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380A - 어깨 보조기 - Google Patents

어깨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380A
KR20170085380A KR1020160004931A KR20160004931A KR20170085380A KR 20170085380 A KR20170085380 A KR 20170085380A KR 1020160004931 A KR1020160004931 A KR 1020160004931A KR 20160004931 A KR20160004931 A KR 20160004931A KR 20170085380 A KR20170085380 A KR 2017008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atient
shoulder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190B1 (ko
Inventor
유재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1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10)와 상기 보조기 몸체(10)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폼(20)과 상기 고정폼(20)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아픈 어깨 쪽의 팔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팔을 공기를 이용하여 가압 지지하도록 된 팔 지지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체형에 최적화한 상태로 착용 가능하고 어깨 수술 후 환자의 어깨와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어깨 보조기{SHOULDER BRACE}
본 발명은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수술 후의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어깨 보조기는 어깨 골절 등 손상에 따른 외과 수술 후 팔을 어깨 관절 앞쪽으로 지지하여 일정기간 동안 수술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깨 보조기 치료는 수술 후 재발을 막는 가장 중요한 치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어깨 보조기는 수술 부위 어깨 쪽의 아픈 팔을 팔걸이에 넣고 어깨끈과 별도의 허리끈을 이용해 아픈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어깨 보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83324호(명칭: 어깨 관절 의전보조기, 2009.02.11 공고)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어깨 보조기는 환자의 체형을 고려하기 않고 제작되므로 마른 환자나 뚱뚱한 환자에 사용시 어깨와 팔의 안정적인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어깨 수술 후 착용하는 어깨 보조기는 수술 부위의 재파열을 막는 중요한 치료이다. 따라서 어깨 수술 후 어깨와 팔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이 느리고 어깨 수술 관절의 유착 등 재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체형을 고려한 다양한 사이즈의 어깨 보조기를 생산하기도 하나, 이 경우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재고 문제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제품으로 마른 환자나 뚱뚱한 환자 상관없이 환자의 체형에 최적화되도록 설계하여 어깨 수술 후 환자의 어깨와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어깨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와 상기 보조기 몸체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폼과 상기 고정폼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아픈 어깨 쪽의 팔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팔을 공기를 이용하여 가압 지지하도록 된 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팔 지지대는 전면에 팔이 밀착되고 후면에 상기 고정폼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본체와 일측이 상기 주본체의 폭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폭방향 반대편 주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팔이 삽입되는 관통부를 형성하는 지지커버와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가압시 상기 관통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를 가압하거나 감압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주머니는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 부착되는 커프에 구비된다.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주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머니와 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는 가압부와 상기 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의 공기를 빼는 감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감압부는 환자의 손이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환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주본체에 소정각도로 꺽어지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뚝 일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된 지지본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폼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와 상기 팔 지지대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직선지지부가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직선지지부는 상기 고정폼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한다.
본 발명은 팔 지지대가 환자의 각자 사이즈에 맞게 조일 수 있는 구조로 되므로 마른 환자나 뚱뚱한 환자 상관없이 환자의 체형에 최적화한 상태로 착용 가능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폼이 보조기 몸체와 팔 지지대 사이에 벨크로에 의해 장착되어 팔의 유동을 방지하고, 어깨와 팔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키므로 어깨 수술 부위의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게 돕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조기 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폼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 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 지지대의 지지커버를 주본체로부터 착탈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압부를 환자가 조작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압부를 환자가 조작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깨 보조기는 어깨회전근개파열 등의 어깨 수술 후 어깨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마른 환자나 뚱뚱한 환자 상관없이 환자의 체형에 최적화되도록 설계하고, 어깨 수술 후 환자의 어깨와 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깨 보조기는, 보조기 몸체(10), 고정폼(20), 팔 지지대(30)를 포함한다.
보조기 몸체(10)는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어 어깨를 고정하고 고정폼(20) 및 팔 지지대(30)를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 몸체(10)는 허리끈(11)과 어깨끈(15)을 포함한다.
허리끈(11)은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되며 대략 중앙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몸판(12)을 구비한다. 몸판(12)에 고정폼(20)이 고정될 수 있다. 몸판(12)은 고정폼(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허리끈(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된다. 몸판(12)은 소정의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판(12)은 고정폼(20)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암벨크로로 된다.
허리끈(11)은 벨크로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다. 즉, 허리끈(11) 양 단부에 암벨크로(13)와 수벨크로(14)가 구비되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환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조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허리끈(11)이 벨크로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리끈(11)은 조임버클을 매개로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즉, 허리끈(11)은 양 단부에 암조임버클과 수조임버클이 구비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고 환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조여질 수도 있다.
