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29B1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힙시트 겸용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29B1
KR101812529B1 KR1020170046731A KR20170046731A KR101812529B1 KR 101812529 B1 KR101812529 B1 KR 101812529B1 KR 1020170046731 A KR1020170046731 A KR 1020170046731A KR 20170046731 A KR20170046731 A KR 20170046731A KR 101812529 B1 KR101812529 B1 KR 10181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at
baby
belt portion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주)쁘띠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엘린 filed Critical (주)쁘띠엘린
Priority to KR102017004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529B1/ko
Priority to PCT/KR2017/006505 priority patent/WO20181904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있어서,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조절끈을 포함하는 1 벨트부와 상기 제 1 벨트부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중심부에 힙시트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호 탈착되기 위한 탈착부재를 갖는 제 2 벨트부 및 상기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버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부는 제 1 힙시트수단 및 제 2 힙시트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으로 충진재를 수납하도록 개폐되는 제 1 지퍼를 갖고,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벨트부 및 제 1 힙시트수단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에 변화를 주도록 개폐되는 한 쌍의 제 2 지퍼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가 열림 또는 닫힌 경우, 일단이 상기 제 2 벨트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과 연결되는 확장부의 접철을 통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이 조절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이 제 2 벨트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힙시트수단과 연결되는 확장부가 제 2 지퍼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됨으로써, 제 2 지퍼의 개폐에 따른 확장부의 접철을 통해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아기의 발육상태에 따라 적합한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을 선택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힙시트 겸용 아기띠{Baby carrier having hip-seat}
본 발명은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는 아기를 돌볼 때 사용자로 하여금 행동의 제약을 덜 받게 함과 동시에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아기를 밀착시켜 사용된다.
포대기는 아기와 사용자의 몸을 동시에 감싸줄 수 있는 크기의 덮개 및 덮개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결속력을 제공하는 결속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포대기는 사용자가 아기를 등에 업고, 포대기의 덮개를 아기의 등에 밀착시킨 후 덮개로 몸을 감싸며, 결속끈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감싸 사용한다.
포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아기의 체중이 대부분 사용자의 허리에 집중되므로 허리 부위에 쉽게 피로를 느껴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결속끈에 압박된 아기의 몸과 다리 부분은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아기의 성장 발육에 악영향을 끼쳤다.
더욱이, 사용자의 등에 업힌 아기의 시선은, 사용자의 등만 바라보게 되므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아기들이 금방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전술한 포대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의 앞쪽으로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띠 형상으로 구성된 아기띠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아기띠는 아기의 체형을 고려하여 아기의 몸을 인체공학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커지므로 휴대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391호가 제시되었다.
종래 등록실용신안의 아기띠는, 아기띠 본체와 함께 "X" 형태로 착용되는 보조 아기띠 본체를 통해 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아기띠 본체 및 보조 아기띠 본체를 사용자 및 아기의 체형에 대응하도록 조절할 수 없으므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어깨에서 이탈 및 이격가능하여 아기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어깨로만 아기를 안을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아기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없으므로 외출 시 아기의 쉬는 공간을 제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아기띠 본체 및 보조 아기띠 본체를 통해 단순하게 감싸 지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아기의 하중을 아기띠 상에서 지지할 수 없어 아기의 신체가 처진 상태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아기가 피로를 쉽게 느끼며, 상대방으로 하여금 불안한 마음을 갖게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아기를 안거나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있어서,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조절끈을 포함하는 1 벨트부와 상기 제 1 벨트부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중심부에 힙시트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호 탈착되기 위한 탈착부재를 갖는 제 2 벨트부 및 상기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버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부는 제 1 힙시트수단 및 제 2 힙시트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으로 충진재를 수납하도록 개폐되는 제 1 지퍼를 갖고,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벨트부 및 제 1 힙시트수단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에 변화를 주도록 개폐되는 한 쌍의 제 2 지퍼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가 열림 또는 닫힌 경우, 일단이 상기 제 2 벨트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과 연결되는 확장부의 접철을 통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는, 상기 힙시트부와 상호 탈착되기 위한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 및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벨트부의 일측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가 고정되는 제 2 고정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1 지퍼레일과 탈착되기 위한 제 3 지퍼레일을 갖고,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지퍼레일과 탈착되기 위한 제 4 지퍼레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의 일측은, 그 중심부로부터 끝단을 향해 상기 통풍구, 제 2 지퍼레일 및 제 1 지퍼레일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채 상기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벨트부의 타측은, 상기 통풍구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과 교차 방향으로 개폐되기 위한 한 쌍의 제 3 지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3 지퍼가 열린 경우, 상기 통풍구의 일측에서 이격되는 외피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 1 벨트부의 타측에는 상기 외피부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는 상기 접철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채 이격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되도록 한 쌍의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벨트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방으로 접철가능한 제 1 쿠션수단 및 상기 제 1 고정끈에 결합되어 상기 버클부의 결속에 의한 가압을 완충하는 제 2 쿠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1 쿠션수단과 탈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 탈착되기 위한 보호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 1 쿠션수단 및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의 결합 시, 상기 제 1 쿠션수단의 접철에 대응하여 양단이 길이 조절되기 위한 탄성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의 일면이 미끄럼 방지되기 위한 안착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가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결속됨으로써, 사용자가 아기띠 전용 또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아기를 안거나 또는 돌볼 수 있다.
