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004A - 무릎관절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004A
KR20160020004A KR1020140104275A KR20140104275A KR20160020004A KR 20160020004 A KR20160020004 A KR 20160020004A KR 1020140104275 A KR1020140104275 A KR 1020140104275A KR 20140104275 A KR20140104275 A KR 20140104275A KR 20160020004 A KR20160020004 A KR 2016002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d
guide hole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왕
이성영
Original Assignee
김순왕
이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왕, 이성영 filed Critical 김순왕
Priority to KR102014010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004A/ko
Publication of KR2016002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퇴부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하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드를 갖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와; 대퇴부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대퇴부에 밀착되는 상부패드를 갖는 한 쌍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하부지지대를 서로 이어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회동각도를 형성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감아 대퇴부 및 하퇴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부지지대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 대퇴부의 뒤쪽 및 하퇴부의 앞쪽을 지지하는 결착대로 이루어져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공을 잊는 상부가이드공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드의 바깥쪽에는 상기 상부패드가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상부가이드홀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조절공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상부패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상부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무릎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점차 반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회복기 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복기 동안 반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임의 착용자가 착용하더라도 신체길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릎관절 보조기구{The mechanism of the knee joint to assist}
본 발명은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릎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따라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하는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가 각각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지지대를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로 분할하여 대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무릎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점차 반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회복기 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복기 동안 반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임의 착용자가 착용하더라도 신체길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보조기는 무릎관절 수술 내지 정형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장애인, 노약자의 무릎 및 그 주변부위에 착용되어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제어 및 안정화시키고, 관절의 굴곡 상태를 제한하거나 교정하며, 통상적으로 제어하기 가능한 방법에 의해 무릎부상의 재발을 방지시키도록 사용되고 있다.
한편, 휜다리는 다리뼈가 휘거나 바르게 정렬되지 못해 무릎 위 아래 두 뼈가 원래 각도를 벗어난 상태인데, 이 증상은 서양인보다 동양인에게 많이 나타나며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휜다리는 유전적인 요인도 있으며, 고관절의 변형이나 종아리, 발등의 변형의 발생하고 여성들은 잦은 하이힐이나 디리를 꼬고 앉는 자세, 출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런 휜다리 또는 오다리를 교정하는 수술을 근위부경골 골절술이라고 하며, 휜다리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내반 변형된 무릎을 외측으로 이동시켜주는 수술로 경골 상부를 절골해 꺽어주면서 내반 변형을 외반 변형으로 변형시킨 하중 축이 밖으로 이동되게 만드는 수술로써, 쉽게 말해 정강이뼈를 경골 위 끝 부분부터 쐐기 모양으로 절제해 그 안에 이식용 뼈를 채우고 금속판으로 고정함으로써 휜 다리 모양을 일자로 잡아준다.
근위부경골 골절술은 보통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다리가 휠 경우 시행하고 있느나, 최근에는 휘어진 무릎에 통증이 심각한 젊은 환자들에게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재활 치료하기 위해서 무릎보조기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붙지 않고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내반슬 환자나,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 아랫부분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다리를 가지는 외반슬 환자를 위한 무릎관절 보조기구의 경우, 착용자가 직립하거나 다리를 펴는 상태에서 대퇴골을 경골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좁아져 있는 무릎뼈 사이가 무리한 압박을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무릎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다리를 펴는 과정에서, 대퇴골 측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는 경골 측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지지대와의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작동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종래의 무릎보조기는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와, 착용자의 전방 측으로 회전각 변위를 가지는 상부지지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부속 및 조립체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의 이동경로가 서로 겹치게 되고 독립적인 방향성으로 인해 서로 방해를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착용자의 관절 움직임 및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6543호로 제안된 종래의 무릎보조기의 경우, 상/하부지지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대퇴부 및 하퇴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패드가 구비되며, 이 지지패드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여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패드가 상기 상/하부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장착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패드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을 통해 리벳 결합을 하여 일체로 고정설치구성하고, 최상단 지지패드를 서로 연결하여 대퇴부의 뒤쪽을 지지하는 결착대가 설치되고, 최하단 지지패드를 서로 연결하여 하퇴부의 앞쪽을 지지하는 결착대가 설치하여 구성한다.
