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326A - 힙시트 - Google Patents

힙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326A
KR20200132326A KR1020190057677A KR20190057677A KR20200132326A KR 20200132326 A KR20200132326 A KR 20200132326A KR 1020190057677 A KR1020190057677 A KR 1020190057677A KR 20190057677 A KR20190057677 A KR 20190057677A KR 20200132326 A KR20200132326 A KR 2020013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ip
sheet
ventilat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987B1 (ko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8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7Baby-carriers with rigi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가 유아를 업거나 안거나 앉히기 위한 유아용 힙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아와 보호자 모두에게 청결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전달할 목적으로, 외부 환경에 따라 힙시트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온도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유아와 보호자 간의 밀착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이너시트를 포함한다.
송풍기 또는 열풍기 등의 온도조절수단은 유아용 힙시트 내부 하단에 형성된 통풍지지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통풍지지부는 상단 및 일측 외표면에 다수의 벌집모양패턴을 가지고 있어, 송풍기 또는 열풍기로부터 발생한 바람을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너시트는 통풍 메쉬 패턴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달된 바람 및/또는 온도조절수단을 통해 발생한 바람이 힙시트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해요소로부터 민감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 시트를 항균/항바이러스 처리하도록 하며, 유아와 보호자 간의 밀착면에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이너시트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세척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힙시트 {Hip Seat}
본 발명은 영유아(Infants and Toddlers)를 업거나 안거나 앉힐 수 있고, 안은 상태로 이송(Carry)할 수 있는 힙시트(Hip Sea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힙시트 내부에 여러 방향으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벌집모양패턴멍을 포함하는 통풍지지부 및 내부 및/또는 외부에 통풍 메쉬 패턴이 형성된 이너 시트를 구성요소로 하여, 힙시트 내부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힙시트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용(이하 “유아용”) 힙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걸음마를 시작하여 혼자서 자유롭게 활동하기 전까지는, 보호자는 유아를 데리고 야외활동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아기띠”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가방처럼 양 어깨에 멜 수 있는 어깨띠와 유아의 엉덩이에서부터 등판 또는 머리까지 감싸는 허리벨트로 이루어진다. 보호자는 아기띠의 어깨띠를 양어깨에 메고, 허리벨트에 유아를 앉히는 방식으로 유아를 아기띠에 수용하게 되며, 이때 유아의 배는 보호자의 등 또는 배와 밀착하게 되고, 양다리와 양팔은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아기띠는 어깨끈과 허리벨트를 조절하여 유아와 보호자의 체형에 맞춰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호자의 등에 매거나 앞쪽에 앉히는 방식으로 유아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아기띠는 벌집모양패턴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특히 더운 여름철의 경우, 밀착된 유아의 배와 보호자의 등 사이에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아기띠의 장기간 사용이 불편하게 느껴진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679218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41552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특히 힙시트 내부에 이너 시트와 통풍지지부 구조체에 기술적 차별성을 두어 힙시트 내부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적정 온도 조절을 위해 힙시트 내부의 구조뿐만 아니라 소재에도 차별화를 두어 온도 조절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힙시트 내부 소재에 항균처리를 부가하여 유해요소에 민감한 유아를 보다 청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유아를 수용하고 이송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힙시트에 있어서,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어 수용된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단부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보호자의 설정된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쌍의 허리밴드; 상기 본체부 외측 상단에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등을 감싸며, 유아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등받침부; 및 일단부가 상기 등받침부 상단 양 끝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설정된 위치에 체결되어, 보호자의 양 어깨를 감싸도록 하는 어깨띠;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별도의 통풍지지부;를 내부의 설정된 공간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는 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통풍지지부는, 설정된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 모양의 패턴으로 반복하여 골격 프레임을 형성되도록 하여(추가적으로 탄성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되어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힙시트 전체의 무게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힙시트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접촉면을 이격 시키며,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배부분을 감싸면서 유아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둥근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이너시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너시트를 연결하기 위한 이너연결구; 및, 유아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통풍지지부 상단면에 일정한 두께감을 가지는 쿠션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너시트는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일단부 양측에 설정된 이너연결구가 상기 본체부 양측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단부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신체 접촉면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너시트의 외피를 메쉬 패턴으로 형성하여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의 제공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통풍지지부는,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엉덩이가 닿아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골격 프레임으로, 상단면 및 본체부에 닿는 일측면을 반복적인 벌집 모양의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벌집 모양의 패턴은 상기 본체부를 통해 일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면에서 바라볼 때,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의 제공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풍지지부는, 상단에 덮개부;를 포함하여, 내부공간은 간단한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는, 일측의 설정된 위치에 냉각, 발열, 공기순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내부에 바람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송풍기 및/또는 열풍기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지지부의 수납부 내부 하단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본체부 일측에 설정될 수 있는 스위치를 통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외부 환경에 따라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의 제공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
