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40B1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내외반슬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40B1
KR101848640B1 KR1020170048294A KR20170048294A KR101848640B1 KR 101848640 B1 KR101848640 B1 KR 101848640B1 KR 1020170048294 A KR1020170048294 A KR 1020170048294A KR 20170048294 A KR20170048294 A KR 20170048294A KR 101848640 B1 KR101848640 B1 KR 10184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upport frame
leg
legs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한
송동호
송진욱
Original Assignee
송동호
송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호, 송진욱 filed Critical 송동호
Priority to KR102017004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40B1/ko
Priority to JP2019507909A priority patent/JP6739625B2/ja
Priority to PCT/KR2018/004092 priority patent/WO2018190580A1/ko
Priority to CN201880002975.4A priority patent/CN109640895A/zh
Priority to US16/322,517 priority patent/US107024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비골을 회전시켜 내반슬(O자형 다리)과 외반슬(X자형 다리)을 교정하며, 착용 후 보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외반슬 교정 장치{CORRECTING DEVICE FOR ANGULAR DEFORMITY}
본 발명은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비골을 회전시켜 내반슬(O자형 다리)과 외반슬(X자형 다리)을 교정하며, 착용 후 보행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슬관절의 이상에 의한 내반슬(O자형 다리)과 외반슬(X자형 다리)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슬관절은 대퇴골의 하단과 경골의 상단 및 슬개골의 후면, 세부분의 뼈 사이에 있는 관절로서, 구루병, 골연화증, 연골성장장애, 내분비 이상, 굽은 자세, 편식, 영양불균형, 운동 부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상기 슬관절에 이상이 생겨 다리가 내측이나 외측으로 휘는 것을 일컬어 휜다리라고 하며, 상기 휜다리는 내반슬과 외반슬을 포함한다.
내반슬은 슬관절에서 무릎이 외측으로 활 모양으로 휜 것을 내반슬이라 하는데 대퇴의 해부학적 축과 경골의 해부학적 축이 서로 만나 이루는 각도가 180도 이상이 된다. 상기 내반슬은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서로 붙지 않고 O자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흔히 안짱다리 또는 O자형 다리라고 하며, 내반슬은 외반슬과 정반대가 되는 하지변형으로 양측성이다.
내반슬은 대개 발목에서 내과골을 서로 밀착시켜 무릎에서 간격이 벌어지는 슬관절 간 거리가 5cm 이상인 경우에는 중증 변형으로서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내반슬형 다리는 각선미를 좋지 않게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보행장애와 만성피로, 척추변형, 노화, 요통, 신경통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리의 변형이 점점 더 심해지면서 척추, 골반을 비롯한 전체적인 구조 변형을 가속화시켜 노화를 촉진하고 관절염이나 요통 디스크 등의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내반슬형 다리를 가진 사람의 공통적인 증상은 피로감을 쉽게 느끼며 오래 걷지 못하는 것인데, 간혹 양쪽 무릎관절이 저리는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한편, 외반슬은 하지가 무릎관절에서 밖으로 굴곡 된 상태, 즉, 슬관절에서 무릎이 활 모양으로 휜 것을 말하는데 하지의 휜 모양이 알파벳 X와 비슷하여, X자형 다리라고 불린다. 대퇴의 해부학적 축과 경골의 해부학적 축이 만나는 각도가 165도보다 작은 경우 외반슬로 간주한다. 외반슬을 쉽게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발목이나 무릎을 붙이고 바로 섰을 때, 발목과 발목의 간격이 2~3 cm이상 되면 외반슬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이러한 내반슬이나 외반슬 증상, 즉, 다리가 휘는 증상은 잘못된 보행습관, 발바닥 한쪽으로 지지하는 자세를 자주 하는 경우, 다리를 꼬고 앉는 등과 같은 나쁜 자세에서 비롯되며, 잘못된 자세를 지속하면 근밸런스 혹은 유연성의 균형이 무너져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등에 왜곡이 발생한다.
