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931A - 튜브형 아기띠 - Google Patents

튜브형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931A
KR20170040931A KR1020150140207A KR20150140207A KR20170040931A KR 20170040931 A KR20170040931 A KR 20170040931A KR 1020150140207 A KR1020150140207 A KR 1020150140207A KR 20150140207 A KR20150140207 A KR 20150140207A KR 20170040931 A KR20170040931 A KR 2017004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infant
neck
tube bod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164B1 (ko
Inventor
박민정
Original Assignee
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정 filed Critical 박민정
Priority to KR102015014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1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유아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부; 상기 몸체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보호부;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양측 사이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한 쌍의 어깨벨트; 및 상기 몸체 지지부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밀착부 및 상기 허리 밀착부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허리밀착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허리 연결부로 이루어진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는 각각 충진공간을 갖는 튜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으로 개별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튜브형 아기띠{Tube type baby carrier}
본 발명은 튜브형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고, 공기를 제거하면 압축되도록 튜브방식으로 제작된 튜브형 아기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안을 때 두 팔로 유아의 체중을 지탱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없고, 장시간 유아를 안고 있으면 팔에 무리가 간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보호자가 잘 걷지 못하는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 유아를 보호자의 신체와 일체화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아를 감싸며 안는 수단인 아기띠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기띠는 보호자의 어깨에 어깨벨트를 걸어 유아를 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에 집중되기 때문에, 장시간 아기띠를 사용할 경우, 보호자의 어깨에 지속적으로 압박감이 가해져 보호자는 어깨결림 등과 같은 통증을 호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실안 제20-2010-0008272호에서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벨트와, 상기 허리 벨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서포트 블록과, 상기 서포트 블록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로 이루어져,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으로 분산되도록 유아를 안을 수 있게 제작된 아기띠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제안된 아기띠는 표준화된 형태로 이루어져 유아 또는 보호자의 체형에 맞게 제작되지 아니하므로, 아기띠의 사용시 안정성이 떨어져 유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동시에, 아기띠를 착용하는 보호자의 어깨부위를 어깨벨트가 압박하게 되므로, 아이와 보호자 모두에게 피로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아기띠는, 내부에 완충재(쿠션소재)가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완충재(쿠션소재)의 부피로 인해 아기띠의 자체 부피가 커져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우며, 마찰력이 떨어지는 물속에서 안전하게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 하여 물속에 유아를 안고 들어갈 경우, 물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특성상 수중에서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어깨에는 유아의 하중과 함께 물을 흡수한 아기띠의 무게가 더해져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종래 아기띠의 특성상 유아의 안정성을 고려한 오가닉 소재로 제작된 천재질이 주로 사용되므로, 사용 후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며, 색상과 패턴에도 변형을 주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하도록 튜브방식으로 제작되어 유아나 보호자의 체격에 맞게 아기띠의 형태를 공기의 주입 양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방수성이 좋아 물속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비사용시에는 튜브체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아기띠의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튜브형 아기띠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아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부;
상기 몸체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보호부;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양측 사이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한 쌍의 어깨벨트; 및
상기 몸체 지지부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밀착부와, 상기 허리 밀착부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허리밀착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허리 연결부로 이루어진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는 각각 충진공간을 갖는 튜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으로 개별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서,
사용시에는 상기 튜브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가 팽창하도록 구성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튜브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부피를 축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지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피와 외피가 접합된 압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면에는 압착면의 일부를 절취한 슬릿이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는 상기 슬릿을 통해 내측과 외측 사이에 공기가 연통하고, 배수도 될 수 있게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지지부의 내측에는 메쉬소재 또는 통기성이 좋은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내피가 배치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어깨벨트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허리벨트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에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와 내피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통해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튜브형 아기띠는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는 튜브체로 구성함에 있어, 사용시에는 상기 튜브체의 충진공간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유아 및 보호자의 체격에 맞도록 아기띠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유아에게는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감소시켜 보호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한편,
비 사용시에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아기띠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속에 유아를 안고 들어갈 경우, 공기가 주입된 튜브체의 부력에 의해 아기띠가 떠오르게 됨은 물론, 떠오르는 아기띠에 의해 유아가 물 위로 떠오르게 되어,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유아의 하중이 감소하므로, 보호자의 어깨부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구성하고 있는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는 각각 공기주입구를 갖는 독립적인 튜브체로 구성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튜브체가 손상되거나 공기가 빠지더라도 전체 튜브형 아기띠에 공기가 빠지지 않아 쿠션감이나 수중에서의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튜브체가 손상이 되더라도, 허리벨트와 어깨벨트에서 유아를 안정적으로 받치고 있는 구조로, 유아를 보호하는 안정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튜브형 아기띠에 있어서, 각 부위의 튜브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일상생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사용하여 아기를 감싸안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튜브형 아기띠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튜브형 아기띠에 있어서, 각 부위의 튜브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일상생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를 사용하여 아기를 감싸안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튜브형 아기띠(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호자가 잘 걷지 못하는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 유아를 보호자의 신체와 일체화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유아를 감싸며 안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물이다.
