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74Y1 - 접이식 힙시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힙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74Y1
KR200497474Y1 KR2020210001085U KR20210001085U KR200497474Y1 KR 200497474 Y1 KR200497474 Y1 KR 200497474Y1 KR 2020210001085 U KR2020210001085 U KR 2020210001085U KR 20210001085 U KR20210001085 U KR 20210001085U KR 200497474 Y1 KR200497474 Y1 KR 200497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hip
ho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465U (ko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to KR202021000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7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트의 이동을 통해 힙 지지부를 고정시켜 유아를 지지하거나, 힙 지지부의 고정 해제를 통해 힙시트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힙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아기띠의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속 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결속 부재의 인입이 가능한 제1 탈착구를 통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관 및 관통구와 제2 탈착구가 형성된 힌지 베이스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상기 아기띠의 본체를 보조하여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본체와 결합되면서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와 결속 프레임이 구비되는 힙 지지부; 상기 리브, 상기 힌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의 관통구, 상기 힌지 베이스의 제2 탈착구 및 상기 결속 프레임의 관통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힙시트{Hip seat for foldable}
본 고안은 접이식 힙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의 이동을 통해 힙 지지부를 고정시켜 유아를 지지하거나, 힙 지지부의 고정 해제를 통해 힙시트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힙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의 보호자는 두 팔로 아기의 체중을 지탱하며 아기를 돌보거나 안게 된다. 이러한 자세에서는 보호자의 팔이나 허리 등에 무리가 발생하여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자세로 장시간 아기를 돌보기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로 아기를 보호자의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하는 포대기 내지 아기띠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아기를 가슴에 안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아기를 앉히면 아기의 체중 대부분이 사용자의 어깨에 하중이 집중되는 구조로, 사용자의 어깨에 무리한 힘이 발생되고 장시간 편안한 자세로 아기를 돌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아기의 체중이 사용자의 허리 및 골반으로 분산되도록 아기를 안을 수 있는 힙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힙시트는 유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힙시트는 부피가 커서 사용할 때를 제외하면 휴대성이 떨어져 보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에는 유아를 지지하면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줄여 휴대성이 뛰어난 힙시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079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샤프트의 이동으로 힙 지지부를 고정하여 유아를 지지하면서도, 샤프트의 이동으로 힙 지지부의 고정을 해제시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힙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접이식 힙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아기띠의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속 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결속 부재의 인입이 가능한 제1 탈착구를 통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관 및 관통구와 제2 탈착구가 형성된 힌지 베이스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상기 아기띠의 본체를 보조하여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본체와 결합되면서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와 결속 프레임이 구비되는 힙 지지부; 상기 리브, 상기 힌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의 관통구, 상기 힌지 베이스의 제2 탈착구 및 상기 결속 프레임의 관통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힙 지지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파지되는 레버가 상기 결속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결속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결속 프레임과 상기 제2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일방향으로 유동된 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버가 당겨지지 않을 때 상기 제2 탈착구를 이루는 제1 인입구 및 제2 인입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1 인입구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상기 지지부 본체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2 인입구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 본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구속시켜 상기 지지부 본체로 상기 유아의 둔부 지지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한 상기 지지면의 각도로서, 상기 접이식 힙시트가 상기 유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면이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각도가 마이너스 각도가 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힙 지지부의 고정과 고정 해제를 통해 유아를 지지하거나 힙시트를 접어 보관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힙 지지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힙 지지부의 용이한 회전과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힙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할 때의 접이식 힙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접힌 상태의 접이식 힙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힙시트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힙시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이식 힙시트는 유아의 지지와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휴대성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부(100), 힙 지지부(200), 결합부(300), 제1 샤프트(400) 및 제2 샤프트(500)가 구비된다.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본체(110) 뿐만 아니라, 힙 지지부(200) 및 결합부(300)와 결합되기 위해 제1 탈착구(115), 베이스관(120) 및 힌지 베이스(130)가 구비된다.
