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537B1 - 어깨 보조기 - Google Patents

어깨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537B1
KR101783537B1 KR1020160004930A KR20160004930A KR101783537B1 KR 101783537 B1 KR101783537 B1 KR 101783537B1 KR 1020160004930 A KR1020160004930 A KR 1020160004930A KR 20160004930 A KR20160004930 A KR 20160004930A KR 101783537 B1 KR101783537 B1 KR 10178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oulder
orthosis
pati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379A (ko
Inventor
유재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5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10)와 상기 보조기 몸체(10)에 일측이 제1탈부착부재(23)를 매개로 부착되고 반대되는 타측을 들어올려 환자의 팔을 감싼 후 상기 보조기 몸체(10)에 제2탈부착부재(24)를 매개로 부착됨에 의해 상기 팔을 감싼 상태가 고정되는 팔 지지대(20)와 상기 팔 지지대(20)의 타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끌어당겨 상기 팔 지지대(20)가 상기 팔을 감싸도록 하는 보조봉(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어깨 수술 후 어깨와 팔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하여 쉽게 착용이 가능하며,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어깨 보조기{SHOULDER BRACE}
본 발명은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수술 후의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어깨 보조기는 어깨 골절 등 손상에 따른 외과 수술 후 팔을 어깨 관절 앞쪽으로 지지하여 수술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깨 보조기 치료는 수술 후 재발을 막는 가장 중요한 치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어깨 보조기는 수술 부위 어깨 쪽의 아픈 팔을 팔걸이에 넣고 어깨끈과 별도의 허리끈을 이용해 아픈 팔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어깨 보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83324호(명칭: 어깨 관절 의전보조기, 2009.02.11 공고)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어깨 보조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중량이 상당하며 착용이 복잡하여 노약자의 경우 혼자 착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팔받침대가 팔을 끼우는 구조로 됨에 따라 팔꿈치의 움직임이 전혀 불가능하고 어깨 보조기 재착용 시 팔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어깨를 들어올리는 동작이 수반되어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막고 재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번 착용하면 외부의 도움이 없는 한 탈착이 어려운 구조이므로 환자의 생활환경 및 휴식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깨 수술 부위의 부담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팔꿈치에 움직임을 주되 어깨와 팔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구성을 최대한 간소화하여 쉽게 착용이 가능하며, 중량을 줄이고 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어깨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와 상기 보조기 몸체에 일측이 제1탈부착부재를 매개로 부착되고 반대되는 타측을 들어올려 환자의 팔을 감싼 후 상기 보조기 몸체에 제2탈부착부재를 매개로 부착됨에 의해 상기 팔을 감싼 상태가 고정되는 팔 지지대와 상기 팔 지지대의 타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끌어당겨 상기 팔 지지대가 상기 팔을 감싸도록 하는 보조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기 몸체는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몸판을 구비하는 허리끈과, 상기 허리끈에 연결되고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어지며 어깨쿠션이 구비된 어깨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 지지대는 일측에 대해 타측을 접어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조기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팔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봉은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기 몸체와 상기 팔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팔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폼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와 상기 팔 지지대가 부착되어 지지되는 직선지지부가 구비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직선지지부는 상기 고정폼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폼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기 몸체가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어 밀착되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착용이 쉽고 간편하며 통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 지지대가 원터치 원리에 의해 팔을 감싸 고정하므로 팔을 올리는 동작 없이도 탈, 부착이 용이하고 팔을 아래로 내리기가 용이하며 어깨 수술 부위의 부담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팔꿈치에 움직임을 줄 수 있어 팔굽 관절의 구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봉을 사용하여 팔 지지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끌어당겨 팔 지지대가 팔을 감싸도록 할 수 있으므로 체간의 회전을 최소화하고 어깨 보조기의 착용 및 재착용 과정에서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막고 재손상을 야기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폼이 보조기 몸체와 팔 지지대 사이에 벨크로에 의해 장착되어 팔의 유동을 방지하고, 어깨와 팔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키므로 어깨 수술 후의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게 돕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조기 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 지지대의 정면과 후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조봉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폼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폼을 더 적용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깨 보조기는 어깨회전근개파열 등의 어깨 수술 후 어깨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게 된다. 어깨 보조기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 몸체(10), 팔 지지대(20), 보조봉(30)을 포함한다.
보조기 몸체(10)는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어 어깨를 고정하고 팔 지지대(20)를 지지한다. 보조기 몸체(10)는 허리끈(11)과 어깨끈(15)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끈(11)은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되며 대략 중앙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몸판(12)을 구비한다. 몸판(12)에 팔 지지대(20)가 고정될 수 있다. 몸판(12)은 팔 지지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허리끈(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된다. 몸판(12)은 소정의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허리끈(11)은 벨크로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다. 즉, 허리끈(11) 양 단부에 암벨크로(13)와 수벨크로(14)가 구비되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환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조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허리끈(11)이 벨크로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리끈(11)은 조임버클을 매개로 탈착 가능할 수도 있다. 즉, 허리끈(11)은 양 단부에 암조임버클과 수조임버클이 구비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고 환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조여질 수도 있다.
