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53B1 -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 Google Patents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53B1
KR102392453B1 KR1020200048489A KR20200048489A KR102392453B1 KR 102392453 B1 KR102392453 B1 KR 102392453B1 KR 1020200048489 A KR1020200048489 A KR 1020200048489A KR 20200048489 A KR20200048489 A KR 20200048489A KR 102392453 B1 KR102392453 B1 KR 10239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cushion
leg width
baby carrier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370A (ko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섭 filed Critical 이진섭
Priority to KR102020004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53B1/ko
Priority to PCT/KR2020/017736 priority patent/WO2021215613A1/ko
Publication of KR2021013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신체 지지 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유아 지지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허리 착용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유아의 양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다리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유아의 양 다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쿠션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유아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 안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안착 부재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쿠션 부재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BABY CARRIER CAPABLE OF ADJUSTING WIDTH BETWEEN LEGS}
본 발명은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아기띠의 경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띠에 등판과 어깨끈이 연결되고, 이러한 등판의 일부분에 유아의 신체가 안착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때, 유아가 안착되는 등판 부분의 너비에 의해 유아의 다리가 양 옆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유아의 성장에 따른 신체 크기 변화에 따라 다리가 벌어지는 정도도 다르게 요구된다. 이렇게 유아의 다리가 벌어지는 정도, 즉 다리폭이 조절될 수 있는 아기띠의 일 예가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아기띠는 다리폭 조절을 위해 제공되는 부재(버킷 시트)가 허리띠 상에서 복수의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유아의 다리폭이 조절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의 경우, 유아의 다리폭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리폭 조절을 위해 제공되는 부재를 허리띠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원하는 위치로 옮겨서 다시 붙여야 하므로, 유아가 아기띠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다리폭 조절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둔부가 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주기가 어려워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될 경우에 유아가 신체적으로 힘들어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18-0078274 (2018, 07, 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편한 동작만으로 쉽게 유아의 다리폭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유아의 둔부에 쿠션감을 주어 더욱 안락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신체 지지 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유아 지지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허리 착용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유아의 양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다리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유아의 양 다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쿠션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유아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 안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안착 부재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쿠션 부재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중앙 안착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 상태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를 갖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 부재는, 단면이 고리 형상을 갖도록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사이 지점에서 전면을 이루는 직물의 단부가 박음질됨으로써 형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쿠션 부재의 후방측 면에 구비되는 쿠션 부착 부재;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측에서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후방측 면에 구비되는 공간 내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 부재가 후방으로 접혀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 부착 부재와 상기 공간 내 부착 부재가 서로 접촉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쿠션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 내 수용 상태가 유지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쿠션 부재를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주름선이 형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양 측에 돌출되는 펼침 모드와,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 모드를 갖고,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펼침 모드일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은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모드일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보다 넓게 되도록 구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모드일 때, 유아의 신체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유아의 둔부가 상기 쿠션 부재 상에 안착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신체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신체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간편한 동작만으로 쉽게 유아의 다리폭을 조절할 수 있고, 유아의 둔부에 쿠션감을 주어 더욱 안락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띠가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유아가 아기띠 상에 안착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폭 조절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리폭 조절부의 고리 부재가 전면으로 돌출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리폭 조절부의 쿠션 부재가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1)는 착용자(A)가 유아(B)를 안거나 업었을 때 유아(B)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기띠(1)는 유아 지지부(100), 허리 착용부(200) 및 다리폭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아 지지부(100), 허리 착용부(200) 및 다리폭 조절부(300)는 겉표면이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B)와 착용자(A)가 착용하였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유아 지지부(100)는 착용자(A)가 유아(B)를 안을 때 유아(B)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신체 지지 부재(120)와 착용자(A)의 어깨에 견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어깨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어깨끈(110)은 신체 지지 부재(120)의 양 측에 연결되고, 착용자(A)의 어깨에 견착되어 유아(B)의 하중을 착용자(A)의 어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어깨끈(110)의 양 단이 신체 지지 부재(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어깨끈(110)과 신체 지지 부재(120)의 측부 테두리가 폐곡선을 형성하여 착용자(A)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깨끈(110) 상에는 길이 조절 수단이 제공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체 지지 부재(120)는 유아(B)의 신체가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아(B)의 상반신과 둔부가 닿아서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아(B)의 신체가 맞닿는 부위는 푹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지지 부재(120)의 상부는 유아(B)의 상반신, 다시 말해 유아(B)의 등 또는 배 쪽이 접촉되고, 하부는 유아(B)의 둔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유아(B)가 착용자(A)의 몸에 안기거나 업혔을 때 상부에 대하여 하부가 굴곡지게 되어 유아(B)의 신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다리폭 조절부(300)가 신체 지지 부재(120)의 하부 측에 제공될 수 있다.
