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69A - 졸음용 턱 받침구 - Google Patents

졸음용 턱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269A
KR20180051269A KR1020160148351A KR20160148351A KR20180051269A KR 20180051269 A KR20180051269 A KR 20180051269A KR 1020160148351 A KR1020160148351 A KR 1020160148351A KR 20160148351 A KR20160148351 A KR 20160148351A KR 20180051269 A KR20180051269 A KR 2018005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in
user
wear ban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권
Original Assignee
고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권 filed Critical 고진권
Priority to KR102016014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269A/ko
Publication of KR2018005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Abstract

기 설정된 크기의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하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거나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을 받치도록 마련된 턱받침부와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흉부 및 어깨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착용밴드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편하게 턱을 받칠 수 있으며,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졸음용 턱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졸음용 턱 받침구{Apparatus of supporting chin for sleepiness}
본 발명은 앉은 자세에서 졸음이 오는 경우 턱을 받쳐 편하게 잠을 잘 수 있는 졸음용 턱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편하게 턱을 받칠 수 있으며,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졸음용 턱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좌석에 착석하여 이동할 때나,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경우, 졸음이 오게 되면 자연스럽게 목에 힘이 빠지기 때문에 앞이나 옆으로 머리가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경추와 어깨에 부담을 주는 것은 물론, 삐뚤어진 자세와 머리의 움직임으로 인해 수시로 잠에서 깰 수밖에 없어 오히려 더 피곤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2011-0063946호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휴식을 목적으로 하거나 차량시트에 앉아 이동하는 동안 목을 보호하기 위한 목 보호대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되고, 천 소재로 된 외피의 봉제작업으로서 제작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어 목을 받쳐 보호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후두부 일부가 파묻히는 형태로 받쳐주도록 원형 혹은 타원형의 안내홈(12a)이 형성된 제1받침부(12)와, 상기 제1받침부(12)의 하부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 좌우측 및 턱 양측을 받쳐주는 제2받침부(14)와, 상호 대응되는 제2받침부(14)에 부착되어 제2받침부의 양측을 선택에 따라 탈부착하는 벨크로우부재(16)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목 보호대는 제2받침부(14)에 의해 착용자의 목과 턱을 좌우측에서 받쳐줄 뿐이어서,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졌을 때에는 목과 어깨를 보호하기 어렵고, 착용하거나 분리시키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05763호와 같이 장시간 앉아 있는 사용자가 턱을 지지하여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 턱받침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의자의 쿠션부에 놓여져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지지되거나 의자의 팔걸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상 방향으로 뻗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지도록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상 방향으로 뻗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 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턱을 받쳐주는 턱 받침대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로 구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부재의 후방에는 사용자의 몸통 앞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해주는 쿠션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부재에는 이어폰을 거치할 수 있는 이어폰 거치대가 더 설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받쳐주는 얼굴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턱 받침대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가려주는 얼굴 가리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턱 받침대는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 받침대가 의자에 고정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해진 곳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11-0063946호(2011.06.15.공개, 목 보호대) 한국등록특허 제1605763호(2016.03.17.등록, 턱받침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졸음이 오는 경우에는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편하게 턱을 받쳐 잠을 잘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물품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졸음용 턱 받침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정된 크기의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받침몸체; 상기 받침몸체의 하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거나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을 받치도록 마련된 턱받침부;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흉부 및 어깨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착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용밴드의 일측이나 타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탈착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밴드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그 관통공에 착용밴드의 양측면으로 번갈아 끼워지는 길이조절끈과, 그 길이조절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착용밴드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착용밴드를 설정된 길이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그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나 하부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몸체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어 받침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지지대와, 그 상부지지대와 힌지축으로 회동되며 받침몸체의 하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하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내면을 받침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받쳐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는 졸음이 오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사용자의 상체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장소에 제한이 없고, 사용자의 턱을 안정되게 받쳐 지지하면서도 머리 무게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으며, 잠을 취하는 동안 분실 우려가 있는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 사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가방 또는 핸드백에 넣어 보관하거나, 크로스백이나 숄더백과 같이 어깨에 둘러메고 다님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에 탈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탈착부재가 일부 분리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의 착용밴드에 관통공을 형성시켜 길이조절끈 및 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길이조절끈 및 스토퍼에 의해 착용밴드가 조여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의 받침몸체에 개폐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받침구의 받침몸체 내부에 수평지지대가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로 분리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수평지지대가 접어짐에 따라 받침몸체가 상하로 압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틀 및 하부고정틀이 구비되어 받침몸체의 양측에 수평지지대가 각 하나씩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틀 및 하부고정틀이 구비되어 받침몸체의 일측에는 하나의 수평지지대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두 개의 수평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는 앉은 자세에서 졸음이 오는 경우 사용자의 턱을 받쳐 편하게 잠을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받침몸체(100), 턱받침부(200), 착용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받침몸체(100)는 기 설정된 크기의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몸체(10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턱받침부(200)는 받침몸체(100)의 하면에 사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턱받침부(200)는 받침몸체(100)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이거나 사용자의 턱이 지지되는 부분을 오목하게 형성시켜 된 것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착용밴드(300)는 사용자의 흉부 및 어깨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져 받침몸체(1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착용밴드(300)는 일정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졸음용 턱 받침구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졸음이 오는 경우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 옆구리, 등, 어깨에 착용밴드(300)를 고루 밀착시키게 되면, 착용밴드(300)가 설치된 받침몸체(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턱에 인접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받침몸체(100)의 상부와 하부가 반대가 되도록 받침몸체(100)를 뒤집게 되면 턱받침부(200)가 상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턱을 편하게 받칠 수 있는 높이가 된다.