상기 힙시트는, 일단부가 상기 등받침부 및/또는 상기 어깨띠와 탈부착 가능하여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가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림부는, 하단부 일측의 설정된 위치에 가림연결구;를 더 포함하여, 보호자가 상황에 따라 상기 가림부를 상기 힙시트와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의 제공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용 통풍지지부는,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납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또는 별도로 수납부 및/또는 덮개부의 적어도 일면에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설정된 형태로 형성 및/또는 결합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의 이송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풍지지부의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 각각이 물결무늬 배열패턴, 반복적인 벌집구조 배열패턴, 불규칙 배열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열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도보강부가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 사이에 설정된 형태로 배치되거나,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는, 상기 수납부 및/또는 상기 덮개부의 적어도 일면에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설정된 형태로 형성 및/또는 결합되는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 각각이 물결무늬 배열패턴, 반복적인 벌집구조 배열패턴, 불규칙 배열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열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도보강부가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 사이에 설정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강도보강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지지대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도보강부는, 복수의 상기 리브지지대가 서로 직교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외측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하단이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 하단에 맞닿도록 상기 강도보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는, 상기 완충부에 삽입 및/또는 결합하여 상기 완충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배치되어 냉각, 발열, 공기순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통풍지지부는, 유아를 지지하는 상기 덮개부가 지면과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는, 일측 상단과 상기 일측 상단에 마주하는 타측 상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일측 상단과 상기 타측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상부면이 지면과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지지대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힙시트 제품을 구성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힙시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메쉬 패턴으로 형성된 이너 시트를 통해 힙시트 내부에 바람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항균 처리된 소재를 활용하여, 더운 여름철의 경우 통풍이 잘 이루어지며 유해요소에 민감한 유아를 청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지지부 수납부 내부에도 송풍기 또는 열풍기를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여름철 및 겨울철의 외부 환경 온도 변화에 따라 힙시트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의 이너시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의 통풍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집모양패턴을 통한 힙시트 내부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풍기를 예로 들어 온도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와 유아의 힙시트 착용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용 통풍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유아를 수용하고 유아를 이송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힙시트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힙시트(10)는 크게 본체부(110), 본체부 양 끝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허리밴드(120), 본체부 상단에 연결되는 등받침부(130) 및 등받침부(130) 상단 양 끝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어깨띠(140)와 상기 힙시트(10) 내부의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이너시트(150) 및 통풍지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부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엉덩이 아래에 위치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받쳐주고 지지할 수 있으며, 단부 측면에는 허리밴드(120)와 상단에는 등받침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 소재는 통풍 메쉬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힙시트(10)의 내부로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메쉬 패턴은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는 원단의 패턴으로, 통기성과 건조력이 우수하여 힙시트(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아 및 보호자에게 시원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메쉬 패턴은 상기 힙시트(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보다 자유로운 환기를 허용하며, 바람 통로가 형성되어 통풍효과와 우수한 건조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허리밴드(120)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허리밴드(120)가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오른 단부 측면에 연결되면, 다른 하나의 허리밴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왼쪽 단부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단부 측면에 각각 연결된 상기 한쌍의 허리밴드(120)는 서로 버클 형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허리밴드(120)는 버클 이외에도 단추 및 벨크로 테이프를 활용해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한쌍의 허리밴드(120)는 보호자의 설정된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게 된다. 상기 허리밴드(120)는 보호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버클, 단추 및 벨크로 테이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허리밴드(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단부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110)의 설정된 단부 측면은 오른 측면과 왼쪽 측면을 일컬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허리밴드(120)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110)의 오른 측면에 연결되면, 타단부는 보호자의 허리가 수용될 수 있는 일정 둘레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본체부(110)의 왼쪽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허리밴드(120)는 상기 힙시트(10)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리밴드(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허리밴드(120)의 설정된 부위에 “단추”, “버클” 및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허리밴드(120)의 설정된 부위는 상기 허리밴드(120)의 중심부가 될 수 있으며, 어느 위치로 지정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본다.