허리 착용부(200)는 신체 지지 부재(120)에 연결되고, 착용자(A)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착용부(200)는 신체 지지 부재(120)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우측 허리띠(210)와 좌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 허리띠(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허리띠(210) 및 좌측 허리띠(220)에 연결되어 착용자(A)의 허리에 우측 허리띠(210) 및 좌측 허리띠(220)를 밀착시키는 체결끈(2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체결끈(230)은 우측 허리띠(210)와 좌측 허리띠(220)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허리띠(210)과 좌측 허리띠(220)에 각각 제공되는 체결끈(230)의 단부에는 허리띠 체결 부재(240)가 제공되어 우측 허리띠(210)와 좌측 허리띠(220)가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끈(2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이 제공되어 착용자(A)가 임의로 체결끈(2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폭 조절부(300)는 허리 착용부(200)와 신체 지지 부재(1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유아(B)의 양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다리폭 조절부(300)는 쿠션 부재(310), 중앙 안착 부재(320), 고리 부재(330) 및 연결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부재(310), 중앙 안착 부재(320), 고리 부재(330) 및 연결 부재(340)는 직물로서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부재는 직물 상에 형성되는 재봉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다리폭 조절부(300)의 전면은 메쉬(mesh) 소재로 이루어져 유아(B)가 안착되었을 때 더욱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쿠션 부재(310)는 유아(B)의 양 다리를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아(B)가 안착되었을 때 유아(B)의 양 다리의 허벅지 하측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쿠션 부재(310)는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재질이 충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아(B)에게 푹신하고 안락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쿠션 부재(310)의 후방측 면에는 쿠션 부착 부재(3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쿠션 부착 부재(312)는 후술할 공간 내 부착 부재(352)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부착 부재(312)는 일 예로 벨크로(velcro)로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쿠션 부재(310)의 전면에는 쿠션 부재(310)를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주름선(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선(314)은 쿠션 부재(310)의 표면에 대하여 형성되는 재봉선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주름선(314)이 쿠션 부재(310) 상에 형성됨으로써, 쿠션 부재(310)가 폴딩(folding)되어 후술할 수용 공간(350)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중앙 안착 부재(320)는 한 쌍의 쿠션 부재(310) 사이에 구비되고, 유아(B)의 둔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안착 부재(320)는 신체 지지 부재(120) 상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안착 부재(320)와 신체 지지 부재(120)의 사이에는 쿠션 부재(310)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안착 부재(320)는 내부에 푹신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재질이 충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아(B)에게 푹신하고 안락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350) 내측에서 중앙 안착 부재(320)의 후방측 면에는 공간 내 부착 부재(3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내 부착 부재(352)는 쿠션 부재(310)가 수용 공간(350)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쿠션 부재(310)에 제공되는 쿠션 부착 부재(312)와 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 부재(310)가 후방으로 접혀서 수용 공간(350)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쿠션 부착 부재(312)와 공간 내 부착 부재(352)가 서로 접촉되어 부착됨으로써 쿠션 부재(310)의 수용 공간(350) 내 수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내 부착 부재(352)는 일 예로 쿠션 부착 부재(312)와 상응하는 벨크로(velcro)로서 구비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리 부재(330)는 쿠션 부재(310)와 중앙 안착 부재(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 부재(330)는 수용 공간(350)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 상태(도 3)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도 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리 부재(330)는 중앙 안착 부재(320)와 쿠션 부재(310)를 연결하는 부분의 직물 일부를 고리형으로 말아서 단부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면이 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 부재(330)의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만 개방된 고리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 부재(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몰 상태에서 함몰부(332)를 형성하며, 이러한 함몰부(332)로 인해 중앙 안착 부재(320)로부터 쿠션 부재(310)가 전면으로 더욱 도드라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유아(B)의 둔부가 허벅지보다 더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허벅지가 쿠션 부재(310) 상에 안착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유아(B)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리 부재(3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 상태가 되었을 때, 쿠션 부재(3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 모드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중앙 안착 부재(320)와 쿠션 부재(310) 사이의 텐션(tension)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쿠션 부재(310)가 후술할 펼침 모드에서 수용 모드로 변형될 때, 그 중간 단계로서 고리 부재(330)가 함몰 상태에서 돌출 상태로 먼저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고리 부재(330)가 함몰 상태에서 돌출 상태로 변형되거나, 돌출 상태에서 함몰 상태로 변형되는 것은, 착용자(A)가 쿠션 부재(31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고리 부재(330)를 돌출시키도록 가압하는 동작과, 쿠션 부재(31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고리 부재(330)를 함몰시키도록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340)는 허리 착용부(200)의 상단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중앙 안착 부재(32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쿠션 부재(310)는 중앙 안착 부재(320)의 양 측에 돌출되는 펼침 모드(도 3)와, 수용 공간(350)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 모드(도 5)를 갖는다. 