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079B1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힙시트 겸용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079B1
KR101693079B1 KR1020140125429A KR20140125429A KR101693079B1 KR 101693079 B1 KR101693079 B1 KR 101693079B1 KR 1020140125429 A KR1020140125429 A KR 1020140125429A KR 20140125429 A KR20140125429 A KR 20140125429A KR 101693079 B1 KR101693079 B1 KR 10169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upled
belt
baby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547A (ko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주)쁘띠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엘린 filed Critical (주)쁘띠엘린
Priority to KR102014012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0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띠로서, 양측에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가 결합된 본체부(100);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해체되는 탈부착부(210)가 형성된 벨트부(200); 및 상기 벨트부의 중간 부분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의 몰드(400)가 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몰드 수용부 상측에 상기 몰드가 통과되는 개구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힙시트부(300); 를 포함하는 힙시트 경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힙시트 겸용 아기띠{BABY CARRIER HAVING HIP-SEAT}
본 발명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의 보호자 등은 두 팔로 아기의 체중을 지탱하며 아기를 돌보거나 안게 된다.
이때, 아기의 보호자 등의 팔이나 허리 등에 무리가 발생하여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아기를 돌보기 곤란하다.
이에, 아기를 보호자 등이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하는 포대기 내지 아기띠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기띠 등은 아기의 체중 대부분이 보호자 등의 어깨에 부가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보호자 등의 어깨나 허리 등에 무리한 힘이 발생되고,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돌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보호자 등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가 추가된 아기띠가 제공되고 있으나, 벨트부가 추가된 기존의 아기띠는 모두,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결된 2 개의 웨빙끈에 의해 보호자 등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제 웨빙끈이 결합되지 않은 벨트부와 결합된 벨트부 각 부분에서 보호자 등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지 않게 가해지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에 보다 큰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068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전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부재로서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벨트부에 결합된 웨빙끈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벨트부에 의해 사용자의 몸통 내지 허리 부분 전체에 대해 균일한 힘이 작용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허리 등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적으로 아기를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부에 양측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 주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 중 아기의 몸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인 확장 주름부 부분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아기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기띠로서, 양측에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가 결합되며, 절개부(141)가 형성된 외측 커버(142)와, 상기 절개부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 커버(144) 및 상기 외측 커버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내측 커버(145)를 포함하는 확장 주름부(14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해체되는 탈부착부(210)가 형성된 벨트부(200); 암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1 결합부(251)와 상기 암 버클부재와 록킹 결합되는 숫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2 결합부(252)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가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부 외면을 감싸는 웨빙끈(webbing band, 250); 및 상기 벨트부의 중간 부분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의 몰드(400)가 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몰드 수용부 상측에 상기 몰드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힙시트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제1 결합수단(160)이 결합되고, 상기 힙시트부는, 상기 벨트부와 연결되는 상기 몰드 수용부의 후면 상측과 상기 벨트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몰드 수용부의 전면 상측 각각에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결합수단(361)과 제3 결합수단(362)이 결합되되,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커버와 내측 커버는, 상기 외측 커버의 절개부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함께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 주름부의 폭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빙끈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사이 거리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에 형성된 절개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중간 커버는 상기 외측 커버 중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획된 부분 외측 커버(143) 내측으로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에는, 머리 보호커버(132)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는 머리 받침부 지퍼부재(13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는 상측면이 평평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몰드는 상기 몰드 수용부에 수용되는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 상측에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1)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2)가 형성되어, 상기 몰드 수용부에서 상기 몰드가 적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몰드 수용부의 상측이 수용부의 하측으로 접혀 상기 벨트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에 의해 사용자의 몸통 내지 허리 부분 전체에 대해 균일한 힘이 작용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허리 등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적으로 아기를 돌볼 수 있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중 아기의 몸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인 확장 주름부 부분이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아기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전개도로서, 보조헝겊이 포함된 경우와 제외된 경우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본체부에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가 착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머리 보호 커버가 착용 상태로 인출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확장 주름부가 확장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가 분리된 상태의 본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확장 주름부가 확장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와 중간 커버 및 내측 커버간의 확장 전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표시된 B-B'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와 중간 커버 및 내측 커버간의 확장 후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힙시트부와 벨트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와 후면도이다.
