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064A -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 Google Patents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064A
KR20110018064A KR1020090075670A KR20090075670A KR20110018064A KR 20110018064 A KR20110018064 A KR 20110018064A KR 1020090075670 A KR1020090075670 A KR 1020090075670A KR 20090075670 A KR20090075670 A KR 20090075670A KR 20110018064 A KR20110018064 A KR 2011001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g
waist
fastener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634B1 (ko
Inventor
유지호
Original Assignee
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호 filed Critical 유지호
Priority to KR102009007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7Baby-carriers with rigi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원판상의 수평판(102)과 상기 수평판(102)의 내측변이 일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판(101)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좌판(103)을 섬유로 피복되어 형성되는 좌판부재(1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의 섬유 피복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a)를 구비하는 허리벨트(3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측 바깥면에 고정되어 상기 허리벨트 체결구(300a)가 체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b)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와 하단부의 섬유피복에 재봉으로 후방 및 상향으로 연장되어 좌판부재(100)와 사이에 내부 중공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면 중앙 섬유피복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삼각 형상의 등받이(5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되는 등벨트 체결구(600a)를 구비하는 등벨트(6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좌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 고정되는 등벨트 체결구(600b)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며 양단부에 어깨걸이 체결구(700a)를 갖춘 어깨걸이(700) 및; 상기 등받이(500)의 좌우측 상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어깨걸이 체결구(700a)와 체결되는 어깨걸이 체결구(70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허리 가방, 아기띠, 아기포대기, 좌판, 어깨띠, 등받이.

Description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A wadded baby wrapper and infant carrying band having waist bag}
본 발명은 아기를 안거나 업고 다닐 때 유아용품으로 사용하는 아기띠가 구비된 허리가방 겸용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띠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허리 가방으로 허리에 착용하여 다니다가 사용을 필요로 할 때는 언제나 가방에서 어깨띠와 등받이를 꺼내 아기띠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아기 포대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무게가 아래로 쏠려 유아가 아래로 잘 빠지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포대기에 부착되어 있는 긴 끈을 아이 엉덩이 부위에서 한번 두르고 이를 어깨에 걸쳐서 매듭지는 방법이 있으나, 두팔로 아기 엉덩이를 받쳐야 하므로 팔과 어깨에 통증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해 나온 신형 포대기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천 및 어깨끈이 구비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비교적 가벼운 아기띠와, 구성은 좀 복잡하고 무겁지만 아기를 업기 편안한 아기포대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와같은 신형 포대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낭형 아기포대기가 제공되고 이용되어 왔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아기포대기는 아기의 등받이 역할을 하는 뒷기대부(A)의 하측으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기 위한 가랑이 기대부(B)가 형성되고, 상기 뒷기대부(A)와 마주하도록 앞기대부(C)가 형성되어 아기의 복부와 가슴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앞기대부(C)의 상측으로부터 일정길이의 어깨걸이띠(D)가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기대부(B)의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도록 허리띠(F)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어깨걸이띠(D)의 도중에는 사용자의 등 부분에서 결속되는 제 1 암수체결고리(E)가 형성되고, 상기 허리띠(F)의 도중에 결속용 제 2 암수체결고리(G)가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기포대기는 사용자가 아기포대기의 어깨걸이띠(D)를 자신의 양 어깨에 건 상태에서 제 1 암수체결고리(E)와 제 2 암수체결고리(F)를 순차적으로 결속시켜 아기포대기가 벗겨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아기포대기의 