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539A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9539A KR20060069539A KR1020040107733A KR20040107733A KR20060069539A KR 20060069539 A KR20060069539 A KR 20060069539A KR 1020040107733 A KR1020040107733 A KR 1020040107733A KR 20040107733 A KR20040107733 A KR 20040107733A KR 20060069539 A KR20060069539 A KR 20060069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ee
- frame
- wearer
- band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통증의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 구조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착용시켜, O형 변형(내반슬)을 교정하고, 다리 내측을 보조장치에 밀착되게 지지하여 하중의 전달을 무릎관절에서 보조기로 전이시켜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안정성을 주며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상측을 지지하는 상프레임;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하측을 지지하는 하프레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의 상측 또는 하측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편하고 가벼운 보조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난치 통증인 무릎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불안정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정상적인 보행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O형의 다리를 곧게 펴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으며,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지 않은 무릎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 착용함으로써 내측 관절연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관절연골의 손상 즉,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해 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다리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리 보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무릎의 관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O자형으로 휜 다리를 곧게 펴기 위한 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 하프레임의 힌지 결합된 부분에서 상하 이동되는 고정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상프레임에 부착된 상밴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 착용시 하중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조장치 110 : 상프레임
120 : 하프레임 130 : 상안착부
132 : 상안착면 134 : 상안착밴드
136 : 밸크로테잎 140 : 하안착부
142 : 하접촉면 144 : 하안착밴드
146 : 밸크로테잎 150 : 상밴드
152 : 제1단부 154 : 제2단부
156 : 결합편 158 : 고리
160 : 하밴드 170 : 힌지
180 : 고정편 190 : 지지스트랩
본 발명은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통증의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절 연골의 마모로 인해 다리 구조가 O형(내반슬)으로 변형되며 무릎 관절에 통증이 생기는 환자에게 착용시켜, O형 변형(내반슬)을 교정하고 다리 내측을 보조장치에 밀착되게 지지하여 하중의 전달을 무릎 관절에서 보조장치로 전이시켜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안정성을 주며,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은 대부분의 경우 무릎관절 내측의 관절 연골이 마모되면서 얇아짐에 따라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 경우에 대부분 외측의 관절 연골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무릎 관절은 연골이 얇은 안쪽으로 기울게 되며, 다리의 모양은 점차 O형으로 변화하게 된다. 다리가 O형 구조로 변형 되면서 관절염은 점점 더 악화되고 무릎 관절 주위의 인대들도 변형된 다리 모양에 의해 약해져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통증이 심해지고 보행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O형 다리의 교정을 위해 종래에 몇몇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이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다리 교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측 중간 부위와 이 중간부위의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판부재(1)와, 상기 판부재(1)를 덮어 씌우며 장공들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일측의 일면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2)와, 상기 판부재(1)의 장공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고정대(3)와, 판부재(1)에서 고정대(3)가 착설된 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설치되어서 사용자의 종아리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쿠션부(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다리 교정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으며, 특히 굽거나 휜다리의 교정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용자가 다리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전혀 이동할 수 없는 구조로서 실질적인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다리 보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리 교정기에 비해 이동성 및 착용성이 향상된 다리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보조장치는 상,하부 지지프레임(10,20)이 각도 조절부재(30)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의 무릎 보조기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휘어진 무릎을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재(50)로 구성된 것이다.
