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488U - 휴대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휴대용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488U
KR20110001488U KR2020090010238U KR20090010238U KR20110001488U KR 20110001488 U KR20110001488 U KR 20110001488U KR 2020090010238 U KR2020090010238 U KR 2020090010238U KR 20090010238 U KR20090010238 U KR 20090010238U KR 20110001488 U KR20110001488 U KR 20110001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shoulder
waist
shoulder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001Y1 (ko
Inventor
김미자
Original Assignee
김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자 filed Critical 김미자
Priority to KR2020090010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0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는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1허리부(3)와 제 1어깨부(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아기띠(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아기띠(2)와 결합부(10)에서 교차하도록 제 2아기띠(6)가 결합된다. 상기 제 2아기띠(6)에는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2허리부(7)와 제 2어깨부(8)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2아기띠(2,6)는 천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결합부(10)로 접어져 포개지고, 상기 제 1,2어깨부(4,8)는 어깨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 1,2아기띠가 접힌 상태에서 고리로 고정하게 되면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고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 1,2아기띠가 가벼운 천재질로 만들어지고 어깨에 착용되는 제 1,2어깨부의 폭이 충분히 넓어 아이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휴대, 아기띠, 버클

Description

휴대용 아기띠{Portable baby carrying bend}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를 업거나 안기 위한 아기띠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아기를 실내 또는 실외에서 업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아기를 업거나 안기 위한 수단으로서 포대기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포대기로 아기를 업게되면 아기를 포근하게 감싸줄 수는 있으나, 포대기가 쉽게 흘러내려서 손을 뒤로 돌려서 아기를 받쳐주어야 하기 때문에 팔이 아프고 팔을 임의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아기를 받치기 위해 보호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허리에도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대기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답답한 느낌을 주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은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구조물로 만들어지는 캐리어가 개발되었다. 즉 상기 캐리어의 기본 골격은 단단한 구조물로 만들고 이들 사이에 천 등을 연결하여 만든 것이다. 상기 캐리어는 단단한 구조물을 기초로 만 들어지기 때문에 보호자가 착용하였을 때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기가 캐리어와 부딪힐 경우에 아기가 다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기를 업거나 안는 보호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는 구조를 가진 휴대용 아기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1허리부와 제 1어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아기띠와; 상기 제 1아기띠와 결합부에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2허리부와 제 2어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아기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아기띠는 천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결합부로 접어져 포개지고, 상기 제 1,2어깨부는 어깨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 1,2아기띠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탄성변형 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고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어깨부의 사이에는 아기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에는 아기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가 수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자의 양측에는 상기 모자를 제 1,2어깨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허리부의 단부와 상기 제 1,2어깨부의 단부에는 각각 버클이 구비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1,2어깨부에는 어깨의 착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벨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허리부의 단부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아기띠와 제 2아기띠는 서로 직교하게 교차된 상태에서 봉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허리부에는 난방 또는 냉방효과를 위한 기능성 시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제 1,2아기띠의 소재가 천재질로 만들어지고 서로 교차하도록결합되어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2아기띠가 접힌 상태에서 고리로 고정하게 되면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고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 1,2아기띠가 가벼운 천재질로 만들어지고 어깨에 착 용되는 제 1,2어깨부의 폭이 충분히 넓어 아이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아기띠는 크게 제 1아기띠(2)와 상기 제 1아기띠(2)와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제 2아기띠(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아기띠(2)와 제 2아기띠(6)는 그 무게를 최소화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천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아기띠(2)와 제 2아기띠(6)는 봉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천재질로 만들어진 상기 제 1아기띠(2)와 제 2아기띠(6)의 내부에는 쿠션작용을 위해 스폰지 등의 쿠션소재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아기띠(2)와 제 2아기띠(6)는 결합부(10)에서 봉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아기띠(2)와 제 2아기띠(6)는 직교하게 결합되어 대략 십자모양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0)는 상기 제 1,2아기띠(2,6)가 각각 접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0)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아기띠(2)는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천을 일방으로 길게 잘라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아기띠(2)는 일측이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제 1허리부(3)와 보호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제 1어깨부(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허리부(3)와 제 1어깨부(4)는 보호자의 허리와 어깨를 각각 감싸도록 걸어지고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어깨부(4)는 보호자의 어깨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넓게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어깨부(4)가 보호자의 어깨에 걸어져 힘을 분산시키고 보호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아기띠(6)도 상술한 바와 같이 천을 일방으로 길게 잘라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허리부(3)와 제 1어깨부(4)에 대응되는 제 2허리부(7) 및 제 2어깨부(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2아기띠(2,6)는 상기 결합부(10)로 접어져 포개진다.