또한, 힙시트부가 제 1 힙시트수단 및 제 2 힙시트수단이 개별적으로 제 2 벨트부에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며, 제 2 힙시트수단이 제 2 벨트부 또는 제 1 힙시트수단을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아기의 하중에 의해 제 1 벨트부와 제 2 벨트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아기가 낙하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제 2 벨트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힙시트수단과 연결되는 확장부가 제 2 지퍼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됨으로써, 제 2 지퍼의 개폐에 따른 확장부의 접철을 통해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아기의 발육상태에 따라 적합한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을 선택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일측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타측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가 제거된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결합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1 벨트부의 일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1 벨트부의 타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벨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힙시트수단이 제 2 벨트부 또는 제 1 힙시트수단을 향해 접철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확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지퍼가 닫힌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지퍼가 열린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일측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타측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가 제거된 힙시트 겸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결합 측면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이하 아기띠, 100)는 제 1 벨트부(130), 제 2 벨트부(150) 및 버클부(170)를 포함한다.
제 1 벨트부(130)는 사용자의 상체 부위에 안착된 채 아기의 신체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양 어깨에 안착되기 위한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이 구비된다.
이때, 제 1 벨트부(130)의 양단에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과 각각 연결되는 조절끈(132)이 구비되되,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13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134)이 구비된다.
제 1 벨트부(130)에는 조절끈(132), 제 1 연결끈(133) 및 제 1 고정끈(134)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성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어깨걸이수단(131)의 내부에는 아기의 하중에 의한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발생되는 가압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스펀지류 및 솜류 등의 충격 완화 소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작용하는 압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어깨걸이수단(131)의 형상이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1 벨트부(130)의 일측에는 제 1 지퍼레일(136) 및 제 2 지퍼레일(137)이 형성되고,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 사이에 배치되는 통풍구(135)를 포함한다.
제 1 지퍼레일(136)은 제 2 벨트부(150)의 제 1 힙시트수단(151)과 탈착되고, 제 2 지퍼레일(137)은 제 2 벨트부(150)의 제 2 힙시트수단(152)과 탈착된다.
제 1 벨트부(130)의 타측에는 한 쌍의 제 3 지퍼(138)가 형성되고, 통풍구(135)의 일측과 대면하는 외피부재(139)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130a)이 마련된다.
제 1 벨트부(130)는 제 1 쿠션수단(30) 및 제 2 쿠션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단이 제 1 쿠션수단(30)과 탈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과 탈착되기 위한 보호커버(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보호커버(70)에는 제 1 쿠션수단(30) 및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과의 결합 시, 제 1 쿠션수단(30)의 접철에 대응하여 양단이 길이 조절되기 위한 탄성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벨트부(130)에 보호커버(70)가 탈착가능하게 결속됨으로써, 강한 햇빛의 영향으로부터 아기를 보호하여 안락하게 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벨트부(150)는 제 1 벨트부(130)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중심부에 힙시트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호 탈착되기 위한 탈착부재(150a)를 갖는다.
힙시트부는 제 1 힙시트수단(151) 및 제 2 힙시트수단(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힙시트수단(151)은 제 1 벨트부(130)의 제 1 지퍼레일(136)과 탈착되기 위한 제 3 지퍼레일(155)을 갖는다.
