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270B1 - 유아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유아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270B1
KR102659270B1 KR1020230091685A KR20230091685A KR102659270B1 KR 102659270 B1 KR102659270 B1 KR 102659270B1 KR 1020230091685 A KR1020230091685 A KR 1020230091685A KR 20230091685 A KR20230091685 A KR 20230091685A KR 102659270 B1 KR102659270 B1 KR 10265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ortion
unit
seat
dial module
guar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복희
채희대
채희준
Original Assignee
차복희
채희대
채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복희, 채희대, 채희준 filed Critical 차복희
Priority to KR102023009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착용부, 허리 착용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피보호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부, 및 일단이 허리 착용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부에 설치되어 시트부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허리 착용부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부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 및 불편감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캐리어{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허리 착용부를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시트부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 및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호자가 유아를 편안하면서도 안락하게 안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캐리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에는 유아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쿠션 형태의 시트가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보호자가 이와 같은 유아용 캐리어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가 유아의 무게로 인해 점차 아래로 처지게 될 뿐만 아니라, 시트를 보호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벨트가 느슨해짐으로써 유아와 보호자 모두 불편한 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용 캐리어의 벨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나, 보호자가 유아용 캐리어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더라도 시트가 위로 들어올려지지는 효과는 매우 미미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아울러, 제왕 절개 수술을 통해 출산을 한 산모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시트부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으로 인해 상당한 불편감을 호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가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허리 착용부를 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시트부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 및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는,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착용부; 상기 허리 착용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피보호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부; 및 일단이 상기 허리 착용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견인부는, 상기 시트부를 견인하는 케이블, 및 상기 허리 착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는 다이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 모듈은 상기 허리 착용부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구는 상기 시트부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링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는 상기 엉덩아 안착부 내부에 지지 쿠션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허리 착용부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시트부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부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 및 불편감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유아용 캐리어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에서의 시트부가 부양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에서의 삽입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내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는 허리 착용부(100), 시트부(200), 및 견인부(300)를 포함한다.
허리 착용부(100)는 유아 등의 피보호자를 위해 유아용 캐리어를 착용하는 부모 등의 보호자의 허리 둘레를 따라 착용되며, 시트부(200)에는 피보호자의 둔부가 안착된다.
이와 같은 시트부(200)는 허리 착용부(100)의 전방(즉, 보호자의 복부 방향)에 구비되도록 허리 착용부(100)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한편, 일단이 허리 착용부(100)에 설치되고, 타단이 시트부(200)에 설치되어 시트부(200)를 견인하는 견인부(300)는 유아용 캐리어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유아용 캐리어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견인부(300)는 다이얼 모듈(310), 케이블(330), 방향 전환구(350), 및 가이드구(370)를 포함한다.
견인부(300)의 일단을 구성하는 다이얼 모듈(310)은 허리 착용부(100)의 외측면의 상부에 설치되고, 견인부(300)의 타단을 구성하는 방향 전환구(350)는 시트부(200)의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이얼 모듈(3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케이블(3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370)는 허리 착용부(100)의 외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이얼 모듈(310)과 방향 전환구(350)의 연결선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330)의 일단은 다이얼 모듈(3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330)의 타단은 도 2에서의 하부에 있는 가이드구(370)를 통과한 다음, 방향 전환구(350)를 U자형으로 통과함으로써 전개 방향이 180도로 전환되어 케이블(330)의 상하 평행 설치 구조를 구현한 후, 상부에 있는 가이드구(370)를 통과하여 다이얼 모듈(310)에 권취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에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3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다이얼 모듈(310)의 내부에 권취되는 케이블(3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다이얼 모듈(3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3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호자가 다이얼 모듈(310)을 제1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다이얼 모듈(310)은 케이블(330)의 타단을 견인하며 케이블(330)을 권취하게 되며, 그 결과 방향 전환구(350)에 U자형으로 걸려있는 케이블(330)은 방향 전환구(350)를 다이얼 모듈(310)의 방향으로 견인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방향 전환구(350)가 결합되어 있는 시트부(200) 또한 다이얼 모듈(310)의 방향으로 견인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시트부(200)의 측면은 허리 착용부(100)의 측면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이얼 모듈(310)이 허리 착용부(100)의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고, 방향 전환구(350)가 시트부(200)의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향 전환구(350)는 다이얼 모듈(310) 보다 더 높은 설치 위치를 형성하게 되며, 그 결과 다이얼 모듈(310)에서 방향 전환구(350)까지의 연결선은 수평면 대비 소정 각도(예를 들면, 5도 내지 45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선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사선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F)의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다이얼 모듈(310)과 방향 전환구(350) 사이의 수평 방향으로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또한 견인력(F)의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허리 착용부(100)와 시트부(200)가 보호자의 허리와 복부 둘레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경사선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F)의 수직 방향 성분(Fv)은 도 3에서와 같이 시트부(20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며 부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시트부(200)에 앉아 있는 유아의 무게로 인해 시트부(200)가 아래로 내려간 경우에 다이얼 모듈(310)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시트부(200)와 함께 유아를 위로 들어올려 편안한 사용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31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유아가 앉아 있는 시트부(200)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허리 착용부(100)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자는 다이얼 모듈(31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시트부(200)를 효과적으로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부(200)에 의해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 및 불편감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허리 착용부(100)의 측면에 상하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구(370)는 각각의 가이드구(370)를 통과하는 케이블(330)이 상호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평행한 케이블(330)에 의한 견인력(F)의 작용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시트부(200)에는 시트부(200)의 내부 공간에 지지 쿠션(미도시)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210)가 시트부(200)와 허리 착용부(100)의 결합 부위를 따라 지퍼 등의 구조로 시트부(200)의 전면(前面)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삽입구(210)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시트부(200)의 전면(前面)에는 삽입구(210)의 형성 영역을 따라 가림용 날개(23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는 도 1 내지 도 3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구비하되, 도 5에서와 같이 견인부(300)에서의 케이블(330), 방향 전환구(350), 및 가이드구(370)가 외부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다이얼 모듈(310)만을 보호자의 조작을 위해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부(400)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덮개부(400)는 허리 착용부(100)의 외측면과 시트부(200)의 전면(前面)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허리 착용부(100)에 구비된 덮개부(400)에는 다이얼 모듈(310)에 연결 설치되는 케이블(330)이 통과하는 관통홀(450)이 링형 고정 부재를 통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의 내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에서의 보호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면인 시트부(200)의 배면에는 시트부(200) 내부 공간에 지지 쿠션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삽입구(210)가 시트부(200)와 허리 착용부(100)의 결합 부위를 따라 지퍼 등의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자의 복부에 밀착되는 면인 시트부(200)의 배면에 삽입구(210)를 형성함으로써, 시트부(200) 내부의 지지 쿠션이 우연히 열려있는 삽입구(210)를 통해 의도치 않게 부분적으로 외부로 이탈되거나, 지지 쿠션이 시트부(200)의 내부 공간에서 부적절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시트부(20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유아용 캐리어의 세탁을 위해 지지 쿠션을 제거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은 케이블(330)에 의한 걸림없이 보다 용이하게 지지쿠션을 삽입구(210)를 통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허리 착용부, 200: 시트부,
210: 삽입구, 230: 가림용 날개,
300: 견인부, 310: 다이얼 모듈,
330: 케이블, 350: 방향 전환구,
370: 가이드구, 400: 덮개부,
450: 관통홀 , F: 견인력,
Fv: 견인력의 수직 방향 성분.

