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963B1 -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 Google Patents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963B1
KR101538963B1 KR1020140112590A KR20140112590A KR101538963B1 KR 101538963 B1 KR101538963 B1 KR 101538963B1 KR 1020140112590 A KR1020140112590 A KR 1020140112590A KR 20140112590 A KR20140112590 A KR 20140112590A KR 101538963 B1 KR101538963 B1 KR 10153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ed
handle
fixing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riority to KR102014011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963B1/ko
Priority to PCT/KR2015/000297 priority patent/WO201603207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을 위한 바퀴를 장착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성인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X형태의 절첩수단인 접이유닛을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성인보행기는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볼륨을 줄일 수 있어 이동, 보관이 편리하고, 인체공학적 핸들 설계를 통해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성인보행기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어디서나 자유롭고 쉽게 간이 휠체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ADULT WALKING SUPPORTER AVAILABLE WHEELCHAIR}
본 발명은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X형 접이가 가능하여 휴대보관이 용이하고, 필요시 휠체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편의장치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가 개발되어 소개되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보행보조기로는 등록실용 제0456241호, 등록특허 제0817723호, 등록특허 제0821641호, 등록특허 제12224361호, 공개특허 제2012-0131884호 등 다양한 다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노약자용 보행기(이하 '성인보행기'라 함)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크게 (a)타입과, (b)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a)타입은 가장 일반적인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이며, (b)타입은 거동이 아주 불편한 노약자나 사고 등으로 하반신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의료용 보행보조기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하지만, 이들은 나름대로 제동브레이크나 사용자가 이동 중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된 것, 사용자의 소지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 등 다양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정작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점인 노약자 및 환자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제작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보행보조기의 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는 것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손잡이(10) 혹은 다리(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유일하다.
그러나, 단지 손잡이(10)이나 다리(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모두 해소할 수 없다.
이는, 키가 큰 사용자, 키가 작은 사용자, 왼쪽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 오른쪽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 다리와 동시에 팔도 불편한 사용자 또한 허리가 많이 굽은 사용자 등 사용자의 체형의 특성과 신체적 결함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보행습관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출원인 이를 개선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성인보행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도 3에 개시된 성인보행기의 경우에는 핸들부(30)가 상부프레임(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박거치대(34)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성인보행기를 간이 휠체어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간이 휠체어로 사용하기 위해 수납장(36)을 들어 내고 착좌할 수 있는 구조물을 안착시킨다고 하더라도 착좌시 일체형 핸들부(30)에 등쪽에 걸리기 때문에 착좌할 수 없어 간이 휠체어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간이 휠체어 사용시 등받이가 없어 사용상 불편함도 따른다.
이에 더하여, 성인보행기도 기술 발전에 힘입어 점차 경량화되고 있으며, 보관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접이형이 요구되지만, 현재 구조로는 접이가 불가능하여 사용상 불편함도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성인보행기를 필요시 간이 휠체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이고, 노인들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인보행기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동, 보관시 편리성을 제공하고,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형상유지성을 가지면서 무엇보다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행을 위한 바퀴를 장착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성인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X형태의 절첩수단인 접이유닛을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에는 관통공을 갖는 높이조절관이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관에는 핸들이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관은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관통공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에는 브레이크 레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이유닛은, 상기 고정대에 끼워고정된 높이조절관; 상기 높이조절관에서 돌출된 상부접이브라켓; 상기 상부접이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고정된 상부링크;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돌출된 하부접이브라켓; 일단은 상기 하부접이브라켓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링크의 단부에 힌지고정되는 하부링크; 상기 하부링크가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힌지 구속하는 중앙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대에는 고정대를 감싸는 형태로 레버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레버하우징에는 QR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수직하게 핸들축이 돌출되고, 상기 핸들축에는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서로 