또한, 제 1 힙시트수단(151)은 제 2 벨트부(150)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 1 지퍼(156)를 갖는다.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제 1 벨트부(130)의 제 2 지퍼레일(137)과 탈착되기 위한 제 4 지퍼레일(152a)을 갖는다.
또한,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제 2 벨트부(1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 2 벨트부(150) 및 제 1 힙시트수단(151)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한 접철부(150c)가 형성된다.
탈착부재(150a)는 그 양단이 벨크로식을 통해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크단추식, 지퍼식 및 걸이체결식 등 다양한 탈착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 2 벨트부(150)의 일측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153)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가 고정되는 제 2 고정끈(154)이 구비된다.
한편, 제 1 벨트부(130)와 제 2 벨트부(150)의 결합 시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보조결속수단(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결속수단(10)은 수 결속부재(13) 및 암 결속부재(15)로 이루어지되, 제 1 벨트부(130) 및 제 1 힙시트수단(151)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수 결속부재(13)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수 결속부재(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암 결속부재(15)가 구비되어 수 결속부재(13)와 암 결속부재(15)를 걸이체결식으로 탈착되게 결속할 수 있다.
버클부(170)는 수 버클과 암 버클의 상호 탈착되는 과정을 통해 제 1 벨트부(130) 및 제 2 벨트부(150)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1 벨트부의 일측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1 벨트부의 타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제 1 벨트부(130)의 일측은, 그 중심부로부터 끝단을 향해 통풍구(135), 제 2 지퍼레일(137) 및 제 1 지퍼레일(136)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이때, 통풍구(135), 제 2 지퍼레일(137) 및 1 지퍼레일은 서로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이격된 거리를 가지며 배치된다.
통풍구(135)는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 사이에 배치되어 아기의 신체 일부에서 발생가능한 땀 및 계절의 영향에 따른 습기를 최소화하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구(135)가 다수개의 통기공을 갖도록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의 순환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아기의 정신적 및 육체적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가능하다.
제 1 지퍼레일(136)은 제 1 벨트부(130)와 제 2 벨트부(150)의 제 1 힙시트수단(151)이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해 구비된다.
제 2 지퍼레일(137)은 제 1 벨트부(130)와 제 2 벨트부(150)의 제 2 힙시트수단(152)이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해 구비된다.
제 1 지퍼레일(136) 및 제 2 지퍼레일(137)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되,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131) 사이를 가로지르며 개폐 동작을 진행한다.
이때, 제 1 지퍼레일(136) 및 제 2 지퍼레일(137)이 감춰지도록 덮는 보조외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제 1 지퍼레일(136) 및 제 2 지퍼레일(137)을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미관상의 간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제 1 벨트부(130)의 타측은, 통풍구(135)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제 1 지퍼레일(136) 및 제 2 지퍼레일(137)과 교차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 3 지퍼(138)를 갖는다.
한 쌍의 제 3 지퍼(138)가 닫힌 경우, 제 1 벨트부(130)의 타측에는 통풍구(135)의 일측과 대면하여 닫힌 한 쌍의 제 3 지퍼(138)에 의해 고정되는 외피부재(139)가 배치된다.
한 쌍의 제 3 지퍼(138)가 열린 경우, 외피부재(139)는 통풍구(135)의 일측에서 이격 및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취급가능하다.
제 1 벨트부(130)의 타측에는 제 3 지퍼(138)의 개폐 진행에 따라 통풍구(135)의 일측과 대면 또는 분리가능한 외피부재(139)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130a)이 마련된다.
예컨대, 더운 여름의 시기에는 아기의 올바른 체온 유지를 위해 한 쌍의 제 3 지퍼(138)를 열리게 한 후에 통풍구(135)와 분리된 외피부재(139)를 접어서 수납공간(130a)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외피부재(139)가 통풍구(135)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수용될 수 있으므로, 미관상 간결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시원한 공기가 개방된 통풍구(135)를 통해 순환되어 아기의 정신적 및 육체적 건강에 이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벨트부(130)의 타측에는 제 1 벨트부(130)와 제 1 힙시트수단(151)이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결속되기 위한 한 쌍의 수 결속부재(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벨트부(130)에는 사용자가 아기를 안거나 또는 돌볼 시 사용자와 아기 모두의 신체 일부가 보호되도록 제 1 쿠션수단(30) 및 제 2 쿠션수단(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쿠션수단(30)은 일단이 제 1 벨트부(130)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방으로 접철가능하므로, 아기의 목 및 머리를 외부의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 2 쿠션수단(50)은 제 1 고정끈(134)에 결합되어 버클부(170)의 결속에 의한 가압을 완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벨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힙시트수단이 제 2 벨트부 또는 제 1 힙시트수단을 향해 접철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확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 벨트부(150)는 사용자의 몸통 부위를 감싼 채 아기의 하중을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벨트부(130)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중심부에 힙시트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호 탈착되기 위한 탈착부재(150a)를 갖는다.
