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42Y1 -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 Google Patents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42Y1
KR200495742Y1 KR2020200003546U KR20200003546U KR200495742Y1 KR 200495742 Y1 KR200495742 Y1 KR 200495742Y1 KR 2020200003546 U KR2020200003546 U KR 2020200003546U KR 20200003546 U KR20200003546 U KR 20200003546U KR 200495742 Y1 KR200495742 Y1 KR 200495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over
coupled
sides
re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86U (ko
Inventor
송은경
Original Assignee
송은경
최한서
최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은경, 최한서, 최한빈 filed Critical 송은경
Priority to KR2020200003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4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86U/ko
Priority to KR2020220001267U priority patent/KR200496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류방지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공이 형성된 감싸개가 부착된 아웃커버 및 상기 아웃커버를 이용하고 미끄럼 방지용 서브쿠션이 결합되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영·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의 외피로 씌워지는 커버 본체(110);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중단에 이격 배치·결합되어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방향의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및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커버 본체에 결합시키는 박음질 선 중 일부에 형성된 통기공(1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아웃커버(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쿠션 몸체(200); 및 상기 쿠션 몸체(200)의 외피로 씌워지는 상기 아웃커버(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Improved backflow prevention cushion}
본 고안은 역류방지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공이 형성된 감싸개가 부착된 아웃커버 및 상기 아웃커버를 이용하고 미끄럼 방지용 서브쿠션이 결합되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들은 식도가 좁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위의 길이가 짧으며, 위에서 식도로 역류되지 않게 하는 괄약근의 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섭취한 음식물이 쉽게 역류하게 된다. 또한, 영·유아들이 빨고자 하는 욕구에 의하여 과다한 음식을 쉽취하거나 몸을 많이 움직였을 때, 그리고 수유시 공기가 함께 흡입되는 것 또한 역류현상의 원인이 된다.
영·유아에게 수유할 때나 수유 후에 베개나 이불과 같은 부드러운 물건을 등 부분에 고여 머리를 높게 함으로써 역류 및 구토를 방지할 수 있으나, 영·유아가 조금만 뒤척거려도 베개나 이불로부터 미끄러지게 된다.
등록특허 제10-0874755호 "수유용 쿠션", 등록실용신안 제20-0439518호 "유아용 수유쿠션", 등록실용신안 제20-0389920호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등록실용신안 제20-0486564호 "역류방지 수유쿠션", 공개특허 제10-2020-0005975 "역류 방지 쿠션", 공개특허 제10-2020-0054047 "역류 방지 쿠션" 등은 영·유아를 본체 위에 눕히고 수유할 수 있도록 개발된 수유 쿠션 또는 역류 방지 쿠션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유 쿠션 또는 역류 방지 쿠션들은 중앙 부위에 오목하게 패인 홈에 엉덩이가 안착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 부분이 엉덩이 보다 높게 되도록 구성된 것인데, 영·유아가 뒤척이면서 미끄러져 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20-0005975 "역류 방지 쿠션"에서는 영·유아의 몸 결박을 위한 묶음 밴드가 제시되어 있으나, 영·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가 아니라 위에서 덮는 형태이므로 영·유아가 뒤척이면서 미끄러져 내리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1. 등록특허 제10-0874755호 "수유용 쿠션" 2. 등록실용신안 제20-0439518호 "유아용 수유쿠션" 3. 등록실용신안 제20-0389920호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4. 등록실용신안 제20-0486564호 "역류방지 수유쿠션" 5. 공개특허 제10-2020-0005975 "역류 방지 쿠션" 6. 공개특허 제10-2020-0054047 "역류 방지 쿠션"
본 고안은 영·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면서도 통기성이 확보된 감싸개가 구비된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아웃커버를 적용하며, 부가적으로 영·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서브쿠션이 결합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영·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의 외피로 씌워지는 커버 본체(110);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중단에 이격 배치·결합되어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방향의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및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커버 본체에 결합시키는 박음질 선 중 일부에 형성된 통기공(1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아웃커버(100)」를 제공한다.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는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에서 벨크로 테잎(121a, 121b)이 접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상변 또는 하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확장면(122)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쿠션 몸체(200); 및 상기 쿠션 몸체(200)의 외피로 씌워지는 상기 아웃커버(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웃커버(100)가 씌워진 쿠션 몸체(200)의 전면(前面) 하부에 배치·결합되는 서브쿠션(3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서브쿠션(300)은 상단 양 측방에 고정끈(31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끈(310)이 상기 아웃커버(100)의 통기공(130)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지나 상기 커버 본체(110)와 결합하여, 상기 서브쿠션(300)이 상기 쿠션 몸체(200)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끈(310)은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 구비된 연결고리(140a) 또는 연결끈(140b)과 엮임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끈(310) 말단에 단추(320)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서 단추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으로부터 아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좌·우측 감싸개가 영·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면서도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할 있다.