또한, 뼈를 형성하는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다리가 휘기도 한다. 비타민D는 신체가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형성되는데, 청소년의 경우 아침 일찍 등교하여 밤늦게 하교하는 경우가 많아 비타민 D가 생성될 기회가 부족하고, 이는 곧 뼈의 건강을 약화시켜 휜 다리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내반슬(O자형다리)과 외반슬(X자형다리) 모두 유전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내반슬과 외반슬은 방치하였을 경우 모두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하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다리가 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크게 운동기계 질환, 내과적 질환, 정신과적 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운동기계 질환은 하지의 내방만곡 및 요추 만곡의 소실 등 신체 근골격 구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중 전달의 편중에 의한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 변형, 족저부위 통증, 족장 각화증, 모지외반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이 발생하면 쉽게 피로해지고 체력이 저하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또한, 다리가 휘는 것은 연쇄적인 신체 구조 변화를 유발하므로 요통이나 디스크, 좌골 신경통, 견비통, 어깨 결림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내반슬과 외반슬로 인해 발생 할 수 있는 내과적 질환으로는 척추 및 골반의 변화로 인한 소화기 질환, 위염, 위하수, 하복 냉증, 생리통, 생리불순, 심장병, 폐 질환, 피부질환, 두통, 뇌졸중 등이 있으며, 특히 양쪽 다리 길이가 차이가 나면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왼다리가 길 때에는 비뇨생식기의 질환이나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발생하기 쉽고 오른쪽 다리가 길 때에는 심장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 피부 질환 등이 발생하기 쉽다. 마지막으로 정신과적 질환으로는 외모에 대한 자신감 상실, 의기소침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내반슬과 외반슬은 방치하였을 경우 모두 2차적인 질환을 유발하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교정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내반슬과 외반슬(이하, 내외반슬)의 대부분의 경우 뼈나 관절의 내회전 또는 외회전 변형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회전 변형된 뼈나 관절을 원래의 상태로 역회전시켜 교정함으로써, 뼈의 배열을 바로잡아주어 다리를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뼈나 관절을 역회전시켜 내외반슬을 교정하는 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52480호(2014.01.17.)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휜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장 적절한 부분들을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하고 동시에 경비골을 회전시킴으로써, 종아리 부분의 뼈 자체의 휨 또는 두 무릎 관절이 벌어지는 것에 의한 내외반슬 모두에 교정의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309930호(2001.11.01.)는 경비골 역회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부 및 중앙부에 다리교정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발을 교정시키는 신발이 부착되어 있으며, 교정시 대퇴골과 고관절회전을 방지시키는 경비골(다리) 역회전 교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352480호 및 제10-0309930호에 기재된 기술구성은 모두 다리를 지지대하는 다리지지수단, 다리를 고정하는 다리고정수단 및 발을 고정하는 발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장치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지만, 모두 발을 고정하는 수단의 구조적 문제에 의하여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착용하였을 때 발을 바닥에 안정적으로 디딜 수 없고, 또한 발목의 굴신이 원활하지 않아 교정장치를 착용하여 보행하는 데 문제가 있었다.
