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807B1 -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 Google Patents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807B1
KR102243807B1 KR1020200166100A KR20200166100A KR102243807B1 KR 102243807 B1 KR102243807 B1 KR 102243807B1 KR 1020200166100 A KR1020200166100 A KR 1020200166100A KR 20200166100 A KR20200166100 A KR 20200166100A KR 102243807 B1 KR102243807 B1 KR 10224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upport member
waist band
ba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경
백승길
Original Assignee
황준경
백승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경, 백승길 filed Critical 황준경
Priority to KR102020016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A61F5/3753Abduction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밴드로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각 밴드의 착용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를 구비하여 구성품의 수가 많더라도 정확한 위치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허리밴드를 넓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1허리 밴드와, 좁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2허리 밴드로 구성하되 상기 제 1/2 허리 밴드는 각각 받침부재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되 허리밴드와 받침부재간 결합면적을 향상시켜 허리밴드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Shoulder Abduction Brace}
본 발명은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깨 근육의 손상 혹은 파열시 악화를 방지하고 재활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하는 어깨 외전 보조기에서 다수개 밴드들의 정확한 착용순서와 위치를 알려주고 착용시 지지력을 향상하고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편의성도 개선시킴으로써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불편을 감소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몸에 있는 많은 관절 중에 가장 운동 범위가 크고 넓은 어깨 관절은 회전근개(Rotator Cuff)란 4개의 근육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회전근개에 의하여 어깨관절은 탈구되지 않고, 팔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되며, 앞뒤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근개는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근(teres minor)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4개의 근육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면 팔과 어깨에 통증이 발생되는데, 이는 어깨 관절에 발생하는 만성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상기 회전근개 파열에 의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전근개파열 재건술이 있으며, 상기 회전근개파열 재건술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4 ~ 6주간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하여야 한다.
어깨 외전 보조기는 수술한 어깨를 보호하면서 어깨 인대가 뼈에 제대로 생착되는데 가장 좋은 각도를 유지해 주는 것으로, 착용법을 잘 알고 착용해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고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는 팔을 옆구리 옆으로 20-30°로 벌려주되, 어깨 외전 보조기를 몸의 1/3에서 1/4정도 앞쪽으로 위치되게 하여 수술한 어깨쪽 주먹이 배꼽 부근에 위치되도록 팔을 지지하고, 팔이 움츠리거나 힘을 주는 상태가 되지 않으면서 축 늘어뜨린 자세가 되도록 착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문가의 도움에 의하여 착용시에는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지만,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하는 기간에는 지속적인 재활운동을 하여야 하므로 어깨 외전 보조기는 착용하고 벗는 것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벗은 후 다시 착용하는 시점에 항상 전문가가 함께할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가 정확한 착용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는 회전근계파열 외에도 견관절 주위근 파열, 어깨 탈구 등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어깨 외전 보조기에 대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20-0195587호 등이 있으며,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는 통상 내측이 사용자의 몸체에 대응되도록 만곡형성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한바퀴 감싸 받침부재를 허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밴드, 상기 받침부재의 외측면에 착탈식으로 고정되어 사용자의 팔을 감싸 고정하는 팔고정구, 상기 팔고정구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목에 걸쳐져서 몸통을 사선으로 감싸 팔 고정구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하중을 줄여주고 받침부재를 허리 주변에 고정하는 어깨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받침부재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만 팔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어깨관절에 부담이 가지 않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나, 착용중 혹은 착용 후 사용과정에서 받침부재가 흘러내리는 등의 이유로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 이를 바로잡아야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허리밴드가 단일 구성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허리밴드를 풀 경우 받침부재가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때 팔이 의도하지 않게 아래로 처지면서 어깨 관절 등에 충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허리밴드가 폭이 좁은 띠형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에 전달된 하중 즉 사용자의 팔의 무게 등이 허리 밴드로 인가되어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어깨밴드의 경우 목옆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중 어깨밴드가 목주변에 마찰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의 정확한 착용을 위해서는 각 구성품을 정확한 위치로 착용하여야 하는데, 어깨 외전 보조기의 종류에 따라 밴드 수가 많을 경우에는 밴드간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워 착용하는 과정에서 체결과 분리를 반복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잘못된 위치에 체결할 경우 편안한 자세가 되지 않아 어깨 관절이나 근육이 무리하게 움직이게 되어 재활효과를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밴드로 어깨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각 밴드간 결합순서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를 구비하여 구성품의 수가 많더라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허리밴드를 