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002A - 어깨 보조기 - Google Patents

어깨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002A
KR20210110002A KR1020200025367A KR20200025367A KR20210110002A KR 20210110002 A KR20210110002 A KR 20210110002A KR 1020200025367 A KR1020200025367 A KR 1020200025367A KR 20200025367 A KR20200025367 A KR 20200025367A KR 20210110002 A KR20210110002 A KR 2021011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disposed
orthosis
us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649B1 (ko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to KR102020002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6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A61F5/3753Abduction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어깨의 외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어깨 보조기로서, 상부에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밀착하고, 상부면 또는 타측면으로는 사용자의 팔이 배치되는 보조기 본체; 상기 보조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거치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절개선 상에 배치되는 개폐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이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홈에 배치되는 폰 거치부;를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스마트폰 거치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전면으로 수납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깨 보조기{Shoulder brace}
본 발명은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 관절에 대한 치료 후 어깨의 외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환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거치와 환자가 휴대하는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어깨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깨관절 부상시에는 부상정도에 따라 석고로 깁스를 하거나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어깨 고정대나 어깨끈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팔을 매달아 무게로 인한 팔의 처짐 현상이나 어깨 관절의 탈구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서, 어깨 관절의 외전 각도는 치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40~50도의 각도는 견관절 주변의 근육이나 인대에 긴장을 주지 않으면서 상완골두를 견갑골 대에 안정적인 상태로 밀어 넣어 탈구를 예방할 수 있으나, 각도 유지를 위해서 지지대를 사용하는 경우 발꿈치 내측 척골골두 부위에 팔의 무게중심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곳을 지나는 신경과 혈관을 누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외전의 각도가 40도 이하의 경우에는 어깨의 탈구현상이 일어나고 60도 이상의 경우에는 어깨주변 인대나 회전근이 과긴장되는 자세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어, 어깨의 외전이 방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어깨 외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883324에는 어깨관절 외전 보조기가 개시되었다.
힌편. 상기한 선행기술을 사용하는 환자는 일상생활 도중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정의 통화 또는 인터넷 검색을 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자유롭게 활용한 수 있는 한쪽팔만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활용하므로, 자세가 불안정하여 사용 도중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보조기를 사용하는 환자가 소정 물품을 가방에 수납한 후 가방을 휴대하는 경우, 가방을 휴대하기 어렵고, 가방에 대한 물품 출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스마트폰 거치부가 배치되는 어깨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납부가 배치되는 어깨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어깨의 외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어깨 보조기로서, 상부에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밀착하고, 상부면 또는 타측면으로는 사용자의 팔이 배치되는 보조기 본체; 상기 보조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거치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절개선 상에 배치되는 개폐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이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홈에 배치되는 폰 거치부;를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홈은, 상기 보조기 본체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은, 일정한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절개선의 길이는, 상기 수납홈의 가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수단은, 지퍼(zi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홈의 크기에 대응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프레임은, 전면이 배면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 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개폐 수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폰 거치부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거치홈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마트폰이 배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대하여 탄성 접촉하는 거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스프링은,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스프링은, 일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 스프링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상하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에 스마트폰 거치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으로 수납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조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폰 거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1-A1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본체에 수납 프레임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우선, 어깨 보조기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보조기 본체의 형태에 따라 K 타입, L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 보조기의 보조기 본체는 L 타입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K 타입의 보조기 본체를 사용하는 어깨 보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보조기(100)는 보조기 본체(110), 커버(120), 개폐 수단(130), 폰 거치부(140) 및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제1 및 제2 슬링(102, 102) 및 팔 보호대(103)의 도시를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조기 본체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보조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몸체 측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기 본체(110)의 외주면으로는 커버(120)가 배치된다.
보조기 본체(11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120)는 보조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커버(120)는 섬유, 비닐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0)에는 수납홈(114)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납홈(114)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절개선이 형성된다.
