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105A -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105A
KR20180035105A KR1020170001747A KR20170001747A KR20180035105A KR 20180035105 A KR20180035105 A KR 20180035105A KR 1020170001747 A KR1020170001747 A KR 1020170001747A KR 20170001747 A KR20170001747 A KR 20170001747A KR 20180035105 A KR20180035105 A KR 2018003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base
link
locking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윤여환
강지영
김주호
박도형
백재호
임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18,87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49754B2/en
Publication of KR2018003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베이비 캐리어가 개시된다. 개시된 베이비 캐리어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밴드; 상기 몸체부 하부에 연결되는 허리 밴드; 상기 허리 밴드에 결합되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하중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조절유닛이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나머지 자세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어깨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깨 밴드와 허리 밴드로 전가되는 하중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을 수 있는 아기띠는 아기를 앉히면 수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사용자의 어깨에 하중이 집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어깨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아기의 체중이 사용자의 허리 및 골반으로 분산되도록 아기를 안을 수 있는 힙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힙시트는 아기의 체중이 대부분 사용자의 허리에 집중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기띠와 힙시트는 특정 신체 부분에 아기의 체중이 집중되어 장시간 착용시 사용자가 통증을 느낀다.
한편 아기띠와 힙시트를 결합한 구조의 경우, 아기띠 모드로 사용하는 중에 힙시트 모드로 전환하려면, 아기띠의 착용을 해제하고 안고 있던 아기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힙시트를 결합해야 한다. 반대로 힙시트 모드로 사용하다가 아기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힙시트에 앉아 있는 아기를 내려놓고 허리띠 착용을 해제한 후 힙시트를 분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아기띠와 힙시트 간의 모드 전환이 번거롭고, 모드 변환 시에는 아기를 내려 놓아야 하므로 신속한 모드 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중조절유닛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신속하게 전환하여 어깨 밴드와 허리 밴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밴드; 상기 몸체부 하부에 연결되는 허리 밴드; 상기 허리 밴드에 결합되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하중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조절유닛이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나머지 자세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어깨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이 변경되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어깨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의 연결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지 않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하중을 받아 상기 허리 밴드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상기 베이스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하는 힙시트(hip seat); 및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홈은 상기 록킹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홈 및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상기 제1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힙시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 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홈의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캠면(cam surfac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힙시트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는 상기 힙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힙시트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힙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타단이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베이스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스냅 결합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스냅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힙시트가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세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힙시트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의 일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및 제2 링크 중 어느 하나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돌기가 스냅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힙시트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링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제3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링크와 트러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링크와 중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힙시트는 상기 제2 링크와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힌지부가 상기 제1 자세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힙시트는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리 밴드는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결합돌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깨 밴드는 길이 조절을 위한 당김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어깨 밴드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머리받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기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센싱하는 기저귀 상태 센싱유닛;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기저귀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가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몸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센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 센싱유닛은, 아기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에어 튜브; 및 상기 에어 튜브에 아기의 체중이 실릴 때 상기 에어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 밴드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단을 지지하는 분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분산시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어깨 밴드; 상기 어깨 밴드에 연결된 허리 밴드; 상기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상기 베이스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하는 힙시트(hip seat); 및 상기 베이스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상기 제2 자세에서 록킹 샤프트가 고정되는 제1 록킹홈; 및 상기 힙시트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된 제2 록킹홈;을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하중조절유닛의 힙시트가 제1 자세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베이비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b는 하중조절유닛의 힙시트가 제2 자세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베이비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하중조절유닛과 허리 밴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하중조절유닛과 허리 밴드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b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중조절유닛의 힙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표시된 F-F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8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는 또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a는 또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표시된 H-H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10에 표시된 G-G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a는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표시된 J-J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c은 도 12에 표시된 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표시된 L-L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4에 표시된 K-K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또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N-N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c은 도 16에 표시된 M-M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어깨 밴드 또는 허리 밴드에 구비되는 당김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후면 고정부재가 어깨 밴드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도 19에 표시한 O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b는 도 19에 표시한 O 부분의 후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c는 도 20b에 표시된 P-P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에 센싱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센싱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를 이용한 아기와 기저귀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은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1)는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하중조절유닛(100)을 조작하여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20b)와 허리 밴드(30)로 동시에 전달되는 아기의 체중을 적절한 비율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기의 체중으로 인해 어깨나 허리에 통증이 집중되지 않도록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하중조절유닛(100)을 통해 선택적으로 하중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하중조절유닛의 힙시트가 제1 자세 및 제2 자세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1)는 몸체부(10),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 허리 밴드(30), 머리받침(50) 및 하중조절유닛(100)이 포함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사용자가 베이비 캐리어(1)를 사용하여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힙과 몸체를 지지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상부 양측에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가 연결되고, 하부에 허리 밴드(30)가 연결된다.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는 각각 사용자의 양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체결부재(4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40)는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제1 및 제2 벨트(42a, 42b)와, 제1 및 제2 벨트(42a, 42b)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스냅 결합되는 한 쌍의 버클(41, 4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을 양 어깨에 매고 체결부재(40)의 한 쌍의 버클(41, 43)을 채우면 베이비 캐리어(1)를 상체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아기를 안으면,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아기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허리 밴드(30)는 전방의 상단이 몸체부(10)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베이비 캐리어(1) 착용 시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싼다. 허리 밴드(30)는 베이비 캐리어(1)의 착용 및 착용 해제가 용이하도록 전술한 버클과 같은 스냅 결합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허리 밴드(30)는 내측에 고정판(31)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31)은 몸체부(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허리 밴드(30)의 대략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판(31)은 하중조절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자세에서 후술하는 힙시트(130)를 통해 아기의 체중을 허리 밴드(30)로 전달한다. 고정판(31)과 힙시트(130)는 아기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판(31)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중조절유닛(100) 허리 밴드(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베이스(11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하는 힙시트(130)와,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힙시트(130)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부(20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허리 밴드(30)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지만 베이스(11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허리 밴드(30)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전면 상부에 힙시트(130)의 일단부가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도 2a와 같이,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접철된 상태를 제1 자세라고 하며, 도 2b와 같이,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제2 자세라고 한다. 상기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와 제2 자세를 취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와 허리 밴드(30)에 아기 체중에 의해 각각 가해지는 하중의 정도가 달라진다.
