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52B1 -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752B1
KR101426752B1 KR1020130003478A KR20130003478A KR101426752B1 KR 101426752 B1 KR101426752 B1 KR 101426752B1 KR 1020130003478 A KR1020130003478 A KR 1020130003478A KR 20130003478 A KR20130003478 A KR 20130003478A KR 101426752 B1 KR101426752 B1 KR 10142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ody
sides
infant
bed
c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204A (ko
Inventor
김관영
Original Assignee
김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영 filed Critical 김관영
Publication of KR2014007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8Cradles ; Bassinet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5/00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쿠션체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의 양측과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의 상부를 타고 넘어가 목이 눌리는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방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체 밀착경사부와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서 상향 경사진 하체 밀착경사부로 구성되는 굴곡 눕힘부가 형성되고, 내부의 쿠션재와 쿠션재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는 중앙 쿠션체와; 상기 중앙 쿠션체의 양측 수직부에 밀착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측부를 막는 하향 경사돌출부와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의 측부를 막는 상향 경사돌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쿠션재와 쿠션재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는 양측의 측 쿠션체와;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와 상기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침대{A Bed for An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쿠션체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의 양측과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의 상부를 타고 넘어가 목이 눌리는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영아(이하,"유아"라 한다.)는 신체 근육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뼈가 채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누워서 보내거나 잠을 자게 되므로, 그러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장소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유아용 침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아용 침대는 목재로 구성된 골조와 골조의 내부에 수평으로 깔리는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조는 매트리스가 깔리는 바닥판을 지지하며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막아 유아가 매트리스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둘레 난간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간이 구비된 유아용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들이 매트리트에 누운 상태에서 움직이게 됨으로써 유아의 머리나 팔 또는 다리가 난간에 부딪혀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매트리스형 유아용 침대가 알려져 있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매트리스형 유아용 침대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양측의 돌출부(101) 사이에 하부로 함몰된 함몰 눕힘부(102)가 형성된 쿠션체(100)와, 상기 양측의 돌출부(101)를 포함하는 쿠션체(100)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외피천(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아 눕힘부(102)는 후방의 상단에서 전후방으로 경사진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천(200)은 상기 쿠션체(100)의 하부와 양측 및 전후방을 감싸는 몸체천(201)과, 몸체천(20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함몰 눕힘부(102)를 감싸는 눕힘부 커버천(202)과, 몸체천(201)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피천(200)을 벗기고 씌울 수 있도록 하는 개폐지퍼를 포함한다.
상기 눕힘부 커버천(202)은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후방의 경사면을 감싸는 중앙 밀착천(203)과, 중앙 밀착천(203)의 양측과 몸체천(201)의 상단에 재봉되게 형성되어 상기 양측의 돌출부(101)를 감싸는 돌출부 커버천(204)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중앙 밀착천(203)의 전방과 중앙에는 재봉을 통해 고정되어 유아의 골반을 잡아주는 유아 고정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아 고정부(300)는 상기 중앙 밀착천(203)의 전방에 재봉되어 유아의 다리 사이에 채워 골반과 배를 감싸는 기저귀천(301)과, 기저귀천(30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 밀착천(203)의 중앙 양측에 재봉으로 고정된 신축밴드(302)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매트리스형 유아용 침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하체를 일측으로 움직여 유아 고정부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외피를 구성하는 중앙 밀착천이 일측으로 당겨지고 중앙 밀착천의 타측이 긴장되어 타측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 커버천의 내측천이 당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중앙 밀착천의 타측과 타측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 커버천의 내측천이 평탄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유아가 상체를 하체와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머리가 상기 타측에 위치된 돌출부 커버천의 내측천을 타고 침대 측부의 외측로 이탈되면서 목이 타측에 위치된 상기 측 돌출부의 상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유아의 질식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유아 고정부가 유동되는 중앙 밀착천에 재봉으로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아의 질식 사고를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함몰 눕힘부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유아의 기저귀를 갈 경우에는, 엄마의 팔이 양측에 돌출된 돌출부와 접촉됨으로써 기저귀를 가는데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유아 고정부가 중앙 밀착천에 재봉으로 고정됨으로써, 유아 고정부가 필요 없는 성장된 유아나 어린이가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 고정부를 깔고 앉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유아 고정부가 기저귀천과 기저귀천을 고정하는 양측의 신축밴드로 구성됨에 따라, 유아가 유아 고정부에서 쉽게 빠져나와 움직임으로써 유아의 안전상에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9-0930289호 "유아침구"(2009.11.