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112Y1 - 어린이용 침구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112Y1
KR200228112Y1 KR2020010000614U KR20010000614U KR200228112Y1 KR 200228112 Y1 KR200228112 Y1 KR 200228112Y1 KR 2020010000614 U KR2020010000614 U KR 2020010000614U KR 20010000614 U KR20010000614 U KR 20010000614U KR 200228112 Y1 KR200228112 Y1 KR 200228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w
bedding
children
opening
fu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01000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112Y1/ko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취침시 이불과 요를 일체화시켜 이불을 걷어차지 못하게 하고 동시에 보온성을 향상시켜 취침시 충분한 보온효과를 갖게 하고 이불 속으로의 출입성을 좋게 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어린이용 침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자리를 까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요와; 상기 요의 크기와 대등한 크기로 하여 요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부로는 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부가 형성되고 이 입구부를 확개할 수 있는 지퍼가 형성되는 이불과; 상기 요의 중앙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베개와; 상기 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리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침구{children bedclothes}
본 고안은 어린이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 또는 어린이가 잠을 자는 동안에 이불을 걷어차지 못하도록 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이불 속을 출입할 때 출입성을 좋게하는 어린이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침구는 자리에 까는 요와, 이 요 위에 덮는 이불로 구성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유아 또는 어린이는 잠을 자는 동안 뒤척이거나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불을 걷어 차버리는 습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침시 보호자는 유아 또는 어린이가 이불을 걷어차지 못하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호자가 주의를 게을리 하는 경우 이불을 걷어 차버려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취침시 이불과 요를 일체화시켜 이불을 걷어차지 못하게 하고 동시에 보온성을 향상시켜 취침시 충분한 보온효과를 갖게 하고 이불 속으로의 출입성을 좋게 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어린이용 침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리를 까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요와;
상기 요의 크기와 대등한 크기로 하여 요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부로는 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부가 형성되고 이 입구부를 확개할 수 있는 지퍼가 형성되는 이불과;
상기 요의 중앙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베개와;
상기 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리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와 이불의 가장자리 하부 중앙으로는 요의 안쪽에서 다리(발)가 드나들 수 있는 다리출입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와 이불의 가장자리 상부와 하부 모서리 및 좌,우측에는 환기를 유도하는 트임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어린이용 침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어린이용 침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구 10a, 10b, 10c : 개구부
20 : 요 22 : 베개
24, 42 : 연결끈 26 : 다리출입개구부
30 : 이불 32 : 입구부
34 : 지퍼 40 : 자리옷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어린이용 침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린이용 침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어린이용 침구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어린이용 침구(10)는, 요(20)와 이불(30) 및 자리 옷(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자리를 까는 요(20)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불 (30)은 요(20)의 크기와 대등한 크기로 하여 요(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상기에서 이불(30)의 크기를 넉넉한 크기로 하여 요(20)의 가장자리와 연결하여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불(30)의 상부에는 일정한 크기로 요(20)와 개구되어 입구부(32)가 형성되고 이 입구부(32)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입구부(32)를 확개할 수 있는 지퍼(34)가 설치된다.
상기 입구부(32)에 형성된 지퍼(34) 대신 벨크로 파스너 또는 단추를 사용하여 확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구부(32)와 마주하는 요(20)의 중앙 상부로는 돌출 연장되어 일체화된 베개(22)가 설치된다.