이러한 쿠션 부재(310)의 모드 전환은 착용자(A)가 아기띠(1)를 착용하고 유아(B)가 아기띠(1)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착용자(A)가 두 손을 유아(B)의 둔부 하측에 넣어서 쿠션 부재(310)를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 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쿠션 부재(310)가 수용 공간(350)에 수용됨으로써 유아(B)의 양 다리 사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 부재(310)가 펼침 모드일 때 유아(B)의 양 다리 사이 폭(도 3, D1)은 쿠션 부재(310)가 수용 모드일 때 유아(B)의 양 다리 사이 폭(도 5, D2)보다 넓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아(B)의 성장 단계 및 신체 크기에 따라 쿠션 부재(310)의 모드 전환을 통해 용이하게 유아(B)의 다리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쿠션 부재(310)가 수용 모드일 때, 유아(B)의 신체가 신체 지지 부재(1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유아(B)의 둔부가 쿠션 부재(3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쿠션 부재(310)는 수용 공간(350) 내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유아(B)의 둔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는 않고, 중앙 안착 부재(320)와 신체 지지 부재(120)의 사이에서 유아(B)의 둔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수용 모드일 때에는 유아(B)의 둔부가 안착되는 부분이 더욱 푹신해짐으로써 보다 더 나은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되는 아기띠(1')는 유아 지지부(100')와 허리 착용부(20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의 유아 지지부(100')는 신체 지지 부재(120)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체 결합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 결합 부재(122)는 일 예로 지퍼(zipper), 벨크로(velcro)가 부착된 띠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체 결합 부재(122)는 허리 착용부(200)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미도시)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허리 착용부(200)의 상단에는 이중 지지 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지지 부재(250)는 신체 지지 부재(120)와 중첩되어 유아(B)의 신체를 이중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체 지지 부재(120)의 상부와 이중 지지 부재(250)의 상부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리폭 조절부(300)는 허리 착용부(200)의 상단에 연결되며, 이중 지지 부재(25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용 공간(350)은 이중 지지 부재(250)와 중앙 안착 부재(3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도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되는 아기띠(1'')는 유아 지지부(100'')와 허리 착용부(20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의 유아 지지부(100'')의 하단에는 다리폭 조절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리폭 조절부(300)의 하단에는 제1 결합 부재(3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허리 착용부(200)의 상단에는 제1 결합 부재(342)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제2 결합 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부재(342) 및 제2 결합 부재(250)는 일 예로 지퍼(zipper)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허리 착용부(200)는 신체 지지 부재(12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 착용부(200)의 상단이 다리폭 조절부(30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간편한 동작만으로 쉽게 유아의 다리폭을 조절할 수 있고, 유아의 둔부에 쿠션감을 주어 더욱 안락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1', 1'': 아기띠 100, 100', 100'': 유아 지지부
110: 어깨끈 120: 신체 지지 부재
122: 지지체 결합 부재 200: 허리 착용부
210: 우측 허리띠 220: 좌측 허리띠
230: 체결끈 240: 허리띠 체결 부재
250: 이중 지지 부재 260: 제2 결합 부재
300: 다리폭 조절부 310: 쿠션 부재
312: 쿠션 부착 부재 314: 주름선
320: 중앙 안착 부재 330: 고리 부재
332: 함몰부 340: 연결 부재
342: 제1 결합 부재 350: 수용 공간
352: 공간 내 부착 부재

Claims (9)

  1.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신체 지지 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유아 지지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허리 착용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유아의 양 다리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다리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유아의 양 다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쿠션 부재;