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쿠션체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의 양측과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 고정부를 중앙 쿠션체의 양측 수직부에 고정지퍼를 통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함으로써 유아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하체를 좀 더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유아 고정부가 필요 없는 성장된 유아나 어린이가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 고정부를 침대로부터 분리하여 성장된 유아나 어린이가 유아 고정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유아가 수면을 취할 경우에는 팔과 몸통을 감싸주어 좀 더 편안하게 유아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유아의 하체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의 하부에 침대 경사부재를 설치하여 침대의 후방을 높임에 따라, 쇼파로도 사용할 수 있고 유아의 수유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의 하부에 침대 유동부재를 설치하여 침대를 시소와 같이 흔들어 주어 유아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대를 침대 이동대차에 삽입되게 올려놓음으로써, 침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유아를 재울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상부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방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체 밀착경사부와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서 상향 경사진 하체 밀착경사부로 구성되는 굴곡 눕힘부가 형성되고, 내부의 쿠션재와 쿠션재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는 중앙 쿠션체와; 상기 중앙 쿠션체의 양측 수직부에 밀착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측부를 막는 하향 경사돌출부와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의 측부를 막는 상향 경사돌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쿠션재와 쿠션재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는 양측의 측 쿠션체와;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와 상기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의 둘레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의 하부와 상기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의 하부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 하부와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의 하부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의 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의 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후방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중앙 쿠션체는, 상기 전방 경사면에 상단이 재봉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전방 연결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판과, 후방면에 상단이 재봉을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후방 연결부를 커버하는 후방 커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 쿠션체의 수직부의 상부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의 하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유아 고정부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지퍼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천과, 상기 받침천의 하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골반을 잡아주는 골반 고정부와, 상기 받침천의 양측에 유아의 상체를 감싸고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로 부착되는 양측의 몸체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골반 고정부는, 상기 받침천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아의 다리 사이에 채우고 전방의 양측에 돌출부가 구비된 전방 고정띠와, 상기 전방 고정띠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받침천의 양측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아의 허리를 고정하는 양측 두 개의 고정벨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유아 고정부(4)는, 상기 받침천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벨트부를 채우기 전에 배를 감싸며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로 부착되어 연결되는 양측 두 개의 배 커버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상기 중앙 쿠션체는,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전방 경사면과,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와 전방 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 쿠션체는,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의 전방에서 상기 전방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측 전방 경사면과,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와 측 전방 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하부가 바닥에 밀착되게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전방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경사져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침대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후방 단부에서 중앙이 하부로 돌출되게 만곡된 곡선면이 형성되는 침대 유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침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전후방의 양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구비된 침대 이동대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중앙 쿠션체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의 양측과 측 쿠션체의 내측 수직부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가 사전에 예방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고정부를 중앙 쿠션체의 양측 수직부에 고정 지퍼부를 통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함으로써 유아의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하체가 좀 더 안전하게 고정되고, 유아 고정부가 필요 없는 성장된 유아나 어린이가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 고정부를 침대로부터 분리하여 성장된 유아나 어린이가 유아 고정부에 간섭을 받지 않고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면을 취할 경우에는 팔과 몸통을 감싸주어 좀 더 편안하게 유아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감싸 고정함으로써, 유아의 하체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의 하부에 침대 경사부재를 설치하여 침대의 후방을 높임에 따라, 쇼파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유아의 수유에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의 하부에 침대 유동부재를 설치하여 침대를 시소와 같이 흔들어 주어 유아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를 침대 이동대차에 삽입되게 올려놓음으로써, 침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유아를 재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유아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B-B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전방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후방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24는 도 22의 C-C선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종래의 유아용 침대의 내장되는 쿠션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종래의 유아용 침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 개략도.