제 2 벨트부(150)의 일측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153)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가 고정되는 제 2 고정끈(154)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 2 연결끈(153)의 길이가 조절되어 보다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힙시트부는 제 1 힙시트수단(151) 및 제 2 힙시트수단(152)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힙시트수단(151)은 제 1 벨트부(130)의 제 1 지퍼레일(136)과 탈착되기 위한 제 3 지퍼레일(155)을 갖는다.
또한, 제 1 힙시트수단(151)은 제 2 벨트부(150)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15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충진재(90)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지퍼(156)를 갖는다.
제 3 지퍼레일(155)은 제 1 힙시트수단(151)을 가로지르며 개폐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 1 지퍼(156)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힙시트수단(151)의 일면이 미끄럼 방지되기 위한 안착패드(15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패드(151a)는 제 1 힙시트수단(151)의 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되, 제 1 힙시트수단(151)과 벨크로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제 1 힙시트수단(151)의 일면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안착패드(151a)가 제 1 힙시트수단(151)과 상호 탈착되게 마련된 경우, 장기간 사용되었거나 또는 불량이 발생될 시에 안착패드(151a)를 제 1 힙시트수단(151)으로부터 손쉽게 교체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취급함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제 1 벨트부(130)의 제 2 지퍼레일(137)과 탈착되기 위한 제 4 지퍼레일(152a)을 갖는다.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제 2 벨트부(1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 2 벨트부(150) 및 제 1 힙시트수단(151)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한 접철부(150c)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접철부(150c)를 가로지르며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에 변화를 주도록 개폐되는 한 쌍의 제 2 지퍼(158)를 갖는다.
제 2 벨트부(150)의 탈착부재(150a)는 그 양단이 벨크로식을 통해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크단추식, 지퍼식 및 걸이체결식 등의 다양한 탈착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 2 지퍼(158)는 접철부(150c)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채 이격된 거리를 갖는다.
한 쌍의 제 2 지퍼(158)가 열림 또는 닫힌 경우, 일단이 제 2 벨트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힙시트수단(152)과 연결되는 확장부(157)의 접철을 통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확장부(157)는 한 쌍의 제 2 지퍼(158)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되도록 한 쌍의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아기띠의 구성을 바탕으로 한 사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기띠의 각 구성이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그 도면부호 및 보호커버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지퍼가 닫힌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겸용 아기띠의 제 2 지퍼가 열린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는 한 쌍의 제 2 지퍼(158)가 개폐 동작을 진행함에 따라, 일단이 제 2 벨트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힙시트수단(152)과 연결되는 확장부(157)의 접철을 통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이 조절된다.
예컨대, 도 10a에서와 같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제 2 지퍼(158)가 닫힌 경우, 제 2 힙시트수단(152)은 사용자와 아기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아기가 사용자의 몸통으로 안착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아기의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한다.
반면에, 도 10b에서와 같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제 2 지퍼(158)가 열린 경우, 사용자와 아기가 일방을 주시하는 상태에서 확장부(157)에 의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이 연장된다.
즉, 한 쌍의 제 2 지퍼(158)가 개폐되는 동안 접철가능한 확장부(157)로 인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이 변화됨으로써, 아기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 2 지퍼(158)의 개폐 상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 2 힙시트수단(152) 상에서 아기의 활동이 보다 자유로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 2 힙시트수단(152)이 제 2 벨트부(150) 또는 제 1 힙시트수단(151)을 향해 접철가능함에 따라 제 2 힙시트수단(152)을 제 2 벨트부(150)에 접철시켜 탈찰가능하게 결속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 2 힙시트수단(152)이 제 2 벨트부(150)에 결속된 경우, 사용자는 제 1 힙시트수단(151)의 안착패드(151a) 상에 아기를 안착시켜 돌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아기띠(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아기를 돌보는 방향을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일방을 주시하도록 구현했지만, 아기를 돌봐야 하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 예컨대, 외출, 설거지 및 청소 등에 대응하여 사용자 몸통의 정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착용됨에 따라 제 1 힙시트수단(151) 또는 제 2 힙시트수단(15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아기의 안착된 방향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00)는 상황에 따라 제 1 벨트부(130) 및 제 2 벨트부(150)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벨트부(130)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제 1 벨트부(130)를 착용한 채 아기를 제 2 힙시트수단(152)에 안착시켜 아기띠수단 전용으로 취급할 수 있다.
