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17B1 - 유아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17B1
KR102042517B1 KR1020190052465A KR20190052465A KR102042517B1 KR 102042517 B1 KR102042517 B1 KR 102042517B1 KR 1020190052465 A KR1020190052465 A KR 1020190052465A KR 20190052465 A KR20190052465 A KR 20190052465A KR 102042517 B1 KR102042517 B1 KR 10204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waist
cover
c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섭 filed Critical 이진섭
Priority to KR102019005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5518 priority patent/WO20202263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포함하는 허리착용부재;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유닛;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임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등판을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캐리어는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유아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를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었을 때 유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유아용 캐리어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체중이 늘어남으로써, 유아의 체중이 허리 등의 특정 신체부위에 과도하게 집중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에 유아용 캐리어를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유아의 체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유아의 체중을 분산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용시 단순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쉽게 밀착될 수 있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포함하는 허리착용부재;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유닛;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임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등판을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유닛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케이블 부재가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된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풀어서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착용부에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착용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걸림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제2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조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가이드, 상기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를 통과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일면에 제공되는 커버측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등판은, 일면에 제공되는 등판측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측 부착부재와 상기 등판측 부착부재는 벨크로(Velcro)로서 제공되며, 상기 커버측 부착부재는 상기 벨크로의 걸림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되고, 상기 등판측 부착부재는 상기 벨크로의 갈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고리 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리 형상을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커버와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연결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착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착용부에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신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변함에 따라 상기 신축 부재의 길이가 변화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유닛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케이블 부재가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된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풀어서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신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고리 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리 형상을 상기 신축 부재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신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상기 제1 착용부의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착용부의 단부가 연결되며, 유아의 엉덩이를 받침으로써 유아의 하중을 지지하는 힙시트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아용 캐리어의 착용시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유아의 체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유아의 체중을 분산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시 단순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쉽게 밀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캐리어의 허리착용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블 부재 및 걸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임유닛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유아용 캐리어의 조임유닛이 조작되어 허리착용부재의 둘레길이가 줄어든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케이블 부재 및 걸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유아용 캐리어의 조임유닛이 조작되어 허리착용부재의 둘레길이가 줄어든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1)는 유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1)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용 캐리어(1)에 유아를 안착시켜서 지지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1)는 허리착용부재(10), 힙시트(20), 아기띠(30), 조임유닛(40), 커버(50), 등판(60) 및 연결구(7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착용부재(10)는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착용부재(10)는 후술하는 케이블 부재(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착용부(11) 및 제2 착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부재(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의 간격이 조임유닛(40)에 의해 조절됨에 따라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는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의 길이와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의 간격으로서 케이블 부재(10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의 길이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착용하였을 때 허리착용부재(1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둘레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부재(10)는 힙시트(20)의 양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단부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힙시트(20)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침으로써 유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힙시트(20)는 허리착용부재(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에 허리착용부재(10)의 제1 착용부(11)의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허리착용부재(10)의 제2 착용부(12)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힙시트(20)는 그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폼(foam) 및 이러한 폼을 커버하는 패브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힙시트(20)의 상측에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었을 때 푹신한 느낌을 제공하는 시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시트부재는 일 예로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힙시트(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면은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면은 사용자가 힙시트(2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유아가 힙시트(20) 상에 안착되었을 때 유아의 상반신이 사용자의 신체 쪽으로 기울어져서 유아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아기띠(30)는 유아의 신체를 받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아기띠(30)는 유아의 등 또는 엉덩이를 받치는 지지부(31) 및 이러한 지지부(3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끈(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깨끈(32)은 길이 조절 가능한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30)가 힙시트(20)에 연결되고, 힙시트(20)가 허리착용부재(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힙시트(20) 및 아기띠(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탈거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힙시트(20)가 생략될 경우 아기띠(30)가 허리착용부재(10)에 연결되어 아기띠(30)가 유아의 엉덩이와 등을 지지할 수 있고, 아기띠(30)가 