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913B1 -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 Google Patents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913B1
KR101985913B1 KR1020160114593A KR20160114593A KR101985913B1 KR 101985913 B1 KR101985913 B1 KR 101985913B1 KR 1020160114593 A KR1020160114593 A KR 1020160114593A KR 20160114593 A KR20160114593 A KR 20160114593A KR 101985913 B1 KR101985913 B1 KR 10198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ag
cover
ches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241A (ko
Inventor
민언기
송향금
Original Assignee
민언기
송향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언기, 송향금 filed Critical 민언기
Priority to KR102016011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9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에 일부에 걸려 지지되는 몸체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rest for body and chin}
본 발명은 지지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에 일부에 걸려 지지토록 설치되는 몸체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부를 할 때에는 장시간의 공부에 피곤한 학생들은 책상위에 엎드려 취짐을 하게 된다.
또한, 학생이나 직장인 들이 대중교통을 통하여 이동할 때 의자에 앉아서 숙면을 취하게 된다.
이때, 수면 중에는 무의식적으로 몸을 앞으로 굽혀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같은 자세를 장시간 지속할 경우 오히려 허리, 어깨 목 등에 부담을 주게되어 육체의 피로가 가중됨은 물론 체형을 변화시키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192590호에 가슴지지대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책상의 상판에 결합되는 픽싱부(22)에 사용자의 가슴 부분을 받쳐주기 위한 체스트 서포트부(24)가 구비된 쿠션 재질의 서포팅 바디(20)와; 상기 서포팅 바디(20)에 내장되어 상기 픽싱부(22)가 상기 책상(2)의 상판(4)에 고정되는 힘과 상기 체스트 서포트부(24)가 사용자의 가슴 부분을 받쳐주기 위한 힘을 작용시키는 코어부재와; 상기 쿠션 재질의 서포팅 바디(20)의 상기 픽싱부(22)를 상기 책상의 상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하는 힘을 가해주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팅 바디(20)의 상기 픽싱부(22)는 상기 책상의 상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로워 픽싱 바디(22c)와, 상기 로워 픽싱 바디(22c)에 브릿지 바디(22b)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어퍼 픽싱 바디(22a)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슴지지대는 체스트 서포트부(24)가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신체를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책상에 끼워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거리를 이동시 등받이에 의해 고개가 젖혀져 입의 버러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휴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토록 하여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하고, 향을 발산하도록 하며, 착용감을 높이면서 청결의 유지가 가능토록 하는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에 일부에 걸려 지지토록 설치되는 몸체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벨트와 상기 벨트와 연결토록 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고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슴, 어깨, 목, 어깨와 가슴 등에 선택적으로 지지토록 설치되는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몸체는, 커버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백과 상부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백은 형태를 유지토록 하드 한 재질로 상부백은 소프트 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아로마향 등의 캡슐이 충진되는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는, 지지면의 상부 또는 상부전체에 덮이도록 하는 보조커버가 구비되고, 착용시 하단이 사용자의 무릎위에 위치하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는, 베이스백과 상부백이 분리설치되어 커버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백과 상부백은 부착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거리를 이동시 등받이에 의해 고개가 젖혀져 입버러짐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휴식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토록 하여 안정감을 제공하고, 향을 발산하며, 착용감을 높이면서 청결의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가슴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5 및 도6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착용상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또 따른 실시예에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며, 도5 및 도6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착용상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또 따른 실시예에 바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지수단(110)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에 일부에 걸려 지지되는 몸체(200)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23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10)은, 벨트(111)와 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고리(1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벨트와 벨트고리는 서로 대응토록 되는 후크와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10)은, 사용자의 가슴, 어깨, 목, 어깨와 가슴 등에 선택적으로 지지토록 설치되는 벨트고리(113)가 몸체에 복수개 구비된다.
즉, 상기 벨트고리가 몸체가 상부 또는 중앙에 구비되어 지지수단이 목에 지지되거나, 가슴에 지지되거나, 어깨와 가슴에 동시에 지지되는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몸체(200)는, 커버(201)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백(203)과 상부백(20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백(203)은 형태를 유지토록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백(205)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아루마향 등의 캡슐등이 충진된다.
더하여, 상기 커버는 지지면이 상부로 일정높이로 돌출토록 마운트(209)가 형성되어 있고, 핸드폰 등을 수납토록 하는 수납부(207)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지지면(230)의 상부 또는 몸체의 상부전체에 덮이도록 하는 보조커버(2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면(230)은, 도7 내지 도9에서와 같이 몸체의 상부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뚜기 형상이면서 몸체의 측면에서 상부중앙이 함몰되는 오뚜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는, 착용시 하단이 사용자의 무릎위에 위치하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베이스백(203)과 상부백(201)이 분리설치되어 커버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백과 상부백은 메직테잎등의 부착수단(28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지수단(110)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에 일부에 걸려 지지되는 몸체(200)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230)이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2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턱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10)은, 벨트(111)와 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고리(113)로 이루어져 몸체(200)의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와 벨트고리는 서로 대응토록 되는 후크와 걸림편이 구비되어 신속한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10)은, 사용자의 가슴, 어깨, 목, 어깨와 가슴 등에 선택적으로 지지토록 설치되는 벨트고리(113)가 몸체에 복수개 구비되어 지지수단이 사용자의 목에 걸려 지지되거나, 가슴에 밀착되어 지지되거나, 어깨와 가슴에 동시에 걸려 지지되는 등 다양한 상태로 몸체를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밀착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몸체(200)는, 커버(201)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베이스백(203)과 상부백(205)으로 이루어져 베이스백이나 상부백등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고, 커버는 세탁이 가능하여 장 시간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백(203)은 형태를 유지토록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턱으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토록 하고, 상기 상부백(201)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아로마향 등의 캡슐이 충진되어 턱 등을 거부감 없이 지지토록 하며, 캡슐에 의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배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지지면이 상부로 일정높이로 돌출토록 마운트(209)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을 상대적으로 덜 움직여 곧은 자세로 지지가능토록 하고, 핸드폰 등을 수납토록 하는 수납부(207)가 구비되어 있어 부피가 적은 소지품 등을 수납토록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면(230)은, 도7 내지 도9에서와 같이 몸체의 상부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뚜기 형상이면서 몸체의 측면에서 상부중앙이 함몰되는 오뚜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턱이 지지면의 함몰되는 부분에 수용되어 착용감을 높이면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지지면(230)의 상부 또는 몸체의 상부전체에 덮이도록 하는 보조커버(270)가 구비되어 장시간 사용시 커버전체를 세탁하는 것이 아닌 보조커버만 분리하여 세탁함으로써 부하를 줄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는, 착용시 하단이 사용자의 무릎위에 위치하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를 사용자의 가슴은 물론 무릎에 의해 지지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베이스백(203)과 상부백(201)이 분리설치되어 커버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베이스백과 상부백은 메직테잎등의 부착수단(28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크기가 다른 상부백을 사용하여 다양한 체형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11...벨트 113...벨트고리
200...몸체 230...지지면
201...커버 203...베이스백
205...상부백 270...보조커버
280...부착수단

