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735A - 허리보호용 복대 - Google Patents

허리보호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735A
KR20170131735A KR1020160061297A KR20160061297A KR20170131735A KR 20170131735 A KR20170131735 A KR 20170131735A KR 1020160061297 A KR1020160061297 A KR 1020160061297A KR 20160061297 A KR20160061297 A KR 20160061297A KR 20170131735 A KR20170131735 A KR 2017013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attached
band
pair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선
Original Assignee
엄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선 filed Critical 엄재선
Priority to KR102016006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1735A/ko
Publication of KR2017013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에 대한 보호패드의 밀착이 견고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밴드부의 결합이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는 한 쌍의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20)와, 상기 신축밴드(20) 사이에 연결되는 허리받침부(30)와, 상기 허리받침부(30)에 부착되는 보호패드(40)와, 상기 밴드부(10)를 연결하는 결합부(50)와, 상기 신축밴드(20)에 설치되는 조임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허리보호용 복대{AN ABDOMINAL BAND FOR PROTECTING WAIST}
본 발명은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에 대한 보호패드의 밀착이 견고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밴드부의 결합이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 또는 허리보호대는 환자의 등, 허리 등을 고정하여 보호하거나, 노약자나 출산 후 산모와 같이 허리 근육이 약화된 사람의 척추 관절의 부담을 줄여서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또는 척추 교정이 필요한 자 등의 허리 보호 및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가 물건을 들거나 허리를 사용할 때 허리를 압박, 고정 및 지지하여 허리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복대는 일반적으로 밴드와 같은 형태로 허리 가슴 및 등에서 허리 및 골반까지 즉 흉추, 요추, 천추를 감싸도록 되어 있고, 탄성과 통기성 및 흡수력을 갖는 보호재가 사용자 허리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허리보호용 복대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등록특허 제10-1541481호 "허리보호용 복대"가 있으며, 이를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대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허리 지지부(101)와,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서 허리를 감싸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측 밴드부(110), 상기 분할되어 대향 배치된 허리 지지부들의 단부에 제공된 고리들을 통해 지지부들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조이는 당김줄(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110)의 단부에는 벨크로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허리 지지부(101)는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분할부(102, 102')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분할부(102, 102')의 대향된 단부에는 연결부(103)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부(103)는 플라스틱판(105)에 일정 간격으로 직물로 된 홀더(106)가 플라스틱판(105)의 양면에 배치되고 플라스틱판의 단부에서 일부 돌출되어 재봉질로 고정되며, 홀더에는 각각 상기 당김줄(115)용 고리(108,108')가 제공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복대는 당김줄로 허리 지지부(101)의 2개의 분할부(102,102')들을 당겨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적합하게 조정하여 조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보호패드(120)를 탈부착가능하게 장착하여 척추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함과 함께 보호패드의 내부의 수용공간부(126)에 필요에 따라 찜질팩을 넣어 찜질을 할 수 있어 환자의 허리 치료에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1)의 대향된 분할부(102,102')들에 형성된 홀더(106)들에 반원형의 고리(108,108')들이 제공되어 당김줄로 당겨 분할부들을 보다 근접되게 배치하여 밴드부 전체 길이를 허리 둘레에 맞춰 조정할 수 있고 이때 고리들은 서로 중첩되어 분할부(102,102')들이 최대한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복대는 허리를 받치는 보호패드의 후방에 2개의 분할부들이 당김줄로 당겨지면서 허리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복잡한 반면에 당김줄의 고정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허리에 대한 보호패드의 밀착이 견고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대는 밴드부의 단부에는 하나의 벨크로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밴드부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시 쉽게 느슨해지고 길이 조절을 할 수 없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41481호 "허리보호용 복대"(2015.07.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등록특허 제10-1541481호 "허리보호용 복대"를 개량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에 대한 보호패드의 밀착이 견고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밴드부의 결합이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단의 밴드부의 결합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는, 인체의 배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인체의 옆구리 부위에 대응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와; 상기 한 쌍의 신축밴드의 단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허리받침부와; 상기 허리받침부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메시망으로 형성되고, 찜질팩이 수용 가능한 보호패드와; 상기 하나의 밴드부의 선단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벨크로패드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1 돌출벨크로패드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내측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2 돌출벨크로패드와, 상기 제2 돌출벨크로패드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벨크로패드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의 단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패드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각각의 신축밴드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와 허리받침부의 사이를 조여주는 한 쌍의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는, 인체의 배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인체의 옆구리 부위에 대응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와; 상기 한 쌍의 신축밴드의 