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940B1 - 캐리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940B1
KR101999940B1 KR1020190018631A KR20190018631A KR101999940B1 KR 101999940 B1 KR101999940 B1 KR 101999940B1 KR 1020190018631 A KR1020190018631 A KR 1020190018631A KR 20190018631 A KR20190018631 A KR 20190018631A KR 101999940 B1 KR101999940 B1 KR 10199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astening
main
wear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정
Original Assignee
노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정 filed Critical 노현정
Priority to KR102019001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등이나 배에 위치되도록 일정 면을 이루는 메인받침부,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부, 신축성을 갖고, 일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받침부의 상단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부, 및 상기 각 어깨부의 타단부를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감쌈은 물론, 어깨부의 주름을 이용하여 스타일리쉬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를 앞이나 뒤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감쌈은 물론, 착용자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 스타일리쉬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써왔으며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아를 업고 활동하기 위한 물건이다.
서양에서는 과거에 슬링을 많이 쓰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슬링보다 장시간 착용해도 어깨 및 목과 척추에 무리가 덜 가는 포대기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통의 포대기에도 몇가지 개선점들이 있다. 그 중에서 몇 가지를 살펴보면, 첫째로는 별도의 허리끈이 없어서 사용시에 균형이 맞지 않거나, 끈이 미끄러지거나, 아기가 뻗댈 경우 또는 아기 무게에 의하여 아래로 처지면서 아기가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4498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허리띠를 더 구비하여 아기를 더욱 안정적이게 업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포대기는 아기를 업을 수만 있는 구조로, 장시간 아기를 업고 있으면 어깨와 허리 등의 신체에 무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대기는 착용자의 옷 위에서 매듭을 형성함에 따라, 착용자의 의복을 망가트림은 물론, 다양한 연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아기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어 신체의 손상을 방지 및 최소화함은 물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착용자에게 자신감을 줄 수 있게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등이나 배에 위치되도록 일정 면을 이루는 메인받침부,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부, 신축성을 갖고, 일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받침부의 상단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부, 및 상기 각 어깨부의 타단부를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감쌈은 물론, 어깨부의 주름을 이용하여 스타일리쉬 연출할 수 있는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등이나 배에 위치되도록 일정 면을 이루는 메인받침부,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부, 신축성을 갖고, 일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받침부의 상단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부, 및 상기 각 어깨부의 타단부를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받침부는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착용자의 뒷쪽에서 허리를 감싸며, 상기 각 어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앞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하부받침부의 해당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받침부와 등 사이 또는 상기 교차된 어깨부와 배 사이에 아기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받침부는 착용자의 배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착용자의 앞쪽에서 허리를 감싸며, 상기 각 어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뒷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하부받침부의 해당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받침부와 등 사이 또는 상기 교차된 어깨부와 배 사이에 아기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받침부는, 상기 각 어깨부가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메인상단부, 상기 메인상단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메인상단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하단부, 및 상기 메인상단부와 메인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중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상단부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받침부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머리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는, 상기 메인받침부로 접히되,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기 위한 머리받침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고정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에 형성되는 머리받침고정볼, 및 상기 머리받침고정볼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받침부에 형성되는 머리받침고정소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받침부는, 착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수단은, 내부에 보강공간부를 갖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메인받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수납부, 상기 보강수납부의 보강공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되, 상호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강편,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보강편이 접했을 경우, 상호 접한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유지부, 일단부가 상기 보강공간부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열된 보강편을 통과 후, 보강공간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에 위치되는 보강끈, 및 상기 보강끈의 타단부를 상기 메인받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끈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당겨 상기 보강고정부에 의해 메인받침부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보강공간부에 배열된 보강편들이 하측으로 밀착되며, 밀착된 보강편들은 상기 각 보강유지부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각 보강유지부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의 보강편들은 신체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는 상기 각 보강편의 보강면은 평평하거나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체결끈, 상기 체결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체결수부, 및 상기 체결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어깨부에 구비되는 체결암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에 맞도록 상기 체결수부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암부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끈정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끈정리부는, 탄성을 갖는 정리밴드로,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부가 설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를 말은 후, 상기 정리밴드로 감쌈에 따라 탄발력에 의해 말려진 형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아기띠에 의하면, 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감쌈은 물론, 어깨부의 주름을 이용하여 스타일리쉬 연출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받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에 보강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받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에 보강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는 메인받침부(100)와 하부받침부(200), 어깨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메인받침부(100)는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등이나 배에 위치되도록 일정 면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받침부(200)는 메인받침부(10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어깨부(300)는 한 쌍으로, 신축성을 갖고, 일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복수의 주름(310)이 형성된다.
