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27Y1 -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27Y1
KR200473627Y1 KR2020130000171U KR20130000171U KR200473627Y1 KR 200473627 Y1 KR200473627 Y1 KR 200473627Y1 KR 2020130000171 U KR2020130000171 U KR 2020130000171U KR 20130000171 U KR20130000171 U KR 20130000171U KR 200473627 Y1 KR200473627 Y1 KR 200473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inding means
shoulder joint
pedestal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준
신상진
Original Assignee
김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준 filed Critical 김기준
Priority to KR2020130000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회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어깨관절 환자가 한 손으로도 손쉽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있어서, 허리띠부재에 의해 인체의 허리 부분에 안착, 고정되는 팔받침대; 팔꿈치로부터 손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1 팔안착부와, 팔꿈치로부터 어깨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2 팔안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어깨띠부재에 매달려 지지되면서 상기 팔받침대에 안착되는 팔보호대; 상기 팔보호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대 결착수단; 및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이 부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에 설치되는 받침대 결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보호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2 보호대 결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보호대 결착수단의 선단 부분이 결착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팔받침대의 선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받침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보호대 결착수단이 결착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받침대 결착수단으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2 보호대 결착수단과 제2 받침대 결착수단을 서로 결속시켜 어깨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 쪽을 고정하고, 제1 보호대 결착수단과 제1 받침대 결착수단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결속지점을 기준으로 하측 팔부분(a1)을 절첩시키면서 회복운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어깨관절의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향상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어깨띠의 단부가 삽입되는 띠삽입홀 부위의 형태가 변형 없이 정위치하게 되므로 어깨관절 환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환자에게 편리함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ASSISTING ARMREST FOR SHOULDER JOINT}
본 고안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회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어깨관절 환자가 한 손으로도 손쉽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깨, 팔 또는 손 등의 골절 부상시에는 석고로 깁스를 하거나 어깨끈으로 팔을 고정하여 골절부위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어깨끈은 팔을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종래의 팔걸이의 경우는 팔을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없고, 착용자의 인체형상에 따라 높이,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착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깨관절 부상환자는 어깨를 경직되지 않고 팔을 고정시키면서 치료할수 있고, 어깨부위의 회복운동이 용이하도록 한 팔걸이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524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38453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의료용 팔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5248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측부에 결착되고 팔이 받쳐지는 팔받침대(10)와, 상기 팔받침대(10)의 내측이 신체에 결착되도록 하는 복대(20)와, 상기 팔받침대(10)에 팔이 받쳐진 상태로 고정되도록하는 팔보호대(30)와, 상기 팔보호대(30)가 고정위치에 지지되도록하는 결착지지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75248호는 팔보호대(30)를 팔받침대(10)에 밀착시키고,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침대(10)이 수평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길게 설치된 결착수단(50)에 부착시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는 있지만, 회복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깨관절 부상 환자는 어깨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서도 빠른 회복을 위해 항상 팔운동 수행하여야 하지만 팔받침대(10)에 결착수단(50)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 결착수단(50)에 팔보호대(30)측의 결착수단(50)이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팔을 펼치거나 접는 절첩운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75248호는 팔보호대(30)가 팔받침대(10)로부터 전체적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팔관절 부분만을 팔받침대(1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팔운동을 할 수 없어서 회복운동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38453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팔뚝 부위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저면부와 배면부는 밀폐되어 있고, 상부와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에 의해 안착된 팔뚝을 환자의 어깨에 현수지지하는 어깨걸이(20); 상기 본체(10)의 측면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에 