상기 베개(22)는 요(20)와 단일체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세탁의 편의를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퍼나 벨크로 파스너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요(20)에는 자리 옷(40)이 요(20)에 설치된 연결끈(24)과 자리 옷(40)에 설치된 연결끈(42)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요(20)와 이불(30)의 가장자리 하부 중앙으로는 요(20)의 안쪽으로 다리(발)가 드나들 수 있게 하는 개구된 다리출입개구부(26)를 형성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침구(10)를 출입할 때 요(20)의 안쪽에서 다리(발)를 다리출입개구부(26)를 통해 내밀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다리출입개구부(26)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지퍼나 벨크로 파스너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20)와 이불(30)의 가장자리 상부와 하부 모서리 및 좌,우측에는 환기를 유도하는 트임된 개구부(10a, 10b, 10c)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측 개구부(10a)는 환기를 유도하는 창으로 사용되고 또한 손이 진출입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측 개구부(10b)는 환기창으로 사용되고 좌,우측 개구부(10c)는 인체에 열이 많이 발생할 경우 열을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트임된 개구로 할 수도 있고 지퍼나 단추, 벨크로 파스너를 사용하여 필요할 때 개구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침구(10)의 사용시 침구(10)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 마치 옷을 입듯이 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침구(10)를 깔아 놓은 상태에서 이불(30)에 설치된 지퍼(34)를 열어 입구부(32)를 확개시킨 다음 요(20)에 설치된 자리 옷(40)으로 들어간다. 이때 자리 옷(40)은 연결끈(42)(24)으로 요(20)와 연결됨으로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에 편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자리 옷(40)을 입고 열었던 지퍼(34)를 닫고 취침하면 된다.
이때 침구(10)의 하부에 형성된 다리출입개구부(26)에 의하여 다리를 밖으로 내밀 수 있게 되어 자리 옷(40)을 입을 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린이용 침구는, 요에 이불이 고정되어 있고 요에 자리옷이 설치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가 이불을 걷어 차냄으로서 야기되는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침구에 복수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환기를 유도하게 되어 보다 안락하고 건강한 잠자리를 이루게 되고 보호자 또한 유아나 어린이가 자면서 이불을 차버리지 않게 하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되어 편안한 잠자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리를 까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요와;
    상기 요의 크기와 대등한 크기로 하여 요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상부로는 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부가 형성되고 이 입구부를 확개할 수 있는 지퍼가 형성되는 이불과;
    상기 요의 중앙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베개와;
    상기 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리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와 이불의 가장자리 하부 중앙으로는 요의 안쪽에서 다리(발)가 드나들 수 있는 다리출입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침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와 이불의 가장자리 상부와 하부 모서리 및 좌,우측에는 환기를 유도하는 트임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침구.
KR2020010000614U 2001-01-10 2001-01-10 어린이용 침구 KR200228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14U KR200228112Y1 (ko) 2001-01-10 2001-01-10 어린이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14U KR200228112Y1 (ko) 2001-01-10 2001-01-10 어린이용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112Y1 true KR200228112Y1 (ko) 2001-06-15

Family

ID=7309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614U KR200228112Y1 (ko) 2001-01-10 2001-01-10 어린이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1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86U (ko) * 2020-09-29 2022-04-05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86U (ko) * 2020-09-29 2022-04-05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220001275U (ko) * 2020-09-29 2022-06-03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5742Y1 (ko) * 2020-09-29 2022-08-09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6941Y1 (ko) * 2020-09-29 2023-06-13 송은경 역류방지 쿠션용 아웃커버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054B1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7487560B2 (en) Easily changeable absorbent panel for bed clothing
US6266822B1 (en) Sleepwear and secured blanket-like member
US5084929A (en) Bed sheet sleeping enclosure
US6662390B1 (en) Infant sleeping and receiving blanket
US8393025B2 (en) Bed covering system
US20120324647A1 (en) Bed cover system
US20130198956A1 (en) Fitted blanket with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20100115700A1 (en) Sweet dreams blanket
KR200228112Y1 (ko) 어린이용 침구
KR200271294Y1 (ko) 다기능 쿠션
KR200317879Y1 (ko) 유아용 침구
KR200308925Y1 (ko) 영·유아용 베개
JP2000279301A (ja)
KR200204219Y1 (ko) 어린이용 이불
KR200355033Y1 (ko) 모자이크형 이불의 단위체
KR900001144Y1 (ko) 유아용 이부자리
KR101330676B1 (ko) 유아용 침구
KR200263979Y1 (ko) 침구
KR20000011290U (ko) 유아용 침구
JP3098341U (ja) 乳幼児用毛布
US20030073365A1 (en) Mat Mate
JP3038768U (ja) 掛け布団カバー
KR19980083751A (ko) 유아용 안전침구
KR20080006476U (ko) 의복을 겸하는 기능성 유아용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