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25Y1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25Y1
KR200497025Y1 KR2020210000978U KR20210000978U KR200497025Y1 KR 200497025 Y1 KR200497025 Y1 KR 200497025Y1 KR 2020210000978 U KR2020210000978 U KR 2020210000978U KR 20210000978 U KR20210000978 U KR 20210000978U KR 200497025 Y1 KR200497025 Y1 KR 200497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rap
seat
reinforcing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90U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안
Priority to KR2020210000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2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아기띠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 상기 힙시트가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엉덩이가 지지되는 아기의 상체를 감싸도록 상기 힙시트에 상부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띠; 상기 힙시트와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끈은 덮개의 내면과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아기를 안고 이동하기 위해 착용하는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가 앉을 수 있게 마련된 힙시트를 구비하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아기를 감싸는 덮개와, 어깨띠와 허리띠 등 착용자의 어깨와 허리 등에 고정되도록 덮개에 연결되는 고정띠를 구비한다.
따라서 아기띠 착용자는 허리띠와 어깨띠를 허리와 어깨 등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덮개 안쪽에 지지되도록 아기를 안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최근 시중에 나와 아기띠 중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를 구비한 것이 있다.
힙시트를 구비하는 아기띠의 경우, 허리띠에 고정되는 힙시트를 통해 아기의 엉덩이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반면, 아기의 무게와 힙시트의 무게가 더해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와 허리 쪽을 무리하게 가압할 우려가 있었다.
힙시트에 앉게 되는 아기의 무게를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힙시트에 앉게 되는 아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에 있어서 착용자의 맵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아기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 상기 힙시트가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엉덩이가 지지되는 아기의 상체를 감싸도록 상기 힙시트에 상부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띠; 상기 힙시트와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끈은 덮개의 내면과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메시천으로 마련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전방시트 및 후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시트와 후방시트는 저부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가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지지되도록 갈라지고, 상기 보강끈은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전방시트와 후방시트의 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깨띠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끈은 힙시트와 한 쌍의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덮개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보강끈 중 하나는 상기 덮개 저부 쪽 상기 후방시트 전면에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보강끈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덮개 저부 쪽 상기 전방시트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어깨띠는, 상기 전방시트나 후방시트 상부의 연장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제1끈; 상기 제1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보강끈 상단에 연결되는 제2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끈과 보강끈은 하나의 끈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끈의 하단은 상기 덮개의 하단과 함께 상기 힙시트에 박음질될 수 있다.
상기 어깨띠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끈은 힙시트와 한 쌍의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단이 어깨띠와 연결되고 하단이 힙시트에 연결되도록 상기 덮개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보강끈은 상부가 하부보다 상기 덮개의 양 측단에 더 인접하고, 하부가 상부보다 상기 힙시트의 종방향 중심에 더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에 의하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도록 허리띠에 연결되는 힙시트가 어깨띠와 보강끈을 통해 연결되므로, 힙시트에 앉게 되는 아기의 무게를 허리띠와 어깨띠를 통해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의한 아기띠에 따르면, 힙시트와 어깨띠를 연결하는 보강끈이 덮개의 내면과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덮개에 결합하게 되므로, 힙시트에 앉게 되는 아기의 무게가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에 있어서 착용자의 맵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아기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아기띠의 사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아기때의 사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덮개의 구조를 발취하여 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띠(10)는 아기(1)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20)와, 힙시트(20)가 연결되어 착용자(2)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띠(50)와, 힙시트(20)에 엉덩이가 지지되는 아기(1)의 상체를 감쌀 수 있게 힙시트(20) 상부로 연장되도록 힙시트(20)에 연결되는 덮개(60)와, 덮개(60)에 연결되어 착용자(2)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띠(90)를 구비한다.
힙시트(20)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면(20a)을 상부에 구비하도록 허리띠(50) 중앙의 전방에 허리띠(5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면(20a)은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고, 지지면(20a)에 엉덩이가 지지된 아기(1)는 양쪽 다리가 덮개(6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힙시트(20)의 양 측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힙시트(20)는 지지면(20a)에서 저부로 갈수록 허리띠(5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정도가 작아지고, 측방의 폭 사이즈가 줄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힙시트(20)는 전체적인 부피에 비해 지지면(20a)의 사이즈를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힙시트(20)는 주머니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30)와, 외피(30) 내부에 삽입 되도록 마련되는 지지체(40)를 구비할 수 있다.