의해 안착된 팔뚝을 환자의 몸체에 밀착지지하는 허리띠(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면부 내측에는 양쪽면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14,14a)가 형성되어 있어서, 환자의 수술부위에 따라 가변고리(17)의 부착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상기 벨크로 테이프(14,14a) 형성측의 타측에는 별도의 연결고리(11,12)가 상기 본체(10) 양 외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1999-0038453호는 어깨걸이(20) 및 허리띠(30)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부분이 띠 형상의 고리(11,12,17, 밴드)에 금속재 고리(16)가 설치된 구조로서 어깨걸이(20) 및 허리띠(30)를 금속재 고리(16)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재 고리(16)가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쉽게 삽입할 수 없어서 한 손으로 금속재 고리(16)를 직립되게 세운 다음 다른 한 손으로 어깨걸이나 허리띠 끝 부분을 잡고 삽입하여야 하지만 한 손 만을 사용할 수 있는 어깨관절 부상환자가 삽입, 결착할 수 없어서 사용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회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깨관절 환자가 한 손으로도 손쉽게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있어서, 허리띠부재에 의해 인체의 허리 부분에 안착, 고정되는 팔받침대; 팔꿈치로부터 손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1 팔안착부와, 팔꿈치로부터 어깨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2 팔안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어깨띠부재에 매달려 지지되면서 상기 팔받침대에 안착되는 팔보호대; 상기 팔보호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대 결착수단; 및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이 부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에 설치되는 받침대 결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보호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2 보호대 결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보호대 결착수단의 선단 부분이 결착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팔받침대의 선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받침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보호대 결착수단이 결착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받침대 결착수단으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팔안착부는 면상체로 형성되고 팔 부분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마주보는 가장자리 내면에 설치되어 서로 결속 및 이탈되고, 상기 어깨띠부재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도록 제1 띠삽입홀이 천공된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 및 상기 제1 띠삽입홀과 대응되게 상기 본체에 천공되는 제2 띠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의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띠삽입홀과 연통되는 제3 띠삽입홀이 천공되며 상기 본체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삽입안내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띠삽입홀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상기 어깨띠부재의 삽입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어깨띠부재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띠삽입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보호대 결착수단, 제1 및 제2 받침대 결착수단, 및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은 서로 결착 및 이탈되는 암,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대의 전면에는 휴대물품의 수납을 위해 수납부가 구성되되, 상기 수납부는 상기 팔받침대의 설치방향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부 형성되고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면상 포켓과, 상기 면상 포켓의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팔받침대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물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마찰력을 작용하는 마찰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의하면, 제2 보호대 결착수단과 제2 받침대 결착수단을 서로 결속시켜 어깨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 쪽을 고정하고, 제1 보호대 결착수단과 제1 받침대 결착수단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결속지점을 기준으로 하측 팔부분(a1)을 절첩시키면서 회복운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어깨관절의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향상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어깨띠의 단부가 삽입되는 띠삽입홀 부위의 형태가 변형 없이 정위치하게 되므로 어깨관절 환자가 한 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환자에게 편리함과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a 내지 도2는 종래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도3의 A부 분리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3의 B부 분리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도3의 A부 분리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어깨관절을 움직임 없이 안정되게 고정하면서 회복운동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팔받침대(1), 팔보호대(2), 보호대 결착수단(3), 받침대 결착수단(4), 허리띠부재(5), 및 어깨띠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팔받침대(1)는 허리띠부재(5)에 의해 인체의 허리 부분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인체의 허리 부분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일측면에 만곡홈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쿠션체(미도시)와, 이 쿠션체의 외부에 덧씌워지고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지퍼(13)를 구비한 커버체(12)로 구성되어 있다.