특히, 내반슬 또는 외반슬 환자 즉, 오다리 환자의 경우, 성인 환자보다 성장기 어린이 때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무릎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보조기를 착용하여 벌어진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다리의 내측 및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패드의 지지 높이를 달리하여 점차 보정 하여야 하지만, 종래는 지지패드가 상/하부지지대에 리벳결합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성장기 오다리 환자에게 적용하기 부적합하며, 성장하는 신체의 길이 또는 보정되는 무릎의 각도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무릎을 지지하는 보조기가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릎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따라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하는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가 각각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지지대를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로 분할하여 대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무릎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점차 반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회복기 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복기 동안 반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임의 착용자가 착용하더라도 신체길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퇴부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하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드를 갖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와; 대퇴부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대퇴부에 밀착되는 상부패드를 갖는 한 쌍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하부지지대를 서로 이어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회동각도를 형성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수평방향으로 감아 대퇴부 및 하퇴부에 고정하는 고정밴드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부지지대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 대퇴부의 뒤쪽 및 하퇴부의 앞쪽을 지지하는 결착대로 이루어져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무릎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공을 잊는 상부가이드공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드의 바깥쪽에는 상기 상부패드가 상기 상부지지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상부가이드홀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조절공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상부패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상부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부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이 하부조절공을 잊는 하부가이드공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의 바깥쪽에는 상기 하부패드가 상기 하부지지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이 하부가이드홀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조절공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하부패드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하부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상부조절공과 상부가이드공을 갖는 제1지지바와;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는 제2지지바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바가 대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무릎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점차 반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회복기 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퇴부 및 하퇴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복기 동안 반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임의 착용자가 착용하더라도 신체길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에서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의 단면구성 및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조기의 설치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무릎보조기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퇴부(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하퇴부(20)에 밀착되는 하부패드(400)를 갖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200)와; 대퇴부(10)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대퇴부(10)에 밀착되는 상부패드(300)를 갖는 한 쌍의 상부지지대(100)와; 상기 상,하부지지대(100,200)를 서로 이어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회동각도를 형성하는 회동부재(500)와; 상기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200)를 수평방향으로 감아 대퇴부(10) 및 하퇴부(20)에 고정하는 고정밴드(600)와;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상단부 및 하부지지대(200)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 대퇴부(10)의 뒤쪽 및 하퇴부(20)의 앞쪽을 지지하는 결착대(700)로 이루어져 무릎(30)관절을 보호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조절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공(110)을 잊는 상부가이드공(120)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드(300)의 바깥쪽에는 상기 상부패드(300)가 상기 상부지지대(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100)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310)이 형성되고, 이 상부가이드홀(31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조절공(110)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상부패드(3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상부고정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조절공(110)은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공(120)은 상기 상부조절공(110)의 간격을 따라 서로 이어주면서 상기 상부조절공(1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상부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패드(300)의 상부고정핀(320)이 상기 상부가이드공(120)을 따라 이송되다가 적절한 위치의 상부조절공(11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패드(300)를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임이 위치로 높이 조절하여 고정설치한다.