마주보는 안쪽으로 굴곡진 유선 형태로 모아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에는 착탈가능한 등받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벨트형태를 가지며, 일단 혹은 양단이 똑딱이 고리 혹은 벨크로파스너를 통해 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혹은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대에 구비된 고정키와 등받이의 일단에 구비된 키홀의 상호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는 받침로드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받침로드에는 하박거치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박거치대는 상기 받침로드에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고정되고, 타단은 원터치식 레버를 통해 끼웠다 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을 위한 바퀴를 구비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성인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2곡부재와, 상기 제1,2곡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힌지고정된 회전링크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2곡부재 외에 동일 형상을 갖고 회전링크를 통해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제3,4곡부재를 더 구비하되, 한 쌍의 제1,2곡부재와, 한 쌍의 제3,4곡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대에는 'ㄱ'형상의 안전손잡이가 돌출 연장된 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전손잡이의 절곡된 길이 일부에 고정되어 휠체어 사용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연결봉이 서로 연결구속하며,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하박거치봉이 고정되고, 상기 하박거치봉의 각 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핸들이 힌지 고정되며, 상기 하박거치봉에는 원터치식 레버를 통해 착탈가능한 하박거치대가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박거치대에는 휴대폰을 재치할 수 있는 휴대폰거치대가 탈착가능하게 더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성인보행기는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볼륨을 줄일 수 있어 이동, 보관이 편리하고, 인체공학적 핸들 설계를 통해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성인보행기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어디서나 자유롭고 쉽게 간이 휠체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성인보행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접이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핸들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핸들 조립구조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핸들 조립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핸들 조립구조의 또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등받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등받이의 다른 설치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를 구성하는 하박거치대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3a,b,c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의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의 특징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X형 접이방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상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높이 조절하게 설치되며 회동관절을 구비하는 독립형 핸들부를 제공한다.
둘째, 기존의 일체형 핸들부보다 하박거치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하박과 손과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관절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유선형으로 굽어지도록 하는 인체공학적 설계를 적용한다.
세째,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방향 사용가능하며 길이조절기능이 있는 양방향 등받이가 핸들부에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 고정장치가 각각의 독립형 핸들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네째, 하박거치대가 탈착이 간편하도록 하는 방법과 동시에 하박거치대가 상부프레임의 손잡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X형의 접이방식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하박거치대와 핸들부가 있어도 성인보행기를 간이 휠체어용도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개념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보행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 쌍의 하부프레임(100), 상기 각 하부프레임(100)에 고정된 바퀴(110), 상기 각 하부프레임(100)에 수직하게 고정된 한 쌍의 고정대(120) 및 상기 고정대(120)와 하부프레임(100) 상에 거치되며 탈부착가능한 수납대(1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성인보행기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보행기에도 구비되어 있는 기본 구성이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세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는 접이구조를 포함하는데, 접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100)과 한 쌍의 고정대(120)는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은 X형상을 이루는 접이유닛(20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측방으로 절첩, 즉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이유닛(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대(120)에는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높이 위치에 각각 끼워 고정된 높이조절관(1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140)의 외주면 일부에는 본 발명 성인보행기의 전방을 향해 걸이바(BAR)가 돌출되는데, 상기 걸이바(BAR)는 앞서 설명한 수납대(130)를 걸어 고정하거나 혹은 간이 휠체어로 사용할 때 의자 대용 수단을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1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대(120)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부접이브라켓(210)이 돌출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0) 상에는 상기 상부접이브라켓(210)과 동일방향으로 하부접이브라켓(230)이 돌출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접이브라켓(210)에는 상부링크(220)의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상기 하부접이브라켓(230)에는 하부링크(240)의 일단이 각각 힌지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링크(220)의 타단에는 상기 하부링크(240)의 타단이 힌지고정되는데, 이때, 한 쌍의 하부링크(240)는 서로 교차하면서 교차된 지점에서 중앙힌지(250)를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하부링크(240)는 상기 