생략될 경우 아기띠(30) 없이 힙시트(20)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임유닛(40)은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허리착용부재(10)의 길이 조절은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임유닛(40)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임유닛(40)은 케이블 부재(100), 조절부(200) 및 걸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부재(100)는 양 단이 조절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조절부(200)가 회전함으로써 조절부(200) 내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부재(100)는 허리착용부재(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의 사이에서 일부만이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케이블 부재(100) 중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후술할 커버(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부재(100)는 조절부(200)로부터 연장되어 걸림부(300)를 통과한 후 다시 조절부(200)로 연장되어 조절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부재(100)는 와이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조절부(200)는 회전에 의해 내부에서 케이블 부재(100)를 감거나 풀음으로써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00)는 허리착용부재(10)의 외측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착용부 및 제2 착용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조절부(200)를 조작함에 따라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부(2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내부에 케이블 부재(100)가 권취되고, 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케이블 부재(100)가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사상이 상술한 바와 같은 조절부(20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절부(200)는, 조절부(20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를 내부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스토퍼에 의해 잠금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는 조절부(200)가 잠금상태일 때 서로 맞물리는 홈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부(200)가 잠금상태일 때,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줄이기 위한 일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되되,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늘이기 위한 타 방향으로의 회전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에 의해 잠금상태에서 조절부(200)가 임의로 회전되어 케이블 부재(100)의 권취된 상태가 의도치 않게 풀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00)는 허리착용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캡(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00)의 캡이 허리착용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조절부(200)의 일 방향 회전(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에 권취되는 방향)만이 가능한 잠금 상태에 놓일 수 있고, 조절부(200)의 캡이 허리착용부재(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조절부(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조절부(200)의 캡이 허리착용부재(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조절부(200)의 일 방향 회전만이 가능한 잠금 상태에 놓이고, 조절부(200)의 캡이 허리착용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조절부(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줄이고자 할 때, 조절부(200)를 잠금 상태에서 회전 조작하여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의 내부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에 권취됨으로써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고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늘이고자 할 때에는, 조절부(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다음, 조절부(200)를 회전시키거나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케이블 부재(100)가 권취된 상태에서 이를 풀어서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늘일 수 있다.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로부터 풀림으로써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간의 간격이 멀어지고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부(200)에 의해 케이블 부재(100)를 감거나 풀어서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보다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걸림부(300)는 케이블 부재(1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00)는 제1 걸림구(310 및 케이블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구(310)는 케이블 부재(100)를 안내할 수 있으며, 케이블 부재(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구(310)는 제1 착용부(11)의 일 단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구(310)는 제2 착용부(12)를 향하는 제1 착용부(1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걸림구(310)에 복수의 고리가 제공될 경우 복수의 고리들 간의 거리는 허리착용부재(10)의 평균 폭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구(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구(310)는 세 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반대측인 제2 착용부(12)에는 제2 걸림구(320)가 두 개의 고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걸림구(320)는 제1 걸림구(310)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부재(100)를 안내할 수 있으며, 케이블 부재(1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구(320)는 제2 착용부(12)의 타 단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구(320)는 제1 착용부(11)를 향하는 제2 착용부(12)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걸림구(320)에 복수의 고리가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고리들 간의 거리는 허리착용부재(10)의 평균 폭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걸림구(310) 및 제2 걸림구(320)에 포함되는 복수의 고리들은 케이블 부재(100)가 연장하는 방향이 바뀌도록 케이블 부재(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부재(100)는 제2 걸림구(3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다가 제1 걸림구(310)의 세 개의 고리들을 차례로 거친 후 제2 걸림구(3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구(310)의 세 개의 고리들은 제1 착용부(11)의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걸림구(320)의 두 개의 고리들은 제2 착용부(12)의 폭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리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허리착용부재(10)의 평균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구(310) 및 제2 걸림구(320) 사이의 간격은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구(310) 및 제2 걸림구(320)는 케이블 부재(100)가 권취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한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 부재(100)는 제1 걸림구(310)와 제2 걸림구(320)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권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임유닛(40)은 제1 걸림구(310)와 제2 걸림구(3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부재(10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병렬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걸림구(310)가 세 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제2 걸림구(320)가 두 개의 고리를 포함할 경우, 케이블 부재(100)는, 조절부(200)로부터 연장되어 각 고리들을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조절부(200)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가이드(330)는 허리착용부재(10)에 제공되고, 케이블 부재(100)가 지나가는 도중에 배치되어 조절부(200)로부터 제1 걸림구(310) 및 제2 걸림구(320)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가이드(330)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착용부(12)의 단부에서 제1 걸림구(310)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330)는 제2 착용부(12)의 일 면에 대하여 케이블 부재(100)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블 가이드(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착용부(12)의 단부와 제2 착용부(12)의 일 면 상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커버(50)는 허리착용부재(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임유닛(4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커버(50)는 조임유닛(4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50)는 조임유닛(40)의 케이블 부재(100) 및 걸림부(300)를 커버할 수 있으며, 허리착용부재(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50)는 커버측 부착부재(51) 및 단부 부착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측 부착부재(51)는 커버(50)의 일 면에 제공되며, 등판(60)에 제공되는 후술할 등판측 부착부재(61)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측 부착부재(51)와 등판측 부착부재(61)는 벨크로(Velcro)로서 구비될 수 있다.