이 경우 아기 체중의 대부분은 허리 밴드(30)보다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가 베이비 캐리어(1)를 장시간 사용하면, 사용자의 허리보다 어깨에 더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어깨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아기를 안은 채로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로 변경시키면, 힙시트(130)가 몸체부(10)에 가해지는 아기의 체중을 받아 허리 밴드(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작용하던 하중의 상단 부분이 허리 밴드(30)로 분산되면서 사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로 일정 시간 사용함에 따라 허리에 통증을 느끼면,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로 변경시켜 몸체부(10)를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허리에 가해진 하중의 상당 부분을 어깨로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와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로 변경시킴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와 허리 밴드(30)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 체중으로 인한 하중이 사용자의 어깨나 허리 중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해당 부분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하중조절유닛과 허리 밴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하중조절유닛과 허리 밴드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b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허리 밴드(30)는 하중조절유닛(100)을 허리 밴드(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판(31)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31)은 허리 밴드(30)의 전방 내측에서 사용자의 배와 허리 일부를 감싸도록 허리 밴드(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판(31)은 전면에 허리 밴드(30)의 외측으로 노출된 복수의 결합돌기(34)를 포함한다. 복수의 결합돌기(34)는 각각, 고정판(31)으로부터 돌출된 핀부(22)와, 상기 핀부(22)의 선단에 핀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헤드부(23)로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허리 밴드(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전면에 힙시트(1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베이스(110)는 허리 밴드(30)의 복수의 결합돌기(34)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홀(111)은 반지름이 다른 원이 상하로 일부 중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결합홀(111)은 상측에 형성된 원(133)이 하측에 형성된 원(132)보다 작게 형성된다.
각 결합홀(111)의 하측 원(112)은 결합돌기(34)의 헤드부(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34)의 헤드부(33)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다. 각 결합홀(111)의 상측 원(113)은 결합돌기(34)의 핀부(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핀부(32)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다.
하측 원(112)과 상측 원(113)이 만나는 부분의 폭은 결합돌기(34)의 핀부(32)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가 고정판(31)에 결합 시 딸깍하는 소리와 느낌으로 안정적인 고정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결합홀(111)은 베이스(110)가 고정판(31)에 결합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110)를 고정판(31)에 결합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베이스(110)를 고정판(31)의 전면으로 이동시켜 결합홀(111)의 하측 원(112)으로 결합돌기(34)의 헤드부(23)를 통과시킨 후, 베이스(110)를 아래로 이동 시켜 결합홀(111)의 상측 원(113)에 결합돌기(34)의 핀부(32)가 걸리도록 한다. 베이스(110)를 고정판(31)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베이스(110)를 고정판(31)에 결합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10)는 사용자가 베이비 캐리어(1)를 착용 시 배의 굴곡에 대응하도록 하중조절유닛(100)이 배치되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소정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는 사용자의 배와 허리 일부에 밀착될 수 있으며, 제2 자세에서 힙시트(13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베이스(110)를 통해 배와 허리 일부로 대략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이비 캐리어(1)를 착용하는 경우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힙시트(130)는 중앙부(132)의 양측에 각각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131,133)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자세에서 경사부(131, 133)는 아기의 다리를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자세에서 힙시트의 양측이 돌출되지 않게 하여 아기의 신체(다리 또는 허벅지)가 닿지 않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허리 밴드(30)의 외측에는 베이스(1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분산판(35)이 배치된다. 제2 자세에서 힙시트(130)에 가해진 아기의 체중은 베이스(11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가 결합돌기(111)를 기준 점으로 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110)의 하단부가 허리 밴드(30)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기울어진 베이스(110)의 하단부의 모서리에 접촉되는 허리 밴드(30)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집중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허리 밴드(30)의 외측에 일단(35a)은 베이스(110)의 하단부를 받쳐주고, 타단(35b)은 허리 밴드(30)에 고정되는 분산판(35)을 배치할 수 있다. 분산판(35)은 고정판(31)과 이격을 두고 배치된다.
분산판(35)은 베이스(110)의 힙시트(130)와 힌지 연결되는 부분과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을 지지한다. 분산판(35)이 베이스(110)의 하단부(116)를 지지하기 위해서 고정판(31)의 하단부(116)는 분산판(35)을 배치하기 위해 오목한 배치홈(37)이 형성된다. 배치홈(37)은 분산판(35)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산판(35)과 고정판(31)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하단부(116)이 허리 밴드(30)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베이스(110)의 아래 부분을 분산판(35)이 지지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의 하단부(116)가 기울어지면서 어느 한 지점으로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산판(35)은 베이스(110)의 기울어진 하단부(116)의 모서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힙시트(130)에 가해진 하중은 분산판(35)에 의해 분산되어 사용자에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세유지부(200)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하중조절유닛의 힙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표시된 D-D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6에 표시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a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힙시트(130)가 접철된 제1 자세 및 펼쳐진 제2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자세유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유지부(200)는 록킹 샤프트(250)와 록킹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 샤프트(250)는 베이스(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배치된다. 자세유지부(200)는 힙시트(130)에 형성되며 록킹 샤프트(250)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전면 상부에는 힌지부(150)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110)에 힙시트(1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축(151)이 결합된다. 힙시트(130)의 후면 상부에는 힌지부(1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록킹 리브(270)가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록킹 리브(270)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왼쪽 록킹 리브(27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록킹 리브(270)의 일면(270a)에는 힌지 구멍(153)과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이 형성된다. 힌지 구멍(153)에는 힌지축(151)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는 베이스(110)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제1 및 제2 록킹홈(220, 2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힙시트(130)가 베이스에 접철되거나 펼쳐지는 제1 및 제2 자세에 따라 록킹 샤프트(250)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샤프트(250)는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접철되는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록킹홈(220)에 삽입되고,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펼쳐지는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제2 록킹홈(23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 샤프트(250)가 제1 또는 제2 록킹홈(220,230)에 삽입될 때 제1 또는 제2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록킹홈(220)은 힙시트(130)의 회동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록킹홈(220)은 제2 록킹홈(2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록킹홈(220)의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캠면(223)을 포함한다. 록킹 샤프트(250)가 고정될 수 있는 제1 록킹홈(220)의 고정부(225)는 캠면(223)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 록킹홈(220)의 가장 깊은 지점에서 록킹 샤프트(250)의 삽입부(255)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록킹홈(220)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록킹 샤프트(250)가 제1 록킹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 핸들(257)을 당기지 않고 힙시트(110)를 펼치는 동작만을 통해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록킹홈(230)은 록킹 샤프트(250)를 고정하기 위해 록킹 샤프트(250)의 삽입부(255)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록킹홈(230)의 지름은 록킹 샤프트(250)의 지름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힙시트(130)와 베이스(110)의 힌지 연결 구조 및 록킹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힙시트(130)는 베이스(110)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베이스(11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110)에 힌지 연결된다.
힌지축(151)은 힙시트(130)의 록킹 리브(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힌지축(151)의 일단은 록킹 리브(270)에 형성된 힌지 구멍(153)에 삽입된다. 힙시트(130)는 힌지축(15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베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축(151)은 베이스(110)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된 힌지부(150) 내측에 관통하여 배치된다.
베이스(110)는 상부에 힙시트(130)와 함께 회전하는 록킹 리브(270)가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홈(135)이 형성된다. 자세유지부(200)는 록킹 리브(27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과, 힌지축(151)의 외측 또는 회동홈(153)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에 선택적으로 탄력 결합되는 록킹샤프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 샤프트(250)는 축부(251), 삽입부(255) 및 록킹 핸들(257)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251)는 힌지부(150)의 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삽입부(255)는 축부(251)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축부(251)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축부(251)를 이동시키기 위한 록킹 핸들(257)이 결합된다.