제1 탈착구(115)는 결합부(300)와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해 베이스 본체(110)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후술될 결속 부재(320)가 인입 가능한 제1 공간(115a)과 제2 공간(115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공간(115a)은 결속부재(320)의 외주연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제2 공간(115b)은 결속 부재(320)의 외주연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되어 결속 부재(320)의 외주연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다.
이에, 제1 탈착구(115)는 결속 부재(320)가 제1 공간(115a)에 인입되어 제1 탈착구(115)와 결속 부재(320) 간의 결속이 이루어질 때 베이스부(100)와 결합부(300)가 결합되도록 하며, 베이스부(100) 또는 결합부(300)의 이동에 따라 결속 부재(320)가 제1 공간(115a)에서 제2 공간(115b)으로 이동되어 결속 부재(320)와의 결속이 해제될 때 베이스부(100)와 결합부(300) 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베이스관(120)은 힙 지지부(200)의 회전축인 제1 샤프트(400)의 관통이 이루어지도록 베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며, 이를 위해 제1 샤프트(400)의 관통이 가능한 관통구가 외측에 형성된다.
힌지 베이스(130)는 제2 샤프트(500)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베이스 본체(110)에 복수로 구비되고, 제1 샤프트(400)의 관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통구와 제2 샤프트(500)의 탈착이 가능한 제2 탈착구(135)가 외측에 형성된다.
제2 탈착구(135)는 제2 샤프트(500)가 인입 가능한 제1 인입구(135a)과 제2 인입구(135b)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인입구(135a)는 후술될 지지부 본체(210)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할 때 제2 샤프트(500)가 인입되는 공간이며, 제2 인입구(135b)는 지지부 본체(210)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설정된 각도(θ)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때 제2 샤프트(500)가 인입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제2 탈착구(135)는 후술될 결속 프레임(230)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만 제2 샤프트(500)가 제1 인입구(135a)로부터 이탈되어 제2 인입구(135b)에 인입되도록 하거나 제2 인입구(135b)로부터 이탈되어 제1 인입구(135a)에 인입되도록, 제1 인입구(135a)와 제2 인입구(135b)를 구획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힙 지지부(200)는 지지부 본체(210)가 구비되고, 지지부 본체(210)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구비면(211)과 유아의 둔부와 접촉이 이루어져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면(2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면(212)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평평한 형태 또는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구비면(211)에는 제1, 2 샤프트(400, 500)과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리브(220), 결속 프레임(230) 및 탄성부재(240)가 구비된다.
리브(220)는 지지부 본체(2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지지부 본체(210)의 강도를 강화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지면(212)에서 유아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리브(220)는 지지부 본체(210)의 강도 강화 뿐만 아니라 제1, 2 샤프트(400, 500) 각각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관통구(225)가 외측에 형성되고, 제2 샤프트(50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관통구(225)는 제2 샤프트(50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2 샤프트(5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 프레임(23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레버(235)가 구비되며, 레버(235)를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리브(220)가 연장형성된 방향(이하, '일방향'이라 함.)으로 유동될 때 제2 탈착구(135)에 인입된 상태의 제2 샤프트(500)가 제2 탈착구(135)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속 프레임(230)은 탄성 부재(240)의 조정 또는 교체 등을 위해 별도의 커버가 분리 결합되는 방식으로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결속 프레임(23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속 프레임(230)의 레버(235)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때 결속 프레임(230)에 탄성력을 가하여 결속 프레임(230)이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며, 레버(235)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지 않을 때에는 결속 프레임(23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면서 제2 샤프트(500)가 제2 탈착구(135)의 제1 인입구(135a) 또는 제2 인입구(135b)에 인입되도록 한다.
이때, 결속 프레임(230)의 원위치라 함은 결속 프레임(230)의 일측이 베이스관(120)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본 고안의 힙 지지부(200)는 결속 프레임(230)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지 않아 제2 샤프트(500)가 제2 인입구(135b)에 인입된 상태일 때 지지부 본체(210)가 기설정된 각도(θ)로 고정된다.