단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허리받침부와; 상기 허리받침부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메시망으로 형성되고, 찜질팩이 수용 가능한 보호패드와; 상기 하나의 밴드부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부착벨크로패드와, 상기 부착벨크로패드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의 외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고 접어서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길이조절벨크로패드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각각의 신축밴드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와 허리받침부의 사이를 조여주는 한 쌍의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의 상기 밴드부는, 그 외면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밴드부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연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의 상기 조임부는, 상기 신축밴드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신축밴드의 타단에 대응되는 상기 허리받침부의 단부에 다른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의 내측단을 따라 대응되게 부착되는 다수의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에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의 내측에 교차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조임줄과,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조임줄의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줄이 감기면서 조이는 조임조작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의 상기 걸림구는,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줄이 삽입되는 반원관과, 상기 반원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져 장착되는 고정리브와, 상기 반원관의 양 단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반원관의 중앙 부위의 외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는, 상기 밴드부의 외면과 상기 허리받침부의 외면에 다수개가 수직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내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받침대가 수직으로 끼워지며, 상기 밴드부와 허리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허리에 대한 보호패드의 밀착이 견고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밴드부의 결합이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단의 밴드부의 결합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펼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복대의 펼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복대에서 길이조절벨크로패드를 접어 넣은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복대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복대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복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는 한 쌍의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20)와, 상기 신축밴드(20) 사이에 연결되는 허리받침부(30)와, 상기 허리받침부(30)에 부착되는 보호패드(40)와, 상기 밴드부(10)를 연결하는 결합부(50)와, 상기 신축밴드(20)에 설치되는 조임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10)는 인체의 배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천이나 망사 등의 섬유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50)에 의해 상기 밴드부(10)가 상호 연결되면서 인체의 배에 지지되어 상기 허리받침부(30)가 인체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부(10)는 그 외면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밴드부(10)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연결패드(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연결패드(11)는 상기 밴드부(10)의 외면에 한 번 더 연결하여 상기 밴드부(1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연결패드(11)는 망사 형태의 섬유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신축밴드(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밴드부(10)의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인체의 옆구리 부위에 대응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의 사이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하여 상기 허리받침부(30)가 허리를 보다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허리받침부(30)는 상기 한 쌍의 신축밴드(20)의 단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며 섬유재질의 천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인체의 허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보호패드(40)가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패드(40)는 상기 허리받침부(30)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메시망(41)으로 형성되고 찜질팩(42)이 수용되는 것으로, 허리를 받쳐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찜질팩(42)이 수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찜질팩(42)은 상기 보호패드(4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패드(4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받침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허리 부위에 대한 온열 혹은 냉기 찜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50)는 인체의 배의 중앙에 대응하여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밴드부(10)를 손쉽게 상호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하나의 밴드부(10)의 선단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벨크로패드(51)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51)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1 돌출벨크로패드(52)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51)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내측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2 돌출벨크로패드(53)와, 상기 제2 돌출벨크로패드(53)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벨크로패드(52)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패드(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벨크로패드(51)는 상기 제1 돌출벨크로패드(52)에 벨크로로 부착되고 상기 제2 돌출벨크로패드(53)는 상기 제2 벨크로패드(54)에 벨크로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밴드부(10)가 벨크로에 의해 이중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밴드부(10)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고, 그에 따라 사용 시에 상기 밴드부(10)의 느슨해짐이 원활히 방지된다. 여기서, 벨크로는 일명 찍찍이라 불리고 상호 탈부착 가능한 공지의 접착 테이프이다.