체결이 완료되며, 아기포대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아기를 뒷기대부(A)와 앞기대부(C)의 사이로 넣은 후 양다리를 가랑이기대부(B) 양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빼냄으로서 아기포대기를 이용해서 아기를 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기포대기는 사용자의 등 부분에서 어깨걸이띠(D)를 상호 결속시켜주는 제 1 암수체결고리(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아기엄마) 혼자서 손을 뒤로하여 암수체결고리를 채우기가 매우 어려워 아기포대기를 착 용하기 위해서는 꼭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기가 걸어다니거나 하여 아기포대기의 착용이 불필요한 경우에 아기포대기의 이동 및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는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232021호의 "아기띠"가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32021호의 "아기띠"는 도 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섬유피복내부에 합성수지로 형성된 좌판(20)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20) 하부에는 걸림턱(20a, 20b)이 형성되고 좌판(20)의 양측에 링크핀(31, 33)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그 일측구멍에 등받이링크(22)가 연결되고 좌판(20)의 또 다른 일측구멍에는 링크핀(33)으로 연결된 다리받침(26)과; 상기 연결된 등받이링크(22)와 다리받침(26)사이에 연결링크(21)가 링크핀(32, 34)으로 연결되고; 다리받침(26)과 연결링크(21)의 연결부에 걸림쇠(27)가 삽입 연결되며; 걸림쇠(27)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연결고리(27b)와 다리받침(26)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연결고리(26b)에 스프링(28)이 연결되고; 상기 걸림쇠(27)의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27a)에 끼원져 연결된 당김끈(5)과; 상기 등받이링크(22)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가이드(22a) 및 안내홈(22b)과 돌출가이드(22a) 및 안내홈(22b)에 따라 조립 습동되는, 안내홈(23b)이 형성되고 등받이(23)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결합나사못(24, 25)에 의해 결합된 등받이(23)와; 상기 다리받침(26)과 등받이(23)의 양측 일측에 형성된 허리띠연결구(26a) 및 어깨걸띠연결구(23a)에 결착된 완충패드(2a, 4a)가 끼워진 단부에 버클(2b)을 갖춘 허리띠(2) 및 조절구(4b)를 구비하는 어깨걸띠(4)와; 상기 등받이(23)에 결착된 어깨걸띠(4)를 접어서 보관하기 위해 본체(1)의 등받이(1a) 뒤쪽에 어깨걸띠보관백(3)이 구비되고; 본체(1)를 접어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띠(3a)와 고정단추(3b, 1b)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실용신안등록 제0232021호의 "아기띠"는 사용하지 않고 허리에 차고 다니고자 할때 구성요소 중 어깨걸띠(4) 만을 어깨걸띠보관백(3)에 접어 넣는 1차 작업과 좌판(20)과 다리받침(26)을 어깨걸띠보관백(3)의 전면에 접어 붙여 고정띠(3a)로 동여매는 2차 작업의 2중 작업을 필요로 하여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상용상 불편함을 수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고정띠(3a)로 동여매어지는 좌판(20)과 다리받침(26)을 어깨걸띠보관백(3)의 미관도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등받이(23)와 좌판(20) 및 다리받침(26) 각각의 자체 구조뿐만 아니라 등받이(23)와 좌판(20)의 결합구조, 좌판(20)과 다리받침(26)의 결합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시에 그 조립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기의 체형에 따라 상기 등받이(23)를 상하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키가 큰 아이의 경우 등받이(23)가 등을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여 아기를 안는 자세가 아기가 뒤로 넘어지는 매우 불편한 자세로 되어 효율적으로 편안하게 아기를 안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아기띠와 아기포대기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아기엄마) 혼자서 간편하고 손쉽게 착용하여 아기띠 또는 아기포대기로 사용할 수 있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 사용시 어깨띠와 등받이를 허리 가방에 넣어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아기를 안지 않고 이동시에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고, 아기를 안거나 업을 경우에는 허리가방에서 어깨띠와 등받이를 꺼내 아기띠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기띠의 등받이가 천으로 형성되어 가방에 넣을 때 부피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어깨띠와 등받이가 내장된 가방 내에 여유 공간이 생겨 어깨띠 및 등받이와 함께 기타 소지품도 가방 내에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아기포대기를 간편하게 슬라이드 파스너로 더 부착하여 아기포대기로 아기를 편안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는 허리 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는, 반원판상의 수평판(102)과 상기 수평판(102)의 내측변이 일체로 하향 연 장되는 수직판(101)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좌판(103)을 섬유로 피복되어 형성되는 좌판부재(1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의 