어깨끈(15)은 허리끈(11)에 연결되고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어지며 어깨쿠션(16)이 구비된다. 어깨끈(15)은 환자의 목을 가로질러 어깨에 교차하여 거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길이조절부(17)가 있어 길이조절 가능하다. 어깨쿠션(16)은 장기간 장착에 따른 어깨 부위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허리끈(11)과 어깨끈(15)으로 구성되는 보조기 몸체(10)의 구조는 허리와 어깨에만 창착되므로 착용이 용이하고 가벼우며 통풍이 가능하다. 또한, 몸판(12)의 형상이 환자의 몸통(iliac crest) 라인을 고려하여 제작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폼(20)은 보조기 몸체(10)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폼(20)은 보조기 몸체(10)의 몸판(12)과 팔 지지대(30) 사이에 배치되어 팔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폼(20)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21)와 팔 지지대(30)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직선지지부(22,23)가 구비되는 형상이다.
어깨 수술 후 팔을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65도를 유지하고 팔꿈치는 90도 굴곡 자세로 고정해야 한다. 이 자세는 어깨 수술시 봉합해준 힘줄이 덜 당겨져서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혈관이 당겨지지 않아 혈액 공급이 충분히 되어 빨리 나을 수 있게 도와주는 자세이다.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폼(20)이 구비된다. 고정폼(20)은 벡터 값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계산하여 크기와 모양을 디자인한 것으로 팔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팔을 벌려 팔이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65도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폼(20)의 직선지지부(22,23)는 고정폼(20)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고정폼(20)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지의 다른 각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폼(20)은 환자 허리에 착용한 허리끈(11)의 몸판(12)에 벨크로에 의해 부착되고 팔 지지대(30)와도 벨크로에 의해 부착되어 팔 지지대(30)를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폼(20)의 오목밀착부(21)에는 몸판(12)의 암벨크로에 대응되게 수벨크로(24)가 부착되어 있고 직선지지부(22,23)에는 팔 지지대(30)의 부착부(32) 즉, 암벨크로에 대응되게 수벨크로(25,26)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폼(20)은 중량이 가볍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됨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지지대(30)는 수술받은 어깨 쪽 팔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깨 수술 후에는 통증 완화를 위해 무의식적으로 수술 받은 쪽의 어깨가 기울어지기 쉽다. 처음에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이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어깨에 긴장을 주어 무리를 주고 통증을 증가시켜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막고 재손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어깨 수술 부위의 긴장을 줄여 재발 없는 회복이 가능하도록 팔을 고정한다.
팔 지지대(30)로 팔을 벌여 고정해주면 어깨 수술 부위의 긴장이 줄어들어 재발 없는 회복이 가능하다. 팔 지지대(30)는 팔을 고정하되 팔을 벌여 고정할 수 있고 유동이 없도록 고정폼(2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지지대(30)는 아픈 어깨 쪽의 팔이 삽입되고 삽입된 팔을 공기를 이용하여 가압 지지하도록 된다.
팔 지지대(30)는 주본체(31), 지지커버(33), 공기주머니(41), 조작기구(43)를 포함한다.
주본체(31)는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전면에 팔이 밀착되고 후면에 고정폼(20)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주본체(31)의 길이는 대략 성인 환자의 팔꿈치에서 손가락까지의 길이에 대응된다. 부착부(32)는 암벨크로가 해당된다.
지지커버(33)는 주본체(31)와 협력하여 팔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커버(33)는 일측이 주본체(31)의 폭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폭방향 반대편 주본체(31)에 결합부재(35)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팔이 삽입되는 관통부(39)를 형성한다.