도 28은 도 27의 D-D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유아 고정부를 펼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는, 상부에는 굴곡 눕힘부(14)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양측 수직부(13)가 형성되는 중앙 쿠션체(1)와,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굴곡 눕힘부(14)의 양측의 상부를 막는 양측의 측 쿠션체(2)와,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연결부(3)와, 상기 굴곡 눕힘부(1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아 고정부(4)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쿠션체(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유아를 받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중앙 쿠션체(1)는 내부의 쿠션재(11)와 쿠션재(11)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12)로 구성되며, 상부는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상부에는 유아를 눕힐 수 있도록 굴곡 눕힘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재(11)는 신축성을 가지는 발포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출을 통해 성형 제조하거나 절단을 통해 성형 제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쿠션재(11)는 신축성을 가짐에 따라 유아의 수면시 편안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피(12)는 상기 쿠션재(11)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으로 천이나 가죽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12)는 유아들이 손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들뜨지 않도록 쿠션재(11)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12)에는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11)에서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개방지퍼(Z)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지퍼(Z)는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만질 수 없도록 중앙 쿠션체(1)의 하부와 후방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곡 눕힘부(14)는 후방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에서 상향 경사진 하체 밀착경사부(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사이에는 유아의 힙이 밀착되게 원호면(14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 쿠션체(1)는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전방 경사면(15)과,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와 전방 경사면(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16)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 쿠션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굴곡 눕힘부(14)의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측부를 상부로 돌출되게 막아 유아가 굴곡 눕힘부(14)에서 측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측 쿠션체(2)는 내부의 쿠션재(21)와 쿠션재(21)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22)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측부를 막는 하향 경사돌출부(24)와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측부를 막는 상향 경사돌출부(25)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부(13)에 밀착되는 내측 수직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재(21)는 신축성을 가지는 발포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을 통해 성형 제조하거나 절단을 통해 성형 제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쿠션재(21)는 신축성을 가짐에 따라 유아의 머리나 팔 또는 다리가 측 쿠션체(2)의 측면에 부딪히더라도 유아의 부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피(22)는 상기 쿠션재(21)를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것으로 천이나 가죽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22)는 유아들이 손으로 잡아당기더라도 들뜨지 않도록 쿠션재(21)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22)에는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21)에서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개방지퍼(Z)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지퍼(Z)는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만질 수 없도록 측 쿠션체(2)의 하부와 후방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향 경사돌출부(24)와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25)의 사이에는 연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원호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향 경사돌출부(24)와 상향 경사돌출부(25)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높이보다 높이가 높음으로써,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양측을 수직으로 막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 쿠션체(2)는,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25)의 전방에서 상기 전방 경사면(1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측 전방 경사면(26)과,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25)와 측 전방 경사면(26)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27)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둘레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퍼(31)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둘레 단부에 구비되는 지퍼이부(311)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에 상기 지퍼이부(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지퍼이부(311)와, 상기 수직부(13)의 지퍼이부(311)와 상기 내측 수직부(23)의 지퍼이부(311)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더(3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에 구비되는 지퍼이부(311)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둘레 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12)는 수직부(13)에 구비된 지퍼이부(311) 또는 상기 내측 수직부(23)에 구비된 지퍼이부(311)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슬라이더(312)의 이동시켜 하나의 상기 지퍼이부(31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두 개의 상기 지퍼이부(311)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둘레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상기 연결지퍼(3)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를 밀착되게 수직으로 세워 침대를 완성한다.
그리고 양측에 구비된 상기 연결지퍼(3)의 연결을 통해 침대를 완성하게 되면, 상기 중앙 쿠션체(1)와 측 쿠션체(2)가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을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아 고정부(4)는 도 1과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상기 굴곡 눕힘부(14)에 고정하여 유아가 움직임으로 인해 침대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유아 고정부(4)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에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지퍼(42)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천(41)과, 상기 받침천(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골반을 잡아주는 골반 고정부(43)를 포함한다.