본 발명에서 튜브형 아기띠(1)는, 유아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부(10);와 상기 몸체 지지부(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보호부(20); 상기 몸체 지지부(10)와 목보호부(20) 양측 사이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한 쌍의 어깨벨트(30,30'); 및 상기 몸체 지지부(10)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형 아기띠(1)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인, 상기 몸체 지지부(10)와 목보호부(20), 어깨벨트(30) 및 허리벨트(40)는 각각 PVC 재질로 이루어진 내피와 외피의 접합면을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하여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체(11,21,31,42)로 이루어져, 상기 튜브체(11,21,31,42)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튜브체(11,21,31,42)의 팽창부피를 조절하여 보호자 및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튜브형 아기띠(1)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아기띠가 표준화된 형태로 이루어져 유아 또는 보호자의 체형에 맞게 제작되지 아니하여, 안정성이 떨어져 유아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동시에, 유아를 감싸는 보호자의 어깨부위에는 압박감이 느껴져 아이와 보호자 모두에게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을 개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1)는 상기 PVC 소재 이외에도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에 의한 융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필름 소재로도 제조가 가능하며, 특히 열가소성 필름과 섬유소재를 라미네이팅한 소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찢어짐이나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 아기띠(1)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 상술하면, 상기 몸체 지지부(10)는 유아의 등 또는 배를 감싸도록 굴곡진 형상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유아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 지지부(10)는 유아의 어깨나 몸이 눌리게 되어 유아에게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착면을 활용하여 공기를 분할해 쿠션감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튜브체(11)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체(11)의 일단에는 상기 충진공간(11b)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11a)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11a)를 통해 몸체 지지부의 튜브체(11)의 충진공간(11b)으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체(11)의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 지지부(10)는 팽창된 튜브체(11)를 통해 쿠션감을 주게 되므로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유아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 지지부(10)에는 고주파 융착 또는 열융착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내피와 외피가 접합된 압착면(12a,1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압착면(12a,12b)은 각각 유아의 등판부분과 엉덩이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튜브체(11)와 연통하지 아니하도록 고주파 융착 또는 열융착을 통해 압착형성되므로, 튜브체(11)에 주입된 공기가 압착면(12a,12b)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튜브형 아기띠(1)는 엉덩이 부분에 형성된 압착면(12b)을 통해 몸체 지지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여 유아의 엉덩이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자세를 만들어 주므로, 유아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부분에 형성된 압착면(12a)에는 압착면의 일부를 절취한 슬릿(12a-a)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 지지부(10)는 상기 슬릿(12a-a)을 통해 내측과 외측 사이에 공기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압착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로 길게 절개된 형태의 슬릿(12a-a)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아기띠를 착용한 상태로 물놀이를 할 때, 수영복의 착용으로 인한, 보호자와 유아의 피부 노출부분의 장시간 마찰이나 더운 여름철 아기띠의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유아의 피부접촉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몸체 지지부(10)의 내측에 메쉬소재 또는 통기성이 좋은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내피(13)가 구비된다.
상기 내피(13)는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 지지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등으로부터 배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양측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아기띠에 감싸지는 유아의 가랑이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몸체 지지부(10)는 내피(13)를 통해 유아의 배와 등에 통풍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피(13)의 가장자리는 바이어스로 마무리하여 얇은 소재의 선택으로 인한 내구성을 높였으며, 내피(13)와 접촉하는 유아의 허벅지 및 겨드랑이 쓸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피(13)는 몸체 지지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를 통해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 지지부(10)와 어깨벨트(30,30')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13)에는 제1체결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10)와 허리벨트(40)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13)에는 제2체결부(13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피(13)는 상기 제1체결부(13a)와 제2체결부(13b)를 통해 몸체 지지부(10)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여기서, 제1체결부(13a)와 제2체결부(13b)는 본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똑딱이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추, 벨크로, 지퍼, 또는 여밈끈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형 아기띠(1)는 몸체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된 내피(13)를 통해 아기띠(1)에 감싸진 유아의 등과 배에 통풍을 확보하여, 유아의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습진이나 땀띠 등과 같은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유아는 신체의 발달이 아직 덜 된 상태이므로 스스로의 힘으로 목을 가누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 지지부의 상부에 목보호부(20)를 구비한다.
