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588B1 - 접이식 힙 시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588B1
KR102029588B1 KR1020180066736A KR20180066736A KR102029588B1 KR 102029588 B1 KR102029588 B1 KR 102029588B1 KR 1020180066736 A KR1020180066736 A KR 1020180066736A KR 20180066736 A KR20180066736 A KR 20180066736A KR 102029588 B1 KR102029588 B1 KR 10202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hip
ban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지
Original Assignee
최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예지 filed Critical 최예지
Priority to KR102018006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588B1/ko
Priority to PCT/KR2018/007323 priority patent/WO201924031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9Baby-carriers with waist-belt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힙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시 지지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가방에 담아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지지체를 펼쳐서 유아를 앉혀 지지할 수 있기 위한 접이식 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 힙 시트인 것으로, 플랫(flat) 타입의 덮개부와 받침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와 받침부의 일측 경계를 따라 개폐되는 파우치부, 및 상기 파우치부 내부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받침부 내측에 제1 착탈부를 구비하며, 상기 힙지지부재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한 지지체가 일측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판 타측을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지지연결부가 잡아주며, 상기 제1 착탈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체 일측에 제2 착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연결부 일측에서 제1 허리밴드부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연결부 타측에서 제2 허리밴드부가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1 밴드체결부, 및 상기 제2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2 밴드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착탈부에 상기 제2 착탈부를 결속하여 상기 받침부를 보호자의 배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및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밴드체결부 및 제2 밴드체결부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수평이 유지되게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힙 시트{Folding Hip Seat}
본 발명은 접이식 힙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시 지지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가방에 담아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지지체를 펼쳐서 유아를 앉혀 지지할 수 있기 위한 접이식 힙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품에 안는 데 사용하는 보조수단으로 아기띠가 흔히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아기띠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아기띠 착용자의 상체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 힙 시트(Hip Seat)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힙 시트의 기본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통상의 힙 시트(10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115)를 내장한 시트부(110)의 양측에 체결수단(125, 벨크로테이프 또는 버클 등)을 구비한 허리밴드(120)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골반 상측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아를 시트부(110)에 간편하게 앉히거나 내릴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아의 체중이 시트부(110)에 내장된 지지체(115) 및 허리밴드(120)를 통하여 보호자의 골반으로 전달됨으로써 보호자의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일반적인 힙 시트(100)의 기능을 개선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50651호(공고일 2010.10.2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힙 시트를 제안하였다.
상기 종래 발명은 힙 시트(100)의 시트부(110) 바깥면에 지퍼를 구비한 주머니(130)를 형성하되, 유아의 등이나 배를 감싸는 허그패드(140)를 더 형성하여 상기 주머니(130)의 내부에서 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힙 시트(100)의 경우, 시트부(110)의 내부에 상기 시트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티로폼 지지체(115)를 삽입하여 밀폐함에 따라 부피감이 지나치게 큰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시트부(110)의 내부에 지지체(115)가 완전히 채워져 밀착 및 밀폐되는 구조이어서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그 제작공정이 불편하였다.
더욱이 상기 시트부(110)에 주머니(130)를 더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지나친 부피감으로 그 외관이 저해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기 지지체(115)의 제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힙 시트(100)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한편, 상기 시트부(110)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스티로폼 지지체(115)를 대신하여 사출 프레임(미도시)을 내장한 힙 시트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시트부(110)의 내부에 프레임을 밀착 및 밀폐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지지체(115)는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축소시키기 어렵고 손으로 들고 다니기 불편하며 부피감이 있어 전체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651호, 발명의 명칭 "유아용 힙시트" (공고일 2010.10.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휴대시 지지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소형 가방에 담아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지지체를 펼쳐서 유아를 앉혀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힙 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 힙 시트인 것으로,
플랫(flat) 타입의 덮개부와 받침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와 받침부의 일측 경계를 따라 개폐되는 파우치부, 및 상기 파우치부 내부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받침부 내측에 제1 착탈부를 구비하며,
