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877B1 -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877B1
KR101882877B1 KR1020180028164A KR20180028164A KR101882877B1 KR 101882877 B1 KR101882877 B1 KR 101882877B1 KR 1020180028164 A KR1020180028164 A KR 1020180028164A KR 20180028164 A KR20180028164 A KR 20180028164A KR 101882877 B1 KR101882877 B1 KR 10188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ype
knee
support units
c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범
Original Assignee
김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범 filed Critical 김웅범
Priority to KR102018002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관절체를 통하여 연결되고 하드타입 지지부와 소프트 타입 지지부를 각각 갖는 허벅지 지지체 및 종아리 지지체로 구성되며, 무엇보다도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를 통하여 보조장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나아가 무릎 역접힘 방지형 스윙부를 구비한 무릎 관절체를 통하여 기형 관절로 인한 보행 불편을 최소화한 무릎 역접힘 방지 및 이탈방지형, 특히 백니(back-knee)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는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와, 이 제1-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허벅지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허벅지 지지체; 종아리 후방용 하드타입 제2-1지지부와, 이 제2-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종아리 전방용 소프트타입 제2-2지지부를 포함하는 종아리 지지체; 제1-1지지부 및 제2-1지지부 각각의 양측에 구비된 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관절링크와, 이 관절링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윙부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체; 및 상기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WALK}
본 발명은 장애우를 위한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릎 관절체를 통하여 연결되고 하드타입 지지부와 소프트 타입 지지부를 각각 갖는 허벅지 지지체 및 종아리 지지체로 구성되며, 무엇보다도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를 통하여 보조장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나아가 무릎 역접힘 방지형 스윙부를 구비한 무릎 관절체를 통하여 기형 관절로 인한 보행 불편을 최소화한 무릎 역접힘 방지 및 이탈방지형, 특히 백니(back-knee)용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아마비 환자 등을 위한 보행 보조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0408747호(등록일자 2003년11월26일)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 즉 골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무릎 관절을 내반 또는 외반으로 교정할 수 있는 보조기 또는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릎 보조기가 환자의 무릎 관절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특히 다리가 신장되는 동안 환자의 다리에 부착된 대퇴 커프(cuff) 및 경골 커프에 교정력을 공급하는 특별한 힌지부를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4-0044874호(공개일자 2014년04월15일) [체중-지지 관절 조인트들의 가동성 안정화, 개선 및 연골 기질 열화 조절 장치 및 방법]이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퇴행성 관절염 및 골관절염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체중 지지 관절 조인트들의 가동성 안정화, 개선, 및 연골 기질 열화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감염된 관절 조인트의 윤활액의 품질 및/또는 가동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고, 여기서 조인트는 자연 신경 충동에 의해 회복된 경우 운동 범위를 통해 조인트의 가동성을 달성하기 위해 대항 관계를 각각 가지는 적어도 제1 근육 그룹 및 적어도 제2 근육 그룹과 관련된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적어도 제1 채널 및 적어도 제2 채널을 통해 다상 패턴으로 모터-레벨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전자-의료 디바이스 - 다상 패턴은 전자-의료 디바이스에 프로그래밍되고 조인트의 근전계의 시퀀스에 대응하고; 전자-의료 디바이스의 적어도 제1채널에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 -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은 적어도 제1 근육 그룹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전자-의료 디바이스의 적어도 제2 채널에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 -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은 적어도 제2 근육 그룹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 및 적어도 2개의 제1 전극들 및 적어도 2개의 제2 전극들이 애플리케이터와 관절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절 세그먼트 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터는 또한 감염된 조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구획상의 압축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실용신안등록 제20-0455208호(등록일자 2011년08월17일) [무릎 지지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무릎관절이 약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허벅지와 종아리부분에 각각 착용대를 착용함으로써 앉았다가 일어설 때 상/하부 착용대에 연결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의 텐션작용에 의해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며 무릎관절이 약한 사용자의 앉았다가 일어서는 동작이 무리 없이 진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무릎관절의 굽히고 펼침 동작이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릎을 완전히 구부림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틀림스프링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비틀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무릎 지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2-0126326호(공개일자 2012년11월21일)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무릎의 내반 또는 