팔보호대(2)는 팔 부분이 전체적이 삽입, 수용되고 어깨띠부재(6)에 매달려 지지되면서 팔받침대(1)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팔꿈치로부터 손 부분 사이의 팔 부분(a1,이하 '하측 팔부분'이라 칭함)이 삽입되는 제1 팔안착부(21)와, 팔꿈치로부터 어깨 부분 사이의 팔 부분(a2,이하 '상측 팔부분이라 칭함)이 삽입되는 제2 팔안착부(22)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팔안착부(21,22)는 힌지부재(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힌지부재(23)는 제1 및 2 팔안착부(21,2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연결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리벳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팔안착부(21)는 면상체로 형성되고 팔 부분이 수용되는 본체(211)와, 이 본체(211)를 서로 결속 또는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1 띠삽입홀(212a,213a)이 형성된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 제1 띠삽입홀(212a,213a)과 대응되게 본체에 천공되는 제2 띠삽입홀(214)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211)는 통풍성과 충격흡수성을 갖도록 직물지나 완충폼이 내장된 면상체로 형성되고 후방(발꿈치 방향) 양측에 힌지부재(23)가 결속되는 힌지돌부(211a)가 돌출된 구조로서, 후방(발꿈치 방향) 외면에 팔의 안정된 고정을 위해 플라스틱 시트와 같이 본체(211)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보강시트(217)가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본체(211)가 둥글게 말아진 상태에서 서로 결속 및 이탈되도록 마주보는 가장자리 내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팔이 본체(21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되면 팔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결속 상태가 해제되면 본체 내부로부터 팔을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은 암,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된 사각몸체의 중심에 어깨띠부재(6)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도록 제1 띠삽입홀(212a,213a)이 천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띠삽입홀(212a,213a)은 제2 띠삽입홀(214)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체(211)는 어깨띠부재(6)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결속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의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가장자리 외면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띠삽입홀(212a,213a,214)과 연통되는 제3 띠삽입홀(215a)이 천공되며 플라스틱 시트와 같이 본체(211)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삽입안내부재(215)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211)는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으로부터 이격된 후방의 가장자리 내면에 결속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암,수 벨크로화스너(216a,216b)로 구성된 보조 본체결속부재(216)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 팔안착부(22)는 제1 팔안착부(2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면상 구조의 보조본체(221)와, 이 보조본체(2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결속 또는 해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제3 본체 결속수단(22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본체(221)는 제1 팔안착부(21)의 힌지돌부(211a)와 힌지부재(23)에 의해 접속되도록 하방(발꿈치 방향) 양측에 힌지부재(23)가 결속되는 힌지돌부(221a)가 돌출되어 있고, 이 힌지돌부(221a)를 포함하는 하방(발꿈치 방향) 외면에 팔의 안정된 고정을 위해 플라스틱 시트와 같이 보조본체(221)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보강시트(223)가 결합되어 있다.
제3 본체 결속수단(222)은 보조본체(221)로부터 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221b)에 설치되는 암 벨크로화스너(222a)와, 이 암 벨크로화스너가 결속 및 이탈되도록 타측 연장부(221b)에 설치되는 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보호대 결착수단(3)은 팔보호대(2)를 팔받침대(1)에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팔보호대(2)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팔안착부(21)에 형성되는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과, 제2 팔안착부(22)에 형성되는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은 제1 팔안착부(21)의 본체(211)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모은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1 받침대 결착수단(41)과 대응하도록 측면에 설치되는 암 벨크로화스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은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어깨관절 부상환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팔안착부(21)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은 제2 팔안착부(22)의 보조본체(221)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모은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과 대응하도록 보조본체(221)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본체(221)의 보강시트(223) 표면에 설치되는 암 벨크로화스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은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과 마찬가지로 좌우 어깨관절 부상환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팔안착부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받침대 결착수단(4)은 보호대 결착수단(3)이 부착 또는 이탈되도록 팔받침대(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의 선단 부분이 결착되도록 대응하는 팔받침대(1)의 