섬유 피복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a)를 구비하는 허리벨트(3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측 바깥면에 고정되어 상기 허리벨트 체결구(300a)가 체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b)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와 하단부의 섬유피복에 재봉으로 후방 및 상향으로 연장되어 좌판부재(100)와 사이에 내부 중공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면 중앙 섬유피복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삼각 형상의 등받이(5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되는 등벨트 체결구(600a)를 구비하는 등벨트(6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좌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 고정되는 등벨트 체결구(600b)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며 양단부에 어깨걸이 체결구(700a)를 갖춘 어깨걸이(700) 및; 상기 등받이(500)의 좌우측 상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어깨걸이 체결구(700a)와 체결되는 어깨걸이 체결구(70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아기 엄마) 혼자서 간편하고 손쉽게 착용할 수 있고, 비 사용시 어깨띠와 등받이를 허리 가방에 넣어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아기를 안지 않이동시에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으며, 사용을 필요로 할 때는 언제나 가방에서 어깨띠와 등받이를 꺼내 아기띠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등받이가 천으로 형성되 어 가방에 넣을 때 부피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어깨띠와 등받이가 내장된 가방 내에 여유 공간이 생겨 어깨띠 및 등받이와 함께 기타 소지품도 가방 내에 넣어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아기포대기를 슬라이드 파스너로 간편하게 더 부착하여 아기포대기로 아기를 편안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에 있어서 아기띠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의 사용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에 있어서 아기포대기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가방과 아기포대기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 허리 가방이 구비된 아기띠는, 반원판상의 수평판(102)과 상기 수평판(102)의 내측변이 일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판(101)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좌판(103)을 섬유로 피복되어 형성되는 좌판부재(1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의 섬유 피복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a)를 구비하는 허리벨트(3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측 바깥면에 고정되어 상기 허리벨트 체결구(300a)가 체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b)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와 하단부의 섬유피복에 재봉으로 후방 및 상향으로 연장되어 좌판부재(100)와 사이에 내부 중공부를 형성하는 수용 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면 중앙 섬유피복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삼각 형상의 등받이(5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되는 등벨트 체결구(600a)를 구비하는 등벨트(6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좌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 고정되는 등벨트 체결구(600b)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며 양단부에 어깨걸이 체결구(700a)를 갖춘 어깨걸이(700) 및; 상기 등받이(500)의 좌우측 상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어깨걸이 체결구(700a)와 체결되는 어깨걸이 체결구(70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부재(100)와 합성수지 좌판(103) 사이에는 아기 엉덩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탄성체판을 내장할 수 있으며, 상기 쿠션허리밴드(200, 200')는 아기를 안을 때 아기의 체중으로 허리에 압박이 가해져 통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에 탄성체판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허리벨트(300)와 등벨트(600) 및 어깨걸이(700) 각각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어깨걸이(700)의 중앙부는 아기를 안을 때 아기의 체중으로 어깨에 압박이 가해져 통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패드가 내장되는 쿠션띠(70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3)의 외주연에 피복되는 좌판부재(100)의 외주연과 상기 수용부재(400)의 상단부 사이에는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파스너(104)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04) 상부에 위치하는 좌판부재(100)의 외주연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섬유 피복체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04)를 덮는 커버체(104a)를 이루고 있다.