외피(30)는 허리띠(50)의 중앙부 전면에 박음질되어 고정되고, 외피(30)에는 지지체(40)의 삽입이나 인출을 위한 개구(31)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31)는 지지면(20a)의 한 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지지체(40)는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복수의 종류로 마련되고, 착용자는 상황에 따라 복수의 지지체(40) 중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체(40)는 지지능력이 우수한 경질의 지지체와, 쿠션 성능이 우수한 연질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2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질의 지지체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를 통해 마련되어 체중이 무거운 아기를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연질의 지지체는 메모리폼이나 스펀지 등의 소재로 마련되어 체중이 가벼운 아기를 쿠션감 있게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허리띠(50)는 양 단에 마련되는 암수 버클(53,54)을 통해 착용자(2)의 허리에 둘러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허리띠(50)는 쿠션감을 고려하여 두툼한 천을 통해 패드 형태로 마련되는 패드형 띠(51)와, 암수버클(53,54)을 패드형 띠(51)의 양단에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끈(52)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착용자(2)의 복부 둘레에 접하게 되는 패드형 띠(51)의 내면에는 통기성을 고려하여 메시 형태의 접촉면(51a)이 제공될 수 있다.
덮개(60)는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배치되는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를 포함하고,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는 각각 메시천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메시천의 경우 통풍에 유리하면서도 부드러운 감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아기(1)의 상체를 지지하는 덮개(60)로 사용되는데 있어서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는 저부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가 착용자(2)의 양측 어깨에 지지될 수 있게 갈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60)는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 사이가 포개어지는 저부를 통해 힙시트(20)에 엉덩이가 지지되는 아기(1)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감쌀 수 있다.
또 상부가 착용자(2)의 양쪽 어깨에 지지되도록 갈라지는 덮개(60)는 그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도 6 참조), 의복 상의의 전면과 유사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아기띠 착용자의 맵시가 좋아지도록 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를 구성하는 메시천은 아기(1)를 지지하는 저부의 폭이 넓고, 착용자(2)의 어깨에 지지되는 상부의 폭이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는 하단 및 하단에 인접한 양 측단이 상호 박음질되어 일체화 되고, 하단을 통해 힙시트(20)를 구성하는 외피(30)의 상부 쪽 전면에 박음질 됨에 따라 힙시트(20)에 상부로 연장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경우, 아기를 앞으로 안을 때는 물론 뒤로 안을 때도 사용할 수 있으나, 전술한 덮개(60)의 형태적인 이점을 고려했을 때, 아기띠(10)는 착용자(2)가 아기(1)를 앞으로 안을 수 있게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아기띠 착용상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아기(1)가 착용자(2)의 상체 전방에 안기도록 착용자(2)가 아기띠를 착용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어깨띠(90)는 착용자(2)의 양쪽 어깨에 둘러매질 수 있게 덮개(60)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어깨띠(90)는 전방시트(70)나 후방시트(80) 상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끈(91)과, 제1끈(9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덮개(60)의 측방으로 측방으로 연결되는 제2끈(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끈(91)은 쿠션감을 고려하여 두툼한 천을 통해 패드 형태로 마련되는 패드형 끈(93)과, 암수버클(96,97) 중 어느 하나를 패드형 끈(93)에 연결하는 제1연결끈(94)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자(2)의 등 쪽에 접하게 되는 패드형 끈(93)의 내면에는 통기성을 고려한 메시 형태의 접촉면(93a)이 제공될 수 있다.