제 2 벨트부(150)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제 2 벨트부(150)를 착용한 채 아기를 제 1 힙시트수단(151)에 안착시켜 힙시트수단 전용으로 취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벨트부(130) 및 제 2 벨트부(150)가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결속됨으로써, 사용자가 아기띠(100) 전용 또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100)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아기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능으로 아기를 안거나 또는 돌볼 수 있다.
또한, 힙시트부가 제 1 힙시트수단(151) 및 제 2 힙시트수단(152)이 개별적으로 제 2 벨트부(150)에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며, 제 2 힙시트수단(152)이 제 2 벨트부(150) 또는 제 1 힙시트수단(151)을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아기의 하중에 의해 제 1 벨트부(130)와 제 2 벨트부(150)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아기가 낙하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제 2 벨트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힙시트수단(152)과 연결되는 확장부(157)가 제 2 지퍼(158)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됨으로써, 제 2 지퍼(158)의 개폐에 따른 확장부(157)의 접철을 통해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아기의 발육상태에 따라 적합한 제 2 힙시트수단(152)의 폭을 선택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의해 아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조결속수단 13: 수 결속부재
15: 암 결속부재 30: 제 1 쿠션수단
50: 제 2 쿠션수단 70: 보호커버
90: 충진재 100: 힙시트 겸용 아기띠
130: 제 1 벨트부 130a: 수납공간
131: 어깨걸이수단 132: 조절끈
133: 제 1 연결끈 134: 제 1 고정끈
135: 통풍구 136: 제 1 지퍼레일
137: 제 2 지퍼레일 138: 제 3 지퍼
139: 외피부재 150: 제 2 벨트부
150a: 탈착부재 150b: 수용공간
150c: 접철부 151: 제 1 힙시트수단
151a: 안착패드 152: 제 2 힙시트수단
152a: 제 4 지퍼레일 153: 제 2 연결끈
154: 제 2 고정끈 155: 제 3 지퍼레일
156: 제 1 지퍼 157: 확장부
158: 제 2 지퍼 170: 버클부

Claims (9)

  1. 힙시트 겸용 아기띠에 있어서,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조절끈을 포함하는 제 1 벨트부;
    상기 제 1 벨트부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도록 중심부에 힙시트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호 탈착되기 위한 탈착부재를 갖는 제 2 벨트부; 및
    상기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가 개별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기 위한 버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부는 제 1 힙시트수단 및 제 2 힙시트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으로 충진재를 수납하도록 개폐되는 제 1 지퍼를 갖고,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벨트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벨트부 및 제 1 힙시트수단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한 접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에 변화를 주도록 개폐되는 한 쌍의 제 2 지퍼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가 열림 또는 닫힌 경우, 일단이 상기 제 2 벨트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과 연결되는 확장부의 접철을 통해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는,
    상기 힙시트부와 상호 탈착되기 위한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연결끈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길이가 고정되는 제 1 고정끈 및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벨트부의 일측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연결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가 고정되는 제 2 고정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1 지퍼레일과 탈착되기 위한 제 3 지퍼레일을 갖고, 상기 제 2 힙시트수단은 상기 제 2 지퍼레일과 탈착되기 위한 제 4 지퍼레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의 일측은, 그 중심부로부터 끝단을 향해 상기 통풍구, 제 2 지퍼레일 및 제 1 지퍼레일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채 상기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벨트부의 타측은, 상기 통풍구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지퍼레일 및 제 2 지퍼레일과 교차 방향으로 개폐되기 위한 한 쌍의 제 3 지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3 지퍼가 열린 경우, 상기 통풍구의 일측에서 이격되는 외피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 1 벨트부의 타측에는 상기 외피부재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는 상기 접철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채 이격된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한 쌍의 제 2 지퍼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철되도록 한 쌍의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벨트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방으로 접철가능한 제 1 쿠션수단; 및
    상기 제 1 고정끈에 결합되어 상기 버클부의 결속에 의한 가압을 완충하는 제 2 쿠션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8. 제 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1 쿠션수단과 탈착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 탈착되기 위한 보호커버가 구비되되,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 1 쿠션수단 및 한 쌍의 어깨걸이수단과의 결합 시, 상기 제 1 쿠션수단의 접철에 대응하여 양단이 길이 조절되기 위한 탄성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힙시트수단의 일면이 미끄럼 방지되기 위한 안착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20170046731A 2017-04-11 2017-04-11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181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731A KR101812529B1 (ko) 2017-04-11 2017-04-11 힙시트 겸용 아기띠