상기 등받이(500)는 상기 수용부에 내장할 때 접어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면직물이나 천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등받이(500)의 하단부에는 길이조절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 길이조절띠(500a)의 일측 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길이조절띠(500a)의 타측 단부는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재(100)의 외주연 상부에는 아기포대기(800)를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드 파스너(800b)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허리밴드(200, 200') 각각의 단부측 상단에는 아기포대기(800)의 어깨걸이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801b, 801b')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체결구(801b, 801b')를 통해 상기 아기포대기(800)를 부착하여 아기포대기(800)로 편안하게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기포대기(800)는 상기 좌판부재(100)의 외주연 상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800b')를 하단부에 구비하는 등커버체(801)와; 상기 등커버체(801)의 상단부 좌우 가장자리에 연결 설치되는 어깨걸이(805, 805')와; 상기 어깨걸이(805, 805') 각각의 외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하단부에 체결구(806a)를 구비하는 결합띠(806, 806') 및; 상기 결합띠(806, 806') 각각의 중앙부와 상기 등커버체(801) 중앙 좌우단부 사이에 유아의 측면을 받쳐주기 위해 설치되는 측면밴드(807, 8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등커버체(801) 상부에는 슬라이드 파스너(802)로 개폐되는 모자 포켓부(803)와, 상기 모자 포켓부(803)에 삽입되는 등커버체(801)와 연결되는 모자(80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800b, 800b')와 슬라이드 파스너(802)가 아기에게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좌판부재(100)의 상부면 테두리부 내측에 탄성체를 내장하는 돌출띠(808)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802)가 아기에게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등커버체(801)의 내측 상단부에는 탄성체를 내장하는 돌출띠(80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커버체(801)는 통풍면(801a)을 구비하여 통풍면(801a)을 개폐하는 개폐면(801c)이 등커버체(801)의 하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통풍면(801a)을 개폐면(801c)이 개폐하도록 통풍면(801a)의 가장자리와 개폐면(801c)의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파스너(801d)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면(801c)의 내면 중앙부와 외면 하부측에 각각 벨크로테이프(801e, 801e')가 설치되어 통풍면(801a)의 개방시 개폐면(801c)을 말아서 벨크로테이프(801e, 801e')로 부착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띠(806, 806') 각각과 측면밴드(807, 807') 각각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어깨걸이(805, 805') 내부에는 아기를 안을 때 아기의 체중으로 어깨에 압박이 가해져 통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패드가 내장되는 쿠션띠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804)의 좌우 상부에는 모자(804) 착용시 턱을 걸어 묶을 수 있도록 끈(804a)이 연결 설치되고, 모자(804)의 좌우 가장자리 내에는 재봉으로 탄성밴드를 내장하여 모자(804)의 착용시 모자(804) 내면이 두부에 밀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허리 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의 작용 및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허리 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는 기후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가벼운 아기띠를 사용하거나 무겁지만 편안한 아기포대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아기띠 만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아기 엄마 등)는 먼저 좌판부재(100)를 복부에 위치시켜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허리벨트(300)를 허리에 두르고, 허리벨트 체결구(300a)와 허리벨트 체결구(300b)를 서로 체결한 다음 길이 조절수단으로 허리벨트(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슬라이드 파스너(104)를 사용하여 수용부에 들어있는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부로 부터 꺼내어 등받이(500) 양측의 어깨걸이 체결구(700b)와 어깨걸이(700) 양측의 어깨걸이 체결구(700a) 각각을 서로 결합한(통상적으로는 어깨걸이 체결구(700a)와 어깨걸이 체결구(700b)가 서로 체결된 채로 수용부에 수용된다)다음, 아기를 사용자와 마주보도록 좌판부재(100)에 앉히고, 일측 어깨와 타측 겨드랑이 사이로 어깨걸이(700)를 걸어 길이조절수단으로 어깨걸이(700)의 길이를 조절한다.