상기 등받침부(130)는, 하단면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단면이 상기 어깨띠(140)에 연결되며, 유아의 등부터 머리까지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등받침부(130)는 상기 힙시트(10)의 내부로 수용된 유아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정 강도가 있으면서도, 탄성력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유아가 상기 힙시트(10)에 안전하게 고정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등을 지지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등받침부(130)는 유아를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 강도를 지닌 소재로 설정하여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유아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기 위해 탄성력을 겸비한 소재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힙시트(10)의 내부 소재는 상기 본체부(110)의 통풍 메쉬 패턴과 같이 통풍효과가 있는 소재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처리를 더하여, 통풍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항균효과를 더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보다 청결하게 수용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시원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외피, 등받침부(130)의 외피 및 상기 어깨띠(140)의 외피를 위에서 언급한 항균, 항곰팡이제 및 은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통풍효과가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깨띠(140)는 일측면이 상기 등받침부(130) 상단면에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등받침부(130) 몸통에 연결되어 보호자의 양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깨띠(140)의 길이는 상기 허리밴드(120)와 같이 상기 힙시트(10)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체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깨띠(14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리와 같은 끈연결구(미도시)를 어깨띠(140)에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끈연결구는 상기 등받침부(130) 몸통에 연결된 상기 어깨띠(140)의 타측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보호자는 상기 어깨띠(140)의 끈연결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보호자의 체격에 맞게 상기 어깨띠(140)의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통풍지지부(16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고, 힙시트(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엉덩이 아래에 위치하여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로, 외표면에 다수의 벌집모양패턴(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풍지지부(160)는 힙시트(10) 외부에서 수용된 공기가 힙시트(10)의 내부로 전달하여 바람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의 통기성 및 우수한 건조력을 실현 가능하게 한다. 통풍지지부(16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3을 통해 하도록 한다. 먼저, 도2를 통해 이너시트(150)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의 이너시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시트(150)는 힙시트(10)의 내부로 수용된 유아의 배를 감싸는 형태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유선형의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시트(150)의 일단부는 이너연결구(151)를 통해 본체부(110)의 일부 설정된 면과 탈부착 가능하며, 타단부는 유아와 보호자의 접촉면을 이격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너시트(150)와 상기 통풍지지부(160) 사이에는 일정 두께감을 가지며 외피는 통상 천이나 가죽, 합성수지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층(170)은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상단면에 설정되어 상기 힙시트(10) 내부에 수용된 유아가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너시트(150)의 이너연결구(151)는,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시트(150)의 일단부 양측에 설정된 상기 이너연결구(151)가 각각 상기 본체부(110) 양측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110)와 이너시트(150)가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인 상기 이너연결구(151)는 “단추”, “벨트” 및 “벨크로 테이프”로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너시트(150)의 일단부 양측에 설정된 상기 이너연결구(151)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상기 이너시트(150)와 맞닿는 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너시트(150)는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이너연결구(151)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너시트(150)의 일단부를 벨크로 테이프로 처리하거나, 단추를 활용해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상단면에 덧대어진 상기 쿠션층(170)의 일부 설정된 위치에 부착하거나 또는 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시트(150)는 상기 힙시트(10)의 내부에 유아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쿠션층(170)의 상단면에 부착시킬 수 있고, 다른 예를 들어, 힙시트(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이너시트(150)를 쿠션층(170)의 상단면으로부터 탈착하여 세척하거나 따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너시트(150)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접촉면에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별도로 자주 세척할 필요가 있다.