상기 힙지지부재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한 지지체가 일측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판 타측을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지지연결부가 잡아주며, 상기 제1 착탈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체 일측에 제2 착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연결부 일측에서 제1 허리밴드부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연결부 타측에서 제2 허리밴드부가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1 밴드체결부, 및 상기 제2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2 밴드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착탈부에 상기 제2 착탈부를 결속하여 상기 받침부를 보호자의 배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및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밴드체결부 및 제2 밴드체결부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수평이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지지체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판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완전히 채워진 밀폐 구조일 경우보다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지나친 부피감으로 그 외관이 저해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의 분리가 쉬워 휴대하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파우치부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의 바깥을 감싸고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고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힙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힙 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오픈시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힙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몸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허리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휴대하기 용이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오픈시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힙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몸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조허리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를 휴대하기 용이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시 지지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파우치와 같은 소형 가방에 담아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지지체를 펼쳐서 유아를 앉혀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1)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 것으로, 플랫(flat) 타입의 덮개부(11)와 받침부(13)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11)와 받침부(13)의 일측 경계를 따라 개폐되는 파우치부(10), 및 상기 파우치부(10) 내부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부(10)는 상기 받침부(13) 내측에 제1 착탈부(13a)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힙지지부재(20)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판(s21)을 포함한 지지체(21)가 일측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판(s21) 타측을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지지연결부(22)가 잡아주며, 상기 제1 착탈부(13a)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체(21) 일측에 제1 착탈부(23a)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연결부(22) 일측에서 제1 허리밴드부(24a)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연결부(22) 타측에서 제2 허리밴드부(24b)가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24a) 끝단에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상기 제2 허리밴드부(24b) 끝단에 제2 밴드체결부(25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착탈부(13a)에 상기 제2 착탈부(23a)를 결속하여 상기 받침부(13)가 보호자의 배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24a) 및 제2 허리밴드부(24b)가 상기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11)가 상기 복수의 지지판(s21)에 의해서 지지되어 수평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 사이에 개입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패드(pad) 타입의 보조허리밴드부(26)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21)는 지지판(s21)이 8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착탈부(23a) 및 제2 착탈부(23b)는 벨크로(velcro) 타입 또는 스냅 단추 타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허리밴드부(24a) 내에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미도시), 및 제2 허리밴드부(24b) 내에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는 크게 파우치부(10), 및 상기 파우치부(10) 내부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부(10)는 물품을 담을 수 있는 주머니 또는 소형 가방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1), 받침부(13) 및 제1 착탈부(13a)를 포함한다.
여기서, 덮개부(11)는 소정 두께로 평평한 면을 가지고 유연하게 굽혀지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아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cushion) 소재가 보강될 수 있고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또한, 받침부(13)는 덮개부(11)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덮개부(11) 하부에 위치하고, 소정 두께로 평평한 면을 가지면서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으며,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또한, 파우치부(10)는 덮개부(11)와 받침부(13) 만나는 일측을 따라 지퍼(zipper)와 같은 개폐수단이 있어 열거나 닫을 수 있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 착탈부(13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3) 내측에 구비된다.
즉, 제1 착탈부(13a)는 후술하는 제2 착탈부(23a)에 대응하여 받침부(13) 내측에 설치되어 제2 착탈부(23a)와 결속된다.
이때, 제1 착탈부(13a)는 제2 착탈부(23a)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속이 용이한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데, 벨크로(velcro) 타입 또는 스냅 단추 타입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힙지지부재(20)는 파우치부(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1)와, 지지연결부(22)와, 제2 착탈부(23a)와, 제1 허리밴드부(24a)와, 제2 허리밴드부(24b)와,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보조허리밴드부(26), 제1 조절부, 및 제2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2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판(s21)을 복수 개 포함한다.
또한, 지지체(21)는 일측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져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 유아가 앉을 수 있게 지지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체(21)는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plate)가 수직으로 소정 간격씩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덮개부(11)의 하부를 튼튼하게 받쳐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힙 시트(1)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진 복수의 지지판(s21)을 용이하게 접어서 그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힙 시트(1)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유아를 앉히고자 하면, 복수의 지지판(s21)을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서 덮개부(11)의 밑을 지지하게 하므로 유아의 엉덩이가 덮개부(11) 상부에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게 한다.
한편, 지지체(21)는 지지판(s21)의 개수를 4개, 6개, 또는 10개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지지체(21)는 지지판(s21)이 8개로 구성되므로, 접었을 때 전체 두께가 적당하고 펼쳐 수직을 유지하기에 간편하며 지지판(s21)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다.
