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20Y1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20Y1
KR200483520Y1 KR2020160007342U KR20160007342U KR200483520Y1 KR 200483520 Y1 KR200483520 Y1 KR 200483520Y1 KR 2020160007342 U KR2020160007342 U KR 2020160007342U KR 20160007342 U KR20160007342 U KR 20160007342U KR 200483520 Y1 KR200483520 Y1 KR 200483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upport
support portion
backres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식
Original Assignee
(주)데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르마 filed Critical (주)데르마
Priority to KR2020160007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힙 시트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도록 제1 결착부를 갖는 허리 밴드부; 상기 힙 시트의 일단에서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힙 시트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힙 시트에 착석한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착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착용되도록 제2 결착부를 갖는 어깨끈부; 을 포함하며, 아기의 엉덩이, 등 및 머리를 상기 힙 시트와 등받이부에 안착시키며,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여 아기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허리 밴드부의 내측 사이에 개재되는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아 및 유아를 각각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아기를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것으로 목을 가눌 수 없는 영아와 어느 정도 성장한 유아를 착용자가 각각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로 각각 따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영아용 아기띠는 사용자의 허리에 결합되는 허리 밴드에 연결되는 등받이부로 이루어져 아기를 안착 시킨 후 등받이부에 형성된 어깨끈을 어깨에 착용하여 등받이부가 아기의 등을 덮어 착용자가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등받이부와 허리 밴드 사이에는 영아의 등과 목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된다.
반면에, 유아용 아기띠는 등받이부와 허리 밴드부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가 없으며, 허리 밴드에는 유아의 엉덩이를 안착시킴과 더불어 착용자의 어깨와 등 및 허리에 집중되는 무게를 분산시켜 착용자가 피로를 저감 시킬 수 있는 시트가 구비 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아기띠는 착용자가 아기의 성장에 따라서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따로 구매하여 아기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따로 사용해야 함으로, 사용상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이의 성장 시기에 따라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구매하여야 함으로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의 구매에 따른 구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148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아와 유아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아기띠로 아기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와 유아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아기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힙 시트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도록 제1 결착부를 갖는 허리 밴드부; 상기 힙 시트의 일단에서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힙 시트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힙 시트에 착석한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착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착용되도록 제2 결착부를 갖는 어깨끈부; 을 포함하며, 아기의 엉덩이, 등 및 머리를 상기 힙 시트와 등받이부에 안착시키며,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여 아기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허리 밴드부의 내측 사이에 개재되는 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아기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일단이 상기 힙 시트가 형성되는 허리 밴드부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내부에는 아기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 쿠션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외측 상부 양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 양단은 내측으로 접혀져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 하도록 상부 양단이 각각 재봉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지패드를 갖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지지 패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측과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 쿠션;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인접되는 경계선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가 내측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양측을 기설정된 길이로 상호 재봉하는 밴딩부; 를 포함 하며,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가 밴딩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좁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의 중심에는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망사망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에는 상기 망사망을 커버하며, 상기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중심이 지퍼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메인 커버; 및 상기 망사망의 상부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일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를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시키는 보조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커버의 내측과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외측은 벨크로를 통해 상호 탈 부착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가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 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에 탈 부착되는 벨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부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는 힙 시트가 구비되며, 허리 밴드부와 등받이부 사이에는 영아의 등과 목을 지지하여 영아의 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가 하나의 아기띠로 아기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와 유아를 모두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영아와 유아의 성장 시기에 맞춰 별도로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매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제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제된 “...유닛”, “...수단”, “...부”, “...부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유동 방지부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난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에 있어서,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는 아기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와 유아 모두를 착용자가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것으로, 허리 밴드부(110), 등받이부(120) 및 유동 방지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 밴드부(11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아기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힙 시트(111)가 형성되고, 그 힙 시트(111)의 양측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리 밴드부(110)의 일단의 내측과 타단의 외측에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벨크로(112)가 형성되고, 외측의 일측에는 지갑 및 열쇠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113)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 밴드부(110)의 외측의 일단과 타단에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후 일단과 타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결착부(110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착부(110a)는 암수로 구성되는 릴리스 버클(110b)로 이루어져 허리 밴드부(110)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힙 시트(111)는 아기의 엉덩이를 안착 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시트(미도시)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힙 시트(111)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평평한 안착부(111a)를 형성하고 안착부(111a)을 기준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아기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111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20)는 힙 시트(111)의 일단에서 결합 수단(120a)을 통해 결합되며, 힙 시트(11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힙 시트(111)에 착석한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한다.