상기 골반 고정부(43)는 상기 받침천(41)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아의 다리 사이에 채우고 전방의 양측에 돌출부(432)가 구비된 전방 고정띠(431)와, 상기 전방 고정띠(43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부(432)의 외면과 상기 받침천(41)의 양측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아의 허리를 고정하는 양측 두 개의 고정벨트부(433)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고정벨트부(433)는 상기 돌출부(432)의 외면과 상기 받침천(41)의 측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연결띠와, 하나의 연결띠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하는데, 상기 각 연결띠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고정띠(431)와 양측 두 개의 상기 고정벨트부(433)를 통해, 두 개의 고정벨트부(433)가 신축되지 않게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유아의 하체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아 고정부(4)는 상기 받침천(41)의 양측에 유아의 상체를 감싸고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부착되는 양측의 몸체 고정띠(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T)는 하나의 상기 몸체 고정띠(45)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수형 벨크로테이프와, 다른 하나의 상기 몸체 고정띠(45)의 단부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암형 벨크로테이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아가 수면을 취할 경우에 상기 몸체 고정띠(44)를 통해 팔과 함께 몸통을 감싸주어 좀 더 편안하게 유아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아가 수면을 취할 때 팔과 몸통을 감싸 고정함으로써, 유아가 수면 중 놀래어 손을 들어 쇼크를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배를 감싸 배알이도 방지하여 좀 더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유아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유아 고정부(4)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일 실시예의 유아 고정부(4)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아 고정부(4)의 다른 실시예는 받침천(4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벨트부(433)를 연결하여 채우기 전에 배를 감싸며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부착되어 연결되는 양측 두 개의 배 커버띠(4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T)는 하나의 상기 배 커버띠(434)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수형 벨크로테이프와, 다른 하나의 상기 배 커버띠(434)의 단부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암형 벨크로테이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아가 수면을 취할 경우에 상기 두 개의 배 커버띠(434)를 통해 배를 감싸므로, 유아의 수면 중 배알이를 좀 더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중앙 쿠션체(1)의 양측의 수직부(13)와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에 각각 구비된 연결지퍼(31)를 슬라이더(312)의 이동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으로 유지되는 침대를 완성한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골반 고정부(43)를 통해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고정한 다음, 유아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에 눕힌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양측의 몸체 고정띠(44)를 상호 연결 고정하면서 유아의 팔과 몸통을 함께 감싸는 과정을 통해 유아를 재우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2)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유아의 기저귀를 갈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연결지퍼를 하부의 연결 상태만 남기고 전방과 상부 및 후방을 개방한다.
다음 양측의 측 쿠션체(2)를 내측 수직부(23)의 하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려 측 쿠션체(2)의 외측면을 바닥에 밀착시키고 중앙 쿠션체(1)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기저귀를 가는 사람이 양측의 측 쿠션체(2)에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기저귀를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는, 하부가 바닥에 밀착되게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전방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경사져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T)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경사면(51)이 형성된 침대 경사부재(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T)는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구비된 암형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침대 경사부재(5)의 경사면(51)에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수형 벨크로테이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벨크로테이프(T)는 상기 유아용 침대가 상기 침대 경사부재(5)의 경사면(5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아용 침대의 하부에 침대 경사부재(5)를 더 설치하여 유아용 침대의 후방을 높임으로써, 유아용 침대를 쇼파로도 사용할 수 있고, 유아의 수유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T)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후방 단부에서 중앙이 하부로 돌출되게 만곡된 곡선면(61)이 형성되는 침대 유동부재(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T)는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구비된 암형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침대 유동부재(6)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수형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벨크로테이프(T)는 상기 유아용 침대가 상기 침대 유동부재(6)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아용 침대의 하부에 침대 유동부재(6)를 더 설치함으로써, 침대를 시소와 같이 흔들어 주어 유아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침대 삽입부(71)가 형성되고, 전후방의 양측에는 다수의 바퀴(72)가 구비된 침대 이동대차(7)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침대 삽입부(71)는 사방의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어 침대의 둘레 하부를 돌출되게 막는 돌출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아용 침대를 상기 침대 이동대차(7)에 삽입되게 올려놓음으로써, 침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유아를 재울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전방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후방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는, 연결부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하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 하부와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2)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33)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후방 연결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전방 경사면(15)에는 상단이 재봉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전방 연결부(4)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판(17)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전방 커버판(17)은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4)를 