이때, 턱받침부(200)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머리의 무게에 의해 사용자의 턱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펀지나 라텍스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원래의 형상으로 쉽게 되돌아갈 수 있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턱을 받쳤을 때 쿠션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턱을 받칠 수 있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변형됨에 따라 턱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졸음용 턱 받침구는 부피가 작아 핸드백이나 가방에 넣고 다닐 수 있고, 또는 크로스백이나 숄더백과 같이 착용밴드(300)를 어깨에 둘러메고 다닐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는 사용시 간편하게 착용하여 사용자의 턱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안락하게 졸음을 취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도 3 및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밴드(300)의 일측이나 타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탈착부재(400)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탈착부재(400)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착용밴드(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4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는 달리 착용밴드(300)와 탈착부재(400) 사이에 길이조절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받침몸체(100)와 착용밴드(300)가 탈착부재(400)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시에는 탈착부재(400)를 분리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재(400)는 착용밴드(300)의 양측에 받침몸체(100)와 인접되게 설치된 버클(Buckle)인 것으로 설명하며, 버클 이외에도 벨크로 등과 같이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공지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6과 같이 상기의 착용밴드(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310)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의 관통공(310)에는 착용밴드(300)의 양측면을 번갈아가며 길이조절끈(320)이 끼워지고, 이 길이조절끈(3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착용밴드(300)의 일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330)가 끼워져, 착용밴드(300)를 설정된 길이로 조이거나 원래의 길이로 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끈(320)과 스토퍼(330)를 통해 졸음용 턱 받침구를 미사용시에는 착용밴드(300)를 가지런히 모아 전체길이를 줄여줌으로써 핸드백이나 가방에 용이하게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탈착부재(400)가 구비된 경우에는 탈착부재(400)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착용밴드(300)를 가지런히 모아 작은 부피로 보관하면서도 착용밴드(3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몸체(100)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몸체(100)의 상부, 하부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개폐부재(5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폐부재(500)는 지퍼, 벨크로, 자석단추, 스냅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받침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품은 받침몸체(100)의 크기에 따라 지갑, 열쇠, 화장품, 손거울, 물통, 휴대폰, 이어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500)를 통해 수용공간을 개방시켜 분실 위험이 있는 물품을 받침몸체(100) 내부에 수용시킨 후, 그 수용된 물품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받침몸체(100)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수용공간을 폐쇄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몸체(100)의 내측면에는 받침몸체(1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13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의 수직지지대(130)는 두 개 이상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직지지대(130)는 받침몸체(100)의 기본 외형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턱받침부(200)를 통해 사용자의 턱을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받침몸체(100)가 상하로 압축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받침몸체(100)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으로 물품이 보관된 경우 그 물품이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8 및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30)는 받침몸체(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지지대(131)와, 그 상부지지대(131)와 힌지축(133)으로 회동되며 받침몸체(1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지지대(132)와, 상부지지대(131)와 하부지지대(132)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내면을 받침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받쳐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편(134)을 형성시켜 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지지대(131)와 하부지지대(132)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턱에 의해 턱받침부(2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지지편(134)은 이 수직지지대(130)가 설치된 받침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하부지지대(132)를 받쳐 지지하게 되며, 반대로 휴대 및 보관시 힌지축(133)을 받침몸체(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지지편(134)에 의한 지지력을 잃게 되면서 상부지지대(131)의 외면과 하부지지대(132)의 외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철되면서 받침몸체(100)가 상하로 압축되어 납작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힌지축(133)은 받침몸체(100)의 외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턱받침부(200)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되어 머리에 의한 하중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동안 지지편(134)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직지지대(13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수직지지대(130)가 받침몸체(100)의 내측으로 임의 회동하여 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턱이 턱받침부(200)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직지지대(130)가 힌지축(13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지지대(131)와 하부지지대(132)가 접어졌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수직지지대(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첨부한 도 10a와 같이 받침몸체(100)의 양측변에 수직지지대(130)를 각 하나씩 설치된 경우 각각의 수직지지대(130)를 일측변 또는 타측변에 치우치게 설치하면 되며, 도 10b와 같이 받침몸체(100)의 일측변에는 하나가 설치되고 타측변에는 두 개가 설치된 경우 상부지지대(131)와 하부지지대(132)를 일측변에 설치된 하나가 타측변에 설치된 두 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지지대(130)를 통해 졸음용 턱 받침구를 사용시에는 받침몸체(100)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 및 보관시에는 받침몸체(100)가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해, 도 10a 및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몸체(100)의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는 받침몸체(100)가 기 설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부지지대(131)의 상부와 하부지지대(132)의 하부가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면과 같이 수직지지대(130)의 양 끝단부가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에는 수직지지대(130)가 연결 설치되는 위치에 별도의 회동결합구(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상부고정틀(110)의 하부와 하부고정틀(120)의 상부에 수직지지대(130)의 폭과 대응되는 너비의 관통부(미도시)를 형성시켜 이 관통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고정틀(110)과 하부고정틀(120)을 통해 받침몸체(100)가 사용자의 턱을 받쳐 지지하는 동안에도 받침몸체(1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상부지지대(131)의 외면과 하부지지대(132)의 외면이 서로 밀착되게 접어 받침몸체(100)를 상하로 압축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도 받침몸체(100)의 원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졸음용 턱 받침구는 졸음이 오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사용자의 상체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장소에 제한이 없고, 사용자의 턱을 안정되게 받쳐 지지하면서도 머리 무게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으며, 잠을 취하는 동안 분실 우려가 있는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 사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가방 또는 핸드백에 넣어 보관하거나, 크로스백이나 숄더백과 같이 어깨에 둘러메고 다님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받침몸체 110 : 상부고정틀
120 : 하부고정틀 130 : 수직지지대
131 : 상부지지대 132 : 하부지지대
133 : 힌지축 134 : 지지편
200 : 턱받침부
300 : 착용밴드 310 : 관통공
320 : 길이조절끈 330 : 스토퍼
400 : 탈착부재 410 : 길이조절구
500 : 개폐부재