제2끈(92)은 암수버클(96,97) 중 다른 하나를 전방시트(70)나 후방시트(80)의 측방에 연결하는 제2연결끈(9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끈(94)과 제2연결끈(95)은 아기띠(10) 착용자의 겨드랑이 하부 쪽의 옆구리에서 암수 버클(96,97)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어깨띠(90)는 착용자(2)의 어깨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둘러매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연결끈(94)과 제2연결끈(95)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양측의 어깨띠(90)는 제1끈(91)을 통해 상호 교차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용자(2)가 아기띠(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한 쌍의 어깨끈(90)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아기띠(10)를 이용자가 착용하면서 아기(1)를 안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허리띠(50)를 자신의 허리에 둘러매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아기(1)를 힙시트(20)에 엉덩이가 지지되도록 상체 전방에 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는 덮개(60)와 어깨띠(90) 사이에 자신의 머리를 끼운 상태에서 양쪽 어깨띠(90)의 제1연결끈(94)과 제2연결끈(95)을 체결하고, 아기(1)의 전방을 덮고 있는 덮개(60)가 자신의 상체 전방으로 밀착하도록 어깨띠(9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체 앞에 안고 있는 아기가 아기띠(10)를 통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힙시트(20)에 엉덩이가 지지된 아기는 양쪽 팔이 어깨띠(90) 상부를 통해 덮개(60) 외부 양측으로 인출되고, 양쪽 다리가 어깨띠(90) 저부를 통해 덮개(60) 외부 양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10)는 힙시트(20)와 어깨띠(90)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60)에 마련되는 보강끈(100)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끈(100)은 힙시트(20)를 통해 허리띠(50)에 집중되는 아기의 하중이 어깨띠(90)로 분산될 수 있게 힙시트(20)와 어깨띠(90) 사이의 연결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아기(1)의 하중이 아기띠(10)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끈(100)은 덮개(60)의 내면과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덮개(60)에 결합될 수 있다. 덮개(60)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는 보강끈(100)은 외부로 보여지는 아기띠(100)의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힙시트(20)와 어깨띠(9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힙시트(20)에 가해지는 아기의 무게가 착용자(2)의 상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면서도 아기띠(10) 착용자(2)의 맵시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보강끈(100)은 힙시트(20)와 어깨띠(90) 사이의 연결강도의 증대를 위해 덮개(60)보다 질기고 강도가 큰 재질의 섬유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60) 내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는 보강끈(100)은 아기(1) 신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어 아기의 피부를 무리하게 자극할 우려가 없게 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끈(100)은 상호 포개어지는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의 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덮개(60)의 내면 및 외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강끈(100)은 힙시트(20)와 한 쌍으로 마련되는 어깨띠(90)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보강끈(100)은 덮개(60)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끈(100) 중 하나는 덮개(60)의 일측에 대응하는 위치의 후방시트(80) 전면에 박음질되고, 한 쌍의 보강끈(100) 중 다른 하나는 덮개(60) 타측에 대응하는 위치의 전방시트(70) 배면에 박음질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끈(100)의 배치구조는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가 포개어져 구성되는 덮개(60)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힙시트(2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한 쌍의 보강끈(100)을 통해 덮개(60)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띠(90)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깨띠(90)는 제2끈(92)를 통해 보강끈(100)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깨띠(90)의 제2끈(92)은 보강끈(100)과 하나의 끈(110)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고, 보강끈(100)의 하단은 덮개(60)의 하단과 함께 힙시트(20)에 박음질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아기띠(10)의 제조과정에서는 어깨띠(90)와 보강끈(100) 사이를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되고, 덮개(60)를 힙시트(20)에 연결하는 작업과 보강끈(100)을 힙시트(20)에 연결하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 가능한 단일의 작업공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끈(100)의 채용구조는 보강끈(100)의 추가로 인해 아기띠(10)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강끈(100)은 제2끈(92)이 그 상부에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전방시트(70)와 후방시트(80)에 박음질되고, 이 상태에서 보강끈(100)의 하단은 전방시트(70) 및 후방시트(80)의 하단과 함께 힙시트(20)의 전면 상부에 박음질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 미설명 부호 120은 박음질선을 가리킨다.