삽입부(255)는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됨에 따라,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삽입부(255)는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제1 또는 제2 자세에 위치한 힙시트(130)를 고정시키고,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에서 빠져나오면 힙시트(130)가 제1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나머지 하나의 자세로 변경 가능한 상태가 된다.
탄성부재(253)는 힌지부(150)의 일부분의 내측에서 축부(2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253)는 축부(251)가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53)는 록킹 샤프트(250)를 록킹 리브(270) 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록킹 샤프트(250)는 제1 및 제2 록킹홈(220,230)이 형성된 록킹 리브(270)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록킹 핸들(257)은 제2 자세에서 록킹 리브(2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 삽입부(255)를 제2 록킹홈(230)으로부터 인출한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는 펼쳐진 채로 유지되던 상태가 해제되어 베이스(110)에 접철될 수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b와 같이 힙시트(130)는 제1 자세 베이스(110)에 접철된다. 제1 자세에서, 베이비 캐리어(1)의 몸체부(10)에는 아기의 체중이 실리면서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를 아래로 당기게 된다. 이 경우 아기의 체중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가해지는 하중은 허리 밴드(30)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더 크게 된다.
사용자가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로 설정한 상태에서 베이비 캐리어(1)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어깨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하여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의 상당부분은 허리로 전달함 따라 어깨에 가해지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단순히 힙시트(130)를 베이스(110)로부터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자세에서의 힙시트(130)에 대한 고정은 해제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힙시트(13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록킹 샤프트(250)의 삽입부(255)는 제1 록킹홈(220)의 고정부(225)에서 빠져 나와 캠면(22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록킹홈(220)을 빠져 나오게 된다. 이어서 삽입부(255)는 힙시트(130)와 함께 회전하는 록킹 리브(270)의 일면(270a)을 슬라이딩 한다.
힙시트(130)가 완전히 펼쳐진 제2 자세에 위치하게 되면, 도 7c와 같이, 록킹 샤프트(250)의 삽입부(255)는 제2 록킹홈(23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는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되면, 몸체부(10)에 실린 아기의 체중은 힙시트(130)를 통해 허리 밴드(30)로 전달됨에 따라,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를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가해진 하중이 허리 밴드(30)로 분산된다. 따라서 허리 밴드(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가해지는 하중보다 더 크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전환하게 되면, 사용자는 어깨에 가해지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로 설정한 상태로 베이비 캐리어(1)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허리에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신속하게 변경함으로써, 허리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는 록킹 핸들(257)을 도 6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제2 록킹홈(230)에 삽입된 록킹 샤프트(250)의 삽입부(255)는 제2 록킹홈(23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로 힙시트(130)를 접철 방향으로 회전하면, 삽입부(235)는 탄성부재(253)에 의해 록킹 리브(270)의 일면(270a)을 가압한 상태로 슬라이딩 하다가 제1 록킹홈(220)의 캠면(223)을 따라 제1 록킹홈(230)으로 삽입된다. 삽입부(235)가 계속해서 제1 록킹홈(220)의 캠면(223)을 따라 슬라이딩 하다가 제1 록킹홈(230)의 고정부(225)에 삽입되면, 힙시트(130)는 베이스(110)에 접철되어 하중조절유닛(100)은 제1 자세로 변경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은 다양한 구조의 자세유지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하중조절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7c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중조절유닛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8은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a는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표시된 F-F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8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9c를 참조하면,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자세유지부(300)는 힙시트(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350)와, 베이스(110)에 형성되며 록킹 샤프트(350)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록킹홈(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자세유지부(300)의 록킹 샤프트(350)는 힙시트(130)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록킹홈(320, 330)은 베이스(110)에 형성된다. 록킹 샤프트(250)가 베이스(110)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록킹홈(220, 230)은 힙시트(130)에 형성된 도 6의 실시예의 록킹 구조와 차이가 있다.
베이스(110)는 힌지 구멍(153)과 제1 및 제2 록킹홈(320, 330)이 형성된 록킹 리브(370)을 포함한다. 록킹 리브(37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서 힙시트(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록킹 리브(370)는 베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록킹 리브(370)는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록킹 샤프트(350)는 록킹 리브(370)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록킹 샤프트(350)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53)에 의해 록킹 샤프트 수용부(380) 내에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록킹 샤프트 수용부(380)는 힙시트(130)에 형성되고, 록킹 샤프트 수용부(380)는 록킹 리브(370)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록킹홈(320)과 제2 록킹홈(330)은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록킹 리브의 일면(370a)에 형성된다. 록킹 리브의 일면(370a)은 록킹 샤프트 수용부(380)와 인접한 면이다.
제1 및 제2 록킹홈(320, 3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힙시트(130)가 베이스에 접철되거나 펼쳐지는 제1 및 제2 자세에 따라 록킹 샤프트(350)가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샤프트(350)는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접철되는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록킹홈(320)에 삽입되고,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펼쳐지는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제2 록킹홈(33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록킹 샤프트(350)가 제1 또는 제2 록킹홈(320,330)에 삽입될 때 제1 또는 제2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록킹홈(320)은 제2 록킹홈(330)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힙시트(130)가 제2 자세를 유지할 때, 록킹 샤프트(350)는 록킹 리브(370)의 아래쪽에 형성된 제2 록킹홈(330)에 삽입된다.
제1 록킹홈(320)과 제2 록킹홈(330)은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록킹홈(320)과 제2 록킹홈(330)은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록킹홈(320)과 제2 록킹홈(330)의 지름은 록킹 샤프트(350)의 지름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된다.
록킹 샤프트(350)는 축부(351), 삽입부(355) 및 록킹 핸들(357)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351)는 록킹 리브(370)의 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삽입부(355)는 축부(351)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제1 및 제2 록킹홈(320,3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축부(351)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축부(351)를 이동시키기 위한 록킹 핸들(357)이 결합된다.
삽입부(355)는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됨에 따라, 제1 및 제2 록킹홈(320,3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삽입부(355)는 제1 및 제2 록킹홈(320,3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제1 또는 제2 자세에 위치한 힙시트(130)를 고정시키고, 제1 및 제2 록킹홈(320,330)에서 빠져나오면 힙시트(130)가 제1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나머지 하나의 자세로 변경 가능한 상태가 된다.
탄성부재(353)는 샤프트 수용부(380)의 일부분의 내측에서 축부(3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53)는 축부(351)가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53)는 록킹 샤프트(350)를 록킹 리브(370) 측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록킹 샤프트(350)는 제1 및 제2 록킹홈(320,330)이 형성된 록킹 리브(370)면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록킹 핸들(357)은 제2 자세에서 록킹 리브(3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 삽입부(355)를 제2 록킹홈(330)으로부터 인출한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는 펼쳐진 채로 유지되던 상태가 해제되어 베이스(110)에 접철될 수 있다.