상기 목보호부(20)는 유아의 목 주위를 감싸도록 대략 "U"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쿠션감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충진공간(21b)이 형성되는 튜브체(21)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21)의 일단에는 상기 충진공간(21b)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21a)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21a)를 통해 목보호부의 튜브체(21)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체(21)의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목보호부(20)는 유아의 발육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주입구(21a)를 통해 튜브체(21)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유아의 목에 맞게 목보호부(2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보호부(20)는 상기 튜브체(21)의 부피가 팽창함에 따라 유아의 목을 지지해줌으로써, 아기띠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지지부(10)와 목보호부(20) 양측 사이에는 보호자의 양측 어깨에 아기띠가 걸쳐지도록 한 쌍의 어깨벨트(30,30')가 결합된다.
여기서, 아기띠를 통해 보호자에게 감싸안긴 유아의 하중은 어깨벨트를 통해 보호자에게 전달되므로, 시간이 갈수록 보호자의 어깨에는 유아의 하중에 따른 압박감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통증이 유발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깨벨트(30,30')를 충진공간(31b)을 갖는 튜브체(31)로 형성하여, 상기 튜브체(31)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쿠션감을 주는 것은 물론,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31)의 일단에는 상기 충진공간(31b)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31a)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31a)를 통해 어깨벨트(30,30')의 튜브체(31)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체(31)의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벨트(30,30')는 튜브체(31)를 통해 유아의 하중이 분산되어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쿠션감에 의해 보행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30,30')에는 길이조절수단(32)이 구비되어 보호자의 어깨에 맞게 어깨벨트(30,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30,30') 사이에는 조절끈(32)이 구비되어, 한 쌍의 어깨벨트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끈(32)에는 각각 암형 버클(32a)과, 상기 암형 버클(32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32b)로 이루어져, 상기 암형 버클(32a)과 수형버클(32b)의 결합을 통해 한 쌍의 어깨벨트(30,30')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한 쌍의 조절끈(3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체결버클 이외에도 벨크로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형 아기띠(1)는 상기 어깨벨트의 길이조절수단(32)을 통해 보호자의 어깨에 맞게 어깨벨트(30,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끈(32)을 통해 한 쌍의 어깨벨트(30,30')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함으로써, 보호자의 어깨로부터 어깨벨트(30,3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40)는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어서, 상기 아기띠(1)를 보호자의 허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어깨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허리벨트(40)는,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밀착부(41)와, 상기 허리 밀착부(4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허리밀착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허리 연결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 밀착부(41)는 충진공간(42b)을 갖는 튜브체(42)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체(42)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42)의 일단에는 상기 충진공간(42b)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42a)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42a)를 통해 허리벨트(40)의 튜브체(42)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체(42)의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튜브형 아기띠(1)는, 상기 허리 밀착부(41)를 통해 넓은 단면적으로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고, 유아의 하중을 한 번 더 허리에서 잡아주게 되므로, 유아의 체중을 분산시켜 유아를 앉고 있을 때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쿠션감에 의해 보행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 밀착부(41)의 양단부에는 허리 밀착부(41)를 연결하는 허리연결부(43)가 구비된다.
상기 허리연결부(43)는 상기 허리밀착부(4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연결띠(43a,43a')와, 두 개의 연결띠(43a,43a')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버클(43b,43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버클(43b,43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띠(43a)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43b)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43a')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암형 버클(43b)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43c)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허리연결부의 연결수단은 체결버클의 구성 이외에도 벨크로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튜브형 아기띠(1)는, 허리 연결부(43)를 통해 보호자의 허리에 맞게 허리벨트(40)의 길이를 조절하고,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팽창부피를 조절할 수 있는 튜브체(42)를 통해 허리밀착부(41)를 보호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착용가능하다.