외반을 교정하여 치료하기 위한 무릎 보조기에 [0001]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릎 보조기가 무릎 관절의 꺾이는 방향으로의 굴절각을 조절함으로써 무릎 부상 환자나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무릎에 미치는 통증을 완화하고 보행을 보조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리의 양측 슬관절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휜 내반슬 또는 외반슬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의 교정 상태에 따라 교정 각도를 수시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무릎 보조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 보행 보조장치는 착용을 한 소아마비 환자 등의 장애우가 통상적인 활동시에도 자중으로 인한 흘러내림이 발생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는 바,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드타입 지지부와 소프트 타입 지지부를 각각 갖는 허벅지 지지체 및 종아리 지지체로 구성되며, 각 지지체는 스윙부를 구비한 무릎 관절체로 연결되어 구성됨에 있어, 밀착을 위한 지지부 중 일부 또는 모두에 마찰패드를 도입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에서 일상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정확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도록 한 이탈방지형, 특히 백니(back-knee)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허벅지결합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슬리브에 구비된 제1패드를 포함하여 착용 편리성은 물론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로 인한 마찰 및 압박 통증 발생까지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아리 지지체의 제2-1 지지부에 마찰패드로서 제2패드를 도입하고, 특히 이 제2패드는 벨크로 테이프 타입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탁까지 용이하도록 한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무릎 관절체를 구성하고 스윙부에 의하여 연결된 상하 제1 및 제2 관절링크의 일부 또는 모두에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를 더 도입하여 결속특성을 강화하고, 여기에 마찰패드로 제3패드를 더 도입하여 착용감 향상과 흘러내림 방지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는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와, 이 제1-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허벅지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허벅지 지지체;
종아리 후방용 하드타입 제2-1지지부와, 이 제2-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종아리 전방용 소프트타입 제2-2지지부를 포함하는 종아리 지지체;
제1-1지지부 및 제2-1지지부 각각의 양측에 구비된 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관절링크와, 이 관절링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윙부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체; 및
상기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에서
허벅지결합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슬리브에 구비된 제1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제2-1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제2패드를 포함하고,
제1 또는 제2 관절링크에는 관절링크 쌍의 양측에 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이 고리에는 조임 역할을 하는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제3지지부에 구비된 제3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는 하드타입 지지부와 소프트 타입 지지부를 각각 갖는 허벅지 지지체 및 종아리 지지체로 구성되며, 각 지지체는 스윙부를 구비한 무릎 관절체로 연결되어 구성됨에 있어, 밀착을 위한 지지부 중 일부 또는 모두에 마찰패드를 도입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에서 일상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정확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고, 또 허벅지결합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슬리브에 구비된 제1패드를 포함하여 착용 편리성은 물론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로 인한 마찰 및 압박 통증 발생까지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종아리 지지체의 제2-1 지지부에 마찰패드로서 제2패드를 도입하고, 특히 이 제2패드는 벨크로 테이프 타입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탁까지 용이하며, 아울러 무릎 관절체를 구성하고 스윙부에 의하여 연결된 상하 제1 및 제2 관절링크의 일부 또는 모두에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를 더 도입하여 결속특성을 강화하고, 여기에 마찰패드로 제3패드를 더 도입하여 착용감 향상과 흘러내림 방지가 동시에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무릎 역접힘 방지형 스윙부를 구비한 무릎 관절체를 통하여 기형 관절로 인한 보행 불편을 최소화한 무릎 역접힘 방지 및 이탈방지형, 특히 백니(back-knee)용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의 착용상태와 관련된 도면 대용 사진.
도 2 및 도 3은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의 도면 대용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본 보조장치를 우측 다리에 착용한 상태 및 신체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A]의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A)의 우측 다리 착용 상태의 측면 사진, 도 1 [B]의 슬리브(50) 착용상태의 측면사진(보조장치의 본격 착용전에 착용함). 도 2 [A]의 보조장치 전면 사진, 도 2 [B]의 보조장치 착용 상태의 정면 사진, 도 3 [A] 및 [B]의 보조장치 배면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A)는 무릎 관절체(30)를 통하여 연결되고 하드타입 지지부와 소프트 타입 지지부를 각각 갖는 허벅지 지지체(10) 및 종아리 지지체(20)로 구성되며, 무엇보다도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40)를 통하여 보조장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의 불편함이 없도록 함에 그 기술 핵심이 있다.
구체적으로 허벅지 지지체(10)는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10h)와, 이 제1-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11r)(도 1 [A] 참조)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허벅지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10s)로 구성된다.