록킹 샤프트(350)는 힙시트(130)가 제2 자세로 펼쳐질 때,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록킹 샤프트(350)는 힙시트(130)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되어야 한다. 힙시트(130)가 펼쳐진 상태에서, 록킹 핸들(357)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힙시트(130)를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시킬 때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에서 나머지 자세로 변경될 때, 삽입부(355)는 제1 록킹홈(320) 또는 제2 록킹홈(330)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어서 삽입부(355)는 록킹 리브(370)의 일면(370a)을 슬라이딩하면서 힙시트(130)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삽입부(355)는 탄성부재(353)에 의해 록킹 리브(37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힙시트(130)가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에 위치하면 삽입부(355)는 제1 록킹홈(320) 또는 제2 록킹홈(33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9b와 같이, 힙 시트(130)가 제1 자세에 위치하면 삽입부(355)는 제1 록킹홈(320)에 삽입 고정되고, 도 9c와 같이 힙 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하면 삽입부(355)는 제2 록킹홈(330)에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은 제1 자세에서, 록킹부(300)는 베이스(110)와 힙시트(130)가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록킹 핸들(357)은 베이비 캐리어(1)의 힌지부(1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힌지부(150)가 하중조절유닛(100)의 연결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되면 하중조절유닛(100)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를 유지할 때, 록킹 샤프트(350)는 제1 록킹홈(320)에 삽입된다. 힙시트(130)가 접힌 상태에서 록킹 샤프트(350)는 록킹 리브(370)의 위쪽에 형성된 제1 록킹홈(320)에 삽입된다.
제1 록킹홈(320)은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자세로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록킹 샤프트(350)를 제1 록킹홈(320)에서 빼내야 한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b와 같이 힙시트(130)는 제1 자세 베이스(110)에 접철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는 록킹 샤프트(350)를 도 9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록킹 핸들(357)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는 제1 록킹홈(320)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 상태로 힙시트(13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부(355)는 탄성부재(353)에 의해 록킹 리브(370)의 일면(370a)을 가압한 상태로 슬라이딩 하다가 제2 록킹홈(330)으로 삽입된다.
힙시트(130)가 완전히 펼쳐진 제2 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도 9c와 같이,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는 제2 록킹홈(330)에 삽입 고정된다. 록킹 샤프트(350)가 제2 록킹홈(330)에 삽입됨에 따라, 힙시트(130)는 제2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사용자는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 록킹 샤프트(350)를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록킹 핸들(357)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록킹 샤프트(350)의 삽입부(355)는 제2 록킹홈(33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로 힙시트(130)를 절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부(355)는 탄성부재(353)에 의해 록킹 리브(370)의 일면(370a)을 가압한 상태로 슬라이딩 하다가 제1 록킹홈(320)으로 삽입된다.
도 10는 또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a는 또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표시된 H-H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c는 도 10에 표시된 G-G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자세유지부(400)는 제1 록킹홈(420)이 제2 록킹홈(430)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제1 및 제2 록킹홈(420, 4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힙시트(130)를 제1 자세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록킹홈(420)이 힙시트(130)를 제2 자세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록킹홈(430)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10에 도시된 또 다른 록킹 구조에 의한 하중조절유닛은 제1 록킹홈(420)이 제2 록킹홈(430)보다 위쪽에 형성된 도 8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고정될 때, 도 11c와 같이, 록킹 샤프트(450)는 힌지 구멍(153) 보다 위쪽에 형성된 제2 록킹홈(430)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록킹 샤프트(4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록킹 샤프트(450)는 힙시트(130)의 외측면상에 배치된다.
록킹 핸들(457)이 제2 자세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잘못된 작동에 의해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서 고정이 해제되는 위험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록킹부(400)는 제1 자세에서 힙시트(130)의 외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록킹부(400)가 외부에 노출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를 유지할 때, 도 11b와 같이, 록킹 샤프트(450)는 제1 록킹홈(420)에 삽입된다. 힙시트(130)가 절첩된 상태에서 록킹 샤프트(450)는 고정 브래킷(470)의 힌지 구멍(153)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제1 록킹홈(420)에 삽입된다.
제1 록킹홈(420)은 록킹 샤프트(450)의 삽입부(45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자세로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록킹 샤프트(450)를 제1 록킹홈(420)에서 인출해야 한다.
사용자는 록킹 핸들(457)을 도 1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서 제1 자세로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록킹 핸들(457)이 제1 자세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중조절유닛(100)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편리하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a는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표시된 J-J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c은 도 12에 표시된 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중조절유닛(100)을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하도록 조작할 수 있는 자세유지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유지부(500)는 일단이 상기 힙시트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힙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부재(51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10)의 일단(512a, 512b)은 힙시트(130)에 힌지 연결되며,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은 제1 자세에서 힙시트(1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자세에서 베이스(110)된다. 지지부재(5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510)의 일단(512a, 512b)은 힙시트(130)에 형성된 삽입홈(5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지지부재(510)는 펼쳐진 힙시트(130)로부터 베이스(110)까지 회전 가능하다. 힙시트(130)의 타단(514)은 베이스(110)에 형성된 지지홈(513)에 거치된다.
지지부재(510)의 일단은 힙시트(130)에 배치되고, 지지부재(510)의 타단은 베이스(110)에 거치되어, 힙시트(130)를 제2 자세에 고정할 수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도 13b와 같이, 지지부재(510)의 일단(512a, 512b)은 힙시트(130)에 힌지 연결되며,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은 힙시트(130)에 형성된 수용홈(51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도 13c와 같이, 지지부재(510)의 일단(512a, 512b)은 힙시트(130)에 힌지 연결되며,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은 베이스(110)에 형성된 지지홈(513)에 거치된다.
힙시트(130)와 베이스(110)가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150)에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1, 535)는 힌지축(151) 상에 배치된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힙시트(130)에 배치되고,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베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와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힙시트(130)에 형성된 스냅결합 수용부(515)에 배치되고, 탄성부재(533)와 제2 스냅 결합부재(535)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제2 스냅 결합부재(535)와 인접하지 않는 면에 탄성부재(533)가 배치된다. 탄성부재(533)는 제1 스냅 결합부재(531)가 제2 스냅 결합부재(53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힙시트(130)와 함께 회전할 때, 제2 스냅 결합부재(535)를 가압한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일단은 탄성부재(533)와 접촉하고,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타단은 제2 스냅 결합부재(535)와 접촉한다.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타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532)가 형성된다.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힌지축(151)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힌지부(150)에 배치된다. 제2 스냅 결합부재(535)의 제1 스냅 결합부재(531)와 접촉하는 일단에는,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돌기(532)에 결합 가능한 홈(536)이 형성된다. 돌기(532)와 홈(536)은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된다. 힙시트(130)가 제1 또는 제2 자세에서 회전하면, 힙시트(130)의 회전에 의해 제1 스냅 결합부재(531)가 회전한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1, 535)의 결합은 해제된다. 회전한 힙시트(130)가 다시 제1 또는 제2 자세에 위치하면,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1, 535)는 상호 스냅 결합된다.