덮어 커버함으로써, 유아의 손이나 발이 전방 연결부(4)에 삽입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 쿠션체(1)의 후방면에는 상단이 재봉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후방 연결부(5)를 커버하는 후방 커버판(18)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후방 커버판(18)은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부(5)를 덮어 커버함으로써, 유아의 손이나 발이 후방 연결부(5)에 삽입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퍼(32)는 도 15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하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 하부와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지퍼(32)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 하부의 외피(12)에 재봉된 지퍼이부(321)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수직부(23) 하부의 외피(22)에 재봉된 지퍼이부(321)와, 상기 수직부(13)의 하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에 구비된 지퍼이부(321)를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지퍼(32)를 연결함으로써 중앙 쿠션체(1)의 양측의 하부에 측 쿠션체(2)의 하부를 고정한 다음,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방 연결부(33)와 후방 연결부(34)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침대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쿠션체(2)의 연결을 통해 침대를 완성하게 되면, 상기 중앙 쿠션체(1)와 측 쿠션체(2)가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을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연결부(33)는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을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여 양측의 측 쿠션체(2)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전방 연결부(33)는,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의 내측에 구비되는 2개의 연결띠(331)와, 하나의 연결띠(33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33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33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 연결부(34)는 도 15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후방을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여 양측의 측 쿠션체(2)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후방 연결부(34)는,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후방의 내측에 구비되는 2개의 연결띠(341)와, 하나의 연결띠(34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34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34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의 하부와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지퍼(32)를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중앙 쿠션체(1)의 양측의 하부에 측 쿠션체(2)의 하부를 고정한다.
다음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를 수직으로 세워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를 밀착시킨다.
다음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측 쿠션체(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는 상기 전방 연결부(33)와 후방 연결부(34)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으로 유지되는 침대를 완성한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골반 고정부(43)를 통해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고정한 다음, 유아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에 눕힌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양측의 몸체 고정띠(44)를 상호 연결 고정하면서 유아의 팔과 몸통을 함께 감싸는 과정을 통해 유아를 재우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2)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아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유아의 기저귀를 갈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과 후방을 상호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33)와 후방 연결부(34)를 분리한다.
다음 양측의 측 쿠션체(2)를 내측 수직부(23)의 하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려 측 쿠션체(2)의 외측면을 바닥에 밀착시키고 중앙 쿠션체(1)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기저귀를 가는 사람이 양측의 측 쿠션체(2)에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기저귀를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는, 연결부를 제외한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구성하는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5)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하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부(3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지퍼(35)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지퍼(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에 형성된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의 외피(12)에 재봉된 지퍼이부(351)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수직부(23)의 외피(22)에 재봉된 지퍼이부(351)와, 상기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23)에 구비된 지퍼이부(351)를 상호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지퍼(35)를 연결함으로써 중앙 쿠션체(1)의 양측의 상부에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고정한 다음, 상기 하부 연결부(36)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침대를 완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부(36)는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하부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여 양측의 측 쿠션체(2)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 연결부(36)는,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2개의 연결띠(361)와, 하나의 연결띠(36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36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36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쿠션체(2)의 연결을 통해 침대를 완성하게 되면, 상기 중앙 쿠션체(1)와 측 쿠션체(2)가 별도로 구성됨으로써,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을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유아용 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의 상부 단부와 양측의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지퍼(35)를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측 쿠션체(2)를 밀착 고정한다.
다음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측 쿠션체(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하부 연결부(36)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가 직각으로 유지되는 침대를 완성한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골반 고정부(43)를 통해 유아의 골반과 허리를 고정한 다음, 유아를 상기 중앙 쿠션체(1)의 굴곡 눕힘부(14)에 눕힌다.