유아와 보호자 간의 통풍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이너시트(150)는 외피 소재를 메쉬 패턴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노출면 및 통풍지지부(160)의 벌집모양패턴(161)을 통해 전달된 외부 공기의 순환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너시트(150)는 유아와 보호자의 접촉면을 이격 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의 순환을 통해 쾌적하고 청결한 착용감을 전달한다. 또한, 유해요소에 민감한 유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항균처리 된 소재를 사용하여, 유아와 보호자 모두가 외부 사용 및 장시간 사용에도 유해 요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의 통풍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통풍지지부(160)는, 도3을 참조하면, 벌집모양패턴(161), 수납부(163), 덮개부(165) 및 온도조절수단(167)을 포함하며,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벌집모양패턴(161)은 상기 본체부(110)와 맞닿는 면 및 상부면에 육각형의 반복적인 패턴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육각형 모양의 패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및 타원형 등으로도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내부를 관통하는 홈이 될 수 있다.
상기 통풍지지부(160)는 상단면 및 상기 통풍지지부(160)와 맞닿은 면을 벌집모양패턴(161)으로 설계하여, 일반 지지체보다 무게감이 덜어진 경량의 지지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은 상기 본체부(110)를 통해 일부 노출되어, 구조물의 미감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집모양패턴을 통한 힙시트 내부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공기의 순환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통풍지지부(160)와 맞닿는 면을 메쉬 패턴과 같이 통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힙시트(1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10)를 거쳐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벌집모양패턴(161)을 통해 힙시트(10)의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이너시트(15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힙시트(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아 및 보호자에게 쾌적한 착용감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등받침부(130) 하단에 형성된 상기 본체부(110)의 통풍 메쉬 패턴으로 설정된 면과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벌집모양패턴(161)을 거쳐 상기 힙시트(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로 전달된 외부 공기는 이너시트(150), 등받침부(130)의 내부면, 어깨띠(140) 및 허리밴드(120)까지도 전달되어, 내부에 수용된 유아와 보호자에게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힙시트(10)는 유아와 보호자를 밀착시키기 때문에, 통풍효과가 매우 중요하며,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을 통해 우수한 통풍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160)는 내부에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163) 및 덮개부(165)를 포함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돌보는데 필요한 물품의 간편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납부(163)는, 상기 통풍지지부(160) 내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며, 간단한 유아용품의 수납을 허용한다. 수납된 유아용품은 상기 본체부(110)의 통풍면을 통해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물품의 수납은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상측면에 설정된 덮개부(165)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덮개부(165)는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상측면에 설정되어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부(165)는 상면과 하면의 맞물리는 부분에 “요홈”을 설정해 “껴맞춤” 형식으로 열고 닫거나,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상측 중앙면에 “버튼”을 설정하여 “누름조작”을 통해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163)는 내부에 온도조절수단(167)을 포함하며, 온도조절수단(167)은 외부 환경에 따라 힙시트(10) 내부의 온도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풍기를 예로 들어 온도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수단(167)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63) 내부 하단면에 설정될 수 있으며, 송풍기 또는 열풍기 등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절수단(167)은 수납부(163) 내부 하단면에 수납 가능한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기(167a)의 하단면과 대응되는 상기 수납부(163) 내부 하단면에 홈을 형성하여, 송풍기(167a)와 상기 수납부(163) 내부 하단면 간의 끼움 결합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송풍기(167a)의 보다 안전한 수납을 위해 소형 박스나 상자를 활용해 수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인 송풍기(167a)는, 일반적으로 모터와 회전날개를 구성요소로 하며, 소형, 가정용 및 산업용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상기 힙시트(10) 내부에 활용될 송풍기(167a)는 현재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형 송풍기(167a)로 소음이나 진동이 없는 것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167a)의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은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과 스위치는 보호자가 착용하는 허리밴드(120)에 따로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수단(167)은 송풍기(167a)를 통해 힙시트(10) 내부의 온도조절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송풍기(167a)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벌집모양패턴(161)을 통해 힙시트(10)의 내부로 전달된다.