넓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1허리 밴드와, 좁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2허리 밴드로 구성하되 상기 제 1/2 허리 밴드는 각각 받침부재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허리밴드와 받침부재간 결합면적을 향상시켜 허리밴드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 부재에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어깨 외전 보조기를 구성하는 밴드 등 각 구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출시 지갑이나 휴대폰 등의 휴대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받침부재와; 넓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1허리 밴드와 좁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2허리 밴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허리 밴드는 중심부가 받침부재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 2허리밴드는 제 1허리 밴드를 감싸서 양 종단이 받침부재에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제 1허리 밴드가 허리와 밀착되고 제 2허리밴드가 제 1허리 밴드의 길이를 한번 더 조정하여 받침부재를 몸통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2허리밴드; 상기 받침부재의 외측면에 착탈되어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는 팔고정구; 교정대상 어깨의 반대쪽 어깨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어깨 고정구; 상기 팔고정구의 팔뚝 안쪽 부분과 팔꿈치 뒷쪽 부분에 각각 구비된 전방 팔 고정고리와 후방 팔 고정고리; 상기 어깨 고정구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전/후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후방 팔 고정 고리에 각각 연결되는 전/후방 팔 고정 밴드; 상기 어깨고정구 일측에 구비된 어깨 고정고리; 상기 어깨 고정구 타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옆구리를 거쳐서 상기 어깨 고정고리에 결합되는 어깨 고정밴드; 및 상기 전/후방 팔 고정 고리와 밴드 및 어깨 고정 고리와 밴드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결합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수개의 밴드를 정확한 순서와 위치로 착용시킴과 아울러, 넓게 형성된 제 1허리 밴드가 허리에 접촉되어 마찰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고 지지력을 향상시킨 어깨 외전 보조기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구에 의하여 각 밴드와 고리들의 정확한 착용순서와 위치를 알 수 있어 어깨 외전 보조기를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하는 과정에서 관절이나 근육이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아 재활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 부재의 위치는 제 2허리밴드로 조정이 가능하므로, 제 2허리밴드를 풀더라도 제 1허리 밴드가 착용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받침부재가 흘러내리지 않고 쉽게 돌아가지도 않으므로 팔의 지지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허리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 1허리 밴드가 폭이 넓은 띠형으로 형성되어 받침 부재에 전달된 하중 즉 사용자의 팔의 무게 등이 허리 밴드로 인가되더라도 제 1허리 밴드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사용자의 허리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목옆에 위치되는 밴드가 없어서 사용중 목주변에 마찰로 인한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허리 밴드는 받침부재의 내측면 일부분에 띠형으로 형성된 고정띠로 끼워져서 받침부재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와 제 1허리 밴드에 형성된 연결편이 1쌍의 밸크로테이프로 결합되어 받침부재의 내측면 전체를 제 1허리 밴드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재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흔들림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 어깨 지지효과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받침부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1허리 밴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허리밴드와 받침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팔 고정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의 착용예를 나타내는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에 착탈되어 받침부재(100)를 몸통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2허리밴드(210)(220); 상기 받침부재(100)의 외측면에 착탈되어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는 팔고정구(300); 교정대상 반대쪽 어깨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어깨 고정구(400); 상기 어깨 고정구(400)와 팔고정구(300)를 신체 전/후에서 각각 연결하는 전/후방 팔고정밴드(410)(420)와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 어깨 고정구(400)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어깨 고정밴드(430)와 어깨 고정고리(440) 및; 상기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와 밴드(410)(420) 및 어깨 고정 고리(440)와 밴드(430)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결합순서와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확한 순서와 위치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중 관절이나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면서 착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몸통과 대응되도록 만곡형성되며, 상부면에는 휴대폰 등의 수납이 가능한 포켓(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받침부재(100)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내장재(120), 상기 내장재(120) 외측을 커버링하는 직물로 형성된 커버(130)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재(100)의 내장재에는 수납공간(140)이 구비되어 어깨 외전 보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수의 구성 들을 수납공간(140)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외출 등의 경우에 지갑이나 휴대폰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버(130)에는 수납공간(140)을 여닫을 수 있도록 개폐수단(150)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수납공간(140)은 하드 혹은 소프트재질의 수지로 구성되어 일정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장재(12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140)의 개구부는 받침부재(100)의 전방 즉, 사용자의 배꼽 부분을 향하는 면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개폐수단(150)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손상되지 않은 어깨 쪽 팔로 쉽게 여닫고 물건을 수납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납공간(140)을 받침부재(100)의 전방을 향해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면으로 개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장재(120)는 스펀지를 사용하고 수납공간(140)은 스티로폼이나 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재질로도 가능하다.
