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20Y1 - 의자겸용 목발 - Google Patents

의자겸용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20Y1
KR200265520Y1 KR2020010036024U KR20010036024U KR200265520Y1 KR 200265520 Y1 KR200265520 Y1 KR 200265520Y1 KR 2020010036024 U KR2020010036024 U KR 2020010036024U KR 20010036024 U KR20010036024 U KR 20010036024U KR 200265520 Y1 KR200265520 Y1 KR 200265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tch
crutches
chair
se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온
Original Assignee
김나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온 filed Critical 김나온
Priority to KR2020010036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20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1목발부와 상기 제1목발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2목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의자겸용 목발{a crutch with a chair}
본 고안은 의자겸용 목발 {a crutch with a chair}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목발을 사용하여 목발과 목발 사이에 보조의자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겸용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의 골절, 질병 등으로 인하여 다리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 또는, 신체 불구자들은 목발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목발은 알루미늄 또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성인용, 청소년용 등으로 구분되나 그 구조가 충격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환자들이 목발을 짚고 보행을 하다 보면 그 충격이 겨드랑이에 직접 전달되어 겨드랑이가 아프고 또 피로감을 많이 느껴, 목발을 오랫동안 짚을 수가 없어 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나 많은 활동을 원하는 신체 불구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 오르막이나 계단을 오를 때에는 목발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몸의 중심이 뒤로 쏠리게 되어 오르막 및 계단을 오르기가 무척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열차, 비행기, 버스와 같이 계단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환자가 뒤로 넘어질 우려가 있고, 또, 내리막을 내려갈 때, 또는 오르막을 오를 때 목발의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질 우려가 있어 환부를 악화시키거나 치료에 악영향을 끼치게 하고 심할 경우에는 또 다른 신체부위를 다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특히 택시 등과 같은 모든 소형차량, 버스, 비행기 등을 이용할 때 목발의 길이가 길어 휴대하기가 무척 힘들다. 또는 목발을 짚고 도로를 횡단할 때 환자들의 동작이 불편하여 신속한 행동을 취하지 못하는 관계로 빠른 속도로 도로를 횡단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야간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의자겸용 목발에 대한 일 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95-167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95-16718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에는,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스스로의 힘으로 보행하기 위하여 목발을 사용하려면, 먼저 손으로 손잡이부를 잡아서 어깨지지부를 겨드랑이에 끼운 뒤, 고정받침대의 일단으로 보행하는 바닥면을 지지하고 체중을 상기 목발에 의지하여 걷는다. 그러나, 목발 사용자마다 틀리겠지만, 조금만 걸어도 어깨지지부와 접촉되는 어깨부터 피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신으로 피로감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목발 사용자는 의자나 벤치에서 피로를 풀기 위하여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상기 의자나 벤치가 그리 넉넉하게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육체적으로 힘이 들어도 마땅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매우 불편함을느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발에 간이 의자로 쓸 수 있는 부품들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때는 간단한 조립으로 간이 의자로 사용하는 의자겸용 목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착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착석부를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보조다리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목발부 200 : 제 2 목발부
202 : 어깨지지부 204 : 골격부
206 : 손잡이부 208 : 보조다리
210 : 제 1 연결부 212 : 받침부
214 : 연결고리 216 : 볼트
218 : 제 2 힌지부 220 : 제 3 힌지부
300 : 착석부 302 : 고정부
304 : 지지부 306 : 제 1 힌지부
308 : 고리부 310 : 제 1 체결부
320 : 제 2 체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1목발부와 상기 제1목발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앉을 수 있는 착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2목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착석부 일측면에 지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1목발부의 골격부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있는 착석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1목발부와 연결되는 고리부와 착, 탈이 가능하고 제1목발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목발부에 고정되며, 보조다리 일측에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일정각도에서 고정시켜 주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는 보조다리가 제1목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링크부가 일측단부는 힌지고정되고, 다른 일측단부는 슬라이드 되어 제1목발부와 동일선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의자겸용 목발은 제1목발부(100), 제2목발부(200), 어깨지지부(202), 골격부(204), 손잡이부(206), 보조다리(208), 링크부(210), 받침부(212), 연결고리(214), 제3힌지(220), 착석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통상적인 목발 2개에 사용자가 착석 할 수 있는 착석부(300)를 목발과 목발 사이에 연결하여 의자겸용 목발을 실시한 것이다.