한편, 미국특허 US 8968228 B2(2015.03.03.), US 8814815 B2(2014.08.26.) 및 미국특허공개공보 US 2016-0058595 A1(2016.03.03.)는 다리와 발을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발목 부분의 굴신이 가능한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앞서와 마찬가지로 다리를 고정하는 수단의 수평각도를 조절하는 기술 및 이에 관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뼈나 관절을 역회전시켜 내외반슬을 교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2480호(2014.01.17.) 등록특허공보 제10-0309930호(2001.11.01.) 미국특허 US 8968228 B2(2015.03.03.) 미국특허 US 8814815 B2(2014.08.26.) 미국특허공개공보 US 2016-0058595 A1(2016.03.03.)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내반슬(O자형 다리)과 외반슬(X자형 다리)을 교정하며,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발목의 굴신이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발을 바닥에 안정적으로 디딜 수 있는 교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있어서, 무릎위치와 발목 위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굴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하여 보행 또는 휴식시 무릎 부위 및 발목 부위를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있어서, 발을 고정하는 교정용 신발의 수평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경비골을 회전시켜 내반슬(O자형 다리)과 외반슬(X자형 다리)을 교정할 수 있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하기 다리 고정부 및 교정용 신발이 각각 설치되며, 다리의 상박 및 하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으며, 다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대 프레임;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다리 상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대퇴부 고정부,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무릎 고정부,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다리 하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종아리 고정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고정부; 및 상기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정용 신발;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뒷면, 옆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대 프레임은 다리 상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 및 다리 하박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 하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이들의 결합부는 무릎의 굴절각도에 맞춰 굽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무릎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대 프레임과 교정용 신발 사이에는 교정용 신발을 지지대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교정용 신발과 지지대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교정 신발 지지부의 수평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교정용 신발의 교정 각도를 조절하는 교정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교정 각도 조절부는 교정 신발의 교정 각도를 표시하는 교정 각도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은 각각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릎 굽힘부는 스프링, 와이어,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외부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굽힘이 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퇴부 고정부 및 종아리 고정부는 지지대 프레임에 설치 시 다리의 길이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은 다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리 고정부는 신발의 교정 각도 변화에 따라 다리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다리 측면을 지지하는 다리 수평 지지부; 및 상기 다리 수평 지지부를 다리 두께에 맞춰 다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고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는 발목의 상하 운동에 맞춰 굴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목 굽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다리 상박을 감싸서 고정한 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대퇴골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 교정할 수 있는 대퇴골 교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경우에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대퇴골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 각도 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가 대퇴골 교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상기 대퇴부 고정부에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회전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대퇴부 고정부가 대퇴골 교정부의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신발이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발목의 굴신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어, 이동의 용이함을 제공하며, 또한 이동시에 발을 바닥에 안정적으로 디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무릎위치와 발목 위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굴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하여 보행 또는 휴식시 무릎 부위 및 발목 부위를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는 부가적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무릎 및 발목 관절에 가동성을 가해 줌으로서 교정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다양한 예시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교정용 신발과 교정 각도 조절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서 다리 고정부의 위치 조절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교정 각도 표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대퇴골 교정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다양한 예시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장치(100)는 지지대 프레임(110), 다리 고정부(120),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은 상기 다리 고정부(120) 및 교정용 신발(130)이 각각 설치되며, 다리의 상박 및 하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상박과 하박 모두를 지지할 수 있으며, 다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리 상박”은 다리의 고관절에서 무릎 사이를 뜻하며, “다리 하박”은 무릎에서 발목 사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은 바람직하게는, 다리 상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과 다리 하박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 또는 이들의 결합부에는 무릎의 굴절각도에 맞춰 굽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무릎 굽힘부(114)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무릎을 굽히거나 피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무릎 굽힘부(114)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의 하단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의 