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094B1 -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094B1
KR101916094B1 KR1020170005133A KR20170005133A KR101916094B1 KR 101916094 B1 KR101916094 B1 KR 101916094B1 KR 1020170005133 A KR1020170005133 A KR 1020170005133A KR 20170005133 A KR20170005133 A KR 20170005133A KR 101916094 B1 KR101916094 B1 KR 10191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istband
waist
rubber band
wais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11A (ko
Inventor
이의환
Original Assignee
이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환 filed Critical 이의환
Priority to KR102017000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는, 허리밴드(30)의 안쪽면에 고무밴드(60)의 수축 작용에 의해 허리밴드(30)와 고무밴드(6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고무밴드(60)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허리밴드(30)를 착용할 때 고무밴드(60)의 탄성에 의해 허리밴드(30)와 착용자의 허리둘레와의 사이측 들뜸 현상을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유아의 체중 압력을 분산하여 착용자의 허리 통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STRUCTRUE FOR WAIST BAND OF HIP SEAT CARRIER}
본 발명은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허리밴드를 허리둘레에 착용시 들뜸 현상을 없앨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포대기는 유아의 몸통을 받쳐주는 등판과 상기 등판의 양측에 형성한 어깨벨트 및 등판의 하단에 형성한 허리밴드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대기를 사용할 경우 착용자가 양팔로 유아를 안는 것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착용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면중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대기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장시간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어깨에 통증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착용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일명 '힙시트'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9068호(등록일자 2014.6.30)의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가 제안되어 왔으나, 이러한 아기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는 힙시트(110)와, 상기 힙시트(11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서 지지하는 허리밴드(111)와, 상기 힙시트(110)에 연결되어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상반신에 분산시키는 등받이(120)와, 상기 등받이(120)에 분리가능케 연결되어 착용자가 양 어깨에 멜 수 있는 쌍줄 분리형 어깨끈(130)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허리밴드(111)는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도록 허리밴드(111)의 양단에 설치된 암수 한 쌍의 벨크로(116)의 1차 체결 후 허리고정버클(112) 및 허리연결버클(113)에 의해 2차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밴드(111)를 느슨하게 체결하거나 들뜸 현상이 발생되도록 착용할 경우 힙시트(110)를 통해 가해지는 유아의 체중 압력이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고 착용자의 허리 내지 골반 특정부분을 집중적으로 누르거나 찌름으로써 허리와 골반에 심한 통증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는 허리 내지 골반의 심한 통증으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함에 따라 힙시트(110)에 앉은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허리밴드를 착용할 때 들뜸 현상이 없이 허리둘레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착용감을 높이고, 유아의 체중 압력을 분산하여 착용자의 허리 통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는, 보형물이 내장된 힙시트와, 상기 힙시트의 양측에 연장된 허리밴드와, 상기 힙시트의 상부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유아의 상반신을 감싸도록 양쪽 어깨벨트를 가진 등받이를 구비한 힙시트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에는 좌우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허리밴드가 안쪽으로 말리도록 탄성을 가하는 고무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고무밴드의 좌우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결합될 때 고무밴드의 수축 작용에 의해 외피와 고무밴드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내피와 무관하게 외피의 안쪽면에 좌우로 당겨져 팽창된 상태로 박음질되고, 상기 고무밴드의 상하 폭은 고무밴드의 팽창과 수축 작용이 상기 허리밴드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외피와 내피의 상하 단부측 박음질부분에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는, 허리밴드의 안쪽면에 고무밴드의 수축 작용에 의해 허리밴드와 고무밴드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고무밴드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허리밴드를 착용할 때 고무밴드의 탄성에 의해 허리밴드와 착용자의 허리둘레와의 사이측 들뜸 현상을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유아의 체중 압력을 분산하여 착용자의 허리 통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힙시트와 등받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를 도시한 후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서 본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힙시트 캐리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앉을 수 있는 보형물이 내장된 힙시트(10)와, 상기 힙시트(10)의 양측에 연장되어 착용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착용할 수 있도록 암수 한 쌍의 벨크로(22)와 허리버클(2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이 설치된 허리밴드(30)와, 상기 힙시트(10)의 바깥쪽 상단 중앙에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어 유아의 상체를 감싸도록 양쪽 어깨벨트(52)가 고정된 등받이(50)와, 상기 허리밴드(30)에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어 허리밴드(30)가 안쪽으로 말리도록 탄성을 가하는 고무밴드(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무밴드(60)의 좌우 양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밴드(30)의 외피(32)와 내피(34) 사이에서 박음질에 의해 결합될 때 고무밴드(60)의 수축 작용에 의해 외피(32)와 고무밴드(6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좌우로 당겨져 팽창된 상태로 박음질되어진다.
상기 고무밴드(60)의 좌우 양단은 상기 내피(34)와 무관하게 외피(32)의 안쪽면에 팽창된 상태로 당겨져 박음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밴드(60)의 상하 폭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밴드(60)의 팽창과 수축 작용이 허리밴드(30)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상하 폭이 외피(32)와 내피(34)의 상하 단부측 박음질부분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34)는 상기 고무밴드(60)의 팽창과 수축 작용에 대응하도록 신축성과 통풍성이 좋은 에어메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6은 상기 외피(32)와 내피(34)의 가장에 덧대어 박음질되는 마감띠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30)는 외피(32)의 안쪽면에 도 3과 같이 고무밴드(60)가 좌우 방향으로 당겨진 팽창 상태에서 좌우 양단이 박음질되도록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밴드(30)를 미착용시에는 고무밴드(6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하려는 힘에 의해서 외피(32)를 잡아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피(32)와 고무밴드(6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됨과 동시에 허리밴드(30)가 힙시트(110)의 안쪽으로 휘어져 말림으로써 힙시트 캐리어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암수 한 쌍의 벨크로(22)와 허리버클(24)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허리밴드(30)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팽팽하게 조이도록 착용하게 되면, 고무밴드(60)는 허리밴드(30)를 조여주는 힘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팽창되었다가 수축되면서 내피(34)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측으로 허리밴드(30)의 밀게 되고, 이 내피(34)는 고무밴드(60)가 미는 힘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둘레와 들뜸 현상이 없이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고무밴드(60)가 팽창되는 길이만큼 외피(32)도 펼쳐지면서 고무밴드(60)와 마주하는 간격이 좁아지거나 밀착되면서 허리밴드(30)의 착용감을 높여주게 된다.
즉, 고무밴드(60)는 신축성이 없는 허리밴드(30)가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허리밴드(30)의 직경을 탄성에 의해 좁혀주기 때문에 허리밴드(30)와 착용자의 허리둘레와의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된다.
또, 고무밴드(60)의 탄성은 허리밴드(30)가 착용자의 허리둘레로부터 흘러내리거나 헛돌지 않도록 밀착력을 조절해 주기 때문에 허리밴드(30)의 착용감을 좋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힙시트(110)에 앉은 유아의 체중 압력이 허리밴드(30)의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산되도록 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통증을 최소화시키고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리밴드(30)의 안쪽면에 고무밴드(60)의 수축 작용에 의해 허리밴드(30)와 고무밴드(6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고무밴드(60)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허리밴드(30)를 착용할 때 고무밴드(60)의 탄성에 의해 허리밴드(30)와 착용자의 허리둘레와의 사이측 들뜸 현상을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유아의 체중 압력을 분산하여 착용자의 허리 통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유아의 안정감 있는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힙시트 22 : 벨크로
24 : 허리버클 30 : 허리밴드
32 : 외피 34 : 내피
40 : 연결부 50 : 등받이
52 : 어깨벨트 60 : 고무밴드