내부로 전달된 바람은 상기 통풍지지부(160)의 내부 상단에 부착된 이너시트(150)로 이동할 수 있으며, 통풍지지부(160)의 양 측면에 연결된 허리밴드(120)와 통풍지지부(160)의 외부 상단에 부착된 등받침부(130) 및 어깨띠(140)로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너시트(150)로 전달된 상기 송풍기(167a)의 바람은 유아와 보호자 간의 접촉면에 통풍효과를 직접적으로 발생시킨다. 특히, 통풍 메쉬 패턴의 외피로 감싸진 상기 이너시트(150)는 상기 송풍기(167a)에서 발생한 바람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유아와 보호자에게 쾌적한 착용감을 보다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풍지지부(160)는 도 8 내지 도 1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160)는, 도 8 및 도 14를 참조, 적어도 일 측면에 설정된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마련하는 골격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풍지지부(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되며 상단이 개구된 수납부(163), 상기 수납부(163)의 상단에서 상기 수납부(163)와 결합하며,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되는 덮개부(165) 및 상기 수납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163)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16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여 상기 수납부(16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163)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유아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형태의 골격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납부(163)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성형이 용이하고 설정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63)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65)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63)는 적어도 일면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반복적인 벌집구조 배열패턴이나 불규칙 배열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납부(163)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납부(163)는 적어도 일면에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미리 설정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납부(163)에 결합되는 제1 강도보강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강도보강부(164)는 일례로 상기 수납부(163)의 내측면에 상기 수납부(163)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의 배열패턴 사이에 설정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강도보강부(164)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지지대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강도보강부(164)는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된 일측면에서 3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의 배열패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163)의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강도보강부(164)는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된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163)의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강도보강부(164)는 상기 수납부(163)의 하단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163)는 상기 완충부(169)에 삽입 및/또는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169)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완충부(169)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지지부(163x)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163x)는 상기 완충부(169)에 삽입되거나 결합되도록 설정된 높이 또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6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부(163x)는 상기 수납부(16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설정된 높이 또는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163)의 하단에 결합시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여 상기 덮개부(16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65)는 덮개를 닫는 방식으로 상기 수납부(163)와 결합하여 수납공간을 결정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 유아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부(165)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성형이 용이하고 설정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65)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6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65)는 외측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165x)를 이용하여 외측 하단을 상기 수납부에 삽입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수납부(163)는 상단에 삽입된 상기 덮개부(165)의 외측 하단에 맞닿도록 상기 제1 강도보강부(16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강도보강부(164)가 상기 덮개부(165)의 외측 하단에 맞닿아 상기 덮개부(165)를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하중 또는 충격에 대한 상기 덮개부(165)의 내구성 및/또는 강도를 보강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65)는 적어도 일면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반복적인 벌집구조 배열패턴이나 불규칙 배열패턴으로 배치되어 유아에게 공기(바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165)는 적어도 일면에서 강도를 보강하도록 미리 설정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덮개부(165)에 결합되는 제2 강도보강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강도보강부(166)는 일례로 상기 덮개부(165)의 하부면에 상기 수납부(163)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의 배열패턴 사이에 