단부 부착부재(52)는 커버(5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단부 부착부재(52)에 의해 커버(5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커버(50)가 고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고리 형상을 허리착용부재(10)가 통과됨에 따라 커버(50)와 허리착용부재(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 부착부재(52)는 일 예로 벨크로로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 부착부재(52)에 의해 커버(50)의 양 단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등판(60)은 커버(50)의 일면에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고, 커버(50)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등판(60)은 일면에 제공되는 등판측 부착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측 부착부재(51)와 등판측 부착부재(61)는 벨크로(Velcro)로서 제공되며, 커버측 부착부재(51)는 벨크로의 걸림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되고, 등판측 부착부재(61)는 벨크로의 갈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판(60)을 커버(50)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등판(60) 없이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사용할 경우, 벨크로에서 사용자의 옷에 닿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표면이 거칠지 않고 부드러운 걸림고리 부분이 되므로, 사용자의 옷이 벨크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캐리어(1)가 사용자의 신체에 올바르게 착용되었을 때, 등판(60)이 사용자의 힙의 상단에서 등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등판(60)은 일 예로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중을 줄이기 위해 등판(60)의 표면 상에 복수의 홀들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판(60)이 커버(50)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유아용 캐리어(1)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을 때, 사용자의 허리를 등판(6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조절부(200)를 조작하여 케이블 부재(100)를 조여서 등판(60)이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유아의 체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등판(60)이 커버(50)에 부착된 상태로 유아용 캐리어(1)가 사용되는 경우, 오랜 시간 사용시 등판(60)에 의해 통풍이 방해되어 사용자가 더위를 느낄 수 있고, 힙시트(20)를 사용자의 뒤 쪽으로 돌려서 뒤로 업기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등판(60)을 커버(50)로부터 분리하여 등판(60)이 없는 상태로 유아용 캐리어(1)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구(70)는 허리착용부재(10)가 사용자의 허리를 적어도 일부 감싼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에 안착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70)의 적어도 일부는 허리착용부재(10)의 외측 둘레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구(70)는 버클 타입의 제1 연결부재(71) 및 벨크로 타입의 제2 연결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70)는 제1 착용부(11) 및 제2 착용부(12) 간의 체결수단으로서 제공되고, 허리착용부재(1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쌌을 때 그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더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아용 캐리어(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1)를 자신의 신체에 밀착한 후 연결구(70)를 체결시켜 허리착용부재(10)를 자신의 허리에 안착시킬 수 있다. 허리착용부재(10)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될 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되고 사용자가 허리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조임유닛(40)을 조작하여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줄임으로써 허리착용부재(10) 및 등판(60)이 사용자의 신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조절부(200)를 잠금상태에 놓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부(200)에 연결된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 내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부재(100)가 조절부(200) 내에 권취되면,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에서의 케이블 부재(100)의 길이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하여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절부(200)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허리착용부재(10)가 사용자의 허리에 더욱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노력만으로도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하게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허리착용부재(10)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힙시트(20) 및/또는 아기띠(30)에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유아용 캐리어(1)를 벗을 때는 조임유닛(40)과 연결구(70)를 조작하여 허리착용부재(10)를 자신의 허리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조임유닛(40)의 조절부(2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조절부(200)를 회전시키거나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를 서로 멀어지도록 당김으로써 조절부(200)에 연결된 케이블 부재(100)를 느슨하게 풀 수 있다. 조절부(200)의 내부에 권취되어 있던 케이블 부재(100)가 풀리면 제1 착용부(11)와 제2 착용부(12)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허리착용부재(1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연결구(70)의 체결을 해제하여 허리착용부재(10)를 신체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아용 캐리어의 착용시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유아의 체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유아의 체중을 분산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착용시 단순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쉽게 밀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조임유닛(40)이 신축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조임유닛(40)은 일단이 제1 착용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착용부(12)에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신축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부재(400)의 내부에는 케이블 부재(100)의 적어도 일부와 걸림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허리착용부재(10)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변함에 따라 신축 부재(40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부재(400)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주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섬유(fi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신축 부재(400)는 커버(5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50)의 단부 부착부재(52)에 의해 커버(5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커버(50)가 고리 형상으로 되고, 이렇게 형성된 고리 형상에 신축 부재(400)가 통과됨에 따라 커버(50)의 내부에 신축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부재(400)에 의해 커버(50)가 허리착용부재(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케이블 부재(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케이블 부재(100)에 의해 유아 등이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유아용 캐리어(1)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유아용 캐리어 10: 허리착용부재