상단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지지대 프레임과 하부지지대 프레임의 사이의 결합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상부지지대 프레임과 하부지지대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 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예컨대, 상기 무릎 굽힘부가 상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단부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상부지지대 프레임과 하부지지대 프레임은 별도로 이들 사이에 결합부를 가짐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무릎 굽힘부는 스프링, 와이어,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외부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굽힘이 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를 착용한 후 보행할 때 보행에 도움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교정장치의 초기의 상태는 무릎 굽힘부는 구부려지지 않고 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사용자가 서 있는 경우에 불필요한 힘을 줄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초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굽힘 상태를 유지하여 앉은 상태에서 착용을 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는 다리 고정부(120)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 고정부(120)는 고정되는 부위에 따라 대퇴부 고정부(121), 무릎 고정부(122), 종아리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볼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상기 대퇴부 고정부(121), 무릎 고정부(122), 종아리 고정부(12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고정부(120)의 각각의 구체적 구성과 기능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대퇴부 고정부(121)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무릎위쪽의 다리 상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종아리 고정부(123)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무릎 아래쪽의 다리 하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무릎 고정부(122)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무릎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무릎 고정부의 위치는 정확하게 무릎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대퇴부 고정부 또는 종아리 고정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대퇴부 고정부의 하부와 무릎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종아리 고정부와 무릎 사이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프레임이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대퇴부 고정부(121)는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에 연결되며, 상기 종아리 고정부(123)는 상기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릎 고정부(122)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대퇴부 고정부의 하부와 무릎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종아리 고정부와 무릎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에 연결될 수 있고, 무릎 고정부(122)가 무릎위치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의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다양한 예시적 구성에 대해 나타내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의 (a)는 대퇴부 고정부(121), 무릎 고정부(114),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2의 (b)는 대퇴부 고정부(121), 종아리 고정부(123),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2의 (c)는 대퇴부 고정부(121),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2의 (d)는 무릎 고정부(114), 종아리 고정부(123),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2의 (e)는 무릎 고정부(114),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2의 (f)는 종아리 고정부(123), 및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의 하부에 연결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정용 신발(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교정용 신발은 통상적으로 신발의 형상을 유지하되, 편의에 따라 신발의 윗부분의 일부가 개방되어 착용을 간편하게 할 수도 있고, 또한 신발 윗부분에 신발을 고정하기 위한 끈 또는 벨크로 타입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110)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130)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교정용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목이 수직방향으로의 굴신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경우에, 발을 고정하는 발고정수단이 ‘L’자 형태의 굴곡부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으로부터 발목부분을 거처 발바닥까지의 각도에 변화를 줄 수 없는 구조적 문제에 의하여 사용자가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보행시 발을 바닥에 안정적으로 디딜 수 없고, 또한 발목의 굴신이 원활하지 않아 교정장치를 착용하여 보행하는 데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110)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130)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으로부터 발목 부분까지를 지지하는 지지대 프레임이 교정용 신발의 밑면에 고정되어 연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은 신발의 최하부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만약에 신발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낮은 부분을 의미하며, 또한, 상기 신발의 최고높이는 통상적으로 신발을 바닥면에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두었을 때, 신발의 가장 높은 부분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교정용 신발이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대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교정용 신발에 닿는 지지대 프레임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 상기 교정용 신발(130)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110)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의 뒷면, 옆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를 착용하였을 때 안정적으로 지면을 디딜 수 있고, 보행 시 상기 교정용 신발(130)이 발목의 상하 운동에 맞춰 굴신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장치(100)내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과 교정용 신발(130) 사이에는 교정용 신발을 지지대 프레임(110)에 수평방향(지지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교정용 신발과 지지대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용 신발을 지지대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경우에 앞서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로 이는 상기 교정용 신발(130)의 뒷면, 옆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는 별도의 발목 굽힘부(1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정용 신발(130)이 발목의 상하 운동에 맞춰 굴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는 별도의 발목 굽힘부(1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의 (a)는 발목 굽힘부(160)가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의 발목의 굽힘 동작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발목 