상기 포켓(110)에는 휴대폰이나 지갑 등 평평한 물건이 수납될 수 있고, 그 예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폰 거치대(160)의 일측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휴대폰(H)을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쪽 팔이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팔만으로도 휴대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폰 거치대(160)는 수납공간(140)에 보관된다.
상기 휴대폰 거치대(160)는 각도조절가능하면서 절첩가능하게 제 1플레이트(162)와 제 2플레이트(164)가 결합되고, 상기 제 1플레이트(162)에는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166)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 및 절첩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조 및 고정수단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00)의 몸체측 만곡형성부 중심에는 폭이 받침부재(100)의 상하두께와 대응되거나 다소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좌우길이는 받침부재(100)의 내측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고정띠(170)가 좌우는 개방되고 상하는 재봉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띠(170)의 좌우 길이가 받침부재(100)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띠(170)의 상하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 제 1허리 밴드(210)의 중심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와 고정띠(170) 사이의 틈으로 끼워져 고정되어야 하는데, 고정띠(170)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질 경우 상기 제 1허리 밴드(210)를 고정띠(170)에 끼우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용이하게 하면서 제 1허리 밴드(2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우 측부에는 제 1허리 밴드(210) 고정을 위한 보조 밸크로테이프(180)가 구비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허리 밴드(210)에는 상기 보조 밸크로테이프(180)와 결합되는 다른 보조 밸크로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된 연결편(212)이 돌출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띠(170)가 받침부재(100)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만곡부에 형성되어 제 1허리 밴드(210)가 받침부재(100)의 가장자리까지 결합되지 못하고 중심부에서만 결합되므로 상기 받침부재(100)와 제 1허리 밴드(210)간의 결합면적이 줄어들어 받침부재(100)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므로, 도 8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허리 밴드(210)의 연결편(212)이 받침부재(100)의 좌우 종단과 보조 밸크로테이프(180)로 결합되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늘려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 1허리 밴드(210)를 신체에 착용시 받침부재의 만곡부와 대응되는 부분도 받침부재와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상태가 ㄱ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허리 밴드(210)의 일측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신장부(214)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00)의 보조 밸크로테이프(180) 측부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허리밴드 고정고리(190)가 구비되어 제 2허리밴드(220)의 양종단이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제 2허리밴드(220)는 제 1허리 밴드(210)보다 좁은 폭으로 띠형으로 형성되고, 제 1허리 밴드에 형성된 관통고리(214)를 통과한 후 양 종단이 받침부재(100)의 양측에 형성된 제 2허리밴드 고정고리(190)를 통과하여 제 1허리 밴드(21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받침부재(100)의 지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며, 상기 제 2허리밴드(220)는 받침부재(100)의 제 2허리밴드 고정고리(190)를 중심으로 양종단이 중첩되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크로테이프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팔고정구(30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100)와 벨크로테이프(102)로 착탈되고, 팔꿈치에서 팔목까지 팔의 둘레를 감싸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된 몸체(330)와, 상기 몸체(330)가 팔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밴드(340)로 구성된다.
상기 팔고정구(300)에 형성된 밴드(340)는 몸체(330)와 한쌍의 밸크로테이프로 결합된다.