상기 조임부(6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신축밴드(2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의 사이를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조임부(60)는 상기 신축밴드(20)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에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신축밴드(20)의 타단에 대응되는 상기 허리받침부(30)의 단부에 다른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61)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61)의 내측단을 따라 대응되게 부착되는 다수의 걸림구(62)와, 상기 걸림구(62)에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61)의 내측에 교차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조임줄(63)과, 상기 고정부재(61)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조임줄(63)의 단부가 연결되는 조임조작구(6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61)는 인조가죽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상대적으로 질긴 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구(62)가 견고히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구(62)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61)의 사이에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어 상기 조임줄(63)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구(62)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줄(63)이 삽입되는 반원관(621)과, 상기 반원관(621)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61)에 끼워져 장착되는 고정리브(622)와, 상기 반원관(621)의 양 단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623)와, 상기 반원관(621)의 중앙 부위의 외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624)을 포함한다.
상기 반원관(621)은 상기 조임줄(63)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리브(622)는 상기 고정부재(61)에 상기 걸림구(62)가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강부재(623)는 상기 반원관(621)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반원관(62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관통공(624)은 상기 반원관(621)을 통한 상기 조임줄(63)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반원관(621)에 대한 상기 조임줄(63)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임줄(63)은 상기 걸림구(62)에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로 당겨지면서 상호 대응되는 상기 걸림구(62)와 고정부재(61)가 근접되면서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의 사이가 조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임조작구(64)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줄(63)이 감기면서 손쉽게 조이거나 그 조임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기구물이다.
본 복대는 상기 밴드부(10)의 외면과 상기 허리받침부(30)의 외면에 다수개가 수직으로 부착되는 지지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70)는 상기 밴드부(10)의 외면과 상기 허리받침부(30)의 외면으로 그 내측면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받침대(71)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71)는 상기 지지부재(7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대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용 복대의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하나의 밴드부(1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부착벨크로패드(51a)와, 상기 부착벨크로패드(51a)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외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고 접어서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벨크로패드(51a)는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와 벨크로로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밴드부(10)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는 상기 부착벨크로패드(51a)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본 복대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로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는 상기 밴드부(10)의 외면에 대응되는 부위의 상단과 하단이 재봉으로 봉착되어 상기 밴드부(10)에 부착되고 상기 밴드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대적으로 상하폭이 약간 좁게 형성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의 상기 밴드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접어서 상기 밴드부(10)의 외부면과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의 돌출된 부위를 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상기 부착벨크로패드(51a)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하고 남은 부위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밴드부
11 : 보조연결패드
20 : 신축밴드
30 : 허리받침부
40 : 보호패드
41 : 메시망 42 : 찜질팩
50 : 결합부
51 : 제1 벨크로패드 52 : 제1 돌출벨크로패드
53 : 제2 돌출벨크로패드 54 : 제2 벨크로패드
51a : 부착벨크로패드 52a : 길이조절벨크로패드
60 : 조임부
61 : 고정부재
62 : 걸림구
621 : 반원관 622 : 고정리브
623 : 보강부재 624 : 관통공
63 : 조임줄 64 : 조임조작구
70 : 지지부재
71 : 받침대

Claims (6)

  1. 인체의 배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의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인체의 옆구리 부위에 대응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20)와;
    상기 한 쌍의 신축밴드(20)의 단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허리받침부(30)와;
    상기 허리받침부(30)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메시망(41)으로 형성되고, 찜질팩(42)이 수용 가능한 보호패드(40)와;
    상기 하나의 밴드부(10)의 선단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벨크로패드(51)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51)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제1 돌출벨크로패드(52)와, 상기 제1 벨크로패드(10)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내측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제2 돌출벨크로패드(53)와, 상기 제2 돌출벨크로패드(53)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벨크로패드(52)가 부착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2 벨크로패드(54)를 포함하는 결합부(50)와;
    상기 각각의 신축밴드(20)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의 사이를 조여주는 한 쌍의 조임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2. 인체의 배의 전면 양측에 대응하여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의 끝단에 각각 부착되고, 인체의 옆구리 부위에 대응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신축밴드(20)와;
    상기 한 쌍의 신축밴드(20)의 단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인체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허리받침부(30)와;