굽힘부(160)가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에 위치한 경우의 발목의 굽힘 동작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와 같이, 발목 굽힘부(160)가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발목 굽힘부(160)은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와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교정용 신발 지지부와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위치 부분이 교정 각도 지지부(140), 교정 각도 표시부(150) 등에 의하여 발목 굽힘부를 위치시키기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발목 굽힘부(160)를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와 연결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리고정부는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에서 다리 고정부(120)의 위치 조절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대퇴부 고정부(121) 및 종아리 고정부(123)는 지지대 프레임(110)에 설치 시 다리의 길이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맞추어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대 프레임도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의 (c) 및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지지대 프레임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은 각각 지지대 프레임내부에 다수의 결합홈 과 같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홈을 구비하며, 이를 볼트-너트 등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상부 지지대프레임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결합부에 나사봉과 너트, 또는 톱니와 걸쇠를 이용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길이조절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프레임은 하나의 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2이상의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 및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이 각각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5 및 도 6에서는 이들이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으로 응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의 (a)는 지지대 프레임이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는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b)는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대 프레임 중 한 측의 지지대 프레임이 분리된 내외반슬 교정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의 (a)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이 각각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b)는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과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 모두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모두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은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되고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은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은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성되고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은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대퇴부 고정부(121), 무릎 고정부(122) 또는 종아리 고정부(12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 고정부는 다리 측면을 지지하는 다리 수평지지부와 다리 고정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 수평 지지부는 신발의 교정 각도 변화에 따라 다리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다리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대 프레임(1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리를 감싸는 구조를 갖으며, 재질은 프라스틱 또는 금속 프레임에 겉면은 부드러운 섬유소재 또는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 고정 벨트는 다리 수평 지지부를 다리 두께에 맞춰 다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벨크로 테이프, 스냅단추, 단추 및 단추 구멍, 버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발목을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교정각도 조절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정용 신발(130)의 수평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켜, 교정용 신발의 교정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경비골을 휘어있는 방향에서 정상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내외반슬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각도 조절부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2)에 설치되며, 상기 교정 신발 지지부(140)의 수평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교정 신발의 교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교정용 신발(130)과 교정 각도 조절부(145)를 도시하였고,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교정용 신발(130)은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교정용 신발(130)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110)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130)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130)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정용 신발은 사용자가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신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교정용 신발의 뒤편에 위치한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교정각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교정용 신발 전체를 교정각도 조절부를 축으로 하여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수평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교정용 각도 조절부를 볼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112)과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고정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사용자가 교정 단계에 맞추어 교정 신발의 교정 각도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정 신발의 교정 각도를 표시하는 교정 각도 표시부(1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교정 각도 표시부(15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교정 각도 표시부(150)는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의 수평 회전 각도를 표시하며, 교정용 신발(130)이 정면 방향일 때 교정용 신발 지지부(140)도 정면 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때의 교정 각도를 0도로 표시하고, 좌측 회전각도와 우측 회전각도를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경비골 회전변형에 의한 내외반슬 증상에는 대퇴골 회전변형이 함께 나타나며, 본 발명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장치에 있어서, 보다 교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비골 교정과 더불어 대퇴골 교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는 대퇴골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 