즉, 상기 등받이부(120)는 힙 시트(111)에 착석한 아기의 등 또는 배를 덮어서 힙 시트(111)에 착석된 아기를 착용자의 가슴으로 당겨 착용자의 가슴과 아기를 최대한 밀착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120)는 결합수단(120a)을 통해서 힙 시트(110)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수단(120a)은 등받이부(120)의 하단부와 힙 시트(110)의 안착부(111a)의 테두리가 지퍼(121a)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안착부(111a)의 테두리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으로 결합링(123a)이 결합되는 제1 밴드(122a)가 결합된다.
그리고 일단과 타단에는 스냅 단추(125a)가 형성된 제2 밴드(124a)의 일단이 등받이부(12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링(123a)을 관통 후 일단에 형성된 스냅 단추(125a)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120)의 중심에는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망사망(122)이 형성되고, 등받이부(120)의 외측에는 망사망(122)을 커버하며, 망사망(120)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커버부(120b)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20b)는 망사망(122)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중심이 지퍼(121a)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망사망(122)의 상부 측에는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의 일단을 결합하여,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를 등받이부(120)에 고정시키는 보조 커버(125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 커버(125b)의 내측에는 벨크로(126b)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의 외측에 형성된 벨크로(122b)(124b)에 의해 상호 탈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20)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가 망사망(122)을 양측으로 개방 시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가 등받이부(120)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의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122b)(124b)에 탈 부착되는 벨크로(125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는 지퍼(121a)를 통해 양측으로 망사망(122)을 개방할 수 있으며, 망사망(122)을 "V" 자 형상으로 개방하여 외부에 미려함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의 내측과 외측은 서로 다른 패턴의 문양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메인 커버(121b)(123b)가 망사망(122)을 개방 시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서로 다른 패턴의 문양이 외부에 노출되어 등받이부(120)의 미려함을 강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끈부(130)는 등받이부(120)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등받이부(120)의 양측 단에 각각 결합되어, 착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착용되도록 제2 결착부(130a)를 갖는다.
상기 어깨끈부(130)는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2 결착부(130a)는 한 쌍의 어깨끈부(1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 어깨끈부(130)이 착용자의 어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 쌍의 어깨끈부(130)를 착용자의 가슴 측으로 연결하도록 암수로 이루어지는 릴리스 버클(131a)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방지부(140)는 등받이부(120)와 허리 밴드부(110)의 내측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 방지부(140)는 등받이부(120)와 힙 시트(111) 사이에서 목을 가눌 수 없는 영아의 머리를 지지하여 등받이부(120)에서 영아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동 방지부(140)는 영아의 엉덩이, 등 및 머리를 지지하여 영아의 엉덩이를 힙 시트(111)를 안착시키고, 영아의 등과 머리를 등받이부(120)에 안착 시키도록 제1 지지부(140a) 및 제2 지지부(14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140a)는 등받이부(120)의 내측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영아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며, 영아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지지부(142a), 지지 패드(143a)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142a)는 외측 상부 양측이 등받이부(12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지지부(142a)의 외측의 상부에는 스냅 단추(146a)가 형성되어 등받이부(12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스냅 단추(121)에 결합되어, 상부 지지부(142a)는 등받이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142a)는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접혀져 영아의 머리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 하도록 상부 양단이 각각 재봉선(144a)에 의해 구획되는 지지 패드(143a)를 갖는다.
즉, 상기 지지 패드(143a)는 상부 지지부(142a)에서 재봉선(144a)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상부 지지부(142a)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영아의 머리를 감싸며, 영아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패드(143a)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140a)의 외측과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 쿠션(145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쿠션(145a)는 제1 지지부(140a)의 외측과 내측에서 돌출되어, 영아의 머리가 유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 시키며, 영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140a)의 상부 지지부(142a) 내부에는 영아가 안착 시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 쿠션층(141a)이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140b)는 제1 지지부(140a)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지지부(140a)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일단이 힙 시트(111)가 형성되는 허리 밴드부(110)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영아의 엉덩이를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부(140b)는 하부 지지부(142b)와 밴딩부(143b)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142b)는 제1 지지부(140a)에서 연장 형성되어 영아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143b)는 제1 지지부(140a)와 인접되는 경계선에서 하부 지지부(142b)가 내측으로 밴딩되도록 제1 지지부(140a)와 제2 지지부(140b)의 양측을 기설정된 길이로 상호 재봉한다.