다음 상기 유아 고정부(4)의 양측의 몸체 고정띠(44)를 상호 연결 고정하면서 유아의 팔과 몸통을 함께 감싸는 과정을 통해 유아를 재우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측 쿠션체(2)를 밀착되게 고정하여 굴곡 눕힘부(14)의 양측과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직각되게 유지함으로써, 유아의 머리가 측 쿠션체(2)의 상부로 타고 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아의 목이 측 쿠션체(2)에 상부에 걸려 발생되는 질식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중앙 쿠션체
11 : 쿠션재
12 : 외피
13 : 수직부
14 : 굴곡 눕힘부
141 : 상체 밀착경사부 142 : 하체 밀착경사부
143 : 원호면
15 : 전방 경사면
16 : 원호형 굴곡면
17 : 전방 커버천
18 : 후방 커버천
2 : 측 쿠션체
21 : 쿠션재
22 : 외피
23 : 내측 수직부
24 : 하향 경사돌출부
25 : 상향 경사돌출부
26 : 측 전방 경사면
27 : 원호형 굴곡면
3 : 연결부
31 : 연결지퍼
311 : 지퍼이부 312 : 슬라이더
32 : 연결지퍼
321 : 지퍼이부
33 : 전방 연결부
331 : 연결띠
34 : 후방 연결부
341 : 연결띠
35 : 연결지퍼
351 : 지퍼이부
36 : 하부 연결부
361 : 연결띠
4 : 유아 고정부
41 : 받침천
42 : 고정지퍼
43 : 골반 고정부
431 : 전방 고정띠 432 : 돌출부
433 : 고정벨트부 434 : 배 커버띠
44 : 몸체 고정띠
5 : 침대 경사부재
51 : 경사면
6 : 침대 유동부재
61 : 곡선면
7 : 침대 이동대차
71 : 침대 삽입부
72 : 바퀴
B1 : 암형 버클
B2 : 수형 버클
T : 벨크로테이프
Z : 개방지퍼

Claims (12)

  1. 상부의 후방이 전방보다 높게 형성되고, 양측에는 수직부(13)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후방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체 밀착경사부(141)와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에서 상향 경사진 하체 밀착경사부(142)로 구성되는 굴곡 눕힘부(14)가 형성되고, 내부의 쿠션재(11)와 쿠션재(11)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12)로 구성되는 중앙 쿠션체(1)와;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양측 수직부(13)에 밀착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측부를 막는 하향 경사돌출부(24)와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측부를 막는 상향 경사돌출부(25)가 형성되며, 내부의 쿠션재(21)와 쿠션재(21)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22)로 구성되는 양측의 측 쿠션체(2)와;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분리 가능하게 밀착 연결하는 연결부(3)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아 고정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둘레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의 하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13) 하부와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의 하부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2)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전방 연결부(33)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후방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후방 연결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체(1)는,
    상기 전방 경사면(15)에 상단이 재봉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전방 연결부(33)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판(17)과,
    후방면에 상단이 재봉을 연결되고 하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후방 연결부(34)를 커버하는 후방 커버판(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는,
    상기 중앙 쿠션체(1)의 수직부의 상부 단부와 상기 측 쿠션체(2)의 내측 수직부(23)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지퍼(35)와,
    상기 양측의 측 쿠션체(2)의 하부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고정부(4)는,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에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상체 밀착경사부(141)의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지퍼(42)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천(41)과,
    상기 받침천(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골반을 잡아주는 골반 고정부(43)와,
    상기 받침천(41)의 양측에 유아의 상체를 감싸고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부착되는 양측의 몸체 고정띠(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고정부(43)는,
    상기 받침천(41)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아의 다리 사이에 채우고 전방의 양측에 돌출부(432)가 구비된 전방 고정띠(431)와,
    상기 전방 고정띠(431)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부(432)의 외면과 상기 받침천(41)의 양측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아의 허리를 고정하는 양측 두 개의 고정벨트부(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고정부(4)는,
    상기 받침천(4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벨트부(433)를 채우기 전에 배를 감싸며 각각의 돌출 단부가 벨크로테이프(T)로 부착되어 연결되는 양측 두 개의 배 커버띠(4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쿠션체(1)는,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전방 경사면(15)과, 상기 하체 밀착경사부(142)와 전방 경사면(15)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 쿠션체(2)는,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25)의 전방에서 상기 전방 경사면(1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측 전방 경사면(26)과, 상기 상향 경사돌출부(25)와 측 전방 경사면(26)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형 굴곡면(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침대는,