지지커버(33)는 단면이 대략 반원호형상이며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커버(33)의 형상 및 재질은 환자가 팔을 아래로 내리거나 올릴 때 지지커버(33)와 주본체(3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쉽게 팔을 삽입하여 관통부(39)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커버(33)의 탄성은 주본체(31)와 지지커버(33)를 고정하는 결합부재(35)를 탈착하였을 때에도 팔이 쉽게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결합부재(35)는 원터치버클일 수 있다. 즉, 지지커버(33)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원터치버클(36)과 대응되는 주본체(31)에 구비되는 암원터치버클(37)일 수 있다. 주본체(31)의 암원터치버클(37)에 지지커버(33)의 수원터치버클(36)이 체결되면 환자의 팔이 관통부(39)에 배치된 상태가 지지커버(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공기주머니(41)는 지지커버(33)의 내측에 구비되며 가압시 관통부(39) 방향으로 팽창된다. 공기주머니(41)는 관통부(39)에 배치되는 팔을 주본체(31)에 밀착되게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주머니(41)는 지지커버(33)의 내측에 부착되는 커프(42)에 구비될 수 있다. 커프(42)는 직물재질로 내측에 공기주머니(41)를 구비하여 공기주머니(41)의 팽창시 함께 팽창되어 관통부(39)에 배치되는 팔을 가압하여 주본체(31)에 밀착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주머니(41)가 구비된 커프(42)를 지지커버(33) 내측에 부착하여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관통부(39)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작기구(43)는 공기주머니(41)를 가압하거나 감압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기구(43)는 가압부(44)와 감압부(46)를 포함한다. 가압부(44)는 주본체(31)에 고정되고 공기주머니(41)와 튜브(45)로 연결되어 공기주머니(41)에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44)는 환자가 손으로 쥐었다 폈다를 반복하는 조작으로 튜브(45)를 통해 공기주머니(4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감압부(46)는 튜브(45)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주머니(41)의 공기를 빼는 역할을 한다. 감압부(46)는 튜브(45)에 구비되는 조절밸브이며 조절밸브를 회전시키는 것에서 공기주머니(4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부(44) 및 감압부(46)는 환자의 손이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환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환자의 손 운동을 돕는 동시에 환자가 스스로 조작기구(43)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팔 지지대(30)에 지지본체(47)가 더 포함된다. 지지본체(47)는 주본체(31)에 소정각도로 꺽어지게 연결되어 환자의 팔뚝 일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된다. 지지본체(47)는 환자의 팔뚝부위를 지지하여 환자의 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팔꿈치가 90도 굴곡 자세로 고정되게 한다.
지지본체(47)는 팔뚝 일측이 지지되는 지지부(48)와 지지부(48)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양 단부에 벨크로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는 고정띠(49)를 포함한다. 고정띠(49)는 지지부(48)를 환자의 팔뚝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보조기 몸체(10)를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하여 고정한 다음 고정폼(20)을 보조기 몸체(10)의 몸판(12)에 부착한다.
이때, 허리끈(11)은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하고, 어깨끈(15)은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고 길이조절부(17)로 길이 조절하여 환자의 몸에 밀착시킬 수 있다. 허리끈(11)은 몸판(12)이 환자의 아픈 어깨 쪽 옆구리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고정폼(20)은 몸판(12)에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되므로 부착이 용이하다.
고정폼(20)은 몸판(12)에 오목밀착부(21)를 벨크로에 의해 부착한 상태에서 직선지지부(22,23)에 팔 지지대(30)의 후면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팔 지지대(30)의 후면 부착부(32)가 암벨크로이고 직선지지부(22,23)에 수벨크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폼(20)은 상하로 뒤집어서 직선지지부(22,23)가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 중 어느 하나로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폼(20)은 오목밀착부(21)에 대해 각도가 큰 직선지지부(22,23)에 팔 지지대를 부착하고 팔을 지지하는 구조로 하여 환자의 어깨 관절을 65도로 벌려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폼(20)을 상하 뒤짚어 반대편 직선지지부(22,23)에 팔 지지대(30)를 부착하고 팔을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 팔 지지대(30)가 지지되는 직선지지부(22,23)가 오목밀착부(21)에 대해 작은 각도를 가지므로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 벌여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도면상 어깨 관절이 벌어지는 각도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폼(20)은 벡터값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계산하여 크기와 모양을 디자인한 것이다.
상술한 고정폼(20)에 의해 어깨 수술 후 팔은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도 또는 65도를 유지하고 팔꿈치는 90도 굴곡 자세로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깨 수술시 봉합해준 힘줄이 덜 당겨져서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혈관이 당겨지지 않아 혈액 공급이 충분히 되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팔 지지대(30)에 팔을 고정하는 과정은, 주본체(31)와 지지커버(33) 사이의 공간을 통해 팔을 아래에서 위로 삽입하여 관통부(39)에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커버(33)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관통부(39)로 팔의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팔이 쉽게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지지커버(33)의 수원터치버클(36)을 주본체(31)의 암원터치버클(37)에 결합하여 주본체(31)와 지지커버(33)를 고정함으로써 팔이 관통부(39)에 안정적으로 위치되게 한다.
팔이 관통부(39)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면 지지본체(47)로 환자의 팔뚝을 감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팔꿈치는 90도 굴곡 자세가 된다.
팔을 팔 지지대(30)에 고정하는 과정은 팔 지지대(30)를 고정폼(20)에 부착한 후에 수행할 수도 있고, 미리 팔 지지대(30)에 팔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폼(20)에 팔 지지대(3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팔 지지대(30)가 환자의 체형에 최적화되도록 조작기구(43)를 조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손은 조작기구(43)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므로 인해 환자 스스로 조작기구(43)의 조작이 가능하다.