어깨끈(15)은 허리끈(11)에 연결되고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어지며 어깨쿠션(16)이 구비된다. 어깨끈(15)은 환자의 목을 가로질러 어깨에 교차하여 거는 방식으로 장착되며 길이조절부(17)가 있어 길이조절 가능하다. 어깨쿠션(16)은 장기간 장착에 따른 어깨 부위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허리끈(11)과 어깨끈(15)으로 구성되는 보조기 몸체(10)의 구조는 허리와 어깨에만 창착되므로 착용이 용이하고 가벼우며 통풍이 가능하다. 이러한 허리끈(11) 및 어깨끈(15)은 팔 지지대(20)를 지지하여 팔의 무게를 상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팔 지지대(20)는 팔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어깨 수술 후에는 통증 완화를 위해 무의식적으로 수술 받은쪽의 어깨가 기울어지기 쉽다. 처음에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이지만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어깨에 긴장을 주어 무리를 주고 통증을 증가시켜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막고 재손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어깨 수술 부위의 긴장을 줄여 재발 없는 회복이 가능하도록 팔을 고정한다.
팔 지지대(20)로 팔을 벌여 고정해주면 어깨 수술 부위의 긴장이 줄어들어 재발 없는 회복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지지대(20)는 보조기 몸체(10)에 일측이 제1탈부착부재(23)를 매개로 부착되고 반대되는 타측을 들어올려 환자의 팔을 감싼 후 보조기 몸체(10)에 제2탈부착부재(24)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팔 지지대(20)는 본체(21), 고정리브(22)를 포함한다.
본체(21)는 일측에 대해 타측을 접어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리브(22)는 본체(21)의 후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본체(21)가 팔을 감싼 상태에서 보조기 몸체(10)에 부착되어 본체(21)가 팔을 감싼 상태를 고정한다. 고정리브(22)는 본체(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체(21)에 벨크로를 매개로 탈부착될 수도 있다.
제1탈부착부재(23)는 본체(21)의 후면에 구비되어 팔 지지대(20)를 보조기 몸체(10)의 일측 즉, 몸판(12)에 부착할 수 있고, 제1탈부착부재(23)는 고정리브(22)의 단부에 구비되어 보조기 몸체(10)의 몸판(12)에 부착되어 본체(21)가 팔을 감싼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제1탈부착부재(23) 및 제2탈부착부재(24)는 벨크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탈부착부재(23) 및 제2탈부착부재(24)는 수벨크로로 되고, 몸판(12)은 암벨크로로 되어 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팔 지지대(20)는 착용감 향상을 위해 직물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봉(30)은 팔 지지대(20)의 타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끌어당겨 팔 지지대(20)가 팔을 감싸도록 한다. 보조봉(30)은 어깨 수술 후, 비만 환자나 노년층 환자를 고려하여 체간(환자의 몸)의 회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봉(30)은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손잡이부(31)가 형성되고 타단 일측에 팔 지지대(20)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스트랩(38)이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38)은 암벨크로로 구성되어 수벨크로인 제2탈부착부재(24)와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봉(30)의 타단 타측에는 돌기(39)가 형성되어 지압 및 안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깨 보조기의 오랜 시간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로 감소가 가능하도록 한다.
보조봉(30)은 손잡이부(31)가 길이 조절 가능하다. 손잡이부(31)를 제1몸체(33)와 제1몸체(33)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몸체(36)로 구성하여 길이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몸체(33)에는 레일부(34)이 형성되고 제2몸체(36)에는 레일부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볼(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34)에는 제1몸체(33)에 대해 제2몸체(36)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하는 꺽임부(35)가 더 형성되어 이동볼(37)이 레일부(34)을 따라 이동 후 꺽임부(35)로 이동되어 이동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 몸체(10)와 팔 지지대(20) 사이에 장착되며 팔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폼(40)을 더 포함한다.
고정폼(40)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41)와 팔 지지대(20)가 부착되어 지지되는 직선지지부(42,43)가 구비되는 형상이다.
어깨 수술 후 팔을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65도를 유지하고 팔꿈치는 90도 굴곡 자세로 고정해야 한다. 이 자세는 어깨 수술시 봉합해준 힘줄이 덜 당겨져서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혈관이 당겨지지 않아 혈액 공급이 충분히 되어 빨리 나을 수 있게 도와주는 자세이다.