상기 팔고정구(300)에 형성된 전/후방 팔고정고리(310)(320) 중 전방 팔 고정고리(310)는 몸체(330)또는 다수개 밴드(340)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깨 고정구(400)는 팔이 끼워져서 어깨관절 주변에 착용되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 고정구(400)의 전/후방에는 각각 전/후방 팔고정밴드(410)(420)의 일측 종단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팔고정밴드(410)(420)의 타측 종단은 팔고정구(300)에 형성된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를 각각 통과하여 중첩되어 종단이 한 쌍의 밸크로 테이프로 서로 결합되어 팔고정구(300)의 위치를 받침부재(100)와 함께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어깨 고정구(400)의 후면에는 어깨 고정 밴드(430)의 일측 종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어깨 고정구(400)의 전면에는 상기 어깨 고정 밴드(430) 종단이 끼워지는 어깨 고정 고리(440)가 형성되어 어깨 고정 밴드(430) 종단이 어깨 고정 고리(440)를 통과한 후 중첩되어 한 쌍의 밸크로테이프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구(500)는 전/후방 팔 고정밴드(410)(420)와 고리(310)(320), 어깨 고정 밴드(430)와 고리(440) 종단에 각각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로 각각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번호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팔고정구(300)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와 측부에 다수개의 통기공(390)을 천공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용 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팔고정구(300)가 부착된 받침부재(100)에 제 1/2 허리밴드(210)(220)가 결합된 상태로 제 1허리 밴드(210)를 우선 사용자의 허리주변을 둘러서 결합하고, 이후 제 2허리밴드(220)의 양종단을 결합한다.
이후, 팔고정구(300)에 사용자의 팔을 넣고, 팔 고정 밴드(340)들로 팔등을 감싼 후, 어깨고정구(400)의 전/후방 팔고정밴드(410)(420)를 팔고정구(300)의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에 각각 번호를 맞춰서 끼워넣어 결합하고, 어깨 고정 밴드(430)를 몸통을 둘러서 번호를 맞추어 어깨 고정 고리(440)를 관통시켜 결합함으로써 착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후방 팔고정밴드(420)를 먼저 착용한 후 전방 팔고정밴드(410)를 착용하게 되면, 후방 팔고정밴드(42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어깨가 뒤쪽으로 젖혀지고 이후 전방 팔고정밴드(410)를 착용하면 어깨를 다시 전방으로 당겨야 하고 이 과정에서 어깨근육 등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후방 팔 고정밴드를 풀고 다시 전방 팔 고정밴드(410)부터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우선 전방 팔 고정밴드(410)부터 착용하여 어깨가 편한 위치가 되도록 한 후 후방 팔 고정밴드(420)를 착용하여 어깨의 위치를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어깨 고정 밴드(430)는 어깨 고정구(4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어깨 고정 밴드(430)를 전/후방 팔고정밴드(410)(420)보다 먼저 착용하는 경우 어깨 고정구(400)가 비틀어지거나 돌아가서 전/후방 팔 고정밴드(410)(42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어깨 고정구(400)가 돌아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후방 팔고정밴드를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밴드는 숫자로 표시된 순서대로 즉 전방 팔 고정밴드와 후방 팔고정밴드 및 어깨 고정 밴드의 순으로 착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착용완료 후 외출시에 상기 받침부재(100)의 수납공간(140)에는 지갑등을 수납하고 포켓(110) 또한 이용 가능하며, 휴대폰을 장시간 봐야 할 경우 상기 상기 포켓(110)에 거치대(160)를 끼워넣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쪽팔의 움직임이 불편하더라도 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되고, 어깨를 최대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받침부재
210 : 제 1허리밴드
220 : 제 2허리밴드
300 : 팔고정구
400 : 어깨 고정구
500 : 표시구

Claims (5)

  1. 받침부재(100)와;
    넓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1허리 밴드(210)와, 좁은 띠형으로 형성된 제 2허리밴드(22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허리 밴드(210)는 중심부가 받침부재(100)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 2허리밴드(220)는 제 1허리 밴드(210)를 감싸서 양 종단이 받침부재(100)에 착탈되도록 구비되어 제 1허리 밴드(210)가 허리와 밀착되고 제 2허리밴드(220)가 제 1허리 밴드(210)의 길이를 한번 더 조정하여 받침부재(100)를 몸통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2허리밴드(210)(220);
    상기 받침부재(100)의 외측면에 착탈되어 사용자의 팔을 고정하는 팔고정구(300);
    교정대상 어깨의 반대쪽 어깨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어깨 고정구(400);
    상기 팔고정구(300)의 팔뚝 안쪽 부분과 팔꿈치 뒷쪽 부분에 각각 구비된 전방 팔 고정고리(310)와 후방 팔 고정고리(320);
    상기 어깨 고정구(40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 전/후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에 각각 연결되는 전/후방 팔 고정 밴드(410)(420);
    상기 어깨 고정구(400) 일측에 구비된 어깨 고정고리(430);