이 어깨부(300)는 일단부가 메인받침부(100)의 상단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체결부(400)는 각 어깨부(300)의 타단부를 하부받침부(200)의 각 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캐리어(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메인받침부(100)는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고, 하부받침부(200)는 착용자의 뒷쪽에서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각 어깨부(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앞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체결부(400)에 의해 하부받침부(200)의 해당 단부에 체결된다.
여기서, 메인받침부(100)와 등 사이 또는 교차된 어깨부(300)와 배 사이에 아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다른 실시 예로, 메인받침부(100)는 착용자의 배에 위치되고, 하부받침부(200)는 착용자의 앞쪽에서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또한 각 어깨부(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뒷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체결부(400)에 의해 하부받침부(200)의 해당 단부에 체결된다.
여기서, 아기는 메인받침부(100)와 등 사이 또는 교차된 어깨부와 배 사이에 안정되게 위치된다.
이를 위한, 메인받침부(1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상단부(110)와 메인하단부(120) 및 메인중앙부(130)를 포함한다.
메인상단부(110)는 각 어깨부(300)가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하단부(120)는 메인상단부(1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메인상단부(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메인중앙부(130)는 메인상단부(110)와 메인하단부(120)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다시 말해, 메인받침부(10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중앙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메인하단부(120)의 하측으로 하부받침부(200)가 구비된다.
또한 메인받침부(100)는 머리받침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 머리받침부(140)는 메인상단부(110)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메인받침부(100)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받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머리받침부(140)는 메인받침부(100)로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되기 위한 머리받침고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 머리받침고정부(150)는 머리받침고정볼(152)과 머리받침고정소켓(154)을 포함한다.
머리받침고정볼(152)은 머리받침부(140)에 형성된다.
그리고 머리받침고정소켓(154)은 머리받침고정볼(152)에 대응되도록 메인받침부(140)에 형성된다.
이 머리받침고정볼(152)과 머리받침고정소켓(154)는 설치위치가 상호 교체될 수 있으며, 복수 개씩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캐리어(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이 보강수단(500)은 메인받침부(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수단(500)은 보강수납부(510)와 보강편(520), 보강유지부(530), 보강끈(540) 및 보강고정부(550)를 포함한다.
보강수납부(510)는 내부에 보강공간부를 갖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메인받침부(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편(520)은 보강수납부(510)의 보강공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되, 상호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각 보강편(520)은 상호 이격된 상태일 경우, 상호 고정되지 않음에 따라, 메인받침부(100)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보강유지부(530)는 인접한 두 개의 보강편(520)이 접했을 경우, 상호 접한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보강끈(540)은 일단부가 보강공간부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배열된 보강편(520)을 통과 후, 보강공간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에 위치된다.
보강고정부(550)는 보강끈(540)의 타단부를 메인받침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수단(5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보강끈(540)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당겨 보강고정부(550)에 의해 메인받침부(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보강공간부에 배열된 보강편(520)들이 하측으로 밀착되며, 밀착된 보강편(520)들은 각 보강유지부(530)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각 보강유지부(530)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의 보강편(520)들은 신체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메인받침부(100)의 위치에 따라, 착용자의 등이나 배를 눌러 아기의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 아기를 교차된 한 쌍의 어깨부(300)에 위치시킬 경우 보강수단(500)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메인받침부(100)가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고, 교차된 한 쌍의 어깨부(300)로 아기를 감싸는 상태에서, 보강끈(540)을 당겨 고정시킴에 따라 복수의 보강편(520)들이 밀착되어 일정 형태를 형성 및 유지한다.