보강끈(100)은 덮개(60) 외부로 인출되는 아기의 다리가 어깨띠(90)를 통해 압박 될 우려가 없도록 어깨띠(90)가 연결되는 상단의 높이가 힙시트(20)에 앉은 아기의 장골릉의 위치보다 높게 되도록 덮개(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끈(100′)은 어깨띠(90)에 연결되는 상부가 하부보다 덮개(60)의 양 측단에 더 인접하고, 하부가 상부보다 힙시트(20)의 종방향 중심에 더 인접하도록 덮개(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끈(100′)은 하부가 힙시트(20)의 종방향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힙시트(20)의 중앙부로 집중되는 아기(1)의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상부가 덮개(60) 양 측단에 인접하는 보강끈(100′)의 배치구조에서는 보강끈(100′) 상부에 연결되는 어깨띠(90)의 연결부위가 덮개(60)의 측단 쪽으로 유도되어 덮개(60)와 아기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이 억제되고, 하단이 힙시트(20)의 중앙에 인접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보강끈(100′)이 보다 안정적이면서 균형감 있게 양쪽의 어깨띠(9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10: 아기띠 20: 힙시트
30: 외피 40: 지지체
50: 허리띠 51: 패드형 띠
52: 연결끈 60: 덮개
70: 전방시트 80: 후방시트90:
어깨띠 91: 제1끈
92: 제2끈 100: 보강끈

Claims (5)

  1.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
    상기 힙시트가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엉덩이가 지지되는 아기의 상체를 감싸도록 상기 힙시트에 상부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고정되는 어깨띠;
    상기 힙시트와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끈;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끈은 덮개의 내면과 외면으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하고,
    상기 덮개는 메시천으로 마련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전방시트 및 후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시트와 후방시트는 저부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부가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지지되도록 갈라지고,
    상기 보강끈은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전방시트와 후방시트의 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깨띠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끈은 힙시트와 한 쌍의 어깨띠 사이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덮개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어깨띠는,
    상기 전방시트나 후방시트 상부의 연장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제1끈;
    상기 제1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보강끈 상단에 연결되는 제2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끈과 보강끈은 하나의 끈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보강끈의 하단은 상기 덮개의 하단과 함께 상기 힙시트에 박음질되는 아기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보강끈 중 하나는 상기 덮개 저부 쪽 상기 후방시트 전면에 결합하고,
    한 쌍의 상기 보강끈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덮개 저부 쪽 상기 전방시트의 배면에 결합하는 아기띠.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보강끈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어깨띠와 힙시트에 연결되고,
    한 쌍의 보강끈은 상부가 하부보다 상기 덮개의 양 측단에 더 인접하고, 하부가 상부보다 상기 힙시트의 종방향 중심에 더 인접하게 마련되는 아기띠.
KR2020210000978U 2021-03-29 2021-03-29 아기띠 KR200497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8U KR200497025Y1 (ko) 2021-03-29 2021-03-29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8U KR200497025Y1 (ko) 2021-03-29 2021-03-29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90U KR20220002390U (ko) 2022-10-06
KR200497025Y1 true KR200497025Y1 (ko) 2023-07-06

Family

ID=8359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78U KR200497025Y1 (ko) 2021-03-29 2021-03-29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25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95Y1 (ko) * 2003-01-07 2003-05-13 김영수 조끼형 아기포대기
KR200315820Y1 (ko) 2003-03-03 2003-06-12 김영수 베이비 캐리어
DE102007022443A1 (de) 2006-09-19 2008-03-27 Ingo Schröder Tragevorrichtung
US20120199619A1 (en) * 2011-02-09 2012-08-09 Elizabeth Zack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WO2018147983A1 (en) 2017-02-10 2018-08-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and method
KR101999940B1 (ko) 2019-02-18 2019-07-12 노현정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95U (ko) * 2019-12-23 2021-07-01 권혁천 슬링형 아기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695Y1 (ko) * 2003-01-07 2003-05-13 김영수 조끼형 아기포대기
KR200315820Y1 (ko) 2003-03-03 2003-06-12 김영수 베이비 캐리어
DE102007022443A1 (de) 2006-09-19 2008-03-27 Ingo Schröder Tragevorrichtung
US20120199619A1 (en) * 2011-02-09 2012-08-09 Elizabeth Zack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WO2018147983A1 (en) 2017-02-10 2018-08-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and method
KR101999940B1 (ko) 2019-02-18 2019-07-12 노현정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90U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57B2 (en) Baby carrier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JP4669978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US11006767B1 (en) Baby carrier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KR20140070778A (ko) 유아용 포대기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210105712A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3419895A (en) Brassiere
JP3161851U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030000985A1 (en) Posture pack TM - posture friendly backpack
KR200497025Y1 (ko) 아기띠
US20010052533A1 (en) Support piece for a carrying bag and a carrying bag having such support piece
KR20210001495U (ko) 슬링형 아기띠
JP4441231B2 (ja) 子守帯
KR102392453B1 (ko)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3148444U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1955476B1 (ko)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291528Y1 (ko) 아기포대기
KR102341649B1 (ko)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