계속하여 등벨트(600)를 등 뒤로 둘러 등벨트(600)의 등벨트 체결구(600a)와 등받이(500)의 등벨트 체결구(600b)를 서로 체결하여 길이조절수단으로 등벨트(600)의 길이를 조절하고, 등받이(500)의 하단부에 있는 길이조절띠(500a)를 조절하여 등받이(5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벼운 아기띠로 아기 를 안는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아기띠로 아기를 안고 다니다가 아기가 걸어가거나 하여 아기띠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면,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부에 수용한 다음 슬라이드 파스너(104)로 수용부의 개구부를 닫으면 어깨띠는 허리 가방처럼 되어 간편하게 허리에 착용할 수 있고, 다시 아기띠의 사용이 필요로 하게 되면,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부로부터 꺼내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한편, 아기포대기(8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아기 엄마 등)가 아기를 안는 경우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는 경우로 사용할 수 있는바, 안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부에 수용한 다음 슬라이드 파스너(104)로 수용부의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좌판부재(100)의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아기포대기(800)의 슬라이드 파스너(800b')를 결합한 다음 좌판부재(100)를 복부에 위치시켜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허리벨트(300)를 허리에 두르고, 허리벨트 체결구(300a)와 허리벨트 체결구(300b)를 서로 체결한 다음 길이조절수단으로 허리벨트(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아기를 사용자와 마주보도록 좌판부재(100)에 앉히고, 어깨걸이(805, 805') 각각을 좌우측 어깨에 걸어 쿠션허리밴드(200, 200') 각각의 체결구(801b, 801b')에 어깨걸이(805, 805') 각각의 체결구(806a)를 각각 체결하고 길이조절수단으로 어깨걸이(805, 805')의 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에 해당 길이조절수단으로 측면밴드(807, 807')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아기를 본 발명의 아기포대기로 안는 과정이 끝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801c)로 통풍면(801a)을 개폐하여 사용하게 되며, 통풍면(801a)의 개방시에는 개폐면(801b)을 말아서 벨크로테이프(801d, 801d')로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802)로 모자 포켓부(803)를 열어 모자(804)를 꺼내어 아기에게 착용시키고 착용한 모자(804)가 벗겨지지 않도록 끈(804a)을 턱에 걸어 묶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아기포대기(800)를 사용하여 아기를 업을 때에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부에 수용한 다음 슬라이드 파스너(104)로 수용부의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좌판부재(100)의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아기포대기(800)의 슬라이드 파스너(800b')를 결합한 다음 좌판부재(100)를 허리부에 위치시켜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허리벨트(300)를 허리에 두르고, 허리벨트 체결구(300a)와 허리벨트 체결구(300b)를 서로 체결한 다음 좌판부재(100)를 등측 중앙 허리부에 위치시키고 길이조절수단으로 허리벨트(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아기를 업어 좌판부재(100)에 앉히고, 어깨걸이(805, 805') 각각을 좌우측 어깨에 걸어 쿠션허리밴드(200, 200') 각각의 체결구(801b, 801b')에 어깨걸이(805, 805') 각각의 체결구(806a)를 각각 체결하고 길이조절수단으로 어깨걸이(805, 805')의 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에 해당 길이조절수단으로 측면밴드(807, 807')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아기를 본 발명의 아기포대기로 업는 과정이 끝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801c)로 통풍면(801a)을 개폐하여 사용하게 되며, 통풍면(801a)의 개방시에는 개폐면(801b)을 말아서 벨크로테이프(801d, 801d')로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 파스너(802)로 모자 포켓부(803)를 열어 모자(804)를 꺼집어내 아기에게 착용시키고 착용한 모자(804)가 벗겨지지 않도록 끈(804a)을 턱에 걸어 묶어 사용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배낭형 아기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아기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종래 아기띠의 내부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종래 아기띠의 내부조립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종래 아기띠를 접은 상태의 내부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에서 아기띠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에서 아기띠의 사용 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아기포대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가방과 아기포대기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아기포대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판부재 101 : 내측변
102 : 수평판 103 : 합수수지 좌판
104 : 슬라이드 파스너 104a : 커버체
200, 200' : 쿠션허리밴드 300 : 허리벨트
300a, 300b : 허리벨트 체결구 400 : 수용부재
500 : 등받이 600 : 등벨트
600a, 600b : 등벨트 체결구 700 : 어깨걸이 700' : 쿠션띠
700a, 700b : 어깨걸이 체결구 800 : 아기포대기
800a, 800b : 슬라이드 파스너 801 : 등커버체
801a : 통풍면 801b, 801b' : 체결구