도 12는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에 몰드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이 결합되고 몰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고 몰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전개도로서, 보조헝겊이 포함된 경우와 제외된 경우에 대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체부에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가 착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머리 보호 커버가 착용 상태로 인출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확장 주름부가 확장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는 도 1a와 같이 보조헝겊(170)이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보조헝겊(170)은 제외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가 분리된 상태의 본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확장 주름부가 확장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와 중간 커버 및 내측 커버간의 확장 전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에 표시된 B-B'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와 중간 커버 및 내측 커버간의 확장 후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힙시트부와 벨트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한 정면도와 후면도이고, 도 12는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벨트부에 결합된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에 몰드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이 결합되고 몰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고 몰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설명하기 위한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는, 사용자가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는 양측에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가 결합된 본체부(100)와,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해체되는 탈부착부(310)가 형성된 벨트부(200), 및 상기 벨트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되, 내부에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의 몰드(400)가 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 수용부 상측에 상기 몰드가 통과되는 개구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힙시트부(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는 본체부(100)와 벨트부(200), 및 힙시트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아기의 몸통 부분을 지지해주는 부재로서, 본체부의 양측에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어깨 걸이부(110)는 봉제 방식에 의해 본체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구성하는 구성간 결합 방식의 경우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봉제 방식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 각각에는 사용자의 양쪽 어깨에 걸린 양 어깨 걸이부(110)를 연결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자 어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120)이 결합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 어깨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 각각에 결합된 결속수단(120)을 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에서 어깨 걸이부가 흘러내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수단(120)은 상기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 중 하나에는 암 버클부재로, 그리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암 버클부재와 록킹 결합되는 숫 버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주머니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주머니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00)는 사용자의 몸통 부분, 주로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해체되는 탈부착부(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벨트부(200)는 사용자의 몸통 부분, 주로 허리 부분을 감싸며 사용자의 허리 등에 밀착되는 부재로서, 일측과 타측에 탈부착부(210)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밀착되거나 사용자의 허리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탈부착부(210)는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이 탈부착되는 밸크로(Velcro)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힙시트부(300)는 상기 벨트부(2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아기의 엉덩이가 지지되도록 하는 몰드(400)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도록 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된 부재이다.
상기 힙시트부(300)는 상기 벨트부(100)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의 몰드(400)가 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몰드 수용부(310) 상측에 상기 몰드(400)가 통과되는 개구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11)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몰드(400)는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로서 상기 몰드 수용부(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측면에 아기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경우, 일정한 쿠션감이 주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몰드 수용부(310)는 상기 벨트부의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 바람직하게는 상측 전면에 상기 몰드(400)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도록 하는 개구부(3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3110)에는 상기 개구부(311)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된다.
상기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은 지퍼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 수용부(310)는 상기 몰드(40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벨트부(10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몰드가 적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벨트부(100)측으로 접혀 포개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힙시트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상기 벨트부(100)가 사용자의 몸통, 즉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벨트부의 일측과 타측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몰드 수용부(310)에 상기 몰드(400)를 수용하면, 아기는 상기 몰드 수용부(310)의 상측면에 엉덩이를 지지하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이고 쉽게 아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00)에는 웨빙끈(webbing band, 250)이 더 결합된다.