무릎 보조기는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 지지프레임(10)과, 정강이에 착용되는 하부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10)과 하부 지지프레임(20) 양측의 연결부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32)과, 상기 힌지축(32)이 결합된 상,하부 지지프레임(10,2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지지프레임(10,20)의 운동각도를 제한하도록 된 한 쌍의 각도 조절부재(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무릎 보조기의 상기 각도 조절부재(30)의 중앙과 상기 상,하부지지프레임(10,20)의 연결부위를 관통하는 힌지축(32)에는 나사공(34)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공(34)에는 노브를 구비한 조절나사(40)가 관통 체결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34)은 무릎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각도 조절부재(30)의 각 힌지축(32)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압박부재(50)를 무릎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부재(30)의 내측에는 압박부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압박부재(5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된 지지체와 피부에 밀착되는 쿠션부재(C)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부재(C)는 실리콘, 스폰지, 직물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박부재(50)는 상기 나사공(34)에 외측으로부터 체결되어 각도 조절부재(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기 조절나사(40)의 조임에 의해 무릎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박부재(50)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나사(40)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재(60)가 설치된다. 즉, 조임에 의해 회전하는 조절나사(40)가 회전하지 않는 압박부재(5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보조장치는 별도의 압박부재(50)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결합 구조 및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절나사(40)를 사용하여 무릎 부분을 직접 접촉 가압하므로, 오히려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도 있으며, 단순히 조절나사(40) 하나로 무릎을 지지하게 되므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보조장치를 착용하여 통증완화 및 변형교정이 가능하면서도, 환자에게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편의성을 추가하여 고정시, 이동시에도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는 보조장치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고 가벼우며, 착용하고 활동시 불편함이 적으며,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 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O형의 다리를 곧게 펴고, 교정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지 않은 무릎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 착용함으로써 내측 관절연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관절연골의 손상 즉,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상측을 지지하는 상프레임;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하측을 지지하는 하프레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의 상측 또는 하측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프레임은 상안착부의 상접촉면을 통해 착용자의 무릎 상측을 지지하고, 상기 하프레임은 하안착부의 하접촉면을 통해 착용자의 무릎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밴드는 무릎 또는 무릎 상하측과 상기 상, 하접촉면의 사이 부분을 상기 상,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는: 무릎과 상기 상접촉면 사이의 부분을 상기 상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상밴드와, 무릎과 상기 하접촉면 사이의 부분을 상기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하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제1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 중 어느 일측만을 감싸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 모두를 감싸도록 하는 고정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상프레임 및 상기 하프레임의 회동을 차단하여,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상, 하접촉면 보다 수평방향 기준으로 소정 거리 더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밴드가 고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 하프레임은: 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 및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상, 하접촉면 보다 수평방향 기준으로 소정거리 더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의 상체에 고정되어 상기 상프레임이 하방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트랩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안착부에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는: 상호 접착을 위한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높이를 갖는 깔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일 실시례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무릎의 관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대퇴골의 안쪽(A)과 경골의 안쪽(B) 사이에 존재하는 연골(D)이 마모되며 얇아짐에 따라 통증을 유발하는 증상이다. 이 때 반대쪽 즉, 외측의 연골(C)은 원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수록 D 부분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마찰이 심해지며, 다리는 O형으로 변형되게 된다.
이러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 수술을 통해 인공 연골을 D부분에 삽입할 수도 있으나, 수술 없이도 D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마찰되지 않도록 힘을 F 와 같은 방향으로 주어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힘 F 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외측에서 지지력을 가해주어야 한다.
도 4는 O자형으로 휜 다리를 곧게 펴기 위한 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O자형(내반슬)으로 휜 다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퇴부와 정강이 쪽을 바깥쪽으로 밀어 지지하면서 무릎의 바로 상하측을 안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b)와 같이 F 방향의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다리는 일자형으로 펴지게 되며, 관절 안쪽에 공간이 생기면서 상하 방향의 압박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 (a)와 같은 방향으로 다리를 지지, 가압해 주 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리의 안쪽으로 상프레임(110)과 하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보조장치(100)가 부착된다. 상프레임(110)의 상측 단부에는 상안착부(130)가 구비되어, 대퇴부 쪽과 상접촉면(132)이 맞닿아 지지된다. 하프레임(120)의 하측 단부에도 마찬가지로 하안착부(140)가 구비되어, 정강이 쪽과 하접촉면(142)이 맞닿아 지지된다. 상안착부(130)와 하안착부(140)의 접촉면(132, 142)에는 물렁한 재질의 쿠션을 구비하여 접촉면(132, 142)에 접촉 통증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프레임(110)과 하프레임(120)에는 무릎의 바로 상하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밴드(150)와 하밴드(160)를 구비하고, 상밴드(150)와 하밴드(160)는 각각 무릎 상하측의 둘레를 감아 상프레임(100) 및 하프레임(120) 쪽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상밴드(150)와 하밴드(16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밸크로 테잎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잡아당겨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양 다리 안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밑창(2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다리를 일자형으로 유지하도록 하는데 상승 효과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밑창(200)은 외측이 6mm 정도 높게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사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프레임(110)과 하프레임(120) 은 분리되며, 힌지(170)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안착부(130)에는 상안착밴드(134)가 전후방으로 구비되어 대퇴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둘레 길이를 조절하기 쉽도록 밸크로테잎(13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안착부(140)에도 마찬가지로 정강이를 감싸며 고정하기 위한 하안착밴드(144)를 구비하고, 밸크로 테잎(146)을 형성한다.