801c : 개폐면 801d : 슬라이드 파스너
801e, 801e' : 벨크로테이프 802 : 슬라이드 파스너
803 : 모자 포켓부 804 : 모자
804a : 끈 805, 805' : 어깨걸이
806, 806' : 결합띠 806a : 체결구
807, 807' : 측면밴드 808, 808' : 돌출띠

Claims (10)

  1. 반원판상의 수평판(102)과 상기 수평판(102)의 내측변이 일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판(101)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좌판(103)을 섬유로 피복되어 형성되는 좌판부재(1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의 섬유 피복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쿠션허리밴드(200, 2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a)를 구비하는 허리벨트(300)와; 상기 쿠션허리밴드(200')의 단부측 바깥면에 고정되어 상기 허리벨트 체결구(300a)가 체결되는 허리벨트 체결구(300b)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양측 단부와 하단부의 섬유피복에 재봉으로 후방 및 상향으로 연장되어 좌판부재(100)와 사이에 내부 중공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재(400)와; 상기 좌판부재(100)의 후면 중앙 섬유피복에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삼각 형상의 등받이(5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되는 등벨트 체결구(600a)를 구비하는 등벨트(600)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좌측 단부에 재봉으로 각각 연결 고정되는 등벨트 체결구(600b)와; 상기 등받이(500)의 상부 우측 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며 양단부에 어깨걸이 체결구(700a)를 갖춘 어깨걸이(700) 및; 상기 등받이(500)의 좌우측 상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어깨걸이 체결구(700a)와 체결되는 어깨걸이 체결구(70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100)와 합성수지 좌판(103) 사이에는 탄성체판이 내장되며, 상기 쿠션허리밴드(200, 200')에도 내부에 탄성체판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300)와 등벨트(600) 및 어깨걸이(700)의 각각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100)의 외주연과 상기 수용부재(4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등받이(500)와 어깨걸이(70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파스너(104)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04) 상부에는 슬라이드 파스너(104)를 덮는 커버체(104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104)의 커버체(104a) 상부에는 아기포대기(800)를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드 파스너(800b)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허리밴드(200, 200') 각각의 단부측 상단에는 아기포대기(800)의 어깨걸이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801b, 801b')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체결구(801b, 801b')를 통해 상기 아기포대기(800)를 부착하여 상기 좌판부재(100)에 아기를 앉히고 아기포대기(800)로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재(100)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된 슬라이드 파스너(800b)에는 슬라이드 파스너(800b)가 아기에게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좌판부재(100)의 상부면 테두리부 내측에 탄성체를 내장하는 돌출띠(80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포대기(800)는 상기 좌판부재(100)의 슬라이드 파스너(800b)와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800b')를 하단부에 구비하는 등커버체(801)와; 상기 등커버체(801)의 상단부 좌우 가장자리에 연결 설치되는 어깨걸이(805, 805')와; 상기 어깨걸이(805, 805') 각각의 외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하단부에 체결구(806a)를 구비하는 결합띠(806, 806') 및; 상기 결합띠(806, 806') 각각의 중앙부와 상기 등커버체(801) 중앙 좌우단부 사이에 유아의 측면을 받쳐주기 위해 설치되는 측면밴드(807, 80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커버체(801)는 통풍면(801a)을 구비하여 통풍면(801a)을 개폐하는 개폐면(801c)이 등커버체(801)의 하단부에 재봉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통풍면(801a)을 개폐면(801c)이 개폐하도록 통풍면(801a)의 가장자리와 개폐면(801c)의 가장자리에 슬라이드 파스너(801d)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 면(801c)의 내면 중앙부와 외면 하부측에 각각 벨크로테이프(801e, 801e')가 설치되어 통풍면(801a)의 개방시 개폐면(801c)을 말아서 벨크로테이프(801e, 801e')로 부착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띠(806, 806') 각각과 측면밴드(807, 807') 각각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어깨걸이(805, 805') 내부에는 아기를 안을 때 아기의 체중으로 어깨에 압박이 가해져 통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패드가 내장되는 쿠션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커버체(801) 상부에는 슬라이드 파스너(802)로 개폐되는 모자 포켓부(803)와, 상기 모자 포켓부(803)에 연결되는 모자(80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1020090075670A 2009-08-17 2009-08-17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101046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70A KR101046634B1 (ko) 2009-08-17 2009-08-17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70A KR101046634B1 (ko) 2009-08-17 2009-08-17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64A true KR20110018064A (ko) 2011-02-23