중앙힌지(250)를 기점으로 대략 'X'자 형태를 갖게 되며, 중앙힌지(250)를 중심으로 절첩, 즉 접었다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이유닛(2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는 접을 수 있어 볼륨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이동 보관이 자유롭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앞쪽단에 회전식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패들(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패들은 간이 휠체어로 전환 사용시 착좌한 사람이 발을 편하게 올려 놓도록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때문에, 평상시 성인보행기로 사용시에는 수납대(13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어둠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는 주지된 것이므로 굳이 도시 설명하지 않았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이조절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120)에는 T형상의 높이조절관(140)이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관(140)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2)에는 고정볼트(144)가 끼워져 상기 높이조절공(12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관(14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관(140)에서 T형태로 분기 돌출된 고정관(146)에는 핸들축(150)이 고정되며, 상기 핸들축(150)에는 핸들(160)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160)의 접이 구조는 통상적인 힌지구조로서, 주지관용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상기 핸들(160)에는 브레이크레버(16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레버(162)는 자전거에서 흔히 사용되는 패드식 브레이크로서 상기 브레이크레버(162)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와이어가 동작되면서 브레이크 패드의 작용에 의해 브레이킹 동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120)의 상단에도 동일한 접이 구조를 갖는 받침로드(17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로드(170)에는 하박거치대(180)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박거치대(180)는 미감을 갖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하박거치대(180)의 용도는 노약자가 주로 사용하는 관계로 양 팔을 올려 놓고 핸들(160) 잡은 상태로 성인보행기에 하중을 실은 상태로 보행토록 안내하는 수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대(120)에는 착탈식 등받이(300)가 더 구비되어 간이 휠체어로 전환하여 사용할 때 착좌자의 등쪽, 특히 허리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요부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60)을 변형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160)을 직선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양팔을 하박거치대(18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핸들(160)을 잡게 되면 사람의 신체 구조상 팔이 안쪽으로 모아지려고 하기 때문에 핸들(160)을 안쪽으로 굴곡지게, 다시 말해 안쪽으로 모아지게 도 6과 같이 형성하면 핸들(160)을 잡기 쉽고, 잡은 상태에서 운전할 때에도 매우 자연스러워 어깨 근육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이는 인체공학적인 특징을 적용한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160)을 유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는 도 7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7에 따르면, 고정대(120)에 레버하우징(H)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고, 레어하우징(H)에는 공지된 QR레버(QR)를 구비하여 QR레버(QR)를 180°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임의의 지점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QR레버(QR)를 들어 올리면 레버하우징(H)이 헐거워지기 때문에 고정대(120)에 대하여 레버하우징(H)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내리면서 눌러 고정하면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대(120)를 맞물어 견고히 고정되는 형태로 동작된다.
그리고, 핸들축(150)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노브(N)를 구비하고, 핸들축(150)의 단부에 유동핸들축(152)을 힌지결합하며, 유동핸들축(152)의 단부에 상기 힌지결합부와 각도를 갖고 어긋난 형태로 핸들브라켓(162)을 일체로 구비한 상태에서 이 핸들브라켓(162)에 핸들(150)을 힌지고정하면 핸들(150)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접을 수 있어 다양한 위치로 가변시킬 수 있다.
물론, 고정시에는 상기 고정노브(N)를 돌려 상기 유동핸들축(152)이 움직이지 않도록 나사체결하면 되며, 이 기능은 핸들(160)을 접어 둘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의 예에서, 상기 고정노브(N)와 유동핸들축(152)을 배제한 상태로 직접 핸들축(150)에 핸들(160)을 고정한 도 8과 같은 구조로도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QR레버(QR)를 이용한 핸들(160) 유동 구조는 도 9의 예시도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고정형으로 설명한 핸들부(16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성인보행기에서는 등받이가 굳이 필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된 간이 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에서는 휠체어 기능이 담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는 필요하다.
더구나, 본 발명처럼 X형 접이식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착좌시 뒤로 넘어질 우려가 크기 때문에 등받이의 존재는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다.
예컨대, 도 10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300)는 벨트식이 바람직하며, 예시와 같이 동일폭을 갖는 형태는 물론 길이 중앙부의 폭이 더 넓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좋다.
특히, 상기 등받이(300)는 양단을 모두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일단만 고정하고 타단은 묶었다 풀었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200)는 고정대(120) 중에서도 높이조절관(140) 상에 고정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QR레버(QR)를 구비한 레버하우징(H)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점 고정식의 경우 도 10의 예시와 같이, 일단은 제1걸이브라켓(BR1) 상에 끼워 걸은 후 똑딱고리 혹은 벨트로파스너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타단은 다수의 슬롯(SL)이 형성된 제2걸이브라켓(BR2)에 교호되게 끼워 넣은 후 당겨 쉽게 풀리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200)의 단부를 고정하는 형태나 방식은 다양하기 때문에 굳이 똑딱고리나 벨크로파스너 등과 같은 형태로 한정하여 설명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레버하우징(H)과 같이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에서는 상기 등받이(300)의 일단은 고정한 채 타단을 풀어 반대방향으로 180°돌리게 되면 등받이(300)의 고정위치를 바꿀수도 있다.