2. 좌·우측 감싸개의 상변 또는 하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확장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영·유아의 성장에 따라 감싸개의 폭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3. 부가적으로 영·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서브쿠션을 결합시킴으로써, 영·유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4. 좌·우측 감싸개와 서브쿠션이 함께 영·유아의 위치를 잡아주어 역류 방지 기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아웃커버에 결합되는 좌·우측 감싸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서브쿠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에 서브쿠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영·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의 외피로 씌워지는 커버 본체(110);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중단에 이격 배치·결합되어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방형의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및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커버 본체에 결합시키는 박음질 선 중 일부에 형성된 통기공(1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아웃커버(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쿠션 몸체(200); 및 상기 쿠션 몸체(200)의 외피로 씌워지는 상기 아웃커버(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아웃커버(100)가 쿠션 몸체(200)에 씌워져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이 완비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기준으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아웃커버에 결합되는 좌·우측 감싸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서브쿠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에 서브쿠션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서브쿠션의 결합 구조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이 제공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사용 시 기준으로, 영·유아가 뉘여지는 부분을 '전면(前面)'으로 칭하며, 영·유아의 머리쪽을 상부, 다리쪽을 하부, 양 팔쪽을 각각 측부라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좌', '우'는 도면을 보는 자 기준으로 호칭한다.
상기 커버 본체(100)는 상기 쿠션 몸체(200)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제단 및 봉제되어 상기 쿠션 몸체(200)에 씌우고 지퍼 잠금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쿠션 몸체(200)는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패인 홈에 엉덩이가 안착되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 부분이 엉덩이 보다 높게 되도록 구성된 것 등 역류 방지 기능이 발휘되도록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중단에는 장방형(좌우측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좌·우측 감싸개(120a, 120b)가 이격 배치·결합되어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에서 벨크로 테잎(121a, 121b)이 접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아웃커버에 결합되는 좌·우측 감싸개(120a, 120b)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펼친 상태에서 노출되는 면을 '후면'으로 칭하고,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영·유아 몸통쪽으로 덮을 때 노출되는 면을 '전면'으로 칭할 때, 상기 좌측 감싸개(120a)는 전면에 벨크로 테잎 루프면(121a)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우측 감싸개(120b)는 후면에 벨크로 테잎 후크면(121b)이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양측으로 펼친 상태에서, 영·유아를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사이에 누이고, 상기 좌측 감싸개(120a)를 접어 영·유아 몸체를 덮어 상기 벨크로 테잎 루프면(121a)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우측 감싸개(120b)를 덮어 상기 벨크로 테잎 후프면(121a)이 상기 루프면(121a)과 접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가 영·유아를 감싼 형태로 덮어 주도록 한다([도 6] 참조). 이에 영·유아가 뒤척이면서 역류 방지 쿠션에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커버 본체에 결합시키는 박음질 선 중 일부에 통기공(130)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로 영·유아를 감싼 상태에서도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기공(130)은 후술할 서브쿠션(300) 장착에도 활용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상변 또는 하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확장면(12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면(122)은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의 폭(세로방향 너비)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영·유아의 성장에 대응토록 한 것이다.