이러한 보강편(520)은 착용자의 등을 눌러 허리를 펼 수 있도록 보조함에 따라, 아기의 무게에 의해 전측으로 쏠리던 상반신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
물론, 여기서 등이라 함은 착용자의 뒤에서 아기가 위치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허리나 척추의 흉추와 요추부분을 포함함이 당연하다.
또한 배 역시, 착용자의 앞에서 아기가 위치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아랫배와 윗배, 가슴부분을 포함함이 당연하다.
여기서,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는 각 보강편(520)의 보강면(522)은 평평하거나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 각 보강편(520)의 보강면(522)은 신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유지부(530)는 보강편(520)의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유지홈(532)과 이 유지홈(532)에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턱(534)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보강편(520)의 상단면(524)과 하단면(526)은 보강면(522)이 있는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중앙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호 밀착 시, 전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며, 유지홈(532)에 삽입된 유지턱(534) 역시, 기울어진다.
이를 위해, 유지홈(532)은 개압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보강고정부(550)는 벨크로(Velcro)로, 고리부분은 보강끈(540)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걸림부분은 메인받침부(100)에 형성하되, 보강끈(540)의 타단부를 당겼을때 위치와 미 사용시 위치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부(4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끈(410)과 체결수부(420) 및 체결암부(430)를 포함한다.
체결끈(410)은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하부받침부(200)의 각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체결수부(420)는 체결끈(4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체결암부(430)는 체결수부(420)에 대응되도록 각 어깨부(300)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 어깨끈(300)의 타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착용자에 맞도록 체결끈(410)에서 체결수부(42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체결암부(430)를 체결수부(420)에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여기서, 체결끈(410)의 타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끈정리부(440)를 더 포함한다.
이 끈정리부(440)는 탄성을 갖는 정리밴드로, 체결끈(410)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된다.
체결수부(420)가 설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체결끈(410)의 타단부를 말은 후, 정리밴드로 감쌈에 따라 탄발력에 의해 말려진 형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체결끈(410)의 재질은 어깨부(300), 하부 받침부(200), 메인 받침부(100)의 재질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즉 체결끈(41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 또는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체결끈(410)의 재질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는 어깨부(300), 하부 받침부(200), 메인 받침부(100)의 재질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 홀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수부(430)는 해당 어깨부(300)의 타단부에 설치되되, 다른 체결끈에 의해 어깨부(300)에 설치된다.
이 체결수부(430)가 설치되는 다른 체결끈의 길이는 하부받침부(200)와 체결암부(420)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끈(410)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물론, 양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신축성에 의해 늘어남이 당연하며, 가해지던 힘이 없어지면 탄발력에 의해 원상복귀됨이 당연하다.