상기 웨빙끈(250)은 암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1 결합부(251)와 상기 암 버클부재와 록킹 결합되는 숫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2 결합부(252)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가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웨빙끈(250)은, 상기 벨트부(100)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각각 별도로 연결되는 기존의 아기띠 벨트부에 대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웨빙끈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웨빙끈(250)은 웨빙끈의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 부분이 상기 벨트부(100)에 결합되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웨빙끈이 벨트부 전체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고정되도록 하여, 벨트부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밀착되며, 벨트부로부터 사용자의 허리 부분으로 고르게 힘이 작용되어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아기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와 힙시트부(300)의 탈부착가능한 결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제1 결합수단(16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힙시트부(300)는, 상기 몰드 수용부의 상측면 전방과 상측면 후방 각각에 상기 제1 결합수단(160)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결합수단(361)과 제3 결합수단(362)이 결합된다.
상기 제1 결합수단(160), 제2 결합수단(361), 제3 결합수단(362)는 각각 지퍼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결합수단(160)과 제2 결합수단(361)은, 상기 제1 결합수단(160)과 제2 결합수단(361)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즉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몰드 수용부에 몰드가 수용된 경우, 몰드 수용부가 본체부에서 사용자의 몸 측으로 향하도록 결합된다(도 16 참조).
즉, 아기의 엉덩이가 상기 몰드가 수용된 몰드 수용부의 상측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와 사용자 사이에 아기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수단(160)과 제3 결합수단(362)은,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즉 사용자 반대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도 15 참조).
다만, 상기 제1 결합수단(160)과 제3 결합수단(36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주로 상기 몰드를 상기 몰드 수용부에서 적출, 즉 제외시킨 상태로 사용할 것이고, 이때, 상기 몰드 수용부 부분은 상기 벨트부 상에 접힌 상태로 사용될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확장 주름부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 주름부(140)는 상하로 절개된 절개부(141)가 형성된 외측 커버(142)와, 상기 절개부(141)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 커버(144) 및 상기 외측 커버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내측 커버(1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 커버(144)와 내측 커버(145)는, 상기 외측 커버(142)의 절개부(141)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함께 양측으로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즉, 상기 확장 주름부(140)는 상하로 절개된 절개부(141)가 형성된 외측 커버(142)와, 상기 절개부(141)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 커버(144) 및 상기 외측 커버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내측 커버(1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외측 커버(142)의 절개부(141)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즉, 상기 외측 커버(142)의 절개부(141)가 양측 폭 방향으로 벌어져 확장되고, 상기 중간 커버(144)와 내측 커버(145)가 함께, 양측으로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 주름부의 폭이 양측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체부 중 아기의 몸과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인 확장 주름부(140) 부분이 자연스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기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정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확장 주름부(140)의 외측 커버(142)에 형성된 절개부(141)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중간 커버(144)는 상기 외측 커버(142) 중 절개부(141) 각각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각 절개부(141)가 확장됨에 따라 중간 커버(144)와 내측 커버(145)가 함께 폭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130)가 포함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130)에는, 머리 보호커버(132)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는 머리 받침부 지퍼부재(13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힙시트의 몰드 수용부(310)는 상측면이 평평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몰드(400)는 상기 몰드 수용부에 수용될수 있는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310) 상측에는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1)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2)가 형성되어, 상기 몰드 수용부에서 상기 몰드가 적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몰드 수용부의 상측이 수용부의 하측으로 접혀 상기 벨트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힙시트부에는,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와 힙시트부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추가 결속수단, 즉 본체부 추가 결속수단(180)과 힙시트부 추가 결속수단(380)이 본체부와 힙시트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10: 어깨 걸이부
120: 결속수단 130: 머리 받침부
131: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 132: 머리보호 커버
133: 머리 받침부 지퍼부재 140: 확장 주름부
141: 절개부 142: 외측 커버
143: 부분 외측 커버 144: 중간 커버
145: 내측 커버 160: 제1 결합수단
170: 보조헝겊 175; 보조헝겊 결속수단
200: 벨트부 210: 탈부착부
250: 웨빙끈 251: 제1 결합부
252: 제2 결합부 260: 결합선
300: 힙시트부 310: 몰드 수용부
311: 개구부 320: 개폐수단
361: 제2 결합수단 362: 제3 결합수단
371: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
372: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
380: 힙시트부 추가 결속수단
400: 몰드

Claims (7)

  1. 아기띠로서,