즉, 신체 사이즈가 작은 영아 시기에는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의 폭만으로도 충분히 영아의 몸을 덮을 수 있으므로, 상기 확장면(122)을 접어 사용하다가, 유아기로 성장함에 따라 상기 확장면(122)을 펼친 상태로 사용토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쿠션 몸체(200); 및 상기 쿠션 몸체(200)의 외피로 씌워지는 상기 아웃커버(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아웃커버(100)가 씌워진 쿠션 몸체(200)의 전면(前面) 하부에 배치·결합되는 서브쿠션(3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서브쿠션(300)은 상기 아웃커버(100)가 씌워진 쿠션 몸체(200)의 전면(前面) 하부에 장착되어 영·유아의 엉덩이 하부를 받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와 함께 영·유아가 뒤척이면서 역류 방지 쿠션에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브쿠션(300)은 벨크로 테잎, 후크, 단추, 끈 묶음 등의 수단을 택일적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브쿠션(300) 결합을 위한 수단이 아웃커버(100)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때의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일정한 결합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쿠션(300)의 상단 양 측방에 고정끈(310)을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끈(310)이 상기 통기공(130)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지나 상기 커버 본체(11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끈(310)은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 구비된 연결고리 또는 연결끈과 엮임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끈(310) 말단에 단추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서 단추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아웃커버 110 : 커버 본체
120a : 좌측 감싸개 120b : 우측 감싸개
121a : 벨크로 테잎(루프면) 121b : 벨크로 테잎(후크면)
122 : 확장면 130 : 통기공
200 : 쿠션 몸체 210 : 인커버
220 : 쿠션재 300 : 서브쿠션
310 : 고정끈

Claims (8)

  1. 인커버(210) 내부에 쿠션재(220)가 충전되어 소정의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쿠션 몸체(200);
    상기 쿠션 몸체(200)의 외피로 씌워지는 아웃커버(100); 및
    상기 아웃커버(100)가 씌워진 쿠션 몸체(200)의 전면(前面) 하부에 배치·결합되는 서브쿠션(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커버(100)는,
    영·유아용 역류 방지 쿠션의 외피로 씌워지는 커버 본체(110);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중단에 이격 배치·결합되어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방형의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및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를 커버 본체에 결합시키는 박음질 선 일부에 형성된 통기공(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쿠션(300)은 상단 양 측방에 고정끈(31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끈(310)이 상기 아웃커버(100)의 통기공(130)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지나 상기 커버 본체(110)와 결합하여, 상기 서브쿠션(300)이 상기 쿠션 몸체(2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2. 제1항에서,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는 영·유아 몸통을 양측에서 순차적으로 덮으며 감싸 맞댄 상태에서 벨크로 테잎(121a, 121b)이 접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3. 제1항에서,
    상기 좌·우측 감싸개(120a, 120b) 상변 또는 하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확장면(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고정끈(310)은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 구비된 연결고리 또는 연결끈과 엮임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8. 제1항에서,
    상기 고정끈(310)은 말단에 단추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본체(110) 전면(前面) 양 측에서 단추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역류 방지 쿠션(1000).