절개선 상에는 소정의 개폐 수단(130)이 배치된다. 여기서, 개폐 수단(130)은 지퍼(zipper)를 포함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지퍼에 대하여 개폐 수단(130)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여기서, 지퍼(130)는 후술하는 수납홈(114)의 상단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120) 상에서 거치홈(14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휴대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홀이 형성된다.
커버(120)의 양측으로는 소정 길이의 제1 슬링(101)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제1 슬링(101)은 사용자의 허리를 감아 보조기 본체(110)의 배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밀접하도록 하고, 밀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120)의 양측 상부로는 소정 길이의 제2 슬링(102)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제2 슬링(102)은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감기어 보조기 본체(110)가 소정 높이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팔을 감싸는 팔 보호대(103)가 커버(120)의 일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조기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보조기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이를 위해, 보조기 본체(110)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조기 본체(110)의 일면, 즉 사용자의 몸체 측부에 접하는 보조기 본체(110)의 배면은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기 본체(110)의 상부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지만 사용자의 팔이 놓일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기 본체(110)의 상부면 상에서 일측으로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거치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폰 거치부(140)가 배치된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거치홈(142)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홈(142)은 보조기 본체(1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거치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거치홈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홈(142A)은 보조기 본체(1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보조기 본체(110)의 전면 상부로는 소정의 수납홈(114)이 형성된다.
수납홈(114)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수납부(150)가 배치된다.
수납홈(114)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수납부(150)의 구성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보조기 본체(110)는 소정의 경질 스폰지 또는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폰 거치부(140)는 보조기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홈(112) 내측으로 배치된다.
폰 거치부(140)는 사용자의 휴대폰을 거치하고, 휴대폰의 사용 도중에도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폰 거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1-A1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폰 거치부(140)는 거치 프레임(142)과 거치 스프링(144)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거치 프레임(142)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거치 프레임(142)의 내측으로는 휴대폰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 프레임(142)의 내주면과 배치되는 휴대폰의 외주 사이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 스프링(144)은 거치 프레임(142)에 배치되는 휴대폰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인가하면 접촉하며, 휴대폰의 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거치 스프링(144)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판 스프링 형태로서, 소정 곡률로 절곡된다.
거치 스프링(144)은 거치 프레임(142)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 상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거치 스프링(144)의 일단은 거치 프레임(142)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타단은 거치 프레임(142)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거치 스프링(144)은 절곡되어 있어, 거치 스프링(144)의 단부는 거치 프레임(142) 내측으로 배치되는 휴대폰의 표면에 탄송 접촉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치 스프링(144)은 거치 프레임(142)의 내주면 상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수납부(150)는 보조기 본체(110)의 전면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150)는 수납홈(114)에 배치되는 수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수납 프레임에 대하여 수납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로서, 수납홈(114)은 본체(110)의 전면 상부에 계단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홈(114)은 소정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홈(114)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는 보조기 본체(11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납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납 프레임(150)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납 프레임(150)의 크기는 수납홈(114)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 프레임(150)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납 프레임(150)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본체에 수납 프레임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수납 프레임(150)은 상면이 개방되고, 수납 프레임(150)의 전면은 배면보다 낮게 배치된다. 여기서, 수납 프레임(150)의 전면 상단은 지퍼(130) 보다 낮게 배치되고, 수납 프레임(150)의 배면은 양측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여, 지퍼(130)의 개방 조작 시 수납 프레임(150)에 대한 저장 대상 물품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어깨 보조기의 사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제1 슬링(101)을 자신의 허리 둘레를 따라 감고, 제2 슬링(102)를 어깨에 감아 보조기 본체(110)의 배면이 사용자의 신체 일측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슬링(102)이 감기는 어깨 부위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부위이다.
이후, 사용자는 어깨의 외전 방지를 위해 부자유스러운 팔을 보조기 본체(110) 상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한다.
어깨 보조기 사용자의 휴대폰 사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거치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배치한다. 사용자가 소정 장소로 이동할 때, 휴대폰이 거치 프레임(142)에 배치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거치홈(142)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거치 프레임(142)에 배치되는 휴대폰도 소정의 기울기로 배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거치 프레임(142)에서 휴대폰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고, 하부는 거치 스프링(144)에 의해 탄성 접촉되도록 하여, 휴대폰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거치 스프링(144)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의 물품을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사용자는 지퍼(130)를 개방 조작하여,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소정의 물품을 수납 프레임(150) 내측으로 배치한다.
물품이 수납 프레임(150)에 배치된 후, 사용자는 지퍼(130)를 폐쇄 조작한 후, 소정의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필요한 위치로 이동한 사용자는 필요한 물품을 수납 프레임(150)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부에 스마트폰 거치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전면으로 수납부가 배치되어 있어 어깨 수술 등의 원인으로 한쪽팔만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어깨 보조기 110: 보조기 본체
120: 커버 130: 개폐 수단(지퍼를 포함함)
140: 폰 거치부 150: 수납부(수납 프레임을 포함함)