설정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강도보강부(166)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지지대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강도보강부(166)는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이 배치된 일면에서 3개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기 벌집모양패턴(161)의 배열패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부(165)의 측면을 향해 길게 연장된 복수의 리브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69)는 상기 수납부(163)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력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완충부(169)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고무, 라텍스, 메모리폼 등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169)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통풍지지부(160)를 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완충부(169)는 상기 수납부(163)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이 상기 수납부(163)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면이 충격 분산을 위하여 설정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160)는 유아를 지지하는 상기 덮개부(165)가 지면과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16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납부(163)는 일측 상단과 상기 일측 상단에 마주하는 타측 상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상기 일측 상단과 상기 타측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상부면이 지면과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부(165)가 지면과 약 15~35°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16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지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163)에 결합된 상기 덮개부(165)는 상기 본체부(110)에 수용된 유아를 보호자에게 밀착시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각도가 높아질수록 유아가 보호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덮개부(165)가 설정된 각도 범위보다 낮은 각도로 경사를 이룰 경우, 유아가 보호자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유아의 심리적 안정감이 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65)가 설정된 각도 범위보다 높은 각도로 경사를 이룰 경우, 유아와 보호자가 지나치게 밀착하여 유아에게 압박감이나 답답함을 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는 구조를 분리 가능하도록 변경하여 조립 여건과 사후 수리 여건을 개선하고 내부의 수납 공간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는 벌집모양패턴가 형성된 수납부 및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강도보강부를 배치하여 벌집모양패턴 형성으로 인한 통풍지지부의 내구성 및 강도 저하 문제를 해소하고, 내구성 및 강도 보강으로 인한 제품 수명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지지부는 유아를 지지하는 덮개부가 지면과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유아와 보호자를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부(18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연결구(181)를 포함하여 상기 힙시트(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림부(180)는 하단부 일측의 설정된 위치에 “단추” 등으로 설계된 상기 가림연결구(181)를 포함하여, 보호자가 상황에 따라 보다 수월하게 상기 가림부(180)를 탈부착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림연결구(181)는 단추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및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와 유아의 힙시트 착용 예시도이다.
상기 힙시트(1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양 어깨에 상기 어깨띠(140)를 둘러메고 상기 허리밴드(120)를 허리에 두르는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다. 보호자는 상기 쿠션층(170)의 상단면에 유아가 착석하도록 하여, 상기 힙시트(10) 내부에 유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에 수용된 유아와 보호자가 밀착되는 면에는 상기 이너시트(15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시트(150)는 메쉬 패턴의 소재로 이루어져 보호자와 유아가 밀착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힙시트(10) 내부에 통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보호자는 상기 통풍지지부(160) 내부에 설정된 수납부(163)에 간단한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는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가림부(180)를 상기 가림연결구(181)를 통해 상기 힙시트(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180)를 통해 보호자는 유아의 머리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힙시트
110: 본체부
120: 허리밴드
130: 등받침부
140: 어깨띠
150: 이너시트
160: 통풍지지부
161: 벌집모양패턴
163: 수납부
165: 덮개부
167: 온도조절수단
167a: 송풍기
170: 쿠션층
180: 가림부
181: 가림연결구

Claims (6)

  1. 내부에 유아를 수용하고 이송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힙시트에 있어서,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어 수용된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설정된 단부 측면에 각각 연결되어 보호자의 설정된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쌍의 허리밴드;
    상기 본체부의 외측 상단에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등을 감싸며, 유아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등받침부; 및
    일단부가 상기 등받침부의 상단 양 끝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등받침부의 설정된 위치에 체결되어, 보호자의 양 어깨를 감싸도록 하는 어깨띠;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통풍지지부;를 내부의 설정된 공간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는 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통풍지지부는,