하드타입 제1-1지지부(10h)는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맞춤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하드 외피와 착용자 신체 보호를 위한 쿠션형 소프트 내피로 구성된다.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10s)의 일단은 제1-1지지부(10h)의 일측(좌측)에 구비된 고리(11r)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타측(우측) 고리에 끼워져 조임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조임 완료 상태는 밴드 타입 제1-2 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암수(루프(loop) 및 후크(hook)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의 부착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종아리 지지체(20)는 종아리 후방용 하드타입 제2-1지지부와(20h), 이 제2-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21r)(도 3 [B] 참조)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종아리 전방용 소프트타입 제2-2지지부(20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드타입 제2-1지지부(20h)는 역시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맞춤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하드 외피와 착용자 신체 보호를 위한 쿠션형 소프트 내피로 구성된다.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20s) 역시 일단은 제2-1지지부(20h)의 일측(좌측)에 구비된 고리(21r)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타측(우측) 고리에 끼워져 조임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조임 완료 상태는 밴드 타입 제2-2 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암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의 부착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무릎 관절체(30)는 제1-1지지부(10h) 및 제2-1지지부(20h) 각각의 양측에 구비된 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관절링크(31)(33)와, 이 관절링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윙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관절링크(31)(33)는 강도 및 경량성 보장을 위하여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 경량 합금 또는 특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부(35)는 도 1 [A]에서와 같이, 제1관절링크(31) 하단에서 뒤로 절곡되어 두텁살을 형성하여 제1스토퍼(35a)를 구성하고, 또 제2관절링크(33) 상단에서 역시 뒤로 절곡되어 두텁살을 형성하여 제2스토퍼(35b)를 형성하며, 가위와 같이 상호 엇물리는 제1 및 제2 스토퍼(35a,35b)는 축핀(35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착용시 무릎을 편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토퍼(35a,35b)의 두텁살이 맞닿아 더 이상 접히는 것(도 1 [B]의 상태)을 방지하게 되어 무릎이 뒤로 과도하게 꺾이는 소위 백니(back-knee)용(백니 보정용)으로 보정하는 효과(도 1 [A]의 상태로 보정됨)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결국 무릎 역접힘 방지 및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조적으로 조임 역할을 하는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30s)를 더 도입하여 결속특성을 강화하고 있다.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30s)는 역시 밴드 타입으로 제1관절링크(31) 쌍 중 좌측 관절링크에 구비된 고리(30r)(도 3 [A] 참조)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타측(우측) 고리에 끼워져 조임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조임 완료 상태는 역시 밴드 타입 제3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의 부착으로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제3지지부는 제2관절링크(33)에도 구비되거나, 제1 및 제2 관절링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장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착용 상태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A)의 핵심을 이루는 마찰패드(40)를 설명한다.
본 마찰패드(40)는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며,
그 소재는 저항감이 큰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이나 기타 고무, 발포 합성수지, 또는 스웨이드 소재 등 저항감을 갖는 직물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마찰패드(40)를 구성하는 제1패드(41)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A)가 허벅지결합 슬리브(50)(도 1 [B] 참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는 이 슬리브(50)에 구비된다.