10 : 캐리어 100 : 메인받침부
200 : 하부받침부 300 : 어깨부
400 : 체결부 410 : 체결끈
420 : 체결암부 430 : 체결수부
440 : 끈정리부 500 : 보강수단
510 : 보강수납부 520 : 보강편
530 : 보강유지부 540 : 보강끈
550 : 보강고정부

Claims (10)

  1. 유연성을 갖고, 착용자의 등이나 배에 위치되도록 일정 면을 이루는 메인받침부;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부받침부;
    신축성을 갖고, 일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펼쳐지도록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받침부의 상단부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부;
    상기 각 어깨부의 타단부를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착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은,
    내부에 보강공간부를 갖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메인받침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수납부;
    상기 보강수납부의 보강공간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되, 상호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강편;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보강편이 접했을 경우, 상호 접한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강유지부;
    일단부가 상기 보강공간부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열된 보강편을 통과 후, 보강공간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에 위치되는 보강끈; 및
    상기 보강끈의 타단부를 상기 메인받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끈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당겨 상기 보강고정부에 의해 메인받침부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보강공간부에 배열된 보강편들이 하측으로 밀착되며,
    밀착된 보강편들은 상기 각 보강유지부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받침부는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착용자의 뒷쪽에서 허리를 감싸며,
    상기 각 어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앞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하부받침부의 해당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받침부와 등 사이 또는 상기 교차된 어깨부와 배 사이에 아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받침부는 착용자의 배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착용자의 앞쪽에서 허리를 감싸며,
    상기 각 어깨부는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를 뒷쪽으로 지나 상호 교차된 후, 각 타단부가 상기 체결부에 의해 하부받침부의 해당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받침부와 등 사이 또는 상기 교차된 어깨부와 배 사이에 아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받침부는,
    상기 각 어깨부가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메인상단부;
    상기 메인상단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메인상단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하단부; 및
    상기 메인상단부와 메인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중앙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상단부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받침부에 안착된 아기의 머리를 받치기 위한 머리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정 길이를 갖고, 일단부가 상기 하부받침부의 각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체결끈;
    상기 체결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체결수부; 및
    상기 체결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어깨부에 구비되는 체결암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에 맞도록 상기 체결수부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암부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를 정리하기 위한 끈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끈정리부는,
    탄성을 갖는 정리밴드로,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수부가 설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체결끈의 타단부를 말은 후, 상기 정리밴드로 감쌈에 따라 탄발력에 의해 말려진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KR1020190018631A 2019-02-18 2019-02-18 캐리어 KR10199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31A KR101999940B1 (ko) 2019-02-18 2019-02-18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31A KR101999940B1 (ko) 2019-02-18 2019-02-18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940B1 true KR101999940B1 (ko) 2019-07-12

Family

ID=6725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31A KR101999940B1 (ko) 2019-02-18 2019-02-18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90U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아이알 아기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192Y1 (ko) * 2001-08-23 2001-12-20 이준홍 포대기
JP3136901U (ja) * 2007-08-21 2007-11-08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KR20160047259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20170064381A (ko) * 2015-12-01 2017-06-09 박솔 물건과 유아를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192Y1 (ko) * 2001-08-23 2001-12-20 이준홍 포대기
JP3136901U (ja) * 2007-08-21 2007-11-08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KR20160047259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20170064381A (ko) * 2015-12-01 2017-06-09 박솔 물건과 유아를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90U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아이알 아기띠
KR200497025Y1 (ko) 2021-03-29 2023-07-06 주식회사 라안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1953B2 (ja) 調節自在の膝サポーター
US6315747B1 (en) Posture aid apparatus
JP4394157B1 (ja) 衣装
KR102167617B1 (ko) 자세교정벨트
KR101999940B1 (ko) 캐리어
KR20180031477A (ko) 아기띠
KR101811252B1 (ko) 허리 보호대
US4690402A (en) Tensile exercise device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JPH0975383A (ja) 姿勢矯正方法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2243807B1 (ko) 착용방법 안내형 어깨 외전 보조기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KR20110001488U (ko) 휴대용 아기띠
JPH1071162A (ja) 腰痛の予防及び緩和用の腰バンド
KR102302280B1 (ko) 외투 고정 집게가 구비된 어깨 외전 보조기
CN213852961U (zh) 用于步态复健机的躯干支撑结构及具有其的躯干支撑装置
KR102294679B1 (ko) 작업용 의자
JP6360416B2 (ja) 肩痛緩和装具
CN212308152U (zh) 肩背矫正衣
JP6613397B2 (ja) コルセット、コルセット締付力調節具及び筋力補助装具
KR200289461Y1 (ko) 유아용 포대기
TWI278293B (en) Carrying bag
CN213785607U (zh) 一种软硬支撑护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