Claims (4)

  1. 보형물이 내장된 힙시트(10)와, 상기 힙시트(10)의 양측에 연장된 허리밴드(30)와, 상기 힙시트(10)의 상부에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되어 유아의 상반신을 감싸도록 양쪽 어깨벨트(52)를 가진 등받이(50)를 구비한 힙시트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30)에는 좌우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좌우 양단이 결합되어 허리밴드(30)가 안쪽으로 말리도록 탄성을 가하는 고무밴드(60)를 포함하되,
    상기 고무밴드(60)의 좌우 양단은 상기 허리밴드(30)의 외피(32)와 내피(34) 사이에서 결합될 때 고무밴드(60)의 수축 작용에 의해 외피(32)와 고무밴드(6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내피(34)와 무관하게 외피(32)의 안쪽면에 좌우로 당겨져 팽창된 상태로 박음질되고,
    상기 고무밴드(60)의 상하 폭은 고무밴드(60)의 팽창과 수축 작용이 상기 허리밴드(30)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외피(32)와 내피(34)의 상하 단부측 박음질부분에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05133A 2017-01-12 2017-01-12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KR10191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33A KR101916094B1 (ko) 2017-01-12 2017-01-12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33A KR101916094B1 (ko) 2017-01-12 2017-01-12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11A KR20180083111A (ko) 2018-07-20
KR101916094B1 true KR101916094B1 (ko) 2018-11-07

Family

ID=6310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133A KR101916094B1 (ko) 2017-01-12 2017-01-12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99Y1 (ko) 2019-01-28 2019-06-12 (주)데르마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181572A1 (en) * 2018-12-06 2020-06-08 Torgersen Hans & Soenn Baby carr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11Y1 (ko) * 2014-01-13 2015-05-08 이종철 허리보호용 바지덧댐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084A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엘루스벤 힙시트 허리밴드 보강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11Y1 (ko) * 2014-01-13 2015-05-08 이종철 허리보호용 바지덧댐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99Y1 (ko) 2019-01-28 2019-06-12 (주)데르마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11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190B2 (e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120070544A (ko) 베이비 캐리어
US5895366A (en) Hip and knee abductor with air bladder
KR20130107167A (ko) 유아용 캐리어
JP6342163B2 (ja) 子守帯
KR101916094B1 (ko)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
KR20210105712A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CA2821329C (en) Ergonomic baby carrier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101754164B1 (ko) 튜브형 아기띠
JP6408764B2 (ja) 子守帯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CN211187687U (zh) 一种背部矫正装置
JP3218345U (ja) くびまき
EP2943167B1 (en) Back support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KR100934156B1 (ko) 아기 포대기
JP3001966U (ja) 腰部サポータ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JP3025888B2 (ja) 体形復元下着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CN216754845U (zh) 一种电动移位机用的臀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