    상기 어깨 고정구(400) 타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옆구리를 거쳐서 상기 어깨 고정고리(430)에 결합 결합되는 어깨 고정밴드(440); 및
    상기 전/후방 팔 고정 고리(310)(320)와 밴드(410)(420) 및 어깨 고정 고리(430)와 밴드(440)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어 결합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는,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40)을 갖는 내장재(120), 상기 내장재(120) 외측을 커버링하되 수납공간(14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150)이 구비된 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의 몸체측 만곡형성부 중심에는 폭이 받침부재(100)의 상하두께와 대응되거나 다소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좌우길이는 받침부재(100)의 내측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고정띠(170)가 좌우는 개방되고 상하는 재봉되어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100)의 좌/우 측부에는 제 1허리 밴드(210) 고정을 위한 보조 밸크로테이프(180)가 구비되고,
    제 1허리 밴드(210)에는 상기 보조 밸크로테이프(180)와 결합되는 다른 보조 밸크로테이프가 구비된 연결편(212)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어깨 외전 보조기는 각도조절가능하면서 절첩가능하게 제 1플레이트(162)와 제 2플레이트(164)가 결합되고, 상기 제 1플레이트(162)에는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166)이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폰 거치대(160)는 포켓(110)에 일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허리 밴드(210)의 일측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신장부(2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KR1020200166100A 2020-12-01 2020-12-01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KR10224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0A KR102243807B1 (ko) 2020-12-01 2020-12-01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100A KR102243807B1 (ko) 2020-12-01 2020-12-01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807B1 true KR102243807B1 (ko) 2021-04-22

Family

ID=7573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100A KR102243807B1 (ko) 2020-12-01 2020-12-01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80B1 (ko) * 2021-04-01 2021-09-13 황준경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4239B2 (en) * 2004-06-04 2007-07-17 Breg, Inc. Shoulder stabilizing restraint
US20130317401A1 (en) * 2012-05-24 2013-11-28 Fancastic Products, Inc. Shoulder abduction sling-pillow-immobilizer system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CN206080853U (zh) * 2016-01-20 2017-04-12 北京德益达美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外展外旋康复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4239B2 (en) * 2004-06-04 2007-07-17 Breg, Inc. Shoulder stabilizing restraint
US20130317401A1 (en) * 2012-05-24 2013-11-28 Fancastic Products, Inc. Shoulder abduction sling-pillow-immobilizer system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CN206080853U (zh) * 2016-01-20 2017-04-12 北京德益达美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外展外旋康复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280B1 (ko) * 2021-04-01 2021-09-13 황준경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7109B1 (en) Lumbar supporter
US8628488B2 (en) Compression wrap
US20180153723A1 (en) Shoulder and Arm Orthosis
US4702239A (en) Underwear for men
US8147438B2 (en) Adjustable wrist brace
US20120178990A1 (en) Phallus Retention Apparatuses
US8758284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KR102243807B1 (ko)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US8460225B2 (en) Weight shifting apparatus for an orthopedic sling
US10206804B1 (en) Global osteoarthritis knee brace
KR102302280B1 (ko)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US20220079801A1 (en) Arm sling apparatus
CN113226227A (zh) 姿势矫正器具
JP2011052356A (ja) 男性用下着
KR101999940B1 (ko) 캐리어
JPH05285167A (ja) 背骨矯正用肌着
KR200395828Y1 (ko) 자세 교정장치
KR102326818B1 (ko) 어깨 외전 보조기
CN218652166U (zh) 一种腰带式肩托装置
KR20190031696A (ko) 입체공기주머니가 구비된 어깨 지지대
CN220070518U (zh) 绑带及超声治疗仪
JP2003164476A (ja) 肩関節固定具
CN217611625U (zh) 病患护理用约束手套
JP2002177309A (ja) 姿勢矯正ベルト
JP2001017456A (ja) 姿勢矯正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