축결합되어 하부 원형편 상에서 상부 원형편이 자유회동 내지는 회동 구속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동조절축(116)이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원형편의 회동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조절축(116)은 나사결합방식을 채택하여 회동조절축(116)의 나사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면 하부 및 상부 원형판이 밀착되어 고정되고, 나사결합을 느슨하게 이루어지면 하부 및 상부 원형판이 이격되어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나아가, 각도조절은 실질적으로 종래 회동장치와 동일하게 구성하지만 내외반슬환자의 경우 다리를 특정각도로 유지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도조절이 특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제1결합고정부(120)는 후술되는 제1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일측으로 제1탄성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고정부(130)는 후술되는 제2탄성지지부재(40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상부 원형편(114)의 일측으로 제2탄성지지부재(4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고정부(120)와 제2결합고정부(130)는 제1,2탄성지지부재를 와이어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파이프형태로 구성하고, 판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구성시에는 직사각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여 결합의 어려움이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교체의 용이성도 확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넌슬립패드(140)는 사용자의 피부접촉과정에서 무릎보조기의 회동유닛(100)부가 슬립되어 무릎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바닥측으로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 측면에 접촉시, 상기 제1결합고정부(200)와 제2결합고정부(400)가 피부측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회동에 따른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움직임과 대퇴부, 종아리의 위치변동에 따른 접촉마찰에 의한 피부손상과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과 대퇴부측을 가압하여 교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에서 무릎측이 바깥쪽으로 굽어진 형태로 양쪽 무릎이 서로 맞닿지 않기 때문에 대퇴부측에서 무릎이 인체의 중심 수직선상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반대인 외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부의 가랑이측에서 무릎이 맞닿은 외측으로 가압하여 외반슬 환자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내외반슬 환자에 따라 제1탄성지지부재(200)가 결합되는 대퇴부측의 착용부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착용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상기 회동유닛(100)의 상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대퇴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2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된다.
상기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과 종아리측을 가압하여 교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측에서 종아리측이 바깥쪽으로 굽어진 형태로 양쪽 무릎이 서로 맞닿지 않기 때문에 종아리측에서 무릎이 인체의 중심 수직선상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반대인 외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아리가 무릎이 맞닿은 외측으로 휘어있어 무릎을 기준으로 종아리측을 가압하여 외반슬 환자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내외반슬 환자에 따라 앞서 설명한 제1탄성지지부재(200)가 결합되는 대퇴부측의 착용부위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착용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과 같이 제2탄성지지부재(400) 역시 내외반슬 환자에 따라 다리의 내측과 외측의 착용부분을 선택하여 교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지지부재(400) 역시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같이 상기 회동유닛(100)의 위치만 다를 뿐 회동유닛의 하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종아리에 결합고정되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4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하향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종아리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탄성변형 후, 원상복원되는 스프링강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되, 와이어 형상,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와이어 형상으로 구성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술한 제1결합고정부(120)와 제2결합고정부(130)의 형상이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판 형상으로 구성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결합고정부(120,130)는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회동유닛(100) 사이,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회동유닛(100) 사이에는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고,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유동형 커프밴드(300)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동형 커프밴드(300)는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따른 대퇴부 길이와 종아리 길이에 따라 범용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함께 착용감과 유동에 따른 흘러내림이 발생되어 회동유닛(100)의 위치변동이 발생됨에 따른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에 의한 가압력이 내외반슬 환자의 교정 위치를 벗어난 작용으로 인한 불교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력부재(600)는 앞서 상술한 제1, 2탄성지지부재(200,400)에 의한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교정을 위한 탄성변형에 따른 원상복귀에 따른 가압력과 상호작용하여 보다 빠른 다리교정과 더불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교정에 따른 탄성변형도에 따라 원상복귀되려는 탄성력에 반비례로 가압력이 자동조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동유닛(100)의 외측 일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마주보며 동일 극성의 자력에 의한 밀어내는 반발력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이 서로마주보며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하단과 제2탄성지지부재의 상단을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측으로 계속적으로 밀어내거나 끌어 당겨 제1, 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의 원상복귀에 따른 가압력 저하를 방지하여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자력부재(6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반슬(오다리) 환자의 경우 대퇴부와 종아리의 휨정도에 따라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탄성변형된다. 