PCT/KR2017/006505 WO2018190466A1 (ko) 2017-04-11 2017-06-21 힙시트 겸용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731A KR101812529B1 (ko) 2017-04-11 2017-04-11 힙시트 겸용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529B1 true KR101812529B1 (ko) 2018-01-30

Family

ID=6107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731A KR101812529B1 (ko) 2017-04-11 2017-04-11 힙시트 겸용 아기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2529B1 (ko)
WO (1) WO2018190466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58A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플레이포식스 아기수용부가 구비된 의류상의
KR20190122167A (ko) * 2018-04-19 2019-10-29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KR102171800B1 (ko) * 2020-07-06 2020-10-29 정한나 다기능 유아용 안전띠 구조체
KR20200132326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20210016720A (ko) 2019-08-05 2021-02-17 말랑하니 주식회사 아기띠 겸용 숄더백
KR200494646Y1 (ko) * 2020-11-27 2021-11-22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20000786U (ko) * 2020-09-29 2022-04-05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102659270B1 (ko) * 2023-07-14 2024-04-19 차복희 유아용 캐리어
KR102659271B1 (ko) * 2023-07-24 2024-04-19 차복희 유아용 캐리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93Y1 (ko) 2014-02-19 2015-03-24 기원플러스 주식회사 유아용 아기띠
WO2017013008A1 (en) 2015-07-17 2017-01-26 Jöran Lundh Baby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837B1 (ko) * 2014-01-23 2015-08-07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9314113B1 (en) * 2015-01-15 2016-04-19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KR101716580B1 (ko) * 2015-09-11 2017-03-15 김관영 유아용 포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93Y1 (ko) 2014-02-19 2015-03-24 기원플러스 주식회사 유아용 아기띠
WO2017013008A1 (en) 2015-07-17 2017-01-26 Jöran Lundh Baby carrier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658A (ko)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플레이포식스 아기수용부가 구비된 의류상의
KR102294585B1 (ko) 2018-04-19 2021-08-27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KR20190122167A (ko) * 2018-04-19 2019-10-29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EP4241624A3 (en) * 2018-04-19 2023-11-01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KR102430674B1 (ko) 2018-04-19 2022-08-08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KR20210108342A (ko) * 2018-04-19 2021-09-02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1994B1 (ko) 2019-05-17 2021-01-12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1987B1 (ko) * 2019-05-17 2021-01-12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
KR20200132326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
KR20210016720A (ko) 2019-08-05 2021-02-17 말랑하니 주식회사 아기띠 겸용 숄더백
KR102171800B1 (ko) * 2020-07-06 2020-10-29 정한나 다기능 유아용 안전띠 구조체
KR20220000786U (ko) * 2020-09-29 2022-04-05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20001275U (ko) * 2020-09-29 2022-06-03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5742Y1 (ko) 2020-09-29 2022-08-09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6941Y1 (ko) 2020-09-29 2023-06-13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4646Y1 (ko) * 2020-11-27 2021-11-22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102659270B1 (ko) * 2023-07-14 2024-04-19 차복희 유아용 캐리어
KR102659271B1 (ko) * 2023-07-24 2024-04-19 차복희 유아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66A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TWI452983B (zh) 幼兒背負裝置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KR101432450B1 (ko) 아기띠
KR20110018064A (ko)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20130107167A (ko) 유아용 캐리어
US20210030076A1 (en) Inner wrapper for infant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CN111700318A (zh) 一种可携带婴儿的羽绒服
KR200335689Y1 (ko) 아기 포대기
KR20100007076U (ko) 유아용 포대기
KR102029588B1 (ko) 접이식 힙 시트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101955476B1 (ko)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220000089U (ko)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