Claims (6)

  1. 기 설정된 크기의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받침몸체(100);
    상기 받침몸체(100)의 하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거나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을 받치도록 마련된 턱받침부(200);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흉부 및 어깨를 감싸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착용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300)의 일측이나 타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탈착부재(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310)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그 관통공(310)에 착용밴드(300)의 양측면으로 번갈아 끼워지는 길이조절끈(320)과, 그 길이조절끈(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착용밴드(300)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착용밴드(300)를 설정된 길이로 고정하는 스토퍼(3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그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부나 하부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부재(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10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어 받침몸체(100)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30)는 상기 받침몸체(100)의 상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상부지지대(131)와, 그 상부지지대(131)와 힌지축(133)으로 회동되며 받침몸체(100)의 하부에 회동되게 결합된 하부지지대(132)와, 상기 상부지지대(131)와 하부지지대(132)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내면을 받침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받쳐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편(134)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용 턱 받침구.
KR1020160148351A 2016-11-08 2016-11-08 졸음용 턱 받침구 KR20180051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51A KR20180051269A (ko) 2016-11-08 2016-11-08 졸음용 턱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351A KR20180051269A (ko) 2016-11-08 2016-11-08 졸음용 턱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269A true KR20180051269A (ko) 2018-05-16

Family

ID=6245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351A KR20180051269A (ko) 2016-11-08 2016-11-08 졸음용 턱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1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165B1 (ko) 2022-12-09 2023-07-25 오선혁 미용실에서 사용 가능한 졸음용 받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165B1 (ko) 2022-12-09 2023-07-25 오선혁 미용실에서 사용 가능한 졸음용 받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US8056166B2 (en) Pillow adapted for music system engagement and use in the prone or supine head position
US5511704A (en) Belt holder for cellular phone
US20140325741A1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EP2866614A2 (en) Support pillow
US9873361B2 (en)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US2018001073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730508B2 (en) Backpack for a mobile device user
CN111970944A (zh) 具有储存能力的颈部枕头
US8256049B1 (en) Compact sleep enhancement kit
KR20180051269A (ko) 졸음용 턱 받침구
CN210158749U (zh) 姿势矫正装置
KR101672365B1 (ko) 목 베개
KR200476355Y1 (ko)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가방 하중 분산 부재
KR20190001491U (ko) 의료용 팔 지지대
US20200281753A1 (en) Posture Correcting Device
KR102021740B1 (ko) 가방형 목베개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US20040144821A1 (en) Bag including a contour panel
KR200473826Y1 (ko)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102514177B1 (ko) 배낭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KR101985913B1 (ko)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JP2002339112A (ja) 着衣型ベビーキャリー
KR101061154B1 (ko) 안마기 프레임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