KR2020200003546U 2020-09-29 2020-09-29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5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46U KR200495742Y1 (ko) 2020-09-29 2020-09-29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0220001267U KR200496941Y1 (ko) 2020-09-29 2022-05-24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546U KR200495742Y1 (ko) 2020-09-29 2020-09-29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67U Division KR200496941Y1 (ko) 2020-09-29 2022-05-24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86U KR20220000786U (ko) 2022-04-05
KR200495742Y1 true KR200495742Y1 (ko) 2022-08-09

Family

ID=811816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546U KR200495742Y1 (ko) 2020-09-29 2020-09-29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0220001267U KR200496941Y1 (ko) 2020-09-29 2022-05-24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67U KR200496941Y1 (ko) 2020-09-29 2022-05-24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574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12Y1 (ko) * 2001-01-10 2001-06-15 김상현 어린이용 침구
US20110277210A1 (en) * 2009-11-02 2011-11-17 Clifford Allen Hardesty Application for care of infant
JP2013153947A (ja) 2012-01-30 2013-08-15 Akacan No Shiro:Kk 乳幼児用クッション
KR200469604Y1 (ko) 2013-05-29 2013-10-22 임상범 유아용 쿠션
US9332791B1 (en) 2009-09-11 2016-05-10 Tarry Medical Products, Inc Multipurpose positioning device for infants
KR200483268Y1 (ko) 2016-09-07 2017-04-20 차복희 무소음 탈착이 가능한 아기띠 벨트
KR101812529B1 (ko)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461U (ko) * 1990-01-19 1991-09-26
KR200389920Y1 (ko) 2005-04-28 2005-07-14 권오용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유아용 수유쿠션
KR100874755B1 (ko) 2007-01-12 2008-12-19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유용 쿠션
KR200439518Y1 (ko) 2007-06-21 2008-04-16 서성원 유아용 수유쿠션
KR101426752B1 (ko) * 2012-11-27 2014-08-14 김관영 유아용 침대
KR200486564Y1 (ko) 2017-12-11 2018-06-05 김소희 역류방지 수유쿠션
KR20200005975A (ko) 2018-07-09 2020-01-17 송은경 역류 방지 쿠션
KR20200054047A (ko) 2018-11-09 2020-05-19 송은경 역류 방지 쿠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12Y1 (ko) * 2001-01-10 2001-06-15 김상현 어린이용 침구
US9332791B1 (en) 2009-09-11 2016-05-10 Tarry Medical Products, Inc Multipurpose positioning device for infants
US20110277210A1 (en) * 2009-11-02 2011-11-17 Clifford Allen Hardesty Application for care of infant
JP2013153947A (ja) 2012-01-30 2013-08-15 Akacan No Shiro:Kk 乳幼児用クッション
KR200469604Y1 (ko) 2013-05-29 2013-10-22 임상범 유아용 쿠션
KR200483268Y1 (ko) 2016-09-07 2017-04-20 차복희 무소음 탈착이 가능한 아기띠 벨트
KR101812529B1 (ko)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94461 UR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redroo/22210032946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41Y1 (ko) 2023-06-13
KR20220000786U (ko) 2022-04-05
KR20220001275U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354B2 (en) Baby sleeping pouch method and apparatus
US7788752B2 (en) Booster accessory for support pillows
US7587773B2 (en) Nursing support pillows and methods
US6421852B1 (en) Portable sleeping bag arrangement
US10918223B2 (en) Convertible infant support apparatus
US6978479B2 (en) Garment for preventing a baby from rolling over
US7430774B2 (en) Peripherals for multi-use pillows and methods
US7584515B2 (en) Snuggle pockets
US4697589A (en) Infant pacifier stabilizing device
US20100257653A1 (en) Infant wrap including body padding
KR101908017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영유아용 이불
US20060179574A1 (en) Adjustable pillow for supporting an infant
WO2019089112A1 (en) Infant sleeping bag, blanket &amp; sheet
US20070157392A1 (en) Baby support wrap system
US20080222809A1 (en) Kick-off Proof All Weather Stroller Blanket
US20220167758A1 (en) Functional outer cover for feeding cushion and functional feeding cushion using same
KR200494646Y1 (ko)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5742Y1 (ko)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KR200495426Y1 (ko) 기능성 수유쿠션
KR20090073411A (ko) 유아용 안전 침구
CA2852016C (en) Device of contrast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children
US6266821B1 (en) Baby blanket
JP2011092325A (ja) 子守帯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