힙시트(130)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되는 경우, 힙시트(130)의 회전에 따라,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힙시트(130)와 함께 회전한다. 힙시트(130)의 제1 자세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1, 535)는 상호 스냅 결합되어 있지만,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이 회전하면, 제1 스냅 결합부재(531)의 돌기(532)와 제2 스냅 결합부재(535)의 홈(536)이 상호 결합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제2 스냅 결합부재(535)와 인접한 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즉, 제1 스냅 결합부재(531)는 탄성부재(533)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할 면,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상호 스냅 결합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30)를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할 때, 사용자는 단순히 힙시트(13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자세에서의 힙시트(130)에 대한 고정은 해제된다.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가 상호 스냅 결합되어 힙시트(130)를 제2 자세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을 힙시트(130)로부터 분리하여, 베이스(110)의 지지홈(513)에 거치시키면,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이 베이스(110)에 거치되어, 힙시트(130)를 제2 자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510)는 제2 자세에서 힙시트(130)를 지지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될 때, 사용자는 베이스(110)에 거치된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을 지지홈(513)에서 분리시켜, 힙시트(130)의 수용홈(515)에 고정시킨다. 지지부재(510)의 타단(514)을 힙시트(130)로 이동시켜, 제2 자세에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록킹이 해제된 힙시트(130)는 제1 자세로 접힐 수 있다.
힙시트(130)가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는 상호 스냅 결합하여, 힙시트(130)를 제1 자세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535)에 의한 고정력은 사용자가 손으로 힙시트(130)를 펼치면 고정이 해제될 정도이다.
도 14는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a는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표시된 L-L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4에 표시된 K-K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자세유지부(600)은 일단이 베이스(110)와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610)와, 일단이 힙시트(13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링크(610)의 일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630)로 구성된 지지부재(600)를 포함한다.
제1 링크(610)의 일단에는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축(613)이 배치되고, 제1 링크(610)의 중간 부분에는 제2 링크(6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3 힌지축(650)이 배치된다. 제1 링크(610)의 일부에는 제2 자세에서 제2 링크(630)와 스냅 결합되는 돌기(615)가 형성된다. 제1 링크(610)의 돌기(615)는 제3 힌지축(650)보다 위에 형성된다.
제2 링크(630)의 일단에는 힙시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축(633)이 배치되고, 제2 링크(630)의 중간 부분에는 제1 링크(6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3 힌지축(650)이 배치된다. 제2 링크(630)의 일부에는 제2 자세에서 제1 링크(610)와 스냅 결합되는 홈(635)이 형성된다. 제2 링크(630)의 홈(635)은 제3 힌지축(650)보다 아래에 형성된다.
제3 힌지축(650)은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는 제3 힌지축(650)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된다.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는 제2 자세에서 일부가 중첩되어 일직선상으로 배치된다.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에 의해 힙시트(130)는 제2 자세의 위치에서 접히지 않도록 지지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될 때, 사용자는 힙시트(130)를 펼쳐 제2 자세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링크(610, 630)가 상호 상호 스냅 결합하여, 힙시트(130)를 제2 자세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링크(630)는 상호 중첩되도록 접힌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될 때, 제1 및 제2 링크(630)는 제3 힌지축(650)으로 연결된 부분이 베이스(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링크(610)는 제2 링크(630)와 연결된 제3 힌지축(650)이 베이스(110)와 결합한 제1 회전축(613)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힌다. 제2 링크(630)는 제1 링크(610)와 연결된 제3 힌지축(650)이 힙시트(130)와 결합한 제2 회전축(633)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힌다.
사용자는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가 연결된 제3 힌지축(650) 부분에 베이스(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2 자세에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록킹이 해제된 힙시트(130)는 제1 및 제2 링크(630)가 상호 중첩되도록 접히면서, 베이스(110)에 절첩된다.
제1 및 제2 링크(610, 630)가 서로 중첩되도록 접힘으로써, 힙시트(130)와 베이스(110)가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을 도 15b 및 도 1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일 때, 힙시트(130)가 베이스(110)에 접철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일 때, 베이스(11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포개어진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30)를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단순히 힙시트(130)를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자세에서의 힙시트(130)에 대한 고정은 해제된다. 사용자가 힙시트(130)를 펼치면, 제1 및 제2 링크(610, 630)는 힙시트(130)와 베이스(110)의 사이에서 회전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610)는 힙시트(13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링크(630)는 힙시트(130)가 펼쳐지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제1 링크(610)의 돌기(615)가 제2 링크(630)의 홈(635)에 스냅 결합된다.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가 스냅 결합됨에 따라, 힙시트(130)는 제2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사용자는 하중조절유닛(100)을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 제1 링크(610)와 제2 링크(630)의 스냅 결합을 해제한다. 스냅 결합이 해제된 제1 링크(610)는 힙시트(130)가 제1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링크(610)는 힙시트(13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3b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610, 630)는 서로 중첩 배치되도록 회전한다.
도 16은 또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2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a는 또 다른 구조의 지지부재를 통해 제1 자세를 유지하는 하중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N-N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c은 도 16에 표시된 M-M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조절유닛(100)의 자세유지부(700)는 제1 링크(710), 제2 링크(730) 및 제3 링크(750)로 구성된 지지부재(700)를 포함한다.
제1 링크(710)는 일단이 베이스(110)와 힌지 연결되고, 제2 링크(730)는 일단이 힙시트(13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링크(710)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고, 제3 링크(750)는 일단이 힙시트(130)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링크(7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링크(710)의 일단에는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축(711)이 배치되고, 제2 링크(730)의 일단에는 힙시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축(731)이 배치된다. 제1 링크(710)의 타단과 제2 링크(730)의 타단에는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를 연결하는 제3 힌지축(721)이 배치된다. 제3 힌지축(721)에 의해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 링크(710)의 타단의 후면에는 제2 링크(73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단(7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지지단(733)은 제1 링크(710)가 베이스(110)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단(733)은 제2 링크(730)의 후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3 링크(750)의 일단은 힙시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힌지축(751)이 배치된다. 제3 링크(750)의 타단은 제2 링크(730)의 중앙에 제2 링크(7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힙시트(130)가 제2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는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가 일직선상에 유지되도록, 제3 링크(750)는 제2 링크(730)를 지지한다.
제3 링크(750)는 제2 링크(730)를 지지하기 위해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힙시트(130)와 제2 링크(730)와 제3 링크(750)는 상호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힙시트(13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3 링크(750)에 가해지고, 제3 링크(750)는 제2 링크(730)와 제1 링크(710)가 일직선을 유지하게 고정시킨다.
제1 링크(71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730)에 대해 오른쪽, 왼쪽 측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제1 링크(710a, 7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링크(710)는 제2 링크(730)와 힌지 연결된다. 제3 힌지축(721)은 한 쌍의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를 함께 힌지 연결한다.