KR101046634B1 KR101046634B1 (ko) 2011-07-06

Family

ID=4377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670A KR101046634B1 (ko) 2009-08-17 2009-08-17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694B1 (ko) * 2011-08-08 2012-03-27 유지호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WO2012165840A2 (ko) * 2011-05-30 2012-12-06 Shin Go Eun 유아용 힙시트
KR200474221Y1 (ko) * 2012-11-20 2014-08-29 김소영 아기 포대기
CN104433514A (zh) * 2014-12-16 2015-03-25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省力能防腰背肌损伤的婴幼儿腰凳
KR200477619Y1 (ko) * 2013-12-11 2015-07-02 이호주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유아용 힙시트
CN108523381A (zh) * 2018-03-21 2018-09-14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户外腰包
KR101950413B1 (ko) * 2017-09-29 2019-02-20 주식회사 더블유엠디자인 가방
KR102591553B1 (ko) * 2023-04-12 2023-10-19 김영래 영유아용 뒤집기 방지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63Y1 (ko) * 2009-09-07 2012-05-31 김태헌 유아용 허리 밴드
KR200459539Y1 (ko) * 2009-11-20 2012-04-04 김찬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67949Y1 (ko) * 2011-08-04 2013-07-12 차복희 힙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0467950Y1 (ko) * 2011-08-04 2013-07-12 차복희 힙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0469068Y1 (ko) 2012-06-26 2013-09-17 차복희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KR101272144B1 (ko) 2013-01-25 2013-06-07 권오용 힙싯 아기띠
KR101415521B1 (ko) 2013-10-02 2014-07-04 박재현 송풍기가 장착된 아기띠용 힙시트 부재
KR101542837B1 (ko) * 2014-01-23 2015-08-07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101552712B1 (ko) * 2014-04-01 2015-09-11 박상태 아기 운반용 외출가방
KR102617396B1 (ko) * 2023-03-07 2023-12-28 주식회사 라안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719A (ja) * 2005-04-01 2006-10-19 Aprica Kassai Inc 子守帯
KR20100008272U (ko) * 2009-02-11 2010-08-19 이진섭 벨트의 분리 사용이 가능한 아기 포대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840A2 (ko) * 2011-05-30 2012-12-06 Shin Go Eun 유아용 힙시트
WO2012165840A3 (ko) * 2011-05-30 2013-03-28 Shin Go Eun 유아용 힙시트
KR101125694B1 (ko) * 2011-08-08 2012-03-27 유지호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200474221Y1 (ko) * 2012-11-20 2014-08-29 김소영 아기 포대기
KR200477619Y1 (ko) * 2013-12-11 2015-07-02 이호주 심장박동수단을 갖는 유아용 힙시트
CN104433514A (zh) * 2014-12-16 2015-03-25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省力能防腰背肌损伤的婴幼儿腰凳
CN104433514B (zh) * 2014-12-16 2016-11-23 南京科技职业学院 一种省力能防腰背肌损伤的婴幼儿腰凳
KR101950413B1 (ko) * 2017-09-29 2019-02-20 주식회사 더블유엠디자인 가방
CN108523381A (zh) * 2018-03-21 2018-09-14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户外腰包
KR102591553B1 (ko) * 2023-04-12 2023-10-19 김영래 영유아용 뒤집기 방지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634B1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34B1 (ko)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CN207477278U (zh) 婴儿背带和插入件
TWI527541B (zh) 幼兒背負裝置
US20150196133A1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US9386863B1 (en)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7886946B2 (en) Baby carrier
US8028871B2 (en) Baby carrier
CN104970626B (zh) 腰凳携带装置
US8490844B2 (en) Front infant carrier
US20110062195A1 (e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TWI665992B (zh) 嬰兒背帶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8523028B1 (en) Body worn child carrier
US20140231472A1 (en) Strap-on child carrier with support seating element
US20140319189A1 (en) Child carrier
JP6718167B2 (ja) 子守帯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JP2019188140A (ja) チャイルドキャリア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CN204292705U (zh) 多功能婴儿载具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1125694B1 (ko)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