이 제1패드의 형태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마찰패드가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다'는 것은 지지부에 대하여 탈착형이나 고정형뿐 아니라, 접촉형(제1패드) 패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슬리브(50)는 탄성을 가져 신체 치수 변화와 무관하게 착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패드는 쿠션형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인 제1패드(41)와 접촉하는 제1-1지지부(10h)의 내면에는 도 3 [A]에서와 같이 반복된 요철이 형성된 패드, 특히 후크(hook) 타입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된 저항패드(41v)가 구비되어 있어, 착용 상태에서 저항패드(41v)의 후크 요철이 제1패드(41)에 박혀 흘러내림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저항패드(41v)의 크기는 제1패드(41)의 크기보다 작고, 착용시 제1패드 영역 내에 저항패드가 배열되어 후크로 인하여 의류나 슬리브(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찰패드(40)는 하드 타입 제2-1지지부(20h) 내측에 구비된 제2패드(43)를 더 포함하며,
특히 이 제2패드는 벨크로 테이프 타입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탁까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3 [B]에서는 이 벨크로 테이프(43v)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지지부(20h) 내측에 고정된 벨크로 테이프(43v)는 루프 타입이고, 제2패드(43)에 구비된 벨크로 테이프는 후크 타입이어서 의류나 신체의 손상 또는 상해를 방지하며,
루프 타입의 크기가 더 작고 후크 타입의 크기가 더 크고, 착용시 루프 타입 패드 영역 내에 후크 타입 패드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마찰패드(40) 중 제3패드(45)는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30s)에도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3지지부 역시 필요에 따라 탈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패드(47)는 소프트타입 제2-2지지부(20s)에 구비되며, 역시 탈착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마찰패드는 착용한 보행 보조장치(A)의 흘러내림 방지를 통한 정위치 유지, 즉 이탈방지 효과를 도모하고, 나아가 특유의 쿠션 소재로 인하여 신외 장비 착용시 발생되는 압박 통증이나 신체 상해 발생까지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장애우 각각의 환부 및 장애 정도, 이에 따른 보행 보조장치의 미세한 조절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보행 보조장치 10: 허벅지 지지체
20: 종아리 지지체 30: 무릎 관절체
40,41,43,45,47: 마찰패드

Claims (4)

  1. 허벅지 전방용 하드타입 제1-1지지부와, 이 제1-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허벅지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허벅지 지지체;
    종아리 후방용 하드타입 제2-1지지부와, 이 제2-1지지부 양측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되어 조임 역할을 하는 종아리 전방용 소프트타입 제2-2지지부를 포함하는 종아리 지지체;
    제1-1지지부 및 제2-1지지부 각각의 양측에 구비된 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관절링크와, 이 관절링크의 단부에 구비된 스윙부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체; 및
    상기 지지부의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된 마찰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허벅지결합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슬리브에 구비된 제1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제2-1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관절링크에는 관절링크 쌍의 양측에 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이 고리에는 조임 역할을 하는 후방용 소프트타입 제3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마찰패드는 이 제3지지부에 구비된 제3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4. 삭제
KR1020180028164A 2018-03-09 2018-03-09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10188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64A KR101882877B1 (ko) 2018-03-09 2018-03-09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64A KR101882877B1 (ko) 2018-03-09 2018-03-09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877B1 true KR101882877B1 (ko) 2018-07-30

Family

ID=6304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64A KR101882877B1 (ko) 2018-03-09 2018-03-09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1321A (zh) * 2020-12-03 2021-03-09 张琳 一种中医骨科下肢骨折辅助行走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185A (en) * 1993-11-08 1995-02-07 Aircast, Incorporated Knee immobilizer splint
JP2000005247A (ja) * 1998-06-19 2000-01-11 Tamotsu Sakishin 膝装具
JP2002011028A (ja) * 2000-06-30 2002-01-15 Tamotsu Sakishin 関節装具
KR200408533Y1 (ko) * 2005-11-29 2006-02-13 바이오메카닉스 (주) 다리교정장치
US20150366696A1 (en) * 2011-10-31 2015-12-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185A (en) * 1993-11-08 1995-02-07 Aircast, Incorporated Knee immobilizer splint
JP2000005247A (ja) * 1998-06-19 2000-01-11 Tamotsu Sakishin 膝装具
JP2002011028A (ja) * 2000-06-30 2002-01-15 Tamotsu Sakishin 関節装具
KR200408533Y1 (ko) * 2005-11-29 2006-02-13 바이오메카닉스 (주) 다리교정장치
US20150366696A1 (en) * 2011-10-31 2015-12-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1321A (zh) * 2020-12-03 2021-03-09 张琳 一种中医骨科下肢骨折辅助行走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527B2 (en) Orthotic device and segmented liner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US6945945B2 (en) Flaccid upper extremity positioning apparatus
US4370976A (en) Dynamic foam orthosis
US10898403B2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WO2016004855A1 (zh) 膝关节矫形器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JP4131873B2 (ja) 身体補装具
CA2951238A1 (en) Triple flexion device
EP1302184A1 (en) Joint brace for the control and the regulation of the knee joint bending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US20060124162A1 (en) Orthopedic device
KR101566986B1 (ko) 전방쏠림 방지형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JPH01214361A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CN211067240U (zh) 一种足下垂矫正裤
KR20230049300A (ko)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KR101486014B1 (ko)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CN209573370U (zh) 一种足内翻矫正鞋
JP2005168532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KR200382803Y1 (ko)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