상기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는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는 한 쌍의 골격부(204)가 형성되고 상측단부에는 겨드랑이에 끼우고 사용되는 어깨지지부(20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격부(204) 중간부근 내측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6)가 설치되며, 상기 골격부(204) 하측단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받침부(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는 사용자가 의자로 사용 시에는 상기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들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 해주는 보조다리(208)가 상기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의 골격부(204) 일측에 포함되며, 상기 보조다리(208)에는 제1목발부(100)와 제2목발부(200)들과 보조다리(208)가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보조다리(208)가 일정 각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링크부(210)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210)의 일측단부는 상기 골격부(204)의 일측에 제3힌지(220)로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일측단부는 상기 보조다리(208)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고리(214)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목발부(100)에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착석부(30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착석부(300)는 사용자가 사용 시에는 제2목발부(200)와 조립하여 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 시에는 제1목발부(100)에 보관하여 목발로서의 기능으로 사용자가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의자겸용 목발은 고정부(302), 지지부(304), 제1힌지부(306)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의자겸용 목발에서 착석부(300)가 사용 시와 미사용 시에 동작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제1목발부(100)의 골격부(204) 일측에 제1힌지(306)로 고정되어 회동 가능한 지지부(304)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04)는 착석부(300) 하부 일측면에 고리형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02)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302)는 지지부(304)의 일측단부와 조립된다. 상기 착석부(300)의 회동에 따라 지지부(304)의 제1힌지(306)에 고정된 일측단부가 회동하여, 상기 착석부(300)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움직여 목발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는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착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의자겸용 목발은 고리부(308), 제1체결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착석부(300)의 일측면을 나타내며 상기 착석부(300)는 고리부(308)와 고정부(302) 그리고 제1체결부(310)로 구성된다.
상기 착석부(300)는 사각형 판으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양 끝단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일목발부(100)와 결합할 때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착석부(300)의 중앙에는 지지부(304)를 고정시키는 고정부(302)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착석부(300)를 미사용 시 제1목발부(100)에 보관될 때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고리를 제1목발부(100)에 걸어 주는 고리부(308)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308)는 착석부(300)와 결합되는 후방 쪽은 탄력을 가지는 밴드로 구성되고, 전방 쪽은 고리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목발부(100)의 일측에 상기 고리부(308)의 밴드가 팽팽할 정도로 해서 고리부(308)를 걸어 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300) 하부의 일측에는 제1체결부(310)가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310)는 상기 고리부(308)가 고정되고 나서 제1목발부(100)의 하부를 감싸서 고정시킨다. 상기 제1체결부(310)는 착, 탈이 가능한 형식이며 상기 제1목발부(100)를 완전히 감싸야 하므로 가죽과 같은 유동성이 좋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1체결부(310)의 체결방식은 착, 탈이 용이하고 간단히 하기 위해, 헝겁 같은데쓰이는 칙칙이를 사용한다.
상기 실시예는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착석부를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착석부(300)가 제1목발부(100)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 것이다. 상기 착석부(300)의 상부에 연결된 고리부(308)가 제1목발부(100)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착석부(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체결부(310)가 제1목발부(100)와 체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겸용 목발의 보조다리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서, 본 고안의 의자겸용 목발은 볼트(216), 제2힌지부(218), 제2체결부(320), 제3힌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제1목발부(100)의 골격부(204)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다리(208)의 취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조다리(208)는 골격부(204) 같은 재질을 사용하며, 골격부(204)에 고정되므로 골격부(204)와 같은 넓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다리(208)의 일측단부는 제1목발부(100) 골격부(204) 일측에 제2힌지부(218)에 볼트(216)로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다리(208) 중앙부근 일측에는 연결고리(214)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고리(214)는 보조다리(208)가 일정각도 이상 벗어나지 못하게 링크부(210)가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210)의 일측단부는 골격부(204)의 일측에 제3힌지(220)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일측단부는 연결고리(214)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골격부(204) 하부에는 제2체결부(320)가 구비되며, 제2체결부(320)는 보조다리(208)를 골격부(204)에 고정하는데 사용하며, 제1체결부(310)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다리(208)를 미사용 시에는 상기 보조다리(208)를 골격부(204)로 회동시키면 상기 연결고리(214)에 구비되어 있는 링크부(210)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골격부(204)와 동일선상으로 고정이 되고, 상기 골격부(204)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320)로 고정을 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다리가 불편한 목발 사용자가 오랜 시간 움직이다 보면 피로가 누적되어 힘들어하는데 의자겸용 목발을 사용하면, 의자겸용 목발 사용자가 이동하다가 간단하게 설치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피로를 풀 수 있어 편하다.