한편 상기 제 1허리부(3)와 제 2허리부(7)의 단부에는 양자의 연결을 위한 벨크로(12,1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벨크로(12,12')는 상기 제 1,2허리부(3,7)가 보호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에서 양자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벨크로(12,12') 대신에 상기 제 1,2허리부(3,7)를 연결하기 위해 후크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2허리부(7)의 단부와 상기 제 1허리부(3)의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버클(14,14')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버클(14,14')은 상기 벨크로(12,12')와 함께 상기 제 1,2허리부(3,7)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2허리부(3,7)는 1차적으로 버클(14,14')에 의해 고정된 후에 벨크로(12,12')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2허리부(3,7)에는 기능성 시트(16)가 결합된다. 상기 기능성 시트(16)는 아기들을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아이의 몸에 밀착되어 아이의 몸을 시원하거나 따뜻하게 유지시켜주는 냉방 및 난방 기능을 한다. 즉 상기 기능성 시트(16)는 여름철에는 쿨시트의 기능을 수행하여 아이가 시원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겨울철에는 난방시트의 기능을 수행하여 아이가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능성 시트(16)는 계절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어깨부(4)와 제 2어깨부(8)의 단부에는 조절벨트(18,18')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벨트(18,18')는 상기 제 1,2어깨부(4,8)의 착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보호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조절하여 제 1,2어깨부(4,8)가 어깨에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어깨부(4)와 제 2어깨부(8)의 단부에는 버클(20,20')이 구비된다. 상기 버클(20,20')은 보호자가 제 1,2어깨부(4,8)를 걸은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어깨부(4)와 제 2어깨부(8)의 사이에는 등받이(22)가 결합된다. 상기 등받이(22)는 아기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등받이(22)는 제 1,2어깨부(4,8)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쿠션작용을 위해 쿠션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2)의 단부에는 모자(24)가 결합된다. 상기 모자(24)는 아기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22)가 아닌 상기 제 1어깨부(4) 또는 제 2어깨부(8)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자(24)는 상기 등받이(22)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모자(24)는 천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거나 말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히거나 말린 모자(24)는 상기 등받이(22)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22)의 내부에 상기 모자(24)가 수납되면 모자(24)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자(2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벨트(26)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벨트(26)에는 고정을 위한 버튼부(28)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28)는 상기 제 1,2어깨부(4,8)에 구비된 버튼부(28')와 서로 결합되어 모자(24)를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부(10)의 일측에는 휴대용 아기띠를 접은 상태에서 묶기 위한 고리(30)가 결합된다. 상기 고리(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져 탄성력으로 휴대용 아기띠를 묶어 고정시킨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를 접는 과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1과 같이 휴대용 아기띠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기능성 시트(16) 및 모자(24)를 내측으로 접어 상기 결합부(10)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아기띠(2,6)의 제 1,2허리부(3,7) 및 제 1,2어깨부(4,8)를 각각 여러번 접는다. 상기 제 1,2허리부(3,7) 및 제 1,2어깨부(4,8)는 결국 상기 결합부(10)에 모두 포개지도록 접혀진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10)에 상기 제 1,2아기띠(2,6)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고리(30)로 고정시킨다. 상기 고리(30)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제 1,2아기띠(2,6)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아기띠가 접히게 되면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휴대용 아기띠가 전체적으로 천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무게 또한 가볍고 휴대가 간편하여 어디에서든 꺼내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휴대용 아기띠를 사용하는 것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도 4 및 도 5는 휴대용 아기띠를 사용하여 아기를 안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상기 휴대용 아기띠를 반대로 착용하여 아기를 업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참조하면, 아기를 안기 전에 우선 제 1,2허리부(3,7)가 보호자의 허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버클(14,14')을 1차적으로 결합시킨 후에 벨크로(12,12')가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제 1,2허리부(3,7)의 착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보호자는 기능성 시트(16)가 내측으로 오도록 하고, 아기의 양다리가 상기 제 1,2허리부(3,7)와 제 1,2어깨부(4,8)의 사이로 나오도록 안는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는 상기 제 1,2어깨부(4,8)를 각각 양 어깨에 걸도록 한다. 상기 제 1,2어깨부(4,8)가 어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버클(20,20')을 결합시켜 제 1,2어깨부(4,8)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보호자는 상기 조절벨트(18,18')를 조절하여 제 1,2어깨부(4,8)의 착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는 필요에 따라 모자(24)를 아기의 머리에 씌울 수 있다. 상기 모자(24)는 아기의 머리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고정벨트(26)의 버튼부(28,28')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호자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상기 기능성 시트(16)는 아이의 몸과 밀착되어 쿨시트 또는 난방시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아기띠는 가벼운 천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1,2어깨부(4,8)는 어깨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게 되므로 보호자가 아기를 안았을 때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는 신생아를 누인 상태로 안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2어깨부(4,8) 중에 하나만 보호자가 어깨에 착용하고, 착용된 어깨부(4,8)의 사이에 신생아를 누인 상태로 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를 접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아기띠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및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제 1아기띠 3 : 제 1허리부
4 : 제 1어깨부 6 : 제 2아기띠
7 : 제 2허리부 8 : 제 2어깨부
10 : 결합부 12,12' : 벨크로
14,14' : 버클 16 : 기능성 시트
18,18' : 조절벨트 20,20' : 버클
22 : 등받이 24 : 모자
26 : 고정벨트 28 : 버튼부
30 : 고리