상기 밴딩부(143b)는 제1 지지부(140a)의 일단에서 하부 지지부(142b)가 밴딩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좁혀지게 된다.
즉, 상기 밴딩부(142b)는 제1 지지부(140a)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좁혀지게 형성되어 영아의 다리가 하부 지지부(143b)의 양측에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부(143b)의 일단의 외측에는 스냅 단추(144b)가 형성되어 허리 밴드부(110)의 내측에 형성된 스냅 단추(114)에 결합되어, 허리 밴드부(1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지지부(140b)의 하부 지지부(143b) 내부에는 영아가 안착 시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내부에 메인 쿠션층(141b)이 충전된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인 아기띠(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아기띠(100)를 통해 목을 가눌 수 없는 영아를 착용자가 안을 경우에는 허리 밴드부(110)에 등받이부(120)를 결합 시킨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20)는 앞서 설명한 결합 수단(120a)을 통해 허리 밴드부(110)의 힙 시트(111)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방지부(140)를 허리 밴드부(110)와 등받이부(120)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유동 방지부(120)의 제1 지지부(140a)의 상부 지지부(142a)는 등받이부(120)에 형성된 스냅 단추(121)와 상부 지지부(142a)에 형성된 스냅 단추(146a)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방지부(120)의 하부 지지부(143b)는 허리 밴드부(110)에 형성된 스냅 단추(114)와 하부 지지부(143b)에 형성된 스냅 단추(144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런 후 착용자는 상기 허리 밴드부(110)를 허리에 착용한다.
이때, 상기 허리 밴드부(110)는 벨크로(112)를 통해서 착용자의 허리에 맞추고 암수로 형성된 릴리스 버클(110b)을 통해 허리 밴드부(110)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 시킨다.
그리고 영아를 상기 유동 방지부(140)에 안착 시키고, 영아의 엉덩이를 상기 유동 방지부(140)의 하부 지지부(143b)에 안착 시키고 영아의 다리는 밴딩부(142b)를 통해 하부 지지부(143b)의 양측으로 노출 시킨다.
이때, 상기 밴딩부(143b)는 제1 지지부(140a)의 일단에서 하부 지지부(142b)가 밴딩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좁혀져 영아의 다리가 원활하게 하부 지지부(143b)의 양측으로 노출된다.
그런 후, 상기 등받이부(120)를 착용자의 가슴 측으로 당겨서 어깨끈부(130)를 착용자의 양측 어께에 착용한 후 암수로 이루어지는 릴리스 버클(131a)을 통하여 어개끈부(130)를 착용자의 가슴 측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부(142a)의 지지 패드(143a)는 상부 지지부(142a)의 내측으로 접어서 영아의 머리를 양측에서 감싸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 패드(143a)는 상부 지지부(142a)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접혀 영아의 머리를 양측으로 지지하여 영아의 머리가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패드(143a)의 내부에는 제1 지지부(140a)의 외측과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 쿠션(145a)이 형성되어, 영아의 머리가 유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 시키며, 영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방지부(140)는 목을 가눌 수 없는 영아를 착용자가 안을 때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아기띠(100)를 이용해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경우에는 착용자가 유동 방지부(140)를 허리 밴드부(110)와 등받이부(120)에서 제거하여 허리 밴드부(110)와 등받이부(120)를 이용해 유아를 안는다.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허리 밴드부(110)에서 등받이부(120)를 제거하여 힙 시트(111)에 유아를 안착 시킨 후 사용자가 팔로 유아를 감싸 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의 허리 밴드부(110)에 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는 힙 시트가 구비되며, 허리 밴드부에서 연장되는 등받이부 사이에는 유동 방지부가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어 착용자가 영아와 유아의 성장시기에 맞춰 영아와 유아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부(110)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는 힙 시트(111)가 구비되며, 허리 밴드부(110)와 등받이부(120) 사이에는 영아의 등과 목을 지지하여 영아의 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 방지부(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자가 하나의 아기띠(100)로 아기의 성장 시기에 맞춰 영아와 유아를 모두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는 영아와 유아의 성장 시기에 맞춰 별도로 영아용 아기띠와 유아용 아기띠를 각각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매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아기띠
110: 허리 밴드부 110a: 제1 결착구조
110b: 릴리스 버클 111: 힙 시트
111a: 안착부 111b: 분산부
112: 벨크로 113: 수납 공간
114 :스냅 단추 120: 등받이부
121: 스냅 단추 122: 망사망
123: 벨크로 120a: 결합 수단
121a: 지퍼 122a: 제1 밴드
123a: 결합링 124a: 제2 밴드
125a: 스냅단추 120b: 커버부
121b: 제1 메인 커버 122b: 벨크로
123b: 제2 메인 커버 124b: 벨크로
125b: 보조 커버 126b: 벨크로
130: 어깨끈부 130a: 제2 결착부
131a: 릴리스 버클 140: 유동 방지부
140a: 제1 지지부 141a: 메인 쿠션층
142a: 상부 지지부 143a:지지 패드
144a: 재봉선 145a:지지 쿠션
146a: 스냅 단추 140b: 제2 지지부
141b: 메인 쿠션층 142b: 하부 지지부
143b: 밴딩부 144b: 스냅 단추

Claims (4)

  1. 아기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힙 시트;
    상기 힙 시트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도록 하는 제1 결착부를 갖는 허리 밴드부;
    상기 힙 시트의 일단에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힙 시트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힙 시트에 착석한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어 착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착용되도록 하는 제2 결착부를 갖는 어깨끈부; 및