제2 링크(730)는 한 쌍의 제1 링크(7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링크(71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 링크(710)와 힌지 연결된다. 제2 링크(730)는 중앙 부분에 제3 링크(750)의 일단이 삽입되고, 제2 링크(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홀(737)이 형성된다. 이동홀(737)의 양측엔 제2 링크(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735)이 형성된다.
제3 링크(750)의 양 측면엔 제2 링크(730)의 가이드홈(735)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747)가 형성된다.
하중조절유닛(100)의 힙시트(110)가 제1 자세 및 제2자세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나머지 하나로 변경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될 때, 접혀있던 제1 링크(710)는 베이스(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고, 접혀있던 제2 링크(730)도 힙시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가 서로 일직선을 이룰 때, 사용자가 제3 링크(750)를 힙시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3 링크(750)는 제1 링크(710)와 제2 링크(730)가 일직선상에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제3 링크(750)는 제2 링크(730) 및 힙시트(130)와 함께 내측에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며, 힙시트(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링크(710), 제2 링크(730) 및 제3 링크(750)는 상호 중첩되도록 접힌다.
하중조절유닛(100)이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할 때, 사용자는 제3 링크(750)를 힙시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3 링크(750)를 제2 링크(7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제2 자세에 고정된 힙시트(13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링크(750)가 힙시트(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링크(730)와 힙시트(130)와 제3 링크(750)가 이루는 트러스 구조가 무너져 제2 링크(730)와 제1 링크(710)의 고정도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710)는 베이스(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링크(730)는 힙시트(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3 링크(750)는 제2 링크(730)의 이동홀(737) 내측에 배치되고, 제2 링크(730)는 한 쌍의 제1 링크(7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힙시트(130)가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1 내지 제3 링크(710, 730, 750)는 서로 중첩되도록 절첩된다. 및 제2 링크(730)는 제3 힌지축(721)으로 연결된 부분이 베이스(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링크(710)는 제2 링크(730)와 연결된 제3 힌지축(721)이 베이스(110)와 결합한 제1 회전축(711)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힌다. 제2 링크(730)는 제1 링크(710)와 연결된 제3 힌지축(721)이 힙시트(130)와 결합한 제2 회전축(731)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힌다.
제1 및 제2 링크(730)가 서로 중첩되도록 접힘으로써, 힙시트(130)와 베이스(110)가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다.
힙시트(130)에는 제2 링크(730)와 힌지 연결되는 제2 힌지 수용부(733)가 형성되고, 베이스(110)에는 제2 힌지 수용부(733)가 제1 자세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715)이 형성된다. 힙시트(130)가 제1 자세에 위치할 때, 제2 힌지 수용부(733)는 고정홈(715)에 삽입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힙시트(130)와 베이스(110)는 더욱 컴팩트하게 절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어깨 밴드 또는 허리 밴드에 구비되는 당김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밴드 조절장치에 고정링(27)을 추가적으로 부착한다. 일반적으로 기본 밴드(21)의 길이 조정 후 남은 밴드가 너덜거려 외관상 지저분해 보이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남는 여분의 밴드(21)를 고정링(27)으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링(27)을 적용한 경우에 밴드(21)의 길이 조절을 위해 당김 손잡이(25)을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당김 손잡이(25)를 당김 손잡이(25)는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 또는 허리 밴드(30)에 부착될 수 있다. 당김 손잡이(25)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 또는 허리 밴드(3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고정링(27)을 적용하여 밴드(21)의 길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반적인 기본 밴드(21)에 길이 조절을 위한 당김 손잡이(25)을 추가로 부착한다.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 또는 허리 밴드(30)의 길이를 조절할 때, 당김 손잡이(25)을 들어올리면 길이조절부재(23)와 기본 밴드(2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 후, 당김 손잡이(25)을 아래로 잡아 당기면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 또는 허리 밴드(30)의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길이 조절 후 남는 당김 손잡이(25)과 기본 밴드(21) 부분은 조절링(27)에 의해서 깔끔하게 정리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후면 고정부재가 어깨 밴드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1)는 후면에 체결부재(40)가 베이비 캐리어(1)의 앞쪽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체결부재(40)는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벨트(42a, 42b)와, 제1 및 제2 벨트(42a, 42b)의 일단부에 각각 버클(41, 43)이 구비된다. 버클(41, 43)에 의해 제1 및 제2 벨트(42a, 42b) 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사용자가 체결부재(40)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사용자 혼자서 베이비 캐리어(1)의 착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체결부재(4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40)가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베이비 캐리어(1)의 앞쪽에 고정되도록 한다.
체결부재(40)에는 자성을 띤 고정수단(45)이 구비되고,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도 체결부재(40)에 형성된 자석(45a)과 다른 극성의 자석(45b)이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부재(40)는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의 앞쪽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베이비 캐리어(1)를 착용할 때, 체결부재(40)가 항상 베이비 캐리어(1)의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체결부재(40)의 체결시 용이한 이점이 있다.
체결부재(40)를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자석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비 캐리어(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부재(40)가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이면 충분하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도 19에 표시한 O 부분과 O부분의 후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c는 도 20b에 표시된 P-P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a 내지 2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1)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머리받침(50)을 포함한다.
머리받침(50)은 베이비 캐리어(1)의 몸체부(30)와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에 배치된 레일(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레일(51)은 몸체부(30)의 일부와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의 일부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레일(51)은 몸체부(30)와 좌측 및 우측 어깨 밴드(20a, 20b)가 곡선으로 형성된 것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구부러진다. 레일(51)에는 레일(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53)이 형성된다. 복수의 홈(53)의 위쪽에는 머리받침(50)을 레일(5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5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52)는 레일(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레일(51)에는 머리받침(50)과 연결되고, 레일(51)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부재(55)가 배치된다. 이동부재(55)는 일측에 고정돌기(56)를 형성한 결합부(55a)와, 가이드부(52)가 삽입된 가이드홈(5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55)는 레일(51)의 가이드부(52)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부(52)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이동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57)은 이동부재(55)의 하단에 형성되고, 도 20b와 같이, 후면에서 봤을 때 이동부재(55)의 중간에 결합부(55b)가 형성되고, 이동부재(55)의 양단에 가이드 이동부(55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5a)가 중앙에 배치되어 이동부재(55)가 이동 후 특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0a와 같이, 전면에서 봤을 때, 이동부재(55)는 가이드 이동부(55b)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5a)는 가이드 이동부(55b) 보다 더 길게 연장 형성되고, 레일(51)의 홈(53)에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55a)의 일단에는 레일(5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56)를 포함한다. 도 20c와 같이, 고정돌기(56)는 레일(51)의 홈(53)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돌기(56)는 레일(51)의 홈(53)에 삽입될 수 있게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 레일(51)의 홈(53)의 폭이 고정 돌기(56)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고정 돌기(56)의 길이는 레일(51)의 폭보다 약간 더 짧게 형성된다. 이동부재(55)의 고정돌기(56)가 레일(51)의 홈(53)에 삽입됨에 따라, 머리받침(50)의 위치가 고정된다.