    양측에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걸이부(110)가 결합되며, 절개부(141)가 형성된 외측 커버(142)와, 상기 절개부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중간 커버(144) 및 상기 외측 커버의 양 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내측 커버(145)를 포함하는 확장 주름부(14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을 감싸도록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몸통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해체되는 탈부착부(210)가 형성된 벨트부(200);
    암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1 결합부(251)와 상기 암 버클부재와 록킹 결합되는 숫 버클부재가 결합된 제2 결합부(252)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가 상기 벨트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부 외면을 감싸는 웨빙끈(webbing band, 250); 및
    상기 벨트부의 중간 부분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상측면이 평평한 형태의 몰드(400)가 삽입되어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몰드 수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몰드 수용부 상측에 상기 몰드가 통과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몰드 수용부 개폐수단(320)이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힙시트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제1 결합수단(160)이 결합되고,
    상기 힙시트부는,
    상기 벨트부와 연결되는 상기 몰드 수용부의 후면 상측과 상기 벨트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몰드 수용부의 전면 상측 각각에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 결합수단(361)과 제3 결합수단(362)이 결합되되,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제3 결합수단이 결합되면, 상기 벨트부가 상기 사용자의 몸을 감싸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 수용부가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커버와 내측 커버는,
    상기 외측 커버의 절개부가 벌어져 확장됨에 따라 함께 벌어져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 주름부의 폭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끈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사이 거리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주름부의 외측 커버에 형성된 절개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중간 커버는 상기 외측 커버 중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획된 부분 외측 커버(143) 내측으로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에는, 머리 보호커버(132)가 수용되거나 적출되는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 보호커버 수용부는 머리 받침부 지퍼부재(13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는 상측면이 평평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몰드는 상기 몰드 수용부에 수용되는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힙시트부의 몰드 수용부 상측에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1)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체결될 수 있는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372)가 형성되어, 상기 몰드 수용부에서 상기 몰드가 적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와 제2 몰드 수용부 체결부재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몰드 수용부의 상측이 수용부의 하측으로 접혀 상기 벨트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20140125429A 2014-09-22 2014-09-22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169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429A KR101693079B1 (ko) 2014-09-22 2014-09-22 힙시트 겸용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429A KR101693079B1 (ko) 2014-09-22 2014-09-22 힙시트 겸용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47A KR20160034547A (ko) 2016-03-30
KR101693079B1 true KR101693079B1 (ko) 2017-01-04

Family

ID=556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429A KR101693079B1 (ko) 2014-09-22 2014-09-22 힙시트 겸용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0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61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KR20220002465U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다이치 접이식 힙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754B2 (en) 2016-09-28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by carrier
KR101829876B1 (ko)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KR102392453B1 (ko) * 2020-04-22 2022-04-28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408335B1 (ko) * 2020-09-04 2022-06-13 김민지 유아용 아기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89Y1 (ko) * 2003-07-04 2003-12-11 이준홍 아기 포대기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272U (ko) * 2009-02-11 2010-08-19 이진섭 벨트의 분리 사용이 가능한 아기 포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89Y1 (ko) * 2003-07-04 2003-12-11 이준홍 아기 포대기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61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KR20220002465U (ko)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다이치 접이식 힙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547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07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8453894B2 (en) Carrier for use with both younger and older infants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KR101433183B1 (ko) 아기 업개
EP3649900B1 (en) Baby carrier
JP3210531U (ja)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JP2001070107A (ja)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76693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542837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0485256Y1 (ko)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TWI555488B (zh) 幼兒背帶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3267Y1 (ko) M형 자세 유지를 위한 유아용 아기띠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3520Y1 (ko) 아기띠
KR200181994Y1 (ko) 아기띠를 내장한 외투
KR20180062711A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