교정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의 대퇴골 교정부(17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는 대퇴골 교정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다리 고정부(120)로서, 무릎 고정부(122) 및 종아리 고정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다리 상박을 감싸서 고정한 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대퇴골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 교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다리 상박의 허벅지 부분을 감싸서 고정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교정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에 의해 다리 상박의 허벅지 부분이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인체 구조상 다리 상박 내부에 위치하는 대퇴골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대퇴골의 회전에 의한 교정의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는 상기 대퇴부 고정부와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대퇴부 고정부에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회전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대퇴부 고정부가 대퇴골 교정부의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는 상기 교정용 신발과는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내외반슬 증상에 따라 맞춤식으로 대퇴골 및 경비골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여 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일측(다리 내측 혹은 외측)방향 및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조정되고,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대퇴골 교정부(170)에 의한 대퇴골의 회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내외반슬 교정 장치(100)는,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대퇴골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대퇴골 회전 각도 조절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대퇴골 회전 각도 조절부를 통해 대퇴골의 회전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회전변형된 대퇴골을 정상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대퇴골 회전변형에 의한 내외반슬을 교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각도 조절부는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대퇴골 교정부(170)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해당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내외반슬 교정 장치
110 : 지지대 프레임
111 : 상부 지지대 프레임
112 : 하부 지지대 프레임
114 : 무릎 굽힘부
120 : 다리 고정부
121 : 대퇴부 고정부
122 : 무릎 고정부
123 : 종아리 고정부
130 : 교정용 신발
140 : 교정용 신발 지지부
145 : 교정 각도 조절부
150 : 교정 각도 표시부
160 : 발목 굽힘부
170 : 대퇴골 교정부

Claims (14)

  1. 하기 다리 고정부 및 교정용 신발이 각각 설치되며, 다리의 상박 및 하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으며, 다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대 프레임;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다리 상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대퇴부 고정부,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무릎 고정부,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다리 하박을 감싸고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종아리 고정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 고정부; 및
    상기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정용 신발;을 포함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신발은 수평 회전에 의해 교정용 신발의 교정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내외반슬을 교정하며,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신발과 연결되는 지지대 프레임의 연결 부분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뒷면, 옆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프레임은 다리 상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프레임; 및
    다리 하박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 하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이들의 결합부는 무릎의 굴절각도에 맞춰 굽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무릎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프레임과 교정용 신발 사이에는 교정용 신발을 지지대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교정용 신발과 지지대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가 상기 교정용 신발의 바닥면과 교정용 신발의 최고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의 수평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교정용 신발의 교정 각도를 조절하는 교정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각도 조절부는 교정 신발의 교정 각도를 표시하는 교정 각도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 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 프레임은 각각 다리 후방에 하나의 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다리 내측과 외측에 한 쌍의 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굽힘부는 스프링, 와이어,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성체에 의하여 외부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굽힘이 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고정부 및 종아리 고정부는 지지대 프레임에 설치 시 다리의 길이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은 다리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고정부는 신발의 교정 각도 변화에 따라 다리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다리 측면을 지지하는 다리 수평 지지부; 및
    상기 다리 수평 지지부를 다리 두께에 맞춰 다리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고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신발 지지부에는 발목의 상하 운동에 맞춰 굴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목 굽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상기 지지대 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다리 상박을 감싸서 고정한 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대퇴골을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회전 교정할 수 있는 대퇴골 교정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반슬 교정 장치는 상기 대퇴부 고정부에 다리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회전 기능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대퇴부 고정부가 대퇴골 교정부의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 프레임의 하부에는 발목의 상하 운동에 맞춰 굴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목 굽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반슬 교정 장치.
KR1020170048294A 2017-04-14 2017-04-14 내외반슬 교정 장치 KR10184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294A KR101848640B1 (ko) 2017-04-14 2017-04-14 내외반슬 교정 장치
JP2019507909A JP6739625B2 (ja) 2017-04-14 2018-04-06 内外反膝矯正装置