또한, 두 점 고정식의 경우에는 상술한 한 점 고정식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응용하면 두 점 모두 자유롭게 풀었다 묶었다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뿐만 아니라,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롯(SL)의 일부에 고정키(K)를 돌출시키고, 등받이(300)의 일단에는 키홀(KH)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SL)을 관통한 일단의 키홀(KH)에 고정키(K)가 꽂히게 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박거치대(18)는 받침로드(170)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었지만, 그 외에도 도 12에서와 같이, 하박거치대(180)의 일단을 분리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 따르면, 하박거치대(180)의 하단면 중 일단부에는 끼움관(182)을 일체로 구비하고, 타단부에는 공지된 원터치식 레버(186)를 구비한 원터치레버하우징(184)을 고정하여 설치시에는 끼움관(182)을 먼저 받침로드(170)에 끼워 고정하고, 하박거치대(180)를 회전시켜 원터치레버하우징(184)의 하단 개구부가 받침로드(170)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면 하단 개구부가 벌어지면서 받침로드(170)가 원터치레버하우징(184) 속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후, 원터치식 레버(186)를 제껴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하박거치대(180)를 분리하고 싶을 때에는 원터치식 레버(186)를 풀고, 하박거치대(180)를 들어 올리게 되면 원터치레버하우징(184)이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받침로드(170)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끼움관(182)을 회전축으로 하여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켜 사용하다가 다시 원위치시킬 때에는 상술한 방식으로 재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는 접이유닛(200)을 이용하여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볼륨을 줄일 수 있어 휴대, 이동, 보관이 쉽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핸들(160)을 상하좌우 자유롭게 접거나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현저히 증대된다.
이에 더하여, 핸들(160)을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간이 휠체어로 사용시 핸들(160)이 등에 닿지 않아 원활한 간이 휠체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간이 휠체어 사용시 등받이(300)를 더 구비함으로서 보다 안전한 착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하박거치대(180)의 위치를 상하회전시키는 형태로 유동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고정식으로 인한 문제들을 일소하고, 특히 간이 휠체어 사용시 방해 요소가 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본 발명 성인보행기의 접이식 구조는 도 13a와 같은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도 13a에 따르면, 접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100)과 한 쌍의 고정대(120)는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X형 접이유닛(200)을 사용하지 않고, 호형상을 갖는 곡(曲) 부재, 즉 휘어져보이는 한 쌍의 제1,2곡부재(CR1,CR2)를 이용하여 쉽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2곡부재(CR1,CR2)가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회전링크(RL)에 각각 힌지고정됨으로써 이를 기점으로 쉽고 빠르게 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대(120) 상에는 상기 제1,2곡부재(CR1,CR2)의 상측에서 천, 섬유 등의 직물로 된 착좌부(SE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좌부(SEA)는 필요한 경우, 하박거치대로 전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도 13b,c에서와 같이, 상기 제1,2곡부재(CR1,CR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3,4곡부재(CR3,C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착좌부(SEA) 지지력을 더욱 더 보강하면서 안전도를 더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들 제3,4곡부재(CR3,CR4)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도 상기 제1,2곡부재(CR1,CR2)와 동일한 회전링크(RL)가 연결되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접을 때 제1,2곡부재(CR1,CR2)는 휘어져 있는 안쪽으로 접히게 되고, 제3,4곡부재(CR3,CR4)는 휘어져 있는 바깥쪽으로 접히되는데, 제3,4곡부재(CR3,CR4)가 휘어진 반대로 접히더라도 회전중심인 회전링크(RL)에 대하여 접히는 것이므로 전혀 문제가 없다.