이 때, 동일극성을 가진 자력부재(600)는 교정과정으로 내반슬 다리의 휨정도가 개선되거나 보행 및 무릎을 구부리는 과정에서 제1,2탄성지지부재의 탄성변형량이 줄어들게 되면 자력부재의 반발력이 제1, 2 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상호작용에 따른 가압 작용이 내반슬 다리의 개선된 휨정도에 최대로 발휘하여 빠른 교정과 착용시 다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내반슬 환자의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즉, 교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다리의 휨정도가 교정에 의해 개선됨에 따라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따른 원상복귀되려는 가압력은 교정되고 있는 다리의 휨정도에 따라 작아지면 적절한 가압력이 인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자력부재에 의한 동일극성간의 반발력을 통해 교정에 의한 개선에 따른 다리의 휨 정도보다 가압력이 크게 인가되도록 하면서 내반슬환자의 다리에 교정을 위한 적정 가압력으로 자력부재의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 만으로도 적정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착용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내반슬환자의 보행과정이나 정지한 과정에서 교정에 따른 순간적 헐거움으로 인한 이탈을 자력부재(600)의 동일 극성간의 거리가 까가워짐에 따라 이를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1) 내반슬 환자(오다리 유형)는 대퇴부와 종아리가 바깥쪽으로 벌어져 양쪽 무릎이 서로 닿지 못하는 것.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유닛(100)이 무릎의 바깥측으로 위치시킨 후,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상, 하단에 구성된 제1,2고정형 커프밴드(210,410)를 각각 대퇴부 상측과 종아리 하측으로 고정결합한다. 이후, 보다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동형 커프밴드(300)를 회동유닛(100)이 하향 이탈 내지는 상향 이탈되지 않고 정확히 무릎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감과 보행과정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대퇴부와 무릎사이, 종아리와 무릎사이에서 적정한 위치로 상하이동하여 결합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내반슬 환자의 좌우 양쪽 다리의 바깥측으로 회동유닛(100)과 제1,2탄성지지부재(200, 400), 회동유닛의 바깥측 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동일극성의 자석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내반슬 환자의 다리에 착용이 완료되면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와 회동유닛의 제1결합고정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무릎간의 수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대퇴부와 무릎 외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변형되고,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와 회동유닛의 제2결합고정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반슬 환자의 무릎과 종아리간의 수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무릎과 종아리 외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변형된다.
이후, 대퇴부와 종아리측에 제1,2고정형 커프밴드(210,410)에 의해 고정된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대퇴부측 상측,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종아리측 하측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유닛측을 탄성변형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수직선상의 최초상태로 원상회복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무릎과 무릎이 맞닿는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자력부재(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며 반발력이 작용되는 데, 서로 마주보는 사이거리가 가장 먼 상태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력에 상호작용하는 자력부재의 반발력은 최소로 작용하게 되어 온전히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가압력만이 무릎에 가해지게 된다. 이후, 내반슬 환자의 교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다리의 휨정도가 완화되면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이 줄어들게 되어 가압력에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자력부재(600)의 동일 극성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이 발발력에 의해 확대되고, 이에 따라 다리 교정에 따른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따른 가압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빠른 다리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2) 외반슬 환자(안장다리 유형)는 무릎이 서로 과도하게 맞닿으면서 발이 바깥측으로 위치되어 대퇴부와 종아리가 가랑이측 내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보행과정에서 무릎이 스치면서 보행되는 것.
앞서 상술한 내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다리의 바깥측에 착용하여 교정하지만 외반슬 환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과 무릎이 서로 맞닿는 면인 다리의 내측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회동유닛(100)이 무릎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후,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상, 하단에 구성된 제1,2고정형 커프밴드(210,410)를 각각 대퇴부 상측과 종아리 하측으로 고정결합한다. 이후, 보다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동형 커프밴드(300)를 회동유닛(100)이 하향 이탈 내지는 상향 이탈되지 않고 정확히 무릎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감과 보행과정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대퇴부와 무릎사이, 종아리와 무릎사이에서 적정한 위치로 상하이동하여 결합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외반슬 환자의 좌우 양쪽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회동유닛(100)과 제1,2탄성지지부재(200, 400), 무릎 내측으로 설치된 회동유닛의 바깥측 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동일극성의 자석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외반슬 환자의 다리에 착용이 완료되면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와 회동유닛의 제1결합고정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무릎간의 수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대퇴부와 무릎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변형되고,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와 회동유닛의 제2결합고정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반슬 환자의 무릎과 종아리간의 수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무릎과 종아리 내측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변형된다.