Claims (4)

  1.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착용부(100);
    상기 허리 착용부(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피보호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시트부(200); 및
    일단이 상기 허리 착용부(100)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200)를 견인하는 견인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허리 착용부(1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얼 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모듈(310)과 상기 견인부(30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선은 수평면 대비 경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선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F)의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상기 시트부(200)가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며,
    상기 경사선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견인력(F)의 수직 방향 성분에 의해 상기 시트부(200)가 상방향으로 부양되는 것인 유아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다이얼 모듈(310)에 권취되며, 상기 시트부(200)를 견인하는 케이블(330)을 더 포함하는 것인 유아용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시트부(200)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33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구(35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아용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케이블(3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37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아용 캐리어.
KR1020230091685A 2023-07-14 2023-07-14 유아용 캐리어 KR10265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685A KR102659270B1 (ko) 2023-07-14 2023-07-14 유아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685A KR102659270B1 (ko) 2023-07-14 2023-07-14 유아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270B1 true KR102659270B1 (ko) 2024-04-19

Family

ID=9088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685A KR102659270B1 (ko) 2023-07-14 2023-07-14 유아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27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748A1 (en) * 2004-08-26 2006-03-01 Combi Corporation Infant carrier with hood
US20080087694A1 (en) * 2006-10-12 2008-04-17 Audra Meng Hands-free baby carrier
JP3154408U (ja) * 2009-07-30 2009-10-15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KR101812529B1 (ko) *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20180206653A1 (en) * 2017-01-25 2018-07-26 New Baby Tula LLC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KR200489191Y1 (ko) * 2017-05-19 2019-05-15 주식회사 허그파파 다이얼식 길이 조절 아기띠
KR102042519B1 (ko) * 2019-05-08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WO2019226291A1 (en) * 2018-05-21 2019-11-28 Boba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KR20210012420A (ko) * 2019-07-25 2021-02-03 유로케어주식회사 통풍부를 가진 아기 캐리어의 허리벨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748A1 (en) * 2004-08-26 2006-03-01 Combi Corporation Infant carrier with hood
US20080087694A1 (en) * 2006-10-12 2008-04-17 Audra Meng Hands-free baby carrier
JP3154408U (ja) * 2009-07-30 2009-10-15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US20180206653A1 (en) * 2017-01-25 2018-07-26 New Baby Tula LLC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KR101812529B1 (ko) * 2017-04-11 2018-01-30 (주)쁘띠엘린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0489191Y1 (ko) * 2017-05-19 2019-05-15 주식회사 허그파파 다이얼식 길이 조절 아기띠
WO2019226291A1 (en) * 2018-05-21 2019-11-28 Boba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KR102042519B1 (ko) * 2019-05-08 2019-11-08 이진섭 유아용 캐리어
KR20210012420A (ko) * 2019-07-25 2021-02-03 유로케어주식회사 통풍부를 가진 아기 캐리어의 허리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149B1 (en) Strap cover and positioner
EP1616510B1 (en) Nursery band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US20040238579A1 (en) Harness for carrying
KR20130107167A (ko) 유아용 캐리어
KR102659270B1 (ko) 유아용 캐리어
EP3755183B1 (en) Baby carrier
KR102659271B1 (ko) 유아용 캐리어
JP2019076629A (ja) 子守帯
JP3171045U (ja) ベビーキャリア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KR20030072225A (ko) 벨트길이 가변기구, 그것을 구비한 운반구 및 유지구
KR200291528Y1 (ko) 아기포대기
JP4348325B2 (ja) シート用カバー
KR20240081865A (ko) 모유수유 가능한 아기띠
KR100906541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어깨패드 및 그 착용 방법
JP7010659B2 (ja) 子守帯
KR20130000730U (ko) 수유 쿠션
KR101697014B1 (ko) 유아용 호흡 질식 방지보호대
KR200483973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CN115670181A (zh) 支撑带
JP6261344B2 (ja) 子守帯
JP2023082266A (ja) 子守帯
WO2022162185A1 (en) Baby carrying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