이때, 기설정된 각도(θ)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400)를 축으로 한 제1 샤프트(400)와 평행한 라인(A)으로부터 지지면(212)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라인(B)까지의 각도인 즉 제1 샤프트(400)를 축으로한 지지면(212)의 각도로서 10~6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기설정된 각도(θ)가 10~60 °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라인(A, B)은 지지부 본체(210)의 기설정된 각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선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설정된 각도(θ)가 유아를 평행하게 지지하기 위한 0°보다 큰 것은, 사용자가 접이식 힙시트를 착용한다 하여도 유아가 지지면(212)에 지지될 때 유아의 무게에 의해 접이식 힙시트가 조금이라도 기울어져 기설정된 각도(θ)보다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각도가 조금이라도 작아지기 때문이며, 이에 기설정된 각도(θ)가 0°인 경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각도가 마이너스 각도가 되어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접이식 힙시트가 유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0°보다 큰 각도 범위인 10~60 °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각도(θ)로 기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300)는 결합부 본체(310)가 구비되고, 결합부 본체(310)는 후술될 허리 밴드(30)에 착용되도록 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용면(311)과 베이스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3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착용면(311)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복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결합면(312)에는 베이스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결속 부재(32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결속 부재(320)는 제1 탈착구(115)의 제1 공간(115a)에 위치될 때 베이스부(100)와 결합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1 탈착구(115)의 제2 공간(115b)에 위치될 때 베이스부(100)와 결합부(300) 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제1 샤프트(400)는 힙 지지부(200)의 회전축을 이루도록 리브(220), 힌지 베이스(130) 및 베이스관(1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제2 샤프트(500)가 제1 인입구(135a)에 인입되거나 사용자가 레버(235)를 당김으로써 제1 인입구(135a) 및 제2 인입구(135b)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때 지지부 본체(21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 샤프트(500)는 힙 지지부(2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로서 리브(220), 힌지 베이스(130) 및 결속 프레임(2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사용자가 레버(235)를 당겨 결속 프레임(230)이 일방향으로 유동될 때 제2 탈착구(135)로부터 이탈되어 결속 프레임(230)과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2 샤프트(500)는 제2 탈착구(135)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235)를 당기지 않을 때 제1 인입구(135a)에 인입되면, 제1 샤프트(400)와 함께 지지부 본체(210)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제2 샤프트(500)는 사용자가 레버(235)를 당기지 않을 때 제2 인입구(135b)에 인입되면, 지지부 본체(210)가 기설정된 각도(θ)로 회전된 상태를 구속시켜 지지부 본체(210)로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이식 힙시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10)를 보조하여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결합부 본체(310)의 착용면(311)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본체(10)에 결합되는 허리 밴드(3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아기의 몸을 감싸 지지하는 본체(10)와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결합되는 어깨 밴드(20) 및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결합되는 허리 밴드(30)는 통상의 아기띠를 이루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아기띠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샤프트(500)가 제1 인입구(135b)에 인입되어 지지부 본체(210)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지지부 본체(210)가 회전을 통해 구비면(211)이 베이스부 본체(110)와 인접하게 되어 본 고안의 접이식 힙시트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지지부 본체(210)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해 기설정된 각도(θ)로 회전 상태에서 제2 샤프트(500)가 제2 인입구(135b)에 인입되면, 지지부 본체(210)의 회전 각도가 유지되어 허리 밴드(30)를 보조하여 유아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접이식 힙시트는 힙 지지부의 고정과 고정 해제를 통해 유아를 지지하거나 부피의 최소화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이식 힙시트는 힙 지지부의 고정 및 고정 해제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힙 지지부의 용이한 회전과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본체, 20: 어깨 밴드,
30: 허리 밴드,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부 본체, 115: 제1 탈착구,
120: 베이스관, 130: 힌지 베이스,
135: 제2 탈착구, 200: 힙 지지부,
210: 지지부 본체, 211: 구비면,
212: 지지면, 220: 리브,
225: 관통구, 230: 결속 프레임,
235: 레버, 240: 탄성 부재,
300: 결합부, 310: 결합부 본체,
311: 착용면, 312: 결합면,
320: 결속 부재, 400: 제1 샤프트,
500: 제2 샤프트.