도 2 내지 도 3에 의하면, 상기 하부지지대(20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부조절공(210)이 관통 형성되며, 이 하부조절공(210)을 잊는 하부가이드공(220)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400)의 바깥쪽에는 상기 하부패드(400)가 상기 하부지지대(2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200)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10)이 형성되고, 이 하부가이드홀(41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조절공(210)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하부패드(4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하부고정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조절공(210)은 상기 하부지지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공(220)은 상기 하부조절공(210)의 간격을 따라 서로 이어주면서 상기 하부조절공(2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하부지지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패드(400)의 하부고정핀(420)이 상기 하부가이드공(220)을 따라 이송되다가 적절한 위치의 하부조절공(210)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패드(400)를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임이 위치로 높이 조절하여 고정설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조절공(110)과 상부가이드공(120)을 갖는 제1지지바(100a)와; 상기 회동부재(500)에 연결되는 제2지지바(100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바(100a)와 제2지지바(10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바(100a)가 대퇴부(10)의 내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힌지부(1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바(100a)와 제2지지바(100b)가 서로 대응되는 단부에는 상호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공(101)이 관통 형성되고, 이 힌지공(101)을 서로 대응 결합하여 핀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부(130)를 끼워 이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바(100a)가 대퇴부(10)의 내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패드(300,400)의 외측에는 상기 상,하부가이드홀(310,410)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수직리브(311,4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수직리브(311,411)를 덮는 덮개판(313,413)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리브(311,411)의 바깥쪽에는 상기 고정밴드(600)의 감김 작용을 통해 상기 상,하부패드(300,400)가 대퇴부(10) 또는 하퇴부(20)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밴드(600)를 걸 수 있는 걸이부(315,415)가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상기 상부고정핀(320)은 상기 상부패드(300)의 중앙에 절개되어 상기 상부가이드홀(310)의 중앙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탄성편(321)과; 상기 탄성편(3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조절공(110)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323)와; 상기 고정돌기(323)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가이드공(120)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30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3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고정핀(420)은 상기 하부패드(400)의 중앙에 절개되어 상기 하부가이드홀(410)의 중앙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탄성편(421)과; 상기 탄성편(4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절공(210)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423)와; 상기 고정돌기(423)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공(220)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패드(40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4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패드(300,400)의 덮개판(313,413) 중앙에 관통 형성된 버튼공(317,417)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돌기(325,425)를 눌러 상기 고정돌기(323,423)가 상기 상,하부조절공(110,210)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패드(300,400)를 상기 상,하부지지대(100,200)를 따라 이동시킨 후 다음 상,하부조절공(110,210)에 상기 고정돌기(323,423)를 안착시켜 상기 상,하부패드(300,4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 의하면, 본 발명의 무릎관절 보조기구를 착용자가 무릎(30)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착용하는 경우, 수술 직후 내반슬이나 외반슬의 반대 방향으로 다리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제1지지바(100a)가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 위치되고, 착용자의 대퇴부(10)를 상기 고정밴드(600)에 의해 상기 상부패드(300)가 대퇴부(10)의 양쪽에 대응 위치되도록 한쪽 상부지지대(100)에 위치된 상부패드(300)의 고정돌기(323)를 해제시켜 상부패드(3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한다.
도 5b에 의하면, 회복기 동안 점차 회복되면서 착용자의 무릎(30)관절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회복기간에 맞추어 동 5a에 도시된 상부패드(300)의 이송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부패드(300)의 위치를 맞추어 안정적으로 대퇴부(10)를 고정한다.
도 5c에 의하면, 상부패드(300)가 대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지지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패드(40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예시이다.
또한, 소아 또는 청소년의 경우, 장기간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 맞물려 신장이 늘어나면, 하퇴부(20)를 지지하는 하부패드(400) 역시 하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패드(3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치조절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무릎(30) 관절 수술 후 회복기 동안 점차 반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300) 및 하부패드(40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회복기 기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퇴부(10) 및 하퇴부(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회복기 동안 반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임의 착용자가 착용하더라도 신체길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대퇴부 20: 하퇴부
30: 무릎 100: 상부지지대
100a: 제1지지바 100b: 제2지지바
101: 힌지공 110: 상부조절공
120: 상부가이드공 130: 힌지부
200: 하부지지대 210: 하부조절공
220: 하부가이드공 300: 상부패드
310: 상부가이드홀 311: 수직리브
313: 덮개판 315: 걸이부
317: 버튼공 320: 상부고정핀
321: 탄성편 323: 고정돌기
325: 가이드돌기 400: 하부패드
410: 하부가이드홀 411: 수직리브
413: 덮개판 415: 걸이부
417: 버튼공 420: 하부고정핀
421: 탄성편 423: 고정돌기
425: 가이드돌기 500: 회동부재
600: 고정밴드 700: 결착대

Claims (5)