선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받침대 결착수단(41)과,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이 결착되도록 팔받침대(1)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으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 결착수단(4)이 제1 및 제2 받침대 결착수단(41,42)으로 이루어진 독립 구조이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과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을 서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과 제1 받침대 결착수단(41)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더라도 팔이 전체적으로 낙하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어깨관절을 움직이지 않으면서 하측 팔부분(a1)을 절첩시키는 회복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받침대 결착수단(41,42)은 대응하는 제1 및 제2 보호대 결착수단(31,32)이 암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 벨크로화스너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은 사용시 편의성을 제공하고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넓은 결속면적을 갖도록 지퍼(13)의 상하측에 각각 암 벨크로화스너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허리띠부재(5)는 팔받침대(1)의 커버체(12) 만곡홈 부위에 설치되는 제1 연결밴드(51), 커버체(12)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제2 연결밴드(52), 및 제1 및 제2 연결밴드(51,52) 사이에 삽입, 결속되고 인체의 허리 부분이 밀착되는 허리띠(5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밴드(51,52)는 커버체(12)에 박음질되어 고정되는 연결띠(511,521)와 이 연결띠(511,521)에 결속되는 고리(512,522)로 구성되어 있고, 허리띠(53)는 띠 형상을 갖는 허리띠몸체의 양쪽 단부에 수 벨크로화스너(미도시)가 부착되어 고리(512,522)에 삽입되어 당겨진 상태에서 허리띠몸체에 결속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어깨띠부재(6)는 제2 팔안착부(22)에 설치되는 제3 연결밴드(61), 이 제3 연결밴드(61)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한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에 결속되는 어깨띠(62), 및 사용시에 어깨 부위에 안착되고 어깨띠(62)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 쿠션부재(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 연결밴드(61)는 연결띠(611)와 이에 접속되는 고리(612)로 구성되며, 어깨띠(62)는 띠 형상을 갖는 어깨띠몸체의 양쪽 단부에 수 벨크로화스너(621, 도5 참조)가 부착되되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에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삽입단부에 플라스틱 시트와 같이 어깨띠(62)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띠삽입편(62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어깨띠부재(6)의 삽입단부에 딱딱한 소재의 띠삽입편(622)이 설치되어 있으면, 직물지 등으로 형성된 어깨띠(62)를 제1 내지 제3 띠삽입홀(212a,213a,214,215a)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7은 도3의 B부 분리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팔받침대(1)의 전면에는 휴대폰, MP3와 같은 휴대물품(s, 도6a 및 도6b 참조)의 수납을 위해 수납부(7)가 구성되되, 이 수납부(7)는 팔받침대(1)의 착용방향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수납부(7)는 상하로 개구부가 형성된 면상 포켓(71)으로 구성된다. 면상 포켓(71)은 휴대물품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면상 직물지로 구성되고, 이 면상 포켓(71)의 내측에 해당되는 팔받침대(1)의 전면에 설치되고 면상 포켓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물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마찰력을 작용하는 마찰패드(72)로 구성된다.
마찰패드(72)는 마찰계수가 크고 휴대물품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형태나 소재에 제한 없이 다양한 면상체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을 갖는 암 벨크로화스너를 박음질 방식으로 설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도5의 미설명부호 8은 팔보호대(2)의 제1 팔안착부(21)에 구비되는 가압용 운동부재로서, 손가락을 접거나 펴는 운동, 악력을 증가시키는 운동, 등의 회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몸체(81)와 이 손잡이몸체(81)와 본체(211)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줄(82)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용 운동부재(8)는 도5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가압력의 인가시에 수축되고 가압력의 해제시에 팽창되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받침대(1)의 만곡홈 부위를 인체의 측면 허리 부위에 위치하도록 밀착시키고 허리띠(53)를 허리에 둘러매는 위치시키고 허리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게 되면 팔받침대(1)가 허리 부분에 장착되어 정위치된다.
이후, 팔보호대(2)의 제2 팔안착부(22)에 상측 팔부분(a2)을 삽입하고 보조본체(221)의 가장자리 부분이 서로 결속되도록 제3 본체 결속수단(222)을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측 팔부분(a2)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팔안착부(21)의 본체(211)에 하측 팔부분(a1)을 삽입하고 본체(211)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둥글게 모으는 형태로 접촉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이 서로 결속되면서 팔의 하측 부분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깨띠부재(6)의 길이를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하고 어깨로 둘러매는 형태로 설치한 후 어깨띠(62)의 삽입단부를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본체(211)의 제3 띠삽입홀(215a), 제2 띠삽입홀(214), 제1 띠삽입홀(212a,213a), 제2 띠삽입홀(214) 및 제3 띠삽입홀(215a)을 통과하는 순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깨띠(62)의 방향을 전환시켜 당긴 다음 수 