상밴드(150)와 하밴드(160)는 상프레임(110)과 하프레임(120)에 고정되는데, 밴드(150, 160)가 프레임(110,120)에 고정되는 부분이 상, 하접촉면(132, 142)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150, 160)가 무릎의 상하측을 안쪽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110,120)이 중간 측은 안쪽으로 절곡되며, 밴드(150, 160)는 안쪽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지지받는다.
상안착부(130) 또는 상프레임(110)에는 지지스트랩(19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보조장치(100)가 흘러 내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허리 또는 어깨 등의 상체에 감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스트랩(190)을 더 구비한다. 지지스트랩(190)이 허리 또는 어깨 등에 감기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프레임(110)의 하단부와 하프레임(120)의 상단부는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 결합된 부분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고정편(180)이 구비된다. 고정편(180)은 상하로 움직이며, 상프레임(110)과 하프레임(120)의 상호 회동을 허용 또는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 하프레임의 힌지 결합된 부분에서 상하 이동되는 고정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 및 (b)는 각각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편(180)은 통공형 사각기둥 형태로서, 상프레임(110) 및 하프레임(120)이 관통된다. 하프레임(120)의 상단부는 상프레임(110)의 하단부에 힌지(170)로 결합되며, 상프레임(110)의 하단부는 엎어 놓은 U자형의 형태이고, 그 내에 하프레임(120)의 상단부가 위치한다. 상프레임(110)의 하단부는 일체형이며,
고정편(180)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 상프레임(110)에만 걸쳐 있을 경우에는 상, 하프레임(110, 120)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고정편(180)이 아래 쪽으로 내려가면 상, 하프레임(110, 120)을 하나로 묶어 고정하게 되므로 회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걷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편(18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편(180)을 하측으로 밀어 내리면 된다.
이 때 밀어 올려 놓은 고정편(180)이 스스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입출돌기(114)를 형성하여, 고정편(180)을 지지하게 한다. 따라서 힘을 주어야만 고정편(180)이 입출돌기(114)를 넘어서 이동하게 된다. 입출돌기(114)는 고정된 형태로 형성하거나, 탄성 부재에 의해 내외로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상프레임에 부착된 상밴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밴드(150)의 제1단부(152)와 제2단부(154)가 모두 전방 쪽에 위치하도록 연장 형성한다. 이는 하밴드(16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밴드(150)의 단부가 전방, 후방 쪽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방에 위치한 단부는 착용자가 이를 잡아 움직이기 어려우며, 이를 잡아 당기는 경우 보조장치(100) 자체가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밴드(150)는 상프레임(110)의 결합편(156)에 형성된 고리(158)에 끼워지며, 각 단부(152, 154)는 전방 쪽으로 연장되도록, 후방의 밴드를 길게 연장한다. 각 단부(152, 154)에는 밸크로테잎(152a, 154a)이 구비되어 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착용자가 손으로 잡아 당기고 부착시키기 위한 단부(152, 154)가 전방 측에 모여 위치하게 됨에 따라 동작이 간편하고, 보조장치(100) 자체가 일측으로 회전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하지에 착용시킨 상태에서 하중(체중)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슬관절의 내측면을 따라 대부분의 하중이 전달됨으로써(a), 슬관절 내측의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지만, 보조장치를 착용한 경우는 상하밴드에 의해 슬관절이 상, 하 프레임에 밀착되게 잡아당겨 짐으로써 슬관절 내측 관절면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b)의 즉 상하방향의 힘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상, 하 접촉면을 대퇴부와 하퇴부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접촉시켜 줌으로써, 하중의 전달이 대퇴부에서 슬관절 내측면이 아닌 보조장치를 따라서(c), 하퇴부로 전달됨으로써 슬관절 내측 관절면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도11은 본 보조장치의 원리를 요약한 것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첫째는 상하밴드를 무릎 관절내측의 상하프레임에 밀착되게 잡아당김으로써 무릎관절 내측의 간격을 넓히는 힘(b)을 발생시켜 마모된 슬관절 내측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둘째로 상하 접촉면을 착용자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단단히 밀착시켜 하중(체중)의 전달경로가 무릎관절의 내측이 아닌 대퇴부의 상접촉면에서 보조장치를 거쳐 하퇴부의 하접촉면으로 전달되도록 하여(c) 무릎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변형된 다리도 교정해 주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보조장치를 통해 임상실험을 한 결과,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수술이 예정되었던 환자가 보조장치의 착용만으로 구부리지 조차 못했던 무릎에 통증이 사라져, 보행이 가능하며 자유롭게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장치를 통해,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와 수술로 인한 사회적인 비용 손실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이 전혀 없어 환자에게도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제와 수술을 대체하여 국민건강 보험공단의 예산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비용을 다른 분야의 예산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간편하고 가벼운 보조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난치 통증인 무릎 관 절염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불안정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정상적인 보행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O형의 다리를 곧게 펴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으며,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지 않은 무릎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 착용함으로써 내측 관절연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관절연골의 손상 즉,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해 