머리받침(50)은 레일(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동부재(55)의 일단은 머리받침(50)과 연결되고, 이동부재(55)의 타단은 레일(51)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동부재(55)가 레일(51)의 가이드부(52)에 따라 레일(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재(55)의 결합부(55a)의 고정돌기(56)가 레일(51)의 홈(53)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부재(55)는 그 위치에 고정되고, 머리받침(50)의 최종 위치가 고정된다.
머리받침(50)은 이동부재(55)와 연결부재(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4)는 머리받침(50)의 일부에 형성된다. 이동부재(55)에 연결부재(54)가 고리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연결홈(5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4)의 일단은 머리받침(5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54)에는 상호 스냅 결합될 수 있는 부재(54a, 54b)가 배치된다. 상기 부재는 상호 결합 가능한 부재면 충분하다. 연결부재(54)의 타단이 이동부재(55)의 연결홈(58)에 삽입되고, 부재(54a, 54b)가 상호 스냅 결합하면 머리받침(50)와 이동부재(55)는 서로 결합된다. 머리받침(50)은 연결부재(54)에 의해 이동부재(55)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베이비 캐리어(1)의 머리받침(5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에 따라, 아기의 발달 상황 및 자세에 따라 머리받침(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에 센싱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센싱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1)는 몸체부(30)에 아기를 지지하기 위한 센싱부(60)가 배치된다. 센싱부(60)는 아기띠 몸체부(10) 내부에 위치하여 아기의 신체가 센싱부(6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도 22을 참조하면, 센싱부(60)는 체중 센싱 유닛(61),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 프로세서(67), 통신부(69), 저장부(68)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60)는 아기의 엉덩이가 위치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에 배치된다.
체중 센싱 유닛(61)은 에어 튜브(62)와 압력 센서(61a)를 포함한다. 에어 튜브(62)에는 에어 튜브(62)의 내부와 압력 센서(61a)를 연결해주는 연결포트(62a)와 압력 센서(61a)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수용홈(62b)이 형성된다. 연결포트(62a)는 압력센서(61a)를 에어 튜브(62)의 내측에 연결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수용홈(62b)은 에어 튜브(62)의 내측에 연결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압력센서(61a)가 제1 수용홈(62b)에 배치되어 에어쿠션(62)의 압력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아기가 센싱부(60)에 앉기 전과 후의 에어 튜브(62)의 압력은 압력센서(61a)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된 값에 의해 아기의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아기가 앉혀지는 센싱부(60)가 에어 튜브(62)으로 이루어지고, 압력센서(61a)를 구비함에 따라,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1)에 앉았을 때 아기의 몸무게를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아기의 성장 과정에서의 몸무게를 알려줄 수 있다.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은 온도, 습도, 가스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이들의 통합센서(65)를 포함한다.
통합센서(65)는 상측 프레임(64a)과 하측 프레임(64b)내에 배치되어 크래들(66)에 삽입된 상태로 에어 튜브(62)의 내측에 배치된다. 에어 튜브(62)는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6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홈(62c)은 아기의 신체 또는 아기가 착용한 기저귀와 인접하도록 에어 튜브(62)의 중앙에 형성되도록 한다. 아기가 앉았을 때,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은 센싱부(60) 주변의 온도, 습도, 가스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6축 센서(가속도 + 자이로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어 아기띠 착용 시 기울어진 정도를 센싱할 수 있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를 이용한 아기와 기저귀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를 이용한 아기와 기저귀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아기의 기저귀와 인접하도록 부착된 센싱부(60) 및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를 포함한다. 이 때, 아기의 신체(또는 아기가 착용한 기저귀)에 인접하는 센싱부(60)는 기저귀 상태와 아기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60)는 온도, 습도, 가스 및 압력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60)는 아기의 기저귀에 인접하여 아기 기저귀의 상태 및 아기의 몸무게와 관련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센싱부(60) 는 측정된 아기 신호를 외부 기기(80) 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23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는 센싱부(60) 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외부 기기(80) 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아기의 몸무게를 계산하고, 아기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는 수신된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여 아기의 몸무게를 표시하고, 아기 기저귀의 상태를 날씨로 표현할 수 있다. 기저귀의 상태에 따라 해 상태, 구름 상태, 비 상태 및 천둥번개 상태 중 하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외부 기기(80)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인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 시에는 스마트 TV(Smart TV),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LED 불빛의 변화로 알림을 줄 수 있는 램프(미도시) 등 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60)는 체중 센싱 유닛(60),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 프로세서(67), 통신부(69), 저장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60)는 아기의 기저귀에 인접하여 아기 및 기저귀에 관한 복수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체중 센싱 유닛(60)는 아기의 몸무게에 관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61a)와 에어 튜브(62)로 구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61a)는 에어 튜브(62)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압력센서(61a)는 에어 튜브(62)의 압력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센서(61a)는 에어 튜브(62)을 통해서 변화되는 공기압, 힘의 크기 등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은 아기 기저귀 상태에 관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은 온도, 습도, 가스 센서 혹은 이들이 포함된 통합 센서(65)를 포함한다.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은 아기의 기저귀와 인접하여 기저귀의 온도, 습도, 가스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저귀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69)는 센싱부(60)와 외부 기기(80)를 연결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69)는 체중 센싱 유닛(60) 및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신호 또는 프로세서(67)에 의해 처리된 결과값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외부 기기(8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69)는 체중 센싱 유닛(60) 및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에 의해 측정된 아기에 대한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된 아기의 몸무게를 판단하거나, 아기 기저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에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68)는 체중 센싱 유닛(60) 및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67)는 아기 및 기저귀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체중 센싱 유닛(60) 및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67)는 측정된 복수의 신호를 외부 기기(80)에 송신하도록 통신부(69)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67)는 체중 센싱 유닛(60) 및 기저귀 상태 센싱 유닛(63)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생체 신호를 저장하도록 저장부(6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67)는 측정된 복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아기의 무게를 판단하거나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6은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아기의 상태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는 통신부(83), 저장부(85), 스피커(57), 디스플레이(59) 및 프로세서(8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는 센싱부(60)로부터 아기의 무게 및 기저귀에 대한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아기의 체중을 판단하거나 아기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PDA, 및 스마트 워치 등의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스마트 TV 등의 사용자가 휴대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LED 불빛의 변화로 알림을 줄 수 있는 램프 등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83)는 센싱부(60) 와 사용자의 외부 기기(80)를 연결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83)는 센싱부(60)에 의해 측정된 아기의 무게에 대한 신호와 아기 기저귀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1)는 통신부(83)가 수신한 압력 신호를 이용하여 아기의 몸무게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는 수신된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퍼지(Fussy)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아기의 몸무게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손쉽게 아기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몸무게 추정 및 기저귀 상태 파악 알고리즘은 외부기기의 프로세서(81)에서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몸무게 추정 및 기저귀 상태 파악 알고리즘은 베이비 캐리어(1)에 포함된 센싱부(60)의 프로세서(67)에서도 처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9)는 측정된 아기의 몸무게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1)는 통신부(83)가 수신한 복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아기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1)는 수신된 기저귀 상태에 관한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여 아기 기저귀의 상태를 날씨로 표현할 수 있다. 기저귀의 상태에 따라 해 상태, 비 상태, 구름 상태 및 천둥번개 상태 중 하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싱부(60)의 프로세서(67) 또는 외부기기(80)의 프로세서(81)에 의해 판단된 아기 기저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외부 기기(80)에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87)는 소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9)는 아기 기저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 (a)를 참조하면, 기저귀가 아직 깨끗한 상태로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해가 뜬 상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 26 (b)를 참조하면, 기저귀의 습도가 조금 올라간 상태로 소변을 소량으로 눴다고 의심해볼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 상태를 구름 상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 26 (c)를 참조하면, 아기 기저귀의 비가 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아기의 기저귀에 습도가 보다 높게 측정된 경우 비가 오는 날씨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26 (d)를 참조하면, 아기 기저귀의 천둥번개 상태를 나타낸다. 기저귀에 대변이나 많은 양의 소변 등의 배변이 있는 경우를 표시한다. 이 경우 스피커(87)를 통한 소리 알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 베이비 캐리어 10 : 몸체부