벨크로화스너(621)를 어깨띠몸체에 결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면 팔 부분을 어깨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212,213)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본체(211)의 외면에 플라스틱과 같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삽입안내부재(215)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어깨띠(62)의 단부가 삽입되는 띠삽입홀(제1 내지 제2 띠삽입홀) 부위의 형태가 변형 없이 정위치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삽입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깨띠의 결속 부위가 종래와 같이 금속재 고리로 형성될 경우 한 손으로 금속재 고리를 직립되게 세운 다음 다른 한 손으로 끝 부분을 잡고 삽입하여야 하므로 어깨관절 부상환자가 사용하기가 어렵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각 띠삽입홀의 개구가 정확하게 확보되어 한 손으로도 편리하게 삽입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깨띠부재(6)의 어깨띠(62) 삽입단부에는 띠삽입편(62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삽입시에 꾸겨지거나 접혀지는 문제점이 없이 손쉽게 삽입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깨관절 부상환자가 팔받침대(1)를 인체의 허리부분에 착용하고, 팔보호대(2)에 팔을 삽입, 거치한 상태에서 제1 팔안착부(21)에 형성되는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을 제1 받침대 결착수단(41)에 결착시키고, 제2 팔안착부(22)에 형성되는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을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에 결착시키게 되면 팔받침대(1)에 의해 팔보호대(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유지되고 상측 팔부분과 하측 팔부분이 모두 팔받침대(1)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어깨관절의 움직임이 차단되면서 치료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 위치인 어깨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되게 고정하면서도 간편하게 팔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치료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대 결착수단(4)이 제1 및 제2 받침대 결착수단(41,42)으로 이루어진 독립 구조이면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과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을 서로 결속시켜 어깨관절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면서도 제1 보호대 결착수단(31)과 제1 받침대 결착수단(41)의 결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제2 보호대 결착수단(32)과 제2 받침대 결착수단(42)의 결속지점을 기준으로 하측 팔부분(a1)을 절첩시키면서 회복운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팔받침대 12:커버체
13:지퍼 2:팔보호대
21:제1 팔안착부 211:본체
211a,221a:힌지돌부 212:제1 본체 결속수단
212a,213a:제1 띠삽입홀 213:제2 본체 결속수단
214:제2 띠삽입홀 215:삽입안내부재
215a:제3 띠삽입홀 216:보조 본체결속부재
217,223:보강시트 22:제2 팔안착부
221:보조본체 222:제3 본체 결속수단
23:힌지부재 3:보호대 결착수단
31:제1 보호대 결착수단 32:제2 보호대 결착수단
4:받침대 결착수단 41:제1 받침대 결착수단
42:제2 받침대 결착수단 5:허리띠부재
51:제1 연결밴드 52:제2 연결밴드
53:허리띠 6:어깨띠부재
61:제3 연결밴드 62:어깨띠
622:띠삽입편 63:쿠션부재
7:수납부 71:면상 포켓
72:마찰패드 8:가압용 운동부재

Claims (4)

  1.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에 있어서,
    허리띠부재에 의해 인체의 허리 부분에 안착, 고정되는 팔받침대;
    팔꿈치로부터 손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1 팔안착부와, 팔꿈치로부터 어깨 부분 사이의 팔 부분이 삽입되는 제2 팔안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어깨띠부재에 매달려 지지되면서 상기 팔받침대에 안착되는 팔보호대;
    상기 팔보호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설치되는 보호대 결착수단; 및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이 부착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에 설치되는 받침대 결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1 보호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팔안착부에 형성되는 제2 보호대 결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 결착수단은 상기 제1 보호대 결착수단의 선단 부분이 결착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팔받침대의 선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1 받침대 결착수단과, 상기 제2 보호대 결착수단이 결착되도록 상기 팔받침대의 후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받침대 결착수단으로 분리되어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팔안착부는
    면상체로 형성되고 팔 부분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마주보는 가장자리 내면에 설치되어 서로 결속 및 이탈되고, 상기 어깨띠부재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도록 제1 띠삽입홀이 천공된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 및
    상기 제1 띠삽입홀과 대응되게 상기 본체에 천공되는 제2 띠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의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띠삽입홀과 연통되는 제3 띠삽입홀이 천공되며 상기 본체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삽입안내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띠삽입홀로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상기 어깨띠부재의 삽입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어깨띠부재에 비해 딱딱한 소재로 형성된 띠삽입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대 결착수단, 제1 및 제2 받침대 결착수단, 및 제1 및 제2 본체 결속수단은 서로 결착 및 이탈되는 암,수 벨크로화스너로 구성되고,