지지연결부(2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s21) 일측을 기준으로 지지판(s21) 타측이 부채꼴 형상으로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잡아주는 띠(band)로, 폭이 좁고 긴 헝겊이나 가죽,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즉, 지지연결부(22)는 지지판(s21) 타측의 상호 간격이 너무 벌어지거나 너무 가까이 접하지 않고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지지연결부(22)는 지지판(s21) 타측과 박음질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외관이 보기 좋게 공지된 여러 기술을 이용하여 지지연결부(22)가 복수 지지판(s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착탈부(23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1) 외곽 일측에 구비된다.
더욱 자세하게 제2 착탈부(23a)는 지지판(s21) 중 가장 외곽에 있는 2개의 지지판(s21) 각각에 제1 착탈부(13a)에 대응하여 받침부(13) 내측을 바라보는 곳에 설치된다.
이때, 제2 착탈부(23a)는 제1 착탈부(13a)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결속이 용이한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데, 벨크로(velcro) 타입 또는 스냅 단추 타입일 수 있다.
참고로, 벨크로(velcro) 타입은 일명 찍찍이라고 부르는데, 갈고리와 걸림고리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 옷이나 신발 등을 여밀 때 많이 사용한다.
스냅 단추 타입은 일명 똑딱이 단추라고 부르기도 하고, 볼록하게 튀어나온 수단추와 오목한 암단추로 이루어져 암단추에 수단추를 끼워 고정하는 결속수단이다.
제1 허리밴드부(24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연결부(22) 일측에서 연장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싼다.
또한, 제1 허리밴드부(24a)는 소정 탄력을 가지고 있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면서 신축되어 적당한 힘으로 허리를 압박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가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1 허리밴드부(24a)는 상기 제1 허리밴드부(24a) 내에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조절부는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보호자의 허리 맞게 제1 허리밴드부(24a)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허리밴드부(24a) 내에 구비된다.
이때, 제1 조절부는 공지된 다양한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2 허리밴드부(24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허리밴드부(24a)와는 반대방향으로, 지지연결부(22) 타측에서 연장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싼다.
또한, 제2 허리밴드부(24b)는 소정 탄력을 가지고 있어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면서 신축되어 적당한 힘으로 허리를 압박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가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2 허리밴드부(24b)는 상기 제2 허리밴드부(24b) 내에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조절부는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보호자의 허리 맞게 제2 허리밴드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허리밴드부(24b) 내에 구비된다.
이때, 제2 조절부는 제1 조절부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1 밴드체결부(25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허리밴드부(24a) 끝단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2 밴드체결부(25b)와 결속되거나 해제된다.
즉, 제1 밴드체결부(25a)는 벨트나 혁대 등에 사용되는 버클(buckle) 타입일 수 있고, 제2 밴드체결부(25b)와 암수로 각각 분담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밴드체결부(25a)는 보조허리밴드부(26) 일측과 버클 타입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제2 밴드체결부(25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허리밴드부(24b) 끝단에 설치되어 제1 밴드체결부(25a)와 결속되거나 해제된다.
즉, 제2 밴드체결부(25b)는 벨트나 혁대 등에 사용되는 버클(buckle) 타입일 수 있고, 제1 밴드체결부(25a)와 암수로 각각 분담하여 탈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2 밴드체결부(25b)는 보조허리밴드부(26) 타측과 버클 타입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보조허리밴드부(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로, 보호자의 뒤쪽 허리 부근에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재용 보호구이다.
또한, 보조허리밴드부(26)는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 사이에 개입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패드(pad) 타입이다.
또한, 보조허리밴드부(26)는 일측이 제1 밴드체결부(25a)와 버클 타입으로 체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고, 타측이 제2 밴드체결부(25b)와 버클 타입으로 체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1)는 파우치부(10) 내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20)를 꺼내서 제1 착탈부(13a)에 제2 착탈부(23a)를 결속하고, 받침부(13)를 수직으로 눕혀 보호자의 배에 안착시키며, 제1 허리밴드부(24a) 및 제2 허리밴드부(24b)를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로 상호 체결한 후, 덮개부(11)가 복수의 지지판(s21) 상부 테두리 부분에 의해서 지지되는 동시에 복수의 지지판(s21)를 덮어 수평이 유지되게 하여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를 손에 들고 다니고 싶을 경우, 제1 밴드체결부(25a) 및 제2 밴드체결부(25b)로 상호 분리한 후 제1 착탈부(13a)에서 제2 착탈부(23a)와의 결속을 풀고 지지판(s21)을 일방향으로 접어 힙지지부재(20)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파우치부(10) 내에 힙지지부재(20)를 수납시킨다.