그리고, 상기 의자겸용 목발은 제작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설치 시, 설치가 용이하며, 미사용 시에도 간단하게 철수 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장애자가 사용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고, 일시적으로 다리가 불편한 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며, 회동 가능한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1목발부;
    상기 제1목발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착석할 수 있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와 연결되고, 목발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회동 가능한 보조다리를 포함하는 제2목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목발부의 골격부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착석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 일측면에 지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1목발부와 연결되는 고리부와 착,탈이 가능하고 제1목발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목발부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다리 일측에 구성되며, 회동되는 보조다리를 일정각도에서 고정시켜 주는 링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목발부에 구성되는 링크부는, 상기 보조다리가 제1목발부에 안착될 때, 상기 링크부가 일측단부는 힌지 고정되고 다른 일측단부는 슬라이드 되어 제1목발부와 동일선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목발.
KR2020010036024U 2001-11-22 2001-11-22 의자겸용 목발 KR200265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24U KR200265520Y1 (ko) 2001-11-22 2001-11-22 의자겸용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24U KR200265520Y1 (ko) 2001-11-22 2001-11-22 의자겸용 목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20Y1 true KR200265520Y1 (ko) 2002-02-21

Family

ID=7311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024U KR200265520Y1 (ko) 2001-11-22 2001-11-22 의자겸용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91B1 (ko) 2007-06-19 2008-09-17 윤소연 접이식 의자가 달린 목발
KR100864368B1 (ko) 2006-11-14 2008-10-17 백주현 접이식 보조의자 겸용 보행보조기구
KR200472698Y1 (ko) 2012-08-10 2014-05-19 서석윤 간이의자가 달린 목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68B1 (ko) 2006-11-14 2008-10-17 백주현 접이식 보조의자 겸용 보행보조기구
KR100858891B1 (ko) 2007-06-19 2008-09-17 윤소연 접이식 의자가 달린 목발
KR200472698Y1 (ko) 2012-08-10 2014-05-19 서석윤 간이의자가 달린 목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8004B2 (en) Mobility aiding device
US4953851A (en) Safety mobilizer walker
US5401045A (en) Wheelchair with a barrier-free footrest
US6601869B2 (en) Body support device for a stand-up wheelchair and wheelchair for said device
US4165127A (en) Therapeutic and rehabilitative carriage
US6056673A (en) Walking aid
US20050156395A1 (en) Rolling walker with arm rest platforms
US20030070702A1 (en) Inwardly folding rollator with an upwardly pivotable seat
US20050212255A1 (en) Wheelchair provided with legrest and calfrest
US5378215A (e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ambulatory patients
US5944338A (en) Wheelchair
US5123126A (en) Bed side commode
US5271422A (en) Safety walker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US5556120A (en) Amulatory wheelstand-wheelchair interface
US6220620B1 (en) Wheeled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chair
KR101999921B1 (ko) 접이식 보행보조기
KR200265520Y1 (ko) 의자겸용 목발
CN111494105B (zh) 一种辅助老人上下床装置
JP2001353193A (ja) 歩行補助器
JP4092095B2 (ja) 座付き松葉杖
JPH11290406A (ja) 歩行訓練具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09220855U (zh) 一种带有座椅垫的行走辅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