Claims (6)

  1. 접이식 힙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아기띠의 허리 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본체에 결속 부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결속 부재의 인입이 가능한 제1 탈착구를 통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구비되면서 제1 샤프트가 관통될 관통구가 형성되는 베이스관 및 제2 샤프트가 탈착될 제1 인입구와 제2 인입구를 구획하는 구조의 제2 탈착구가 형성되는 힌지 베이스가 구비된 베이스부;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상기 아기띠의 본체를 보조하여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본체와 결합되면서 상기 제1, 2 샤프트가 각각 관통될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와 결속 프레임이 구비되는 힙 지지부;
    상기 리브, 상기 힌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힙 지지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의 관통구, 상기 제2 탈착구 및 상기 결속 프레임의 관통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힙 지지부는,
    상기 제2 샤프트가 관통될 리브의 관통구가 상기 제2 샤프트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 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를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며,
    탄성 부재는,
    상기 결속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결속 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결속 프레임과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리브가 연장형성된 방향인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일방향으로 유동될 때 상기 제2 탈착구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유동된 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레버가 당겨지지 않아 상기 결속 프레임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제1 인입구 또는 상기 제2 인입구에 인입되고,
    상기 결속 프레임의 원위치는 상기 결속 프레임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관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이며,
    상기 제1 인입구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샤프트와 함께 상기 지지부 본체의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인입구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 본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구속시켜 상기 지지부 본체로 상기 유아의 둔부 지지가 가능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제1 인입구에 인입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레버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인입구 및 제2 인입구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지지부 본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상기 제1 샤프트를 축으로한 상기 지지면의 각도로서, 상기 접이식 힙시트가 상기 유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질 때 상기 지지면이 상기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각도가 마이너스 각도가 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힙시트.
KR2020210001085U 2021-04-06 2021-04-06 접이식 힙시트 KR200497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85U KR200497474Y1 (ko) 2021-04-06 2021-04-06 접이식 힙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85U KR200497474Y1 (ko) 2021-04-06 2021-04-06 접이식 힙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65U KR20220002465U (ko) 2022-10-13
KR200497474Y1 true KR200497474Y1 (ko) 2023-11-22

Family

ID=8359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85U KR200497474Y1 (ko) 2021-04-06 2021-04-06 접이식 힙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7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9875A1 (en) 1985-04-04 1986-10-10 Sideal Sarl Multi-purpose folding chair for leisure activities
KR200488307Y1 (ko) 2018-08-29 2019-01-14 오세호 힙시트 아기띠
WO2019240319A1 (ko) 2018-06-11 2019-12-19 최예지 접이식 힙 시트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0790A (en) * 1942-06-19 1944-02-01 Frank O Aylor Child's folding seat
JP3130476B2 (ja) * 1995-09-11 2001-01-31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保持具
KR101693079B1 (ko) 2014-09-22 2017-01-04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180035105A (ko) * 2016-09-28 2018-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이비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9875A1 (en) 1985-04-04 1986-10-10 Sideal Sarl Multi-purpose folding chair for leisure activities
WO2019240319A1 (ko) 2018-06-11 2019-12-19 최예지 접이식 힙 시트
KR200488307Y1 (ko) 2018-08-29 2019-01-14 오세호 힙시트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65U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590A (en) Collapsible baby carrier device
KR102479617B1 (ko)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9357852B2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JP5859841B2 (ja) ベビーキャリア
JP3210531U (ja)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JP2022509189A (ja) 向上された移動の自由度を伴う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100072236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US7614533B2 (en) Combination diaper bag and infant carrier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070098746A (ko) 아기 업개
US20080283561A1 (en) Side seating infant carrier
US11457741B2 (en) Folding swivel chair support frame
JP6545245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97474Y1 (ko) 접이식 힙시트
CN209733813U (zh) 便携式马桶
JP2009207848A (ja) 交差式折畳み抱っこ紐
US20080283560A1 (en) Side seating infant carrier
TWI773273B (zh) 嬰兒背帶
CN204500102U (zh) 一种座垫可收合的婴儿背带
JP2013138767A (ja) 肩傘
US11937723B2 (en) Baby sleeping bag
KR102322421B1 (ko) 아기용 폴딩 힙시트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