Claims (5)

  1. 지지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의 몸 일부에 걸려 지지토록 설치되는 몸체의 상부에 사용자의 턱이 지지토록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착용시 사용자의 턱이 상부에 지지되면서 하단이 사용자의 무릎위에 위치하는 C자 형상을 갖는 커버와 커버의 내측에 분리 삽입되는 베이스백과 상부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백은, 형태를 유지토록 하드 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백은 소프트 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면은, 상부 및 측면에서 오뚜기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커버는, 지지면이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토록 마운트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지지면의 상부 또는 상부전체에 덮이도록 하는 보조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벨트와 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고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가슴, 어깨, 목, 어깨와 가슴 등에 선택적으로 지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부백은 내측에 아로마향의 캡슐이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백과 상부백이 부착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4593A 2016-09-06 2016-09-06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KR10198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93A KR101985913B1 (ko) 2016-09-06 2016-09-06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93A KR101985913B1 (ko) 2016-09-06 2016-09-06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41A KR20180027241A (ko) 2018-03-14
KR101985913B1 true KR101985913B1 (ko) 2019-06-04

Family

ID=6166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93A KR101985913B1 (ko) 2016-09-06 2016-09-06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3557A1 (en) * 2005-12-16 2009-11-19 Joseph Gabriel Maginness Combination carrier unit and head suppo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68U (ko) * 1999-03-19 2000-10-16 강무웅 건강베개
KR101021355B1 (ko) * 2008-08-04 2011-03-16 (주)마디공학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20130063052A (ko) * 2011-12-06 2013-06-14 박관식 수면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3557A1 (en) * 2005-12-16 2009-11-19 Joseph Gabriel Maginness Combination carrier unit and head suppor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41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8172116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KR950010706B1 (ko)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US8668268B1 (en) Lounge chair assembly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JP6040432B1 (ja) 背負い具の補助具
JP2006043402A (ja) 磁石付きストラップを有するバッグ
KR101985913B1 (ko) 목받침 겸용 바디레스트
KR101968015B1 (ko) 휴대용 링거팩 거치대
KR100762450B1 (ko) 의자가 결합된 가방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101459043B1 (ko) 실내외에 사용하는 다용도 해먹
KR20220114172A (ko) 분할형 쿠션
KR20130106924A (ko) 배낭형 조립링거대
KR20140050139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296329Y1 (ko) 유아용 캐리어
KR101471337B1 (ko) 기능성 가방
JP3195625U (ja) リュックサック
NL2014948B1 (en) Sling type child carrier.
KR101196808B1 (ko) 인체공학적 배낭
KR200473826Y1 (ko)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KR101441577B1 (ko) 의자 겸용 배낭
KR200481476Y1 (ko) 의료용 수액 백의 거치장치
CN210727383U (zh) 分段式颈枕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