PCT/KR2018/004092 WO2018190580A1 (ko) 2017-04-14 2018-04-06 내외반슬 교정 장치
CN201880002975.4A CN109640895A (zh) 2017-04-14 2018-04-06 膝内外翻矫正装置
US16/322,517 US10702411B2 (en) 2017-04-14 2018-04-06 Varus/valgus corr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294A KR101848640B1 (ko) 2017-04-14 2017-04-14 내외반슬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640B1 true KR101848640B1 (ko) 2018-04-16

Family

ID=6208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294A KR101848640B1 (ko) 2017-04-14 2017-04-14 내외반슬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2411B2 (ko)
JP (1) JP6739625B2 (ko)
KR (1) KR101848640B1 (ko)
CN (1) CN109640895A (ko)
WO (1) WO20181905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3540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用于儿童腿部的形体矫正装置
CN112972090A (zh) * 2021-03-31 2021-06-18 上海理工大学 一种膝关节内外翻矫正装置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3-04-13 곽준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3406B2 (ja) * 2018-12-07 2020-12-02 株式会社ピーケア 人体装具
CN111166616A (zh) * 2020-02-05 2020-05-19 夏喜明 一种骨科病人用踝关节训练装置
CN111658277A (zh) * 2020-06-25 2020-09-15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膝关节踝关节一体式关节固定器
CN113288545B (zh) * 2021-07-06 2022-07-12 哈尔滨市全科医疗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医疗用多功能辅助康复治疗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548A1 (en) * 2010-07-08 2012-01-12 Scholtes Sara A Knee Brace to Limit Rotation Between the Femur and Tibia
US20120283613A1 (en) * 2011-04-04 2012-11-08 Iq Med Llc Hinged Equinus Brace With Pediatric, Diabetic and Clubfoot Vers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3405A (en) * 1986-12-11 1988-09-27 Progressive Engineering, A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applying straightening and twisting forces to limbs
CN2031660U (zh) * 1988-03-26 1989-02-01 张金生 治疗小儿膝内外翻的固定架
US5486157A (en) * 1994-02-03 1996-01-23 Dibenedetto; Anthony Dynamic multi-angular ankle and foot orthosis device
KR100309930B1 (ko) 1999-07-27 2001-11-01 신정빈 경비골(다리) 역회전 교정장치
US7112181B1 (en) * 2003-04-07 2006-09-26 Anatomical Concepts, Inc. Tri-planar orthosis
KR20060069539A (ko) * 2004-12-17 2006-06-21 이영호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CN2917587Y (zh) * 2006-06-21 2007-07-04 潘志良 组合牵引式下肢矫形器
US8968228B2 (en) 2009-04-27 2015-03-03 N&G Bracing Innovations, LLC Ankle bra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066786B1 (en) * 2009-09-14 2015-06-30 Stephen A. Price Laterally applied orthosis
US9101451B2 (en) * 2009-12-15 2015-08-11 Za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Nauchno-Proizvodstvenny Tsentr “Ogonek” Method for correcting pathological configurations of seg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evice for realizing same
US8882688B1 (en) * 2010-11-15 2014-11-11 Craig Ancinec Orthotic joint stabilizing assembly
US8814815B2 (en) 2011-04-04 2014-08-26 Patrick DeHeer Adjustable-sole, hinged equinus brace with toe wedge
US9956107B2 (en) * 2011-04-20 2018-05-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ynamic exoskeletal orthosis
KR101352480B1 (ko) * 2012-01-12 2014-01-17 박인식 다리 교정장치
CN202699357U (zh) * 2012-06-29 2013-01-30 齐勇 一种可调式脑瘫矫形鞋
CN203138768U (zh) * 2013-03-20 2013-08-21 上海联康假肢矫形器制造有限公司 一种膝踝足矫形器
EP3041440B1 (en) * 2013-04-15 2024-05-22 Andreas Tsitouras Shoe-internal brace for drop foot and similar conditions
KR101557221B1 (ko) * 2014-03-19 2015-10-02 최성진 다리 교정장치
CN204411047U (zh) * 2015-01-08 2015-06-24 梅海波 可调式膝外翻矫形器
CN205041582U (zh) * 2015-08-28 2016-02-24 郑州福尔康矫形康复器材有限公司 一种矫形器
CN205612596U (zh) * 2016-02-23 2016-10-05 张金桥 X型腿o型腿矫形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548A1 (en) * 2010-07-08 2012-01-12 Scholtes Sara A Knee Brace to Limit Rotation Between the Femur and Tibia
US20120283613A1 (en) * 2011-04-04 2012-11-08 Iq Med Llc Hinged Equinus Brace With Pediatric, Diabetic and Clubfoot Vers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3540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用于儿童腿部的形体矫正装置
CN112972090A (zh) * 2021-03-31 2021-06-18 上海理工大学 一种膝关节内外翻矫正装置
KR20230049300A (ko) 2021-10-06 2023-04-13 곽준호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58073A1 (en) 2019-11-28
JP6739625B2 (ja) 2020-08-12
JP2019526321A (ja) 2019-09-19
WO2018190580A1 (ko) 2018-10-18
US10702411B2 (en) 2020-07-07
CN109640895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40B1 (ko) 내외반슬 교정 장치
US8202239B2 (en) Ankle derotation and subtalar stabilization orthosis
RU2601109C2 (ru) Голеностопно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шина для способствования иммобилизации части тела, содержащая голеностопно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ES2290154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el cuerpo.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US10765548B2 (en) Knee joint orthosis
KR101352480B1 (ko) 다리 교정장치
CN102711678A (zh) 下肢各节段病理畸形矫正方法及其实现装置
KR101848643B1 (ko) 다리 교정 장치
KR20140143997A (ko) 슬관절 치료 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RU2309709C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JP6595965B2 (ja) 歩行支援装具
KR100309930B1 (ko) 경비골(다리) 역회전 교정장치
JP6775802B2 (ja) 下腿回旋装具
KR20190135812A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KR100555005B1 (ko) 하지 보조기의 족관절 장치
KR102340611B1 (ko) 관절 교정장치
KR20240075482A (ko) 다리 교정 기구
CN117064608A (zh) 一种足部外骨骼
RU2117464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динамический корректор стопы для больных с нарушением позы и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центра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Dittmer INTERNATIONAL FORUM: Providing Orthoses for Spina Ida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