Claims (8)

  1.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1허리부와 제 1어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아기띠와;
    상기 제 1아기띠와 결합부에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허리와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제 2허리부와 제 2어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아기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아기띠는 천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결합부로 접어져 포개지고, 상기 제 1,2어깨부는 어깨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 1,2아기띠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고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어깨부의 사이에는 아기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아기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는 아기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가 수납이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모자의 양측에는 상기 모자를 제 1,2어깨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허리부의 단부와 상기 제 1,2어깨부의 단부에는 각각 버클이 구비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1,2어깨부에는 어깨의 착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벨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허리부의 단부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기띠와 제 2아기띠는 서로 직교하게 교차된 상태에서 봉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허리부에는 난방 또는 냉방효과를 위한 기능성 시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기띠.
KR2020090010238U 2009-08-05 2009-08-05 휴대용 아기띠 KR200460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8U KR200460001Y1 (ko) 2009-08-05 2009-08-05 휴대용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38U KR200460001Y1 (ko) 2009-08-05 2009-08-05 휴대용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88U true KR20110001488U (ko) 2011-02-11
KR200460001Y1 KR200460001Y1 (ko) 2012-04-26

Family

ID=4420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38U KR200460001Y1 (ko) 2009-08-05 2009-08-05 휴대용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28Y1 (ko) * 2012-11-26 2013-06-19 백효정 아기띠
KR200483520Y1 (ko) 2016-12-16 2017-05-25 (주)데르마 아기띠
WO2019231106A1 (ko) * 2018-05-29 2019-12-05 Kim Seonhui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94Y1 (ko) * 2014-06-03 2016-07-07 (주)디에스통상 휴대용 백이 구비된 힙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905Y1 (ko) * 2003-02-18 2003-06-12 근 만 장 유아용 포대기
JP3115985U (ja) * 2005-07-29 2005-11-24 晶子 川浦 対面抱き専用子守帯
KR100531611B1 (ko) * 2005-08-17 2005-11-29 현태섭 유아용 포대기
JP3137652U (ja) 2007-07-23 2007-12-06 麻美 久慈 子守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28Y1 (ko) * 2012-11-26 2013-06-19 백효정 아기띠
KR200483520Y1 (ko) 2016-12-16 2017-05-25 (주)데르마 아기띠
WO2019231106A1 (ko) * 2018-05-29 2019-12-05 Kim Seonhui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01Y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894B2 (en) Baby carrier system
EP2459032B1 (en) Baby carrier
US20100