이러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폼(40)이 구비된다. 고정폼(40)은 벡터 값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계산하여 고정폼의 크기와 모양을 디자인한 것으로 팔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팔을 벌려 팔이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65도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폼(40)의 직선지지부(42,43)는 고정폼(40)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고정폼(40)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지의 다른 각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폼(40)은 환자 허리에 착용한 허리끈의 몸판(12)에 벨크로에 의해 부착되고 팔 지지대와도 벨크로에 의해 부착되어 팔 지지대를 유동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폼(40)의 오목밀착부(41)에는 몸판(12)의 암벨크로(13)에 대응되게 수벨크로(44)가 부착되어 있고 직선지지부(42,43)에는 팔 지지대(20)의 제1탈부착부재(23) 즉, 수벨크로에 대응되게 암벨크로(45,46)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폼(40)은 가볍고 형상 유지가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고정폼을 더 적용한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깨 보조기는 고정폼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 가능하다.
그 방법은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기 몸체(10)를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하여 고정한 다음, 팔 지지대(20)를 보조기 몸체(10)의 몸판(12)에 부착한다.
이때, 허리끈(11)은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하고, 어깨끈(15)은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고 길이조절부(17)로 길이 조절하여 환자의 몸에 밀착시킬 수 있다. 허리끈(11)은 몸판(12)이 환자의 아픈 어깨 쪽 옆구리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팔 지지대(20)는 몸판(12)에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되므로 부착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픈 어깨 쪽 팔을 몸판(12)에 부착된 팔 지지대(20)의 일측에 밀착되게 위치시키고 보조봉(30)으로 팔 지지대(20)의 타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끌어당겨 팔 지지대(20)가 팔을 감싸도록 한다.
이때, 환자는 아픈 어깨의 반대편 손으로 보조봉(30)의 일단 손잡이부(31)를 파지하고, 타단 스트랩(38)을 팔 지지대(20)의 타측으로 돌출된 고정리브(22)의 제2탈부착부재(24)에 터치하는 것에서 고정리브(22)가 위로 당겨지면서 팔 지지대(20)가 쉽게 들어 올려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환자는 체간의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깨를 들어올리는 과정이 수반되지 않아 기존의 팔 지지대(20)를 착용 및 재착용하는 과정에서 팔이 들어올려짐에 따른 어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막고 재손상을 야기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판(12)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들어 올려진 고정리브(22)는 몸판(12)이 암벨크로로 되고 고정리브(22)의 제2탈부착부재(24)가 수벨크로가 됨으로 인해 몸판(12)에 가볍게 누르는 것에서 쉽게 부착된다.
이때, 환자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보조봉(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손잡이부(31)를 이루는 제1몸체(33)와 제2몸체(36)의 상대적인 길이를 조절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다.
그 방법은, 제2몸체(36)를 제1몸체(33)에 대해 소정각도로 회전시킨 후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잡아당긴 후 다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제1몸체(33)에 대해 제2몸체(36)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제2몸체(36)의 이동볼(37)이 제1몸체(33)의 꺽임부(35)에 위치해 있다가 레일부(34)로 이동하여 제1몸체(3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로 제2몸체(36)를 잡아당겨 길이를 조절한 후 회전되기 전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볼(37)이 레일부(34) 측면의 꺽임부(35)로 위치되게 하면 된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보조기의 착용이 완료되면 팔 지지대(20)가 팔꿈치를 90도 굴곡된 자세로 만들어 팔을 고정해주게 되고 어깨 수술 부위의 긴장이 줄어들어 재발 없는 회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어깨 보조기는 휴식시 어깨 수술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팔꿈치에 움직임을 주어 팔굽 관절의 구축(拘縮)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 및 재착용 과정에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고 팔을 아래로 내리기도 용이하다.
한편, 어깨 보조기는 고정폼(40)을 사용하여 어깨와 팔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폼(40)은 환자 허리에 착용한 허리끈(11)의 몸판(12)에 오목밀착부(41)를 벨크로에 의해 부착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지지부(43)에 팔 지지대(20)의 일측을 벨크로로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폼(40)은 상하로 뒤집어서 직선지지부(42,43)가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 중 어느 하나로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고정폼(40) 상태는 오목밀착부(41)에 대해 각도가 큰 직선지지부(43)에 팔 지지대(20)를 부착하고 팔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환자의 어깨 관절을 65도로 벌려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폼(40)을 뒤짚어 반대편 직선지지부(42)에 팔 지지대(20)를 부착하고 팔을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 팔 지지대(20)가 지지되는 직선지지부(42)가 오목밀착부(41)에 대해 작은 각도를 가지므로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로 벌려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도면상 어깨 관절이 벌어지는 각도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고정폼(40)은 벡터값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계산하여 크기와 모양을 디자인한 것이다.