    하부가 바닥에 밀착되게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전방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상향지게 경사져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T)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경사면(51)이 형성되는 침대 경사부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침대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면에 벨크로테이프(T)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후방 단부에서 중앙이 하부로 돌출되게 만곡된 곡선면(61)이 형성되는 침대 유동부재(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침대는,
    상부에 상기 유아용 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침대 삽입부(71)가 형성되고, 전후방의 양측에는 다수의 바퀴(72)가 구비된 침대 이동대차(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KR1020130003478A 2012-11-27 2013-01-11 유아용 침대 KR10142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5266 2012-11-27
KR1020120135266 2012-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204A KR20140071204A (ko) 2014-06-11
KR101426752B1 true KR101426752B1 (ko) 2014-08-14

Family

ID=5112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478A KR101426752B1 (ko) 2012-11-27 2013-01-11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256B1 (ko) * 2015-06-18 2017-07-28 박흥식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시트
KR20230012734A (ko) 2021-07-16 2023-01-26 이의환 유아용 머리 및 다리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0055C1 (ru) * 2014-12-26 2018-10-17 Дзуне.Ф Ко., Лтд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врик для содействия глубокому сну ребенка
KR102072823B1 (ko) * 2018-10-15 2020-02-03 신라래 신생아 혹은 유아용 매트
KR102278113B1 (ko) * 2018-12-21 2021-07-14 허항 유아용 쿠션
FR3103366B1 (fr) * 2019-11-25 2022-12-09 Delphine Freitas Matelas à langer modulable
KR102347004B1 (ko) * 2020-06-01 2022-01-04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GB2597981A (en) * 2020-08-13 2022-02-16 You Matter Design Ltd A device for a baby or infant
KR200495742Y1 (ko) * 2020-09-29 2022-08-09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KR200495426Y1 (ko) * 2020-11-27 2022-05-18 송은경 기능성 수유쿠션
KR200494646Y1 (ko) * 2020-11-27 2021-11-22 송은경 개량형 역류방지 쿠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221A (en) 1981-06-15 1984-04-10 Klemens Enste Child support wedge
US5448790A (en) 1993-04-28 1995-09-12 Saro; Jack H. B. Selectively arrangeable cushion assembly
JP2001137081A (ja) 1999-11-16 2001-05-22 Minoru Kasei Kk 自動車用ベビーベッド
JP3094461U (ja) * 2002-12-03 2003-06-20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乳幼児用クッション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221A (en) 1981-06-15 1984-04-10 Klemens Enste Child support wedge
US5448790A (en) 1993-04-28 1995-09-12 Saro; Jack H. B. Selectively arrangeable cushion assembly
JP2001137081A (ja) 1999-11-16 2001-05-22 Minoru Kasei Kk 自動車用ベビーベッド
JP3094461U (ja) * 2002-12-03 2003-06-20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乳幼児用クッション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256B1 (ko) * 2015-06-18 2017-07-28 박흥식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시트
KR20230012734A (ko) 2021-07-16 2023-01-26 이의환 유아용 머리 및 다리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204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752B1 (ko) 유아용 침대
US5450640A (en) Infant sleep support
US7178877B2 (en) Diaper changing restraint system
US6564403B1 (en) Baby bumper pad
US5410765A (en) Crib bumper pad
US5347669A (en) Infant sleeping position restraint
US5499418A (en) Body support for a baby
US5331699A (en) Infant sleep support
US10016066B2 (en) Infant stabilizing and immobilization apparatus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7761933B2 (en) Baby h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1867410B (zh) 婴儿睡眠服
US11369213B2 (en) Multi-function infant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004278B2 (en) Baby handling device
US20080029103A1 (en) Infant Support and Mattress and Harness Therefor
US9980580B2 (en) Baby handling device
CN112153922A (zh) 一种用于母亲和婴儿的舒适装置
US6755198B2 (en) Diapering restraint system
US7862115B1 (en) Protective device for developing infants
US20100288803A1 (en) Infant sleep sling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US5425381A (en) Pediatric restraint and cushion
US8701231B2 (en) Secure fall-prevention mat
US4214328A (en) Suspended protective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