    상기 한 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유아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 안착 부재; 및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중앙 안착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안착 부재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쿠션 부재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 상태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를 가지며,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쿠션 부재의 후방측 면에 구비되는 쿠션 부착 부재;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측에서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후방측 면에 구비되는 공간 내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 부재가 후방으로 접혀서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 부착 부재와 상기 공간 내 부착 부재가 서로 접촉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쿠션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 내 수용 상태가 유지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부재는,
    단면이 고리 형상을 갖도록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사이 지점에서 전면을 이루는 직물의 단부가 박음질됨으로써 형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쿠션 부재를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주름선이 형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중앙 안착 부재의 양 측에 돌출되는 펼침 모드와,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 모드를 갖고,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펼침 모드일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은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모드일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 폭보다 넓게 되도록 구성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가 상기 수용 모드일 때, 유아의 신체가 상기 신체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유아의 둔부가 상기 쿠션 부재 상에 안착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8. 제1 항, 제3 항 및 제5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신체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9. 제1 항, 제3 항 및 제5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신체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폭 조절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0200048489A 2020-04-22 2020-04-22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39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89A KR102392453B1 (ko) 2020-04-22 2020-04-22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PCT/KR2020/017736 WO2021215613A1 (ko) 2020-04-22 2020-12-07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89A KR102392453B1 (ko) 2020-04-22 2020-04-22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370A KR20210130370A (ko) 2021-11-01
KR102392453B1 true KR102392453B1 (ko) 2022-04-28

Family

ID=7826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489A KR102392453B1 (ko) 2020-04-22 2020-04-22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2453B1 (ko)
WO (1) WO2021215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444B2 (en) * 2016-08-26 2022-09-13 Bean Ventures LLC Baby carri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60B1 (ko) * 2011-05-25 2012-04-13 (주)동인기연 영유아 겸용 캐리어
KR200473013Y1 (ko) 2013-11-27 2014-06-27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101432450B1 (ko) * 2013-10-16 2014-08-21 임관빈 아기띠
KR200481152Y1 (ko) 2015-10-12 2016-08-22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7B1 (ko)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217A (ko) * 2013-07-22 2015-01-30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101693079B1 (ko) * 2014-09-22 2017-01-04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WO2017075500A1 (en) 2015-10-30 2017-05-04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O2018081603A1 (en) * 2016-10-28 2018-05-03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60B1 (ko) * 2011-05-25 2012-04-13 (주)동인기연 영유아 겸용 캐리어
KR101432450B1 (ko) * 2013-10-16 2014-08-21 임관빈 아기띠
KR200473013Y1 (ko) 2013-11-27 2014-06-27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81152Y1 (ko) 2015-10-12 2016-08-22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7B1 (ko)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613A1 (ko) 2021-10-28
KR20210130370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677B (zh) 具有多个承载取向的可调整儿童载具
KR102325907B1 (ko)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CN109310218B (zh) 婴儿座椅背带
EP3073870B1 (en) Hip seat carrier set
EP4292479A1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20180206653A1 (en)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AU2006263324A1 (en) Baby and toddler carrier
KR102392453B1 (ko)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20210001495U (ko) 슬링형 아기띠
CN111712162A (zh) 婴儿背带
US20230389718A1 (en) Baby carrier
KR20160035495A (ko) 아기띠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0497025Y1 (ko) 아기띠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2018175607A (ja) おんぶ紐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US20230097626A1 (en) Harness for baby
KR10191400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KR200440146Y1 (ko) 유아운반용 띠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