    상기 허리받침부(30)의 내측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이 메시망(41)으로 형성되고, 찜질팩(42)이 수용 가능한 보호패드(40)와;
    상기 하나의 밴드부(1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부착벨크로패드(51a)와, 상기 부착벨크로패드(51a)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외면에 상단과 하단이 부착되고 접어서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밴드부(10)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외면에 벨크로가 형성되는 길이조절벨크로패드(52a)를 포함하는 결합부(50)와;
    상기 각각의 신축밴드(20)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의 사이를 조여주는 한 쌍의 조임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는,
    그 외면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한 쌍의 밴드부(10)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연결패드(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60)는,
    상기 신축밴드(20)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밴드부(10)의 단부에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고 상기 신축밴드(20)의 타단에 대응되는 상기 허리받침부(20)의 단부에 다른 하나가 그 외측단이 부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61)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61)의 내측단을 따라 대응되게 부착되는 다수의 걸림구(62)와,
    상기 걸림구(62)에 끼워지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61)의 내측에 교차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조임줄(63)과,
    상기 고정부재(61)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조임줄(63)의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줄(63)이 감기면서 조이는 조임조작구(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62)는,
    반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줄()이 삽입되는 반원관(621)과,
    상기 반원관(621)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61)에 끼워져 장착되는 고정리브(622)와,
    상기 반원관(621)의 양 단부의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623)와,
    상기 반원관(621)의 중앙 부위의 외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6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대는,
    상기 밴드부(10)의 외면과 상기 허리받침부(30)의 외면에 다수개가 수직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내부에 합성수지 재질의 받침대(71)가 수직으로 끼워지며, 상기 밴드부(10)와 허리받침부(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용 복대.
KR1020160061297A 2016-05-19 2016-05-19 허리보호용 복대 KR20170131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97A KR20170131735A (ko) 2016-05-19 2016-05-19 허리보호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97A KR20170131735A (ko) 2016-05-19 2016-05-19 허리보호용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35A true KR20170131735A (ko) 2017-11-30

Family

ID=6081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97A KR20170131735A (ko) 2016-05-19 2016-05-19 허리보호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73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3283A (zh) * 2018-03-02 2018-08-17 泰安市诺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三段式可调节按摩支撑护腰带
KR102042517B1 (ko) *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9B1 (ko) * 2019-05-08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8B1 (ko) *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CN110585606A (zh) * 2019-08-26 2019-12-2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全封闭式防辐射铅脖
KR102076578B1 (ko) * 2019-05-14 2020-05-1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JP2020143401A (ja) * 2019-03-07 2020-09-10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腰部装着ベルト
WO2020226313A1 (ko) * 2019-05-03 2020-11-12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3283A (zh) * 2018-03-02 2018-08-17 泰安市诺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三段式可调节按摩支撑护腰带
CN108403283B (zh) * 2018-03-02 2024-01-12 泰安市诺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三段式可调节按摩支撑护腰带
JP2020143401A (ja) * 2019-03-07 2020-09-10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腰部装着ベルト
KR102042517B1 (ko) *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8B1 (ko) * 2019-05-03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WO2020226313A1 (ko) * 2019-05-03 2020-11-12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KR102042519B1 (ko) * 2019-05-08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KR102076578B1 (ko) * 2019-05-14 2020-05-1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CN110585606A (zh) * 2019-08-26 2019-12-2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全封闭式防辐射铅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1735A (ko) 허리보호용 복대
EP2693993B1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7449006B2 (en) Equalizing lumbar orthosis
JP2651953B2 (ja) 調節自在の膝サポーター
US3786804A (en) Hinged knee brace having torque pads for producing inward support pressure
US20130237891A1 (en) Orthotic brace tightening device
US11660221B2 (en) Universal wrist brace with enhanced lacing
US20210212854A1 (en) Wrist Brace with Enhanced Lacing
US8758284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US20140058307A1 (en) Adjustable back brace
US6126627A (en) Adjustable ankle brace system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JP4496398B1 (ja) 腰部筋力補助具
WO2019051240A1 (en) THORACO-LOMBO-SACRED ORTHESIS FIXATION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US5056508A (en) Neck support for cervical or whiplash problems
US7762974B2 (en) Ankle brace with mechanical advantage closure system
KR101541481B1 (ko) 허리보호용 복대
US5415183A (en) Harness for abdominal catheter support band
KR20170121959A (ko) 허리보호용 복대
KR200362859Y1 (ko)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210030140A (ko) 허리 보호 벨트
EP2215993B1 (en) Orthopaedic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an articulation
JP4430288B2 (ja) 膝サポータ
KR20180052278A (ko) 의료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