20: 어깨 밴드 30 : 허리 밴드
100 : 하중조절유닛 110 : 베이스
130 : 힙시트 151 : 힌지축
200, 300, 400, 500, 600, 700 : 자세유지부

Claims (29)

  1.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밴드;
    상기 몸체부 하부에 연결되는 허리 밴드;
    상기 허리 밴드에 결합되며,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하중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조절유닛이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나머지 자세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어깨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비율이 변경되는, 베이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어깨 밴드와 상기 허리 밴드의 연결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지 않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하중을 받아 상기 어깨 밴드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상기 허리 밴드로 분산시키는, 베이비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상기 베이스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하는 힙시트(hip seat); 및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부;를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은 상기 록킹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홈 및 제2 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상기 제1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제2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자세를 유지하는, 베이비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힙시트의 회동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비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2 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홈의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캠면(cam surface)이 형성된, 베이비 캐리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힙시트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샤프트가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샤프트는 상기 힙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는, 베이비 캐리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힙시트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힙시트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베이비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타단이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베이스에 거치되는, 베이비 캐리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스냅 결합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힙시트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되는 제2 스냅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는, 베이비 캐리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냅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힙시트가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베이비 캐리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힌지 연결되는 제1 링크; 및
    일단이 상기 힙시트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의 일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는, 베이비 캐리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 링크 중 어느 하나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돌기가 스냅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베이비 캐리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힙시트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링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제3 링크;를 더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2 링크와 트러스 구조로 배치되는, 베이비 캐리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링크와 중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중첩되는, 베이비 캐리어.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상기 제2 링크와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힌지부가 상기 제1 자세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구조를 지닌, 베이비 캐리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밴드는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조절유닛은 상기 결합돌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밴드는 길이 조절을 위한 당김 손잡이가 부착되는, 베이비 캐리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어깨 밴드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머리받침을 더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4. 제1항에 있어서,
    아기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센싱하는 기저귀 상태 센싱유닛;
    상기 센싱유닛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저귀의 상태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기저귀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가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베이비 캐리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아기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센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중 센싱유닛은,
    아기가 앉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에어 튜브; 및
    상기 에어 튜브에 아기의 체중이 실릴 때 상기 에어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아기띠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2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밴드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단을 지지하는 분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베이비 캐리어.
  29. 몸체부;
    어깨 밴드;
    [상기 어깨 밴드에 연결된 허리 밴드;]
    상기 몸체부 하부에 연결되는 허리 밴드;
    상기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접철되는 제1 자세와 상기 베이스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펼쳐지는 제2 자세로 회전하는 힙시트(hip seat); 및
    상기 베이스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서 상기 힙시트의 위치를 유지하는 자세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유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 샤프트;
    상기 제2 자세에서 록킹 샤프트가 고정되는 제1 록킹홈; 및
    상기 힙시트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록킹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이 형성된 제2 록킹홈;을 포함하는, 베이비 캐리어.
KR1020170001747A 2016-09-28 2017-01-05 베이비 캐리어 KR20180035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18,875 US10349754B2 (en) 2016-09-28 2017-09-28 Baby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1118P 2016-09-28 2016-09-28
US62/401,118 2016-09-28
US201662411766P 2016-10-24 2016-10-24
US62/411,766 2016-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05A true KR20180035105A (ko) 2018-04-05

Family

ID=6197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747A KR20180035105A (ko) 2016-09-28 2017-01-05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10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588B1 (ko) * 2018-06-11 2019-10-07 최예지 접이식 힙 시트
KR102072607B1 (ko) * 2018-08-09 2020-03-02 유동혁 유아용 캐리어 관리 시스템
KR102095918B1 (ko) * 2018-12-03 2020-04-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포대시트
KR102205261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KR102322421B1 (ko) 2021-04-02 2021-11-05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KR102341649B1 (ko) * 2020-06-24 2021-12-20 백효정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
KR20220002465U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다이치 접이식 힙시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588B1 (ko) * 2018-06-11 2019-10-07 최예지 접이식 힙 시트
KR102072607B1 (ko) * 2018-08-09 2020-03-02 유동혁 유아용 캐리어 관리 시스템
KR102095918B1 (ko) * 2018-12-03 2020-04-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포대시트
KR102205261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341649B1 (ko) * 2020-06-24 2021-12-20 백효정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힙시트
KR102297120B1 (ko) 2020-09-17 2021-09-01 채병식 절첩식 힙시트 구조
KR102322421B1 (ko) 2021-04-02 2021-11-05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WO2022211276A1 (ko) 2021-04-02 2022-10-06 남지영 아기용 폴딩 힙시트
KR20220002465U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다이치 접이식 힙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105A (ko) 베이비 캐리어
US10349754B2 (en) Baby carrier
JP6545245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5512880A (en) Wrist baby monitor
CA3017511C (en) Hands-free item carrying device
US20070284403A1 (en) Baby carrier
US20140027478A1 (en) Child carrier
US20220079795A1 (en) Spinal alignment component
US20040065704A1 (en) Adjustable load support-mounting device for a backpack
KR101536173B1 (ko)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백팩
KR101538963B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US20240167622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CN108272279A (zh) 抱婴带
US10172724B2 (en) Harness for upper extremity below-elbow prosthesis
CN109965603B (zh) 婴儿背带
EP3498134B1 (en) Baby carrier
US20110062197A1 (en) Harness with attachable umbrella
KR101538964B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AU2017276230B1 (en) Baby carrier
CN215304727U (zh) 一种便于调节的午睡枕
KR20180051269A (ko) 졸음용 턱 받침구
KR20160057887A (ko) 휴대용 통신기기 거치대
GB2514674A (en)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KR200320952Y1 (ko) 의자가 결합된 가방
JP2000093445A (ja) 腕支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