환자는 가압부(44)를 손으로 쥐었다 폈다하는 반복된 동작을 통해 공기주머니(41)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공기주머니(41)가 팽창되고 관통부(39)에 배치되는 팔이 공기주머니(41)에 의해 가압되어 주본체(31)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환자는 쉽게 가압부(44) 조작이 가능하므로 공기주머니(41)를 팽창시키는 정도를 조절하여 팔이 관통부(39) 내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공기주머니(41)의 공기를 빼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부(46) 즉, 조절밸브를 돌려 공기주머니(4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팔이 관통부(39) 내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팔 지지대(30)의 관통부(39)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착용 안정감이 우수하고 환자 스스로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의성도 증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보조기 몸체 11: 허리끈
12: 몸판 13: 암벨크로
14: 수벨크로 15: 어깨끈
16: 어깨쿠션 17: 길이조절부
20: 고정폼 21: 오목밀착부
22,23: 직선지지부 24,25,26: 수벨크로
30: 팔 지지대 31: 주본체
32: 부착부 33: 지지커버
35: 결합부재 36: 수원터치버클
37: 암원터치버클 39: 관통부
41: 공기주머니 42: 커프
43: 조작기구 44: 가압부
45: 튜브 46: 감압부
47: 지지본체 48: 지지부
49: 고정띠

Claims (8)

  1.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
    상기 보조기 몸체의 허리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폼; 및
    상기 고정폼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아픈 어깨 쪽의 팔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팔을 공기를 이용하여 가압 지지하도록 된 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전면에 팔이 밀착되고 후면에 상기 고정폼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본체와,
    일측이 상기 주본체의 폭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폭방향 반대편 주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팔이 삽입되는 관통부를 형성하는 지지커버와,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며 가압시 상기 관통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공기주머니를 가압하거나 감압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상기 지지커버의 내측에 부착되는 커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 주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머니와 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하는 가압부와,
    상기 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머니의 공기를 빼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감압부는 환자의 손이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환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본체에 소정각도로 꺽어지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뚝 일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된 지지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폼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와 상기 팔 지지대가 부착되어 고정되는 직선지지부가 형성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직선지지부는 상기 고정폼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KR1020160004931A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KR10178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31A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31A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80A true KR20170085380A (ko) 2017-07-24
KR101785190B1 KR101785190B1 (ko) 2017-10-17

Family

ID=5942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31A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63A (ko) 2017-09-11 2019-03-20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어깨 보조 기구
KR102326818B1 (ko) * 2021-03-19 2021-11-1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어깨 외전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59B1 (ko) * 2019-10-14 2021-03-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어깨 재활 치료 기구
KR102591871B1 (ko) 2021-04-13 2023-10-24 대한민국 상지관절 재활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494Y1 (ko) 1997-04-30 1999-06-15 김영옥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US8142378B2 (en) * 2004-03-10 2012-03-27 Daniel Reis Immobilizing and supporting inflatable splint apparatus
KR200375248Y1 (ko) *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63A (ko) 2017-09-11 2019-03-20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어깨 보조 기구
KR102326818B1 (ko) * 2021-03-19 2021-11-1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어깨 외전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190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776B2 (en) Dynamically adjustable joint extension and flexion device
JP4637849B2 (ja) 膝蓋大腿装具
JP4282480B2 (ja) 膝装具
EP2150214B1 (en) Orthopedic device
US4751923A (en) Sling, shoulder immobilizer and posture corrector
US83666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ulnar neuropathy
KR101785190B1 (ko) 어깨 보조기
US7824352B2 (en) Ambidextrous wrist brace with thumb immobilizer
US6110133A (en) Convertible acromioclavicular stabilizer
CN102202615A (zh) 男性用阴茎矫正装置
JP2014526948A (ja) 調整可能なボルスターを備える膝支持具
US20060293623A1 (en) Orthopedic restraint and method for shoulder remediation
US20230338177A1 (en) Multi-component hip orthosis
US20200085604A1 (en) Orthosis, In Particular Orthosis For Gonarthrosis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JP2005245611A (ja) 肩関節固定装具
JP6238740B2 (ja) 関節用装具
US20070016121A1 (en) An orthopedic appliance and method to reduce anterior dislocation of shoulder and to provide post reduction immobilization
US10092438B2 (en) Adjustable leg brace systems and methods
KR101783537B1 (ko) 어깨 보조기
EP2022450B1 (en) Antirotation orthopedic cushion, in particular for post-traumatic and post-surgical treatment of the shoulder
JP2009005717A (ja) 締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締着具並びに医療用装具
EP3030203B1 (en) Brace for immobilising a traumatized or operated shoulder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US20240139015A1 (en) Hip Orthotic with a Removable Abductio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