상술한 고정폼(40)에 의해 어깨 수술 후 팔은 어깨 관절에서 앞쪽으로 45도 또는 65도를 유지하고 팔꿈치는 90도 굴곡 자세로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깨 수술시 봉합해준 힘줄이 덜 당겨져서 재파열을 막을 수 있고 혈관이 당겨지지 않아 혈액 공급이 충분히 되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도 7의 (b) 다음 단계는 팔 지지대(20)에 팔을 밀착시키고 보조봉(30)을 이용하여 팔 지지대가 팔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단계로, 도 6의 (a)~(d)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보조기 몸체 11: 허리끈
12: 몸판 13: 암벨크로
14: 수벨크로 15: 어깨끈
16: 어깨쿠션 17: 길이조절부
20: 팔 지지대 21: 본체
22: 고정리브 23: 제1탈부착부재
24: 제2탈부착부재 30: 보조봉
31: 손잡이부 33: 제1몸체
34: 레일부 35: 꺽임부
36: 제2몸체 37: 이동볼
38: 스트랩 39: 돌기
40: 고정폼 41: 오목밀착부
42,43: 직선지지부 44: 암벨크로
45,46: 수벨크로

Claims (8)

  1. 환자의 허리와 어깨에 장착되는 보조기 몸체;
    상기 보조기 몸체에 일측이 제1탈부착부재를 매개로 부착되고 반대되는 타측을 들어올려 환자의 팔을 감싼 후 상기 보조기 몸체에 제2탈부착부재를 매개로 부착됨에 의해 상기 팔을 감싼 상태가 고정되는 팔 지지대;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일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팔 지지대의 타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벨크로 스트랩이 부착되는 보조봉;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레일부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볼이 형성된 제2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하는 꺽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를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상기 이동볼을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킨 후 다시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이동볼을 상기 꺽임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조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몸체는
    벨트형식으로 환자의 허리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몸판을 구비하는 허리끈과,
    상기 허리끈에 연결되고 어깨에 슬링 방식으로 걸어지며 어깨쿠션이 구비된 어깨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 지지대는
    일측에 대해 타측을 접어 팔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타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보조기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팔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 몸체와 상기 팔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며 팔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폼은
    상부면과 하부면은 넓고 평평하며 측면에 환자의 허리라인에 대응되는 오목밀착부와 상기 팔 지지대가 부착되어 지지되는 직선지지부가 구비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직선지지부는 상기 고정폼을 상하로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환자의 어깨 관절을 45도와 65도 두 가지로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폼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보조기.
KR1020160004930A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KR10178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30A KR101783537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930A KR101783537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79A KR20170085379A (ko) 2017-07-24
KR101783537B1 true KR101783537B1 (ko) 2017-10-10

Family

ID=5942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930A KR101783537B1 (ko) 2016-01-14 2016-01-14 어깨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818B1 (ko) * 2021-03-19 2021-11-1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어깨 외전 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48Y1 (ko)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JP2007505651A (ja) 2003-09-15 2007-03-15 ディジェイ オルソペディックス,エルエルシー 肩吊り包帯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651A (ja) 2003-09-15 2007-03-15 ディジェイ オルソペディックス,エルエルシー 肩吊り包帯
KR200375248Y1 (ko)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379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923A (en) Sling, shoulder immobilizer and posture corrector
CN101909555B (zh) 臂外展矫正器
US7833182B2 (en) Ba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JP4637849B2 (ja) 膝蓋大腿装具
JP5389935B2 (ja) 男性用陰茎矯正装置
US2187323A (en) Crutch splint
JP6006333B2 (ja) 整形器具および整形器具の配置のための方法
KR101785190B1 (ko) 어깨 보조기
KR101031453B1 (ko) 의료용 팔 지지대
GB2213041A (en) Orthopaedic support vest
JP3835985B2 (ja) ペニス拡張装置
KR20160137463A (ko) 탄력성을 보유한 어깨 보호대
US11464666B2 (en) Hand elev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080119770A1 (en) Sling for supporting an arm
KR101783537B1 (ko) 어깨 보조기
US20200030179A1 (en) Multi-component hip orthosis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JP2005137448A (ja) 側彎矯正装具、及びその装着バンド
CN108289745B (zh) 假肢筒保持设备以及包括假肢筒和假肢筒保持设备的系统
US5882321A (en) Leg sling and abdominal belt
US20190105219A1 (en) Leg support apparatus
US20240341990A1 (en) Orthosis
US20070282231A1 (en) Arm and shoulder support harness
JP2001137269A (ja) 上肢骨折整復固定器及び肩甲上腕関節脱臼整復器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