Claims (13)

  1. 사용자 어깨의 외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어깨 보조기로서,
    상부에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전면으로는 수납홈이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밀착하고, 상부면 또는 타측면으로는 사용자의 팔이 배치되는 보조기 본체;
    상기 보조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거치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절개선 상에 배치되는 개폐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이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거치홈에 배치되는 폰 거치부;를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상기 보조기 본체의 상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어깨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일정한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인 어깨 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의 길이는,
    상기 수납홈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어깨 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지퍼(zipper)를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홈의 크기에 대응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은,
    전면이 배면보다 낮게 이루어지는 어깨 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개폐 수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어깨 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 거치부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거치홈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마트폰이 배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대하여 탄성 접촉하는 거치 스프링을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프링은,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어깨 보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프링은,
    일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어깨 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프링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상하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어깨 보조기.
KR1020200025367A 2020-02-28 2020-02-28 어깨 보조기 KR10244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67A KR102443649B1 (ko) 2020-02-28 2020-02-28 어깨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67A KR102443649B1 (ko) 2020-02-28 2020-02-28 어깨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02A true KR20210110002A (ko) 2021-09-07
KR102443649B1 KR102443649B1 (ko) 2022-09-16

Family

ID=7779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67A KR102443649B1 (ko) 2020-02-28 2020-02-28 어깨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6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5479A1 (en) * 2006-07-11 2008-01-17 Susan Soscia Sling design
US7841997B1 (en) * 2007-04-23 2010-11-30 Tracy Heller Sling with pockets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KR20190001491U (ko) * 2017-12-11 2019-06-19 김동계 의료용 팔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5479A1 (en) * 2006-07-11 2008-01-17 Susan Soscia Sling design
US7841997B1 (en) * 2007-04-23 2010-11-30 Tracy Heller Sling with pockets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KR20190001491U (ko) * 2017-12-11 2019-06-19 김동계 의료용 팔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649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546B2 (en) Purse hanger
US6454146B2 (en) Cell phone holder
KR102443649B1 (ko) 어깨 보조기
WO2009158281A1 (en) Carabiner glasses
KR101433358B1 (ko) 보관함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
KR200456288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102345619B1 (ko)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무선 이어폰 크래들 케이스 악세서리
KR102347934B1 (ko)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US20070124846A1 (en) Multi-purpose pocket tie
JP3229454U (ja) 消毒液携帯装置
KR20180051269A (ko) 졸음용 턱 받침구
JP2002194610A (ja) 携帯電話装着用バンド
US20040144821A1 (en) Bag including a contour panel
KR200179311Y1 (ko) 어깨걸이식 휴대폰 케이스
JPH06311911A (ja) 品物の保持装置
KR101696551B1 (ko) 링거 거치용 가방
CN219643951U (zh) 多功能手机支架
CN213312380U (zh) 一种防撞可移动输液架
KR200367092Y1 (ko) 걸이용 스트랩
CN118021042A (zh) 多用途眼镜盒装置
US20240074601A1 (en) Travel watch stand
JPH0237365Y2 (ko)
JP3045375U (ja) メガネケース
JP3097028U (ja) 携帯電話機の装身用具
JPH07250140A (ja) 携帯電話機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