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918B1 - 유아용 포대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918B1
KR102095918B1 KR1020180153258A KR20180153258A KR102095918B1 KR 102095918 B1 KR102095918 B1 KR 102095918B1 KR 1020180153258 A KR1020180153258 A KR 1020180153258A KR 20180153258 A KR20180153258 A KR 20180153258A KR 102095918 B1 KR102095918 B1 KR 10209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anel
neck
support
ne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윤승규
박현우
박민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포대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영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부, 영유아의 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받침부, 및 상기 시트부와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 및 각도조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유아용 포대시트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영유아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목받침패널; 상기 목받침패널의 하부에 연결되어 영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등받이패널; 및 상기 목받침패널과 상기 등받이패널을 연결하며 상기 목받침패널의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포대시트{WRAPPING SEAT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포대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들을 앞으로 안거나 또는 옆으로 눕혀서 안을 경우에 상황에 따라서 목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포대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외출 시 아기들 부모나 보모가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사용 목적은 보모가 유아를 안락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보모의 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진 아기띠는 아기 다리를 노출되게 하면서 엉덩이를 감싸고 상부에는 아기 머리 받침대가 있는 한장의 포제(布製)와, 상기 포제 양측의 좌, 우 어깨띠와, 상기 포제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 및 분리되는 허리띠와, 상기 좌, 우 어깨띠 상단에 일단이 각 고정되어 서로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띠로 구성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상기 아기띠의 착용방식은 보모의 가슴 또는 등과 포제 사이에 아기를 위치시킨 다음 어깨띠를 어깨에 걸면서 연결띠를 체결하여 어깨띠의 착용을 완료하고 이어서 허리띠를 체결하여 포제가 "S"자 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등을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아기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아기의 다리는 표제 하단의 외부로 빠져나와 노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생후 4개월 이하의 목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들이 사용할 경우에 아기들의 목이 뒤로 젖혀지는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7831호(2014.09.2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유아를 앞으로 안거나 옆으로 안을때, 영유아의 목의 위치 또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영유아 목의 위치나 각도에 따라서 목받침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아이의 급격한 목꺽임을 방지하고 가장 편안한 자세로 유아를 안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는, 영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부, 영유아의 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받침부, 및 상기 시트부와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 및 각도조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유아용 포대시트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영유아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목받침패널; 상기 목받침패널의 하부에 연결되어 영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등받이패널; 및 상기 목받침패널과 상기 등받이패널을 연결하며 상기 목받침패널의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정장치는, 상기 목받침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각도조정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감속기어; 및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상부결합부에는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에는 베어링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정장치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해서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를 앞으로 안거나 옆으로 안을때, 영유아의 목의 위치 또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영유아 목의 위치나 각도에 따라서 목받침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아이의 급격한 목꺽임을 방지하고 가장 편안한 자세로 유아를 안고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의 내부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에서 목받침의 각도조정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를 보호자 앞으로 안았을 때 목받침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를 보호자 옆으로 눕혀서 안았을 때 목받침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의 내부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는 밴드(27)를 이용하여 보호자(P)가 앞으로 영유아를 안을 때 사용할 수도 있고, 옆으로 눕혀서 팔로 안을 수도 있다.
상기 유아용 포대시트는 크게는 영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부(25), 영유아의 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받침부(15), 및 상기 시트부(25)와 목받침부(15)의 내부에 내장되어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 및 각도조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장치(1)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25) 및 상기 목받침부(15)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스폰지나, 스티로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서, 영유아에게 편안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장치(1)는 영유아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목받침패널(10), 상기 목받침패널(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영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패널(20) 및 상기 목받침패널(10)과 상기 등받이패널(20)을 연결하며 상기 목받침패널(10)의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목받침패널(10)과 상기 등받이패널(20)은 영유아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받침패널(10)의 외부는 목받침부(15)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등받이패널(20)의 외부는 시트부(25)로 둘러싸여 있다.