이후, 대퇴부와 종아리측에 제1,2고정형 커프밴드(210,410)에 의해 고정된 제1탄성지지부재(200)는 대퇴부측 상측,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종아리측 하측이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유닛측을 탄성변형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가 수직선상의 최초상태로 원상회복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무릎 외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자력부재(600)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며 반발력이 작용되는 데, 서로 마주보는 사이 거리는 앞서 상술한 내반슬 환자의 휨정도와 유사하게 가장 먼 상태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력에 상호작용하는 자력부재의 반발력은 최소로 작용하게 되어 이 역시 온전하게 제1,2 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된다. 이후, 외반슬 환자의 교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다리의 휨정도가 완화되면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이 줄어들게 되어 가압력에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자력부재(600)의 동일 극성에 의한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이 발발력에 의해 확대되고, 이에 따라 다리 교정에 따른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따른 가압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빠른 다리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자력부재(600)는 내외반슬 환자의 교정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변형된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변형량이 복귀되면서 줄어들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무릎보조기의 헐거움에 따른 위치변동이나 보행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무플보조기의 위치변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선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동일하고 균일된 압력으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교정을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실시예 2>
앞서 상술한 <실시예 1>은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의 휨 특성에 따라 다리의 바깥측과 내측으로 구분하여 선택적 착용하도록 설명한 것이지만 자력부재(600)의 극성을 동일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지 않고, 서로 다른 극성을 회동유닛(100)측에 서로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자력부재(600)간에 자력에 의한 끌림현상으로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교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부재(600)를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내반슬 환자의 경우 회동유닛(100) 측의 제1, 2탄성지지부재(200,400)를 회동유닛(100) 측으로 끌어당기게 되기 때문에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는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과 자력부재의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해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종아리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 때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한 다리교정은 앞서 동일극성일 때와는 반대 방향인 다리 내측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한다.
즉, 내반슬 환자의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다리의 휨이 발생하여 오다리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를 착용하여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과 자력부재(600)의 서로다른 극성간의 끌어당기는 자력을 통해 오다리로 휘어있는 다리를 내측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교정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외반슬환자의 경우에는 안쪽으로 다리가 휘어 있는 안장다리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무릎보조기를 다리 바깥측으로 착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과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해 휜 다리를 외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통해 다리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도 자력부재(600)는 다리 교정이 진행되어 제1,2탄성지지부재(200,400)의 탄성복원력의 힘이 떨어지게 될 수록 자력부재간의 거리는 가까워지게 됨에 따라 잡아당기는 자력이 상호작용되어 지속적인 당김력이 발생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교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2를 결합하여 좌우 다리의 각각의 다리 내외측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더욱 빠른 다리 교정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내반슬 환자는 앞서 상술한 실시예1의 무릎보조기의 동일극성의 자력부재(600)가 부착된 무릎보조기를 다리 외측으로 착용하고, 실시예 2의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부재(600)가 부착된 무릎보조기를 다리 내측으로 착용하여 빠른 교정효과를 볼 수 있고, 외반슬 환자는 실시예1의 무릎보조기의 동일극성의 자력부재(600)가 부착된 무릎보조기를 다리 내측으로 착용하고, 실시예 2의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부재(600)가 부착된 무릎보조기를 다리 외측으로 착용하여 빠른 교정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회동유닛 110 : 회동조절판
112 : 하부 원형편 114 : 상부 원형편
116 : 회동조절축 120 : 제1결합고정부
130 : 제2결합고정부 140 : 넌슬립패드
200 : 제1탄성지지부재 210 : 제1고정형 커프밴드
300 : 유동형 커프밴드 400 : 제2탄성지지부재llll
410 : 제2고정형 커프밴드 600 : 자력부재
L :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Claims (7)

  1. 내반슬(오다리) 또는 외반슬(안장다리)환자의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바깥측으로 설치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 측인 내측으로 설치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를 교정하도록 마련된 다리교정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다리교정 무릎보조기(L)는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사이의 무릎의 움직임에 따른 각도로 회동하는 회동유닛(100)과;