    설정된 일측면이 설정된 일정 모양의 패턴으로 반복하여 골격 프레임을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되어 착용감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무게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접촉면을 이격 시키며,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배부분을 감싸면서 유아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둥근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이너시트;
    상기 본체부와 상기 이너시트를 연결하기 위한 이너연결구; 및,
    유아가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통풍지지부의 상단면에 일정한 두께감을 가지는 쿠션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너시트는 일단부가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일단부 양측에 설정된 이너연결구가 상기 본체부의 양측 설정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단부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신체 접촉면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면의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너시트의 외피를 메쉬 패턴으로 형성하여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지지부는,
    내부에 수용된 유아의 엉덩이가 닿아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골격 프레임으로, 상단면 및 본체부에 닿는 일측면을 반복적인 벌집 모양의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벌집 모양의 패턴은 상기 본체부를 통해 일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정면에서 바라볼 때, 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지지부는,
    상단에 덮개부;를 포함하여, 내부공간은 간단한 유아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는,
    일측의 설정된 위치에 냉각, 발열, 공기순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내부에 바람의 순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송풍기 및/또는 열풍기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지지부의 수납부 내부 하단 일측에 수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정될 수 있는 스위치를 통해 제어되는 방식으로 외부 환경에 따라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일단부가 상기 등받침부 및/또는 상기 어깨띠와 탈부착 가능하여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가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림부는,
    하단부 일측의 설정된 위치에 가림연결구;를 더 포함하여,
    보호자가 상황에 따라 상기 가림부를 상기 힙시트와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KR1020190057677A 2019-05-17 2019-05-17 힙시트 KR10220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677A KR102201987B1 (ko) 2019-05-17 2019-05-17 힙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677A KR102201987B1 (ko) 2019-05-17 2019-05-17 힙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26A true KR20200132326A (ko) 2020-11-25
KR102201987B1 KR102201987B1 (ko) 2021-01-12

Family

ID=736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677A KR102201987B1 (ko) 2019-05-17 2019-05-17 힙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9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908U (ko) * 2009-08-19 2011-02-25 노재숙 자전거의 안장
KR20110002443U (ko) * 2009-09-03 2011-03-09 차복희 다기능 아기 포대기
KR101415521B1 (ko) 2013-10-02 2014-07-04 박재현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KR101679218B1 (ko) 2015-06-23 2016-11-24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용 캐리어 세트
KR20170040931A (ko) * 2015-10-06 2017-04-14 박민정 튜브형 아기띠
KR101812529B1 (ko) *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908U (ko) * 2009-08-19 2011-02-25 노재숙 자전거의 안장
KR20110002443U (ko) * 2009-09-03 2011-03-09 차복희 다기능 아기 포대기
KR101415521B1 (ko) 2013-10-02 2014-07-04 박재현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KR101679218B1 (ko) 2015-06-23 2016-11-24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용 캐리어 세트
KR20170040931A (ko) * 2015-10-06 2017-04-14 박민정 튜브형 아기띠
KR101812529B1 (ko) *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2010년 12월 20일,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94time74/120120424287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987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21532B2 (en) A Baby Carrier
US6213362B1 (en) Sling-type infant carrier
US9237771B2 (en)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KR20130107167A (ko) 유아용 캐리어
US7444695B2 (en) Infant/toddler carrying apparatus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150053581A (ko) 유아용 캐리어
US20210145189A1 (en) Baby Carrier
KR200485256Y1 (ko)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102173981B1 (ko)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KR102201994B1 (ko)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102201987B1 (ko) 힙시트
KR20210001495U (ko) 슬링형 아기띠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20220000089U (ko)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KR200458506Y1 (ko) 유아용 캐리어 통풍 패드
KR20110008959U (ko) 수유쿠션
CN214284197U (zh) 一种能够保护婴儿头部的婴儿背带
US20230097626A1 (en) Harness for baby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