11: 제1 착용부 12: 제2 착용부
20: 힙시트 30: 아기띠
31: 지지부 32: 어깨끈
40: 조임유닛 100: 케이블 부재
200: 조절부 300: 걸림부
400: 신축 부재 50: 커버
51: 커버측 부착부재 52: 단부 부착부재
60: 등판 61: 등판측 부착부재
70: 연결구 71: 제1 연결부재
72: 제2 연결부재

Claims (11)

  1.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포함하는 허리착용부재;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유닛;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임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등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등판에 제공되는 등판측 부착부재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측 부착부재; 및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고리 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리 형상을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커버와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연결되면서 상기 조임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유아용 캐리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유닛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케이블 부재가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된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풀어서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착용부에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착용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걸림구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되는 제2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조절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가이드, 상기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를 통과하는,
    유아용 캐리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부착부재와 상기 등판측 부착부재는 벨크로(Velcro)로서 제공되며, 상기 커버측 부착부재는 상기 벨크로의 걸림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되고, 상기 등판측 부착부재는 상기 벨크로의 갈고리 부분으로서 구비되는,
    유아용 캐리어.
  6. 삭제
  7.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를 포함하는 허리착용부재;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허리착용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었을 때,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유닛;
    상기 허리착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임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등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착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착용부에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신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변함에 따라 상기 신축 부재의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조임유닛은,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케이블 부재가 통과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걸림부; 및
    상기 케이블 부재가 권취될 수 있고, 권취된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풀어서 상기 제1 착용부와 상기 제2 착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신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부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커버가 고리 형상으로 되고, 상기 고리 형상을 상기 신축 부재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커버의 내부에 상기 신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유아용 캐리어.
  11. 제1 항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제1 착용부의 단부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착용부의 단부가 연결되며, 유아의 엉덩이를 받침으로써 유아의 하중을 지지하는 힙시트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
KR1020190052465A 2019-05-03 2019-05-03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65A KR102042517B1 (ko) 2019-05-03 2019-05-03 유아용 캐리어
PCT/KR2020/005518 WO2020226313A1 (ko) 2019-05-03 2020-04-27 유아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465A KR102042517B1 (ko) 2019-05-03 2019-05-03 유아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17B1 true KR102042517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465A KR102042517B1 (ko) 2019-05-03 2019-05-03 유아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70A (ko) * 2020-04-22 2021-11-01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245U (ja) * 2008-03-12 2008-07-17 株式会社ポニーベビー ベビーキャリア
KR101643509B1 (ko) * 2015-11-25 2016-07-27 김태오 격투기용 몸통 보호구
KR20170131735A (ko) * 2016-05-19 2017-11-30 엄재선 허리보호용 복대
KR101947114B1 (ko) * 2018-10-04 2019-02-13 유디텔주식회사 아기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245U (ja) * 2008-03-12 2008-07-17 株式会社ポニーベビー ベビーキャリア
KR101643509B1 (ko) * 2015-11-25 2016-07-27 김태오 격투기용 몸통 보호구
KR20170131735A (ko) * 2016-05-19 2017-11-30 엄재선 허리보호용 복대
KR101947114B1 (ko) * 2018-10-04 2019-02-13 유디텔주식회사 아기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70A (ko) * 2020-04-22 2021-11-01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392453B1 (ko) 2020-04-22 2022-04-28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569B1 (en) Face mask
US20150151070A1 (en) Closure methods and devices for head restraints and masks
US11925274B2 (en) Infant carrier
JP7150985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6338342B1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US20070284403A1 (en) Baby carrier
EP1768621B1 (en) Anterior trunk support or harness
KR20130107167A (ko)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9B1 (ko)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7B1 (ko) 유아용 캐리어
US3400406A (en) Positioning means for sound attenuating ear cups on safety helmets
KR102042518B1 (ko) 유아용 캐리어
US10617194B2 (en) Load adjustment system for backpacks
KR102076578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170156914A1 (en) Neck Relief Arm Sling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JPH10117896A (ja) ベビーキャリアのショルダーベルト締結構造
BE1027716B1 (nl) Babydrager
RU2774706C2 (ru) Воздуш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головы
KR10191400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KR102140199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KR20020094618A (ko)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
JP3132608U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530283B1 (ko) 어깨 걸이식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