따라서, 보호자의 허리로부터 허리벨트(4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력을 높이며, 튜브체(42)를 통한 쿠션감을 통해 보호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감소시켜, 압박감에 의한 보호자의 통증유발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1)는, 비 사용시 상기 튜브체의 일단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1a,21a,31a,42a)를 통해 각 튜브체(11,21,31,42)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몸체 지지부(10)와 목보호부(20), 어깨벨트(30,30') 및 허리벨트(4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출시 보호자는 아기띠를 별도로 들고다니지 아니하고, 가방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여 물놀이 이외에도, 간단한 외출 또는 여행시 짐을 최소화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아기띠(1)는, 물속에 유아를 안고 들어갈 경우, 물을 흡수함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져 가라앉는 종래의 아기띠와 달리, 몸체 지지부(10)와 목보호부(20), 어깨벨트(30,30') 및 허리벨트(40)에 각각 형성되는 튜브체(11,21,31,42)의 부력에 의해 아기띠(1)와 함께 유아가 떠오르게 되므로, 보호자에게 가해지는 유아의 하중이 감소하므로 보호자의 어깨부위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다.
1. 튜브형 아기띠
10. 몸체 지지부 11. 튜브체
11a. 공기주입구 11b. 충진공간
12a, 12b. 압착면 12a-a. 슬릿
13. 내피
13a. 제1체결부 13b. 제2체결부
20. 목보호부 21. 튜브체
21a. 공기주입구 21b. 충진공간
30,30'. 어깨벨트 31. 튜브체
31a. 공기주입구 31b. 충진공간
32. 길이조절수단
33. 조절끈 33a,33b. 체결버클
40. 허리벨트 41. 허리 밀착부
42. 튜브체 42a. 공기주입구
42b. 충진공간 43. 허리 연결부
43a,43a'. 연결끈 43b,43c. 체결버클

Claims (3)

  1. 유아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부;
    상기 몸체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보호부;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양측 사이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한 쌍의 어깨벨트; 및
    상기 몸체 지지부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허리를 감싸는 허리 밀착부와, 상기 허리 밀착부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허리밀착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허리 연결부로 이루어진 허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및 허리벨트는 각각 충진공간을 갖는 튜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허리벨트 및 엉덩이 받이부에는 각각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으로 개별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서,
    사용시에는 상기 튜브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몸체 지지부와 목보호부, 어깨벨트, 허리벨트가 팽창하도록 구성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튜브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각 튜브체의 충진공간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부피를 축소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아기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피와 외피가 접합된 압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면에는 압착면의 일부를 절취한 슬릿이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는 상기 슬릿을 통해 내측과 외측 사이에 공기가 연통하고, 배수도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아기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의 내측에는 메쉬소재 또는 통기성이 좋은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내피가 배치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어깨벨트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지지부와 허리벨트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대응하는 내피에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몸체 지지부와 내피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통해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아기띠.



KR1020150140207A 2015-10-06 2015-10-06 튜브형 아기띠 KR10175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07A KR101754164B1 (ko) 2015-10-06 2015-10-06 튜브형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07A KR101754164B1 (ko) 2015-10-06 2015-10-06 튜브형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31A true KR20170040931A (ko) 2017-04-14
KR101754164B1 KR101754164B1 (ko) 2017-07-05

Family

ID=585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207A KR101754164B1 (ko) 2015-10-06 2015-10-06 튜브형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20200132326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
KR102628400B1 (ko) * 2023-07-18 2024-01-23 홍주원 장착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아기 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89Y1 (ko) * 2003-07-04 2003-12-11 이준홍 아기 포대기
JP2012110418A (ja) *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327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용 안장구조체
KR20200132326A (ko) * 2019-05-17 2020-11-25 오브맘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힙시트
KR102628400B1 (ko) * 2023-07-18 2024-01-23 홍주원 장착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아기 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164B1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765B2 (en) Multi-modal wearable baby carrier
KR200470290Y1 (ko) 휴대용 목베개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ES2735011T3 (es) Mochila portaniños
US20170196374A1 (en) Baby sling with two shoulder straps
ES2689098T3 (es) Conjunto de soporte de asiento de cadera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101432450B1 (ko) 아기띠
KR101754164B1 (ko) 튜브형 아기띠
JP2017202139A (ja) 子守帯
JP3170974U (ja) ベビーキャリア
ES2829377T3 (es) Dispositivo de fular portabebés para bebés o niños pequeños
JP4413220B2 (ja) 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ボトム
KR20100068410A (ko) 조절가능한 등 지지 장치
US20210274952A1 (en) Five point harness accommodating wearable blanket
JP6282716B1 (ja) ベビーキャリア
KR101916094B1 (ko)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101955476B1 (ko)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0934156B1 (ko) 아기 포대기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