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 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상측을 지지하는 상프레임;착용자의 무릎 소정거리 하측을 지지하는 하프레임;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에 연결되어, 무릎의 상측 또는 하측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프레임은 상안착부의 상접촉면을 통해 착용자의 무릎 상측을 지지하고, 상기 하프레임은 하안착부의 하접촉면을 통해 착용자의 무릎 하측을 지지하며,상기 밴드는 무릎 또는 무릎 상하측과 상기 상, 하접촉면의 사이 부분을 상기 상,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겨 좁아져 있는 무릎 내측 관절 연골 간격을 넓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무릎과 상기 상접촉면 사이의 부분을 상기 상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상밴드와, 무릎과 상기 하접촉면 사이의 부분을 상기 하프레임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하밴드를 포함하여, 좁아져 있는 무릎 내측 관절 연골 간격을 넓혀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는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제1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기 하프레임 중 어느 일측만을 감싸며, 제2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 모두를 감싸도록 하는 고정편을 더 구비하고,상기 제1위치에서는 상기 상프레임과 상기 하프레임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위치에서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상프레임 및 상기 하프레임의 회동을 차단하여, 일체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상, 하접촉면 보다 수평방향 기준으로 소정 거리 더 이격된 위치에 상기 밴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프레임은:상기 상프레임의 하단부 및 상기 하프레임의 상단부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상, 하접촉면 보다 수평방향 기준으로 소정거리 더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착용자의 상체에 고정되어 상기 상프레임이 하방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스트랩을 상기 상프레임 또는 상안착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상호 접착을 위한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하며,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는 착용자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및 예방용 보조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높이를 갖는 깔창을 더 구비하여, 하중의 전달 방향을 무릎 외측으로 유도하여, 무릎 내측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통증 완화, 치료용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7733A KR20060069539A (ko) | 2004-12-17 | 2004-12-17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7733A KR20060069539A (ko) | 2004-12-17 | 2004-12-17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5950U Division KR200382803Y1 (ko) | 2004-12-17 | 2004-12-17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9539A true KR20060069539A (ko) | 2006-06-21 |
Family
ID=3716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7733A KR20060069539A (ko) | 2004-12-17 | 2004-12-17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6953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9404A (ko) * | 2018-05-18 | 2018-06-0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
WO2018190582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다리 교정 장치 |
WO2018190580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
2004
- 2004-12-17 KR KR1020040107733A patent/KR2006006953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90582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다리 교정 장치 |
WO2018190580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KR20180059404A (ko) * | 2018-05-18 | 2018-06-04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7414B2 (en) | Osteoarthritis knee orthosis | |
US8376974B2 (en) | Knee orthosis swing assist mechanism | |
US9089403B2 (en) |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 |
US20130144197A1 (en) |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osteoarthritis | |
JPH0240334B2 (ko) | ||
KR101521270B1 (ko) | 무릎변형 방지기구 | |
KR101848640B1 (ko)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
KR100831145B1 (ko) | 무릎관절 견인장치 | |
US7722556B2 (en) | Ankle foot orthosis and method therefor | |
CA3000778C (en) | Customizable knee brace intended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 |
JP6792087B2 (ja) | 脚矯正装置 | |
KR102685969B1 (ko) | 다리교정 무릎보조기 | |
EP1302184A1 (en) | Joint brace for the control and the regulation of the knee joint bending | |
KR20100089013A (ko) |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 |
KR20120126326A (ko) |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 |
KR101848639B1 (ko) |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 |
KR200382803Y1 (ko)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
KR102014538B1 (ko) |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 |
KR20230074159A (ko) | 하중 경감식 관절 보조 기구 | |
KR102100146B1 (ko) |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 |
KR20060069539A (ko)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 |
JP2012183277A (ja) | リハビリ用膝装具 | |
KR20110060611A (ko) | 무릎관절 보조기 | |
JPS6116173B2 (ko) | ||
KR20180115873A (ko) | 와이어를 이용한 외반슬 및 거위족 무릎 교정 보호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