이때, 접이식 힙 시트(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을 파우치부(10)가 감싸고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고 외관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호자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를 손에 들고 다니기 편리하게 파우치부(10) 일측에 손잡이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힙 시트(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지지체(21)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판(s21)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완전히 채워진 밀폐 구조일 경우보다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지나친 부피감으로 그 외관이 저해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21)의 분리가 쉬워 휴대하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파우치부(10)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1)의 바깥을 감싸고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고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접이식 힙 시트
10 : 파우치부 11 : 덮개부
13 : 받침부 13a : 제1 착탈부
20 : 힙지지부재 21 : 지지체
22 : 지지연결부 23a : 제2 착탈부
24a : 제1 허리밴드부 24b : 제2 허리밴드부
25a : 제1 밴드체결부 25b : 제2 밴드체결부
26 : 보조허리밴드부

Claims (4)

  1.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한 접이식 힙 시트에 있어서,
    플랫(flat) 타입의 덮개부와 받침부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부와 받침부의 일측 경계를 따라 개폐되는 파우치부, 및 상기 파우치부 내부에 수납되는 힙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받침부 내측에 제1 착탈부를 구비하며,
    상기 힙지지부재는 소정 두께로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한 지지체가 일측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판 타측을 소정 간격 벌어지도록 지지연결부가 잡아주며, 상기 제1 착탈부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체 일측에 제2 착탈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연결부 일측에서 제1 허리밴드부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연결부 타측에서 제2 허리밴드부가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1 밴드체결부, 및 상기 제2 허리밴드부 끝단에 제2 밴드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착탈부에 상기 제2 착탈부를 결속하여 상기 받침부가 보호자의 배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제1 허리밴드부 및 제2 허리밴드부가 상기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밴드체결부 및 제2 밴드체결부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의해서 지지되어 수평이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체결부 및 제2 밴드체결부 사이에 개입되어 보호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패드(pad) 타입의 보조허리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판이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부 및 제2 착탈부는 벨크로(velcro) 타입 또는 스냅 단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 시트.
KR1020180066736A 2018-06-11 2018-06-11 접이식 힙 시트 KR10202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36A KR102029588B1 (ko) 2018-06-11 2018-06-11 접이식 힙 시트
PCT/KR2018/007323 WO2019240319A1 (ko) 2018-06-11 2018-06-28 접이식 힙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736A KR102029588B1 (ko) 2018-06-11 2018-06-11 접이식 힙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588B1 true KR102029588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736A KR102029588B1 (ko) 2018-06-11 2018-06-11 접이식 힙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9588B1 (ko)
WO (1) WO20192403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20B1 (ko) *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74Y1 (ko) * 2021-04-06 2023-11-22 주식회사 다이치 접이식 힙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51Y1 (ko) 2009-11-27 2010-10-20 신고은 유아용 힙시트
KR101829876B1 (ko) *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KR20180035105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071Y2 (ja) * 1993-10-20 1996-07-03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抱き具
JP3035203B2 (ja) * 1995-12-21 2000-04-24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GB2456152A (en) * 2008-01-04 2009-07-08 Tomy Uk Ltd Bag convertible to a booster seat
KR200482177Y1 (ko) * 2016-05-24 2016-12-27 기원플러스 주식회사 유아용 아기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51Y1 (ko) 2009-11-27 2010-10-20 신고은 유아용 힙시트
KR20180035105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KR101829876B1 (ko) *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120B1 (ko) *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319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775B2 (en) Travel nursing pillow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US20090199343A1 (en) Portable Breastfeeding and Nursing Pillow
US5715535A (en) Apparatus for cradling a baby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JP2002105713A (ja) ベビーキャリアー
KR102029588B1 (ko) 접이식 힙 시트
US20070157392A1 (en) Baby support wrap system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1552712B1 (ko) 아기 운반용 외출가방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473837Y1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2283780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CN219289098U (zh) 一种婴幼儿背带
KR102341649B1 (ko)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
KR102335879B1 (ko) 탈부착 지지판을 가진 아기캐리어 허리벨트
KR101446751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KR200364173Y1 (ko) 배낭형 유아용 포대기
KR20070023495A (ko) 통기성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