  1. 하퇴부(20)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하퇴부(20)에 밀착되는 하부패드(400)를 갖는 한 쌍의 하부지지대(200)와; 대퇴부(10)의 양측을 지지하여 서로 대응되며, 내측에 대퇴부(10)에 밀착되는 상부패드(300)를 갖는 한 쌍의 상부지지대(100)와; 상기 상,하부지지대(100,200)를 서로 이어 착용자의 운동상태에 맞추어 임의의 회동각도를 형성하는 회동부재(500)와; 상기 상부지지대(100) 및 하부지지대(200)를 수평방향으로 감아 대퇴부(10) 및 하퇴부(20)에 고정하는 고정밴드(600)와;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상단부 및 하부지지대(200)의 하단부를 서로 이어 대퇴부(10)의 뒤쪽 및 하퇴부(20)의 앞쪽을 지지하는 결착대(700)로 이루어져 무릎(30)관절을 보호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0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부조절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공(110)을 잊는 상부가이드공(120)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패드(300)의 바깥쪽에는 상기 상부패드(300)가 상기 상부지지대(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대(100)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홀(310)이 형성되고, 이 상부가이드홀(31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조절공(110)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상부패드(3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상부고정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20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부조절공(210)이 관통 형성되며, 이 하부조절공(210)을 잊는 하부가이드공(220)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400)의 바깥쪽에는 상기 하부패드(400)가 상기 하부지지대(2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대(200)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홀(410)이 형성되고, 이 하부가이드홀(41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조절공(210)에 대응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하부패드(40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 하부고정핀(4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00)는 상기 상부조절공(110)과 상부가이드공(120)을 갖는 제1지지바(100a)와;
    상기 회동부재(500)에 연결되는 제2지지바(100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바(100a)와 제2지지바(10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바(100a)가 대퇴부(10)의 내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힌지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핀(320)은 상기 상부패드(300)의 중앙에 절개되어 상기 상부가이드홀(310)의 중앙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탄성편(321)과;
    상기 탄성편(3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조절공(110)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323)와;
    상기 고정돌기(323)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가이드공(120)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패드(30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3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핀(420)은 상기 하부패드(400)의 중앙에 절개되어 상기 하부가이드홀(410)의 중앙 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탄성편(421)과;
    상기 탄성편(4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절공(210)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돌기(423)와;
    상기 고정돌기(423)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공(220)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패드(400)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4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20140104275A 2014-08-12 2014-08-12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60020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75A KR20160020004A (ko) 2014-08-12 2014-08-12 무릎관절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275A KR20160020004A (ko) 2014-08-12 2014-08-12 무릎관절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04A true KR20160020004A (ko) 2016-02-23

Family

ID=5544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275A KR20160020004A (ko) 2014-08-12 2014-08-12 무릎관절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0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109A (en) * 2016-02-04 2017-08-09 Made For Movement Group As A walker
KR20190014294A (ko) * 2017-08-01 2019-02-1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신전굴곡형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무릎보조기
KR20190046369A (ko) * 2017-10-26 2019-05-07 하병욱 관절 보조장치
WO2019194940A1 (en) * 2018-04-03 2019-10-10 Eric Heiberg Adjustable knee brace
KR20200130048A (ko) * 2019-05-08 2020-11-18 유한회사 티엠엑스 Ems무릎보호대 및 무릎보조기
KR102268890B1 (ko) *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109A (en) * 2016-02-04 2017-08-09 Made For Movement Group As A walker
GB2547109B (en) * 2016-02-04 2021-04-07 Made For Movement Group As A walker
KR20190014294A (ko) * 2017-08-01 2019-02-12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신전굴곡형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무릎보조기
KR20190046369A (ko) * 2017-10-26 2019-05-07 하병욱 관절 보조장치
WO2019194940A1 (en) * 2018-04-03 2019-10-10 Eric Heiberg Adjustable knee brace
US11109991B2 (en) 2018-04-03 2021-09-07 Eric Heiberg Adjustable knee brace
KR20200130048A (ko) * 2019-05-08 2020-11-18 유한회사 티엠엑스 Ems무릎보호대 및 무릎보조기
KR102268890B1 (ko) * 2020-12-01 2021-06-25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907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US10898363B2 (en) Orthopedic device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knee
KR20160020004A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EP2612624B1 (en) Functional knee brace fo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support
US9572704B2 (en) Ankle foot orthosis
JP3548121B2 (ja) 矢状調節部を有する膝装具
KR100834074B1 (ko)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KR20110026543A (ko) 무릎보조기
US7850632B2 (en) Knee brace having an adaptable thigh pad
CN105491979A (zh) 具有免荷功能的膝关节矫形器
CN106535833A (zh) 膝关节矫形器
EP1861051A1 (en) Adjustable knee brace
JP6792087B2 (ja) 脚矯正装置
KR20100110084A (ko) 무릎보조기
KR20120126326A (ko)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AU760085B2 (en) Knee-assisting or knee-substitute apparatus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KR20140143997A (ko) 슬관절 치료 보조기
KR20190046369A (ko) 관절 보조장치
KR20010067956A (ko)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JP7397013B2 (ja) 整形外科用ブレースの偏心および多中心連結張力ジョイント
KR20190046370A (ko) 관절 보조장치
KR102340611B1 (ko) 관절 교정장치
CN108685670B (zh) 关节机构
US10835409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leg deform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