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에서 목받침의 각도조정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조정장치(30)는 상기 목받침패널(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31), 상기 상부결합부(31)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패널(20)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32), 상기 상부결합부(31)와 상기 하부결합부(32)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33), 상기 각도조정장치(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37), 상기 모터(37)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9), 상기 구동기어(39)에 치합하며 상기 힌지축(33)에 고정되는 감속기어(35) 및 상기 모터(37)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부(31)를 상기 하부결합부(32)에 대해서 회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힌지축(33)은 상기 상부결합부(31)에는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결합부(32)에는 베어링(34)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감속기어(35)는 상기 목받침패널(10)의 각도조정을 서서히 안정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37)로부터의 고속회전을 감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정장치(30)의 작동을 위해서 리모콘(5)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5)으로 보호자(P)가 목받침패널(10)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를 보호자 앞으로 안았을 때 목받침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시트를 보호자 옆으로 눕혀서 안았을 때 목받침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유아를 앞으로 해서 안을 때에는 목받침패널(10)의 각도를 등받이패널(20)의 기울어진 각도와 유사하게 유아의 후방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보호자가 리모콘(5)을 작동시키면, 모터(37)가 구동하여 구동기어(3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감속기어(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목받침패널(10)이 유아의 후방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유아를 옆으로 눕혀서 안고자 할 때에는 목받침패널(10)의 각도를 유아의 앞쪽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보호자가 리모콘(5)을 작동시키면, 모터(37)가 구동하여 구동기어(3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속기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목받침패널(10)이 유아의 전방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지지장치 5: 리모콘
10: 목받침패널 15: 목받침부
20: 등받이패널 25: 시트부
30: 각도조정장치 31: 상부결합부
32: 하부결합부 33: 힌지축
34: 베어링 35: 감속기어
37: 모터 39: 구동기어
40: 배터리

Claims (4)

  1. 영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부, 영유아의 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받침부, 및 상기 시트부와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 및 각도조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유아용 포대시트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영유아의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목받침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목받침패널; 상기 목받침패널의 하부에 연결되어 영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등받이패널; 및 상기 목받침패널과 상기 등받이패널을 연결하며 상기 목받침패널의 각도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정장치는,
    상기 목받침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 상기 상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각도조정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는 감속기어; 및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상부결합부에는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에는 베어링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장치의 작동 및 제어를 위해서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시트.
KR1020180153258A 2018-12-03 2018-12-03 유아용 포대시트 KR10209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58A KR102095918B1 (ko) 2018-12-03 2018-12-03 유아용 포대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58A KR102095918B1 (ko) 2018-12-03 2018-12-03 유아용 포대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918B1 true KR102095918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258A KR102095918B1 (ko) 2018-12-03 2018-12-03 유아용 포대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91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602U (ko) * 1994-07-25 1996-02-16 헤드레스트 각도 조정장치
KR970031811U (ko) * 1995-12-20 1997-07-24 각도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침대
KR19980031782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전, 후 조절장치
KR200299147Y1 (ko) * 2002-09-11 2003-01-03 김도형 머리받침대가 형성된 유아용 안전시트
US20050253440A1 (en) * 2004-03-23 2005-11-17 Toyo Seat Co., Ltd. Headrest-attached vehicle seat
KR200438960Y1 (ko) * 2007-11-27 2008-03-13 (주)한스이엔지 유아용 카시트
KR101447831B1 (ko)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180035105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602U (ko) * 1994-07-25 1996-02-16 헤드레스트 각도 조정장치
KR970031811U (ko) * 1995-12-20 1997-07-24 각도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침대
KR19980031782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전, 후 조절장치
KR200299147Y1 (ko) * 2002-09-11 2003-01-03 김도형 머리받침대가 형성된 유아용 안전시트
US20050253440A1 (en) * 2004-03-23 2005-11-17 Toyo Seat Co., Ltd. Headrest-attached vehicle seat
KR200438960Y1 (ko) * 2007-11-27 2008-03-13 (주)한스이엔지 유아용 카시트
KR101447831B1 (ko) 2013-08-08 2014-10-15 주식회사 다인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20180035105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739A (en) Adjustable baby head and body support
US5586351A (en) Infant support pad with adjustable pillow
US10736436B2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6739661B1 (en) Pivotable reclining child safety car seat
US5310245A (en) Cushion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US6481794B1 (en) Child safety car seat, protector, protector for child-care instrument, child-care instrument and bed for a newborn
US7530634B1 (en) Head support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US20120280540A1 (en) Reclining baby car carrier
JP2018531745A (ja) 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US20110043025A1 (en) Cervical support harness assembly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US20130088063A1 (en) Child Neck Support Apparatus for Seats
US8484782B2 (en) Infant bonding lap seat
US20060244299A1 (en) Adjustable infant head support
US20100288803A1 (en) Infant sleep sling
KR102095918B1 (ko) 유아용 포대시트
GB2512085A (en) Removable baby car seat liner with carrying handles
KR101491741B1 (ko) 수유용 의자
KR20200048690A (ko)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US20060208018A1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US11672358B2 (en) Holder including a vertical holding part
KR101790557B1 (ko) 다기능 아기띠
TW201210860A (en) Seat structure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 car safety seat
US20200101877A1 (en) Child safety seat with remote control reclining feature
GB2407968A (en) Baby support suspended from a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