    상기 팔받침대의 전면에는 휴대물품의 수납을 위해 수납부가 구성되되, 상기 수납부는 상기 팔받침대의 설치방향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부 형성되고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면상 포켓과, 상기 면상 포켓의 내측에 해당되는 상기 팔받침대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물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마찰력을 작용하는 마찰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KR2020130000171U 2013-01-08 2013-01-08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KR200473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171U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3-01-08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171U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3-01-08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627Y1 true KR200473627Y1 (ko) 2014-07-15

Family

ID=5199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171U KR200473627Y1 (ko) 2013-01-08 2013-01-08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27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33Y1 (ko) 2015-05-29 2015-12-02 곽준호 회동지지구조를 갖는 팔지지대
KR101666206B1 (ko) * 2015-11-27 2016-10-14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어깨관절 외전보조기
WO2017057895A1 (ko) * 2015-06-22 2017-04-06 주식회사 엘루스벤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KR101783537B1 (ko) 2016-01-14 2017-10-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7-10-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101860677B1 (ko) 2017-08-22 2018-05-23 김동진 팔걸이 장치
KR20190054632A (ko) 2017-11-14 2019-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형상조절형 슬링
KR102243807B1 (ko) * 2020-12-01 2021-04-22 황준경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KR20210110002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위쥬테크 어깨 보조기
KR102302280B1 (ko) * 2021-04-01 2021-09-13 황준경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248Y1 (ko)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0412374Y1 (ko) 2006-01-04 2006-03-27 김양수 골절환자 보조용 팔걸이
JP2007505651A (ja) 2003-09-15 2007-03-15 ディジェイ オルソペディックス,エルエルシー 肩吊り包帯
KR101031453B1 (ko) 2010-08-06 2011-04-26 선동윤 의료용 팔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651A (ja) 2003-09-15 2007-03-15 ディジェイ オルソペディックス,エルエルシー 肩吊り包帯
KR200375248Y1 (ko)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0412374Y1 (ko) 2006-01-04 2006-03-27 김양수 골절환자 보조용 팔걸이
KR101031453B1 (ko) 2010-08-06 2011-04-26 선동윤 의료용 팔 지지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33Y1 (ko) 2015-05-29 2015-12-02 곽준호 회동지지구조를 갖는 팔지지대
WO2017057895A1 (ko) * 2015-06-22 2017-04-06 주식회사 엘루스벤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KR101666206B1 (ko) * 2015-11-27 2016-10-14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어깨관절 외전보조기
KR101783537B1 (ko) 2016-01-14 2017-10-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101785190B1 (ko) 2016-01-14 2017-10-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101860677B1 (ko) 2017-08-22 2018-05-23 김동진 팔걸이 장치
KR20190054632A (ko) 2017-11-14 2019-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형상조절형 슬링
KR20210110002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위쥬테크 어깨 보조기
KR102443649B1 (ko) * 2020-02-28 2022-09-16 정현철 어깨 보조기
KR102243807B1 (ko) * 2020-12-01 2021-04-22 황준경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KR102302280B1 (ko) * 2021-04-01 2021-09-13 황준경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627Y1 (ko)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US9750353B2 (en)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7625348B2 (en) Orthotic liner
US11179265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WO2008036235A1 (en) Pants cuff supports
US11963900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20150208736A1 (en) Forearm support garment
KR20160137463A (ko) 탄력성을 보유한 어깨 보호대
KR20150128519A (ko)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TWM574912U (zh) Suspension aid
JP6357490B2 (ja) 膝装具
KR101541481B1 (ko) 허리보호용 복대
KR200497604Y1 (ko) 눈에 띄지 않는 팔꿈치 버팀대
CN115708605A (zh) 裤子保持条带
KR101751493B1 (ko) 복대 겸용 벨트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JP2006097220A (ja) 衣服掛止具
KR200473826Y1 (ko)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20190031696A (ko) 입체공기주머니가 구비된 어깨 지지대
CN219962027U (zh) 上肢骨折患者术后保暖病员服
JP7105028B1 (ja) 乳幼児抱っこ用の引掛具、前記引掛具の掛止を可能とする装着具、前記装着具を備えた被服
KR102104205B1 (ko) 침낭 기능을 갖는 점퍼
JP3133985U (ja) ズボン膝当用作業用補助具
JPH11107017A (ja) 腰部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