    아기의 엉덩이, 등 및 머리를 상기 힙 시트와 등받이부에 안착시키면서 아기의 머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허리 밴드부의 내측에 결착되는 유동 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의 중심에는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망사망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에는 상기 망사망을 커버하며 상기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가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중심이 지퍼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메인 커버와 상기 망사망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일단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를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시키는 보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외측에 형성된 벨크로와 상기 보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에 의해 상호 탈 부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가 망사망을 양측으로 개방할 시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는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와 상기 제1 및 제2 메인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에 의해 상호 탈 부착되고,
    상기 유동 방지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아기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접혀져 일단이 상기 힙 시트가 형성되는 허리 밴드부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외측 상부 양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 양단은 내측으로 접혀져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부 양단이 각각 재봉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지패드를 갖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지지 패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측과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인접되는 경계선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가 내측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양측을 기설정된 길이로 상호 재봉하는 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가 밴딩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좁혀지며,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내부에는 아기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메인 쿠션층이 충전되는 아기띠.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7342U 2016-12-16 2016-12-16 아기띠 KR200483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42U KR200483520Y1 (ko) 2016-12-16 2016-12-16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42U KR200483520Y1 (ko) 2016-12-16 2016-12-16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20Y1 true KR200483520Y1 (ko) 2017-05-25

Family

ID=5902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42U KR200483520Y1 (ko) 2016-12-16 2016-12-16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2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894B2 (ja) * 2003-12-25 2008-10-2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サポート部材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
KR20110001488U (ko) 2009-08-05 2011-02-11 김미자 휴대용 아기띠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20160000999U (ko) * 2016-02-18 2016-03-28 임관빈 아기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0894B2 (ja) * 2003-12-25 2008-10-2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サポート部材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
KR20110001488U (ko) 2009-08-05 2011-02-11 김미자 휴대용 아기띠
KR101272144B1 (ko) *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20160000999U (ko) * 2016-02-18 2016-03-28 임관빈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891B2 (ja) ベビーキャリア
EP1767124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KR101272144B1 (ko) 힙싯 아기띠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20110062195A1 (e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KR10169307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110018064A (ko)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476693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85256Y1 (ko)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20180012677A (ko) 영아용 속싸개
KR102331093B1 (ko)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JP6282716B1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83520Y1 (ko) 아기띠
JP4441231B2 (ja) 子守帯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3235488U (ja) 子守帯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JP2007268076A (ja) 子守帯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