    상기 회동유닛(100)의 상측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대퇴부에 결합고정되는 제1고정형 커프밴드(2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대퇴부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상기 회동유닛의(100) 하측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 종아리에 결합고정되는 제2고정형 커프밴드(410)가 마련되며, 수직으로 하향기립 형성되어 내외반슬 환자의 종아리의 휨 각도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회동유닛(100)의 외측 일면에 서로마주보며 동일 극성의 자력에 의한 밀어내는 반발력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이 서로마주보며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회동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의 하단과 제2탄성지지부재의 상단을 내외반슬 환자의 다리측으로 계속적으로 밀어내거나 끌어 당기도록 마련된 자력부재(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100)은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이 중첩되어 결합되고,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 중앙에 축결합되어 하부 원형편 상에서 상부 원형편이 자유회동 내지는 회동 구속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동조절축(116)이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원형편의 회동각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회동조절판(110)과;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일측으로 제1탄성지지부재(2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결합고정부(120)와;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상부 원형편(114)의 일측으로 제2탄성지지부재(400)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결합고정부(130)와;
    상기 회동조절판(110)의 하부 원형편(112)의 바닥측으로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 측면에 접촉시, 상기 제1결합고정부(200)와 제2결합고정부(400)가 피부측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회동에 따른 내외반슬 환자의 무릎움직임과 대퇴부, 종아리의 위치변동에 따른 접촉마찰에 의한 피부손상과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넌슬립패드(1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형편(112)과 상부 원형편(114)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고정부(120)와 제2결합고정부(130)는 원형의 파이프형태 또는 직사각형상의 파이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제2탄성지지부재(400)는 탄성변형 후, 원상복원되는 스프링강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되,
    와이어 형상, 판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지지부재(200)와 회동유닛(100) 사이, 제2탄성지지부재(400)와 회동유닛(100) 사이에는 대퇴부와 종아리측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고, 제1탄성지지부재와 회동유닛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유동형 커프밴드(3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600)가 제1, 2탄성지지부재(200,400)가 결합된 회동유닛(100)의 일면에 결합시, 동일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외측으로 착용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착용하며,
    다른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 내반슬 환자는 다리의 가랑이측 내측으로 착용하고, 외반슬 환자는 다리의 외측으로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100)과 제1탄성지지부재(200), 제2탄성지지부재(400), 자력부재(600)는 내외반슬 환자의 좌우측 다리 각각의 무릎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은 다리의 외측으로 또 다른 한 측은 가랑이측 내측으로 접촉결합되도록 대칭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KR1020210132256A 2021-10-06 2021-10-06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KR20230049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56A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1-10-06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56A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1-10-06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00A true KR20230049300A (ko) 2023-04-13

Family

ID=8597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56A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1-10-06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3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9718A (zh) * 2023-08-07 2023-10-13 西南交通大学 一种膝关节卸载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084A (ko) 2009-04-02 2010-10-12 류실근 무릎보조기
KR20110026543A (ko) 2009-09-08 2011-03-16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KR20140143997A (ko) 2013-06-10 2014-12-1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KR101848640B1 (ko) 2017-04-14 2018-04-16 송동호 내외반슬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084A (ko) 2009-04-02 2010-10-12 류실근 무릎보조기
KR20110026543A (ko) 2009-09-08 2011-03-16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조기
KR20140143997A (ko) 2013-06-10 2014-12-1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KR101848640B1 (ko) 2017-04-14 2018-04-16 송동호 내외반슬 교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9718A (zh) * 2023-08-07 2023-10-13 西南交通大学 一种膝关节卸载支架
CN116869718B (zh) * 2023-08-07 2024-01-02 西南交通大学 一种膝关节卸载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074B1 (ko)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KR101496683B1 (ko)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US10898403B2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JP2016059763A (ja) 下肢動作支援装置
US20200253774A1 (en) Ankle Brace or Ankle Exoskeleton
JP5189714B2 (ja) 膝装具及び外脚側ジョイント及び内脚側ジョイントのセット
CN111938890B (zh) 一种膝关节内外翻调整矫形器
KR20160024012A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CN112603759B (zh) 一种用于下肢截瘫患者的外骨骼机器人
KR102183496B1 (ko)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무릎보조기
WO2014121282A1 (en) Brace for unloading of medial or lateral joint
KR20230049300A (ko)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KR20120126326A (ko)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KR102071611B1 (ko) 발목 근력 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US20140336553A1 (en) Active knee orthosis
KR102017518B1 (ko) 관절 보조장치
KR20010067956A (ko)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JP6595965B2 (ja) 歩行支援装具
CN213157486U (zh) 一种可穿戴式中风患者下肢辅助行走助力装置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102100146B1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KR200382803Y1 (ko)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