다만, 접어지는 방향 반대쪽으로는 제1,2,3,4곡부재(CR1,CR2,CR3,CR4)가 접히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회전링크(RL)은 종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착좌부(SEA)의 구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 ?좌부(SEA)의 양측에 안전손잡이(HAN)를 더 구비하고, 착좌시 이를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더 높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손잡이(HAN)는 고정대(120)와 하부프레임(100)을 대략 'ㄱ' 형상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착좌부(SEA)는 상기 안전손잡이(HAN)의 하측 일부와 상기 고정대(120)를 가로질러 견고히 결착된 지지봉(BO) 상에 재치되는 형태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손잡이(HAN)는 도 14의 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도 13b,c에서와 같이, 고정대(120)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50)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간이휠체어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착좌시 핸들(150)이 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 고정되어 있으면 착좌 행위에 불편이 따른다.
그렇지만,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핸들(150)을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간이휠체어로 사용할 때는 핸들(150)을 접어 착좌할 상측 공간을 빈 상태로 확보함으로써 간섭없이 쉽고 자유롭게 착좌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이 증진된다.
다른 예로, 도 12에서는 하박거치대(18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때 한 쪽만 뺐다 끼울 수 있는 원터치식 구조를 가졌지만, 도 15에서와 같이, 양쪽 모두를 끼웠다 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도 12 및 도 15에서 사용되는 원터치식 구조는 도 15에 사시도 형태로 예시한 바와 같이, 원형상의 원터치레버하우징(184)의 일측 상단에는 끼움홈(184a)이 절개 형성되고, 라운드진 길이 일부는 접을 수 있도록 일부 절단된 상태에서 하우징힌지(184b)를 통해 조립되며, 상기 끼움홈(184a)에는 원터치식 레버(186)에 링크된 샤프트(184c)가 끼워지고, 상기 샤프트(184c)의 단부에는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임노브(184d)가 나사체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때문에, 조임노브(184d)를 조이거나 풀어 끼움홈(184a)에 샤프트(184c)를 끼웠다 빼기 쉽고, 이로 인해 하박거치대(180)의 장탈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인보행기는 도 16에서와 같이, 도 4의 형태를 변형시켜 좀 더 편리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고정대(120)의 상단을 연결봉(180a)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봉(180a)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하박거치봉(180b)을 고정 연장하며, 상기 하박거치봉(180b)의 단부에 회전가능한 핸들(160)을 힌지고정하는 형태로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박거치봉(180b)에는 하박거치대(180)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데, 그 착탈가능한 조립구조는 앞서 설명한 도 15의 원터치식 구조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7에서와 같이, 상술한 하박거치대(180)의 일측면에는 휴대폰고정대(180c)를 장탈착 가능한 구조로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휴대폰고정대(180c)의 단부에는 휴대폰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폰거치대(180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한 성인보행기는 그 기능과 특성에 따라 다변화시킴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0: 하부프레임 200: 접이유닛
300: 등받이

Claims (15)

  1. 주행을 위한 바퀴를 장착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성인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X형태의 절첩수단인 접이유닛을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연결봉이 서로 연결구속하며,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하박거치봉이 고정되고, 상기 하박거치봉의 각 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핸들이 힌지 고정되며, 상기 하박거치봉에는 원터치식 레버를 통해 착탈가능한 하박거치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브레이크 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유닛은, 상기 고정대에 끼워고정된 높이조절관; 상기 높이조절관에서 돌출된 상부접이브라켓; 상기 상부접이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고정된 상부링크;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돌출된 하부접이브라켓; 일단은 상기 하부접이브라켓에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링크의 단부에 힌지고정되는 하부링크; 상기 하부링크가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힌지 구속하는 중앙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서로 마주보는 안쪽으로 굴곡진 유선 형태로 모아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착탈가능한 등받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벨트형태를 가지며, 일단 혹은 양단이 똑딱이 고리 혹은 벨크로파스너를 통해 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거나 혹은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대에 구비된 고정키와 등받이의 일단에 구비된 키홀의 상호 끼움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9. 삭제
  10. 삭제
  11. 주행을 위한 바퀴를 구비한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성인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2곡부재와, 상기 제1,2곡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힌지고정된 회전링크를 통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의 상단은 연결봉이 서로 연결구속하며,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연장된 하박거치봉이 고정되고, 상기 하박거치봉의 각 단부에는 회전가능한 핸들이 힌지 고정되며, 상기 하박거치봉에는 원터치식 레버를 통해 착탈가능한 하박거치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2곡부재 외에 동일 형상을 갖고 회전링크를 통해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제3,4곡부재를 더 구비하되, 한 쌍의 제1,2곡부재와, 한 쌍의 제3,4곡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ㄱ'형상의 안전손잡이가 돌출 연장된 후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전손잡이의 절곡된 길이 일부에 고정되어 휠체어 사용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박거치대에는 휴대폰을 재치할 수 있는 휴대폰거치대가 탈착가능하게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KR1020140112590A 2014-08-27 2014-08-27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KR10153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90A KR101538963B1 (ko) 2014-08-27 2014-08-27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PCT/KR2015/000297 WO2016032073A1 (ko) 2014-08-27 2015-01-12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90A KR101538963B1 (ko) 2014-08-27 2014-08-27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65A Division KR101538964B1 (ko) 2015-05-20 2015-05-20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963B1 true KR101538963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90A KR101538963B1 (ko) 2014-08-27 2014-08-27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8963B1 (ko)
WO (1) WO20160320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92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2692B1 (ko) * 2021-08-25 2022-05-30 노운규 다기능 보행차
KR20220119800A (ko) * 2021-02-22 2022-08-30 김진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4554A (zh) * 2019-10-24 2020-01-10 河北化工医药职业技术学院 配设有辅助行走装置的轮椅
CN112545847B (zh) * 2020-10-30 2022-08-12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康养护理用带有两用式结构的手扶架及其实施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562U (ja) * 1997-09-29 1998-04-14 忠壹 羅 四輪歩行器
JP2000142419A (ja) * 1998-11-05 2000-05-23 Uchie Kk 折りたたみ式歩行器
JP2002067972A (ja) * 2000-08-29 2002-03-08 Pigeon Corp 歩行補助具
JP2005230031A (ja) * 2004-02-17 2005-09-02 Daisho Sangyo Kk 歩行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821U (ja) * 1982-02-25 1983-09-06 株式会社啓愛義肢材料販売所 椅子式歩行器
JPH0347562U (ko) * 1989-09-18 1991-05-02
KR20110107052A (ko) * 2010-03-24 2011-09-30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보행보조차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562U (ja) * 1997-09-29 1998-04-14 忠壹 羅 四輪歩行器
JP2000142419A (ja) * 1998-11-05 2000-05-23 Uchie Kk 折りたたみ式歩行器
JP2002067972A (ja) * 2000-08-29 2002-03-08 Pigeon Corp 歩行補助具
JP2005230031A (ja) * 2004-02-17 2005-09-02 Daisho Sangyo Kk 歩行補助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92A (ko)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65786B1 (ko) * 2017-05-10 2019-04-04 주식회사 엔티로봇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19800A (ko) * 2021-02-22 2022-08-30 김진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102541389B1 (ko) * 2021-02-22 2023-06-07 김진호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KR102402692B1 (ko) * 2021-08-25 2022-05-30 노운규 다기능 보행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073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963B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US8424731B2 (en) Child carrier
KR101538964B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US20140183831A1 (en) Walking aid device with foldable seat
WO2015056111A1 (en) Counterweight pillow sling sleeping aid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JP6545245B2 (ja) ベビーキャリア
EP0662292B1 (en) Baby/child carrier
KR101019660B1 (ko) 보행 보조기
JP3754623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KR200486215Y1 (ko) 노약자와 환자 전용 전동안전보행기
KR101877437B1 (ko)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JP5479649B1 (ja) 車椅子用身体支持具
JPH07222623A (ja) 座高調節機能を有する子守帯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KR20170047904A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JP2015039633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4509333B2 (ja) 便器
KR200265520Y1 (ko) 의자겸용 목발
KR102286786B1 (ko) 척추지지용 의자
JPH0824045A (ja) 折畳み式いすと背負い袋の組合せ構造
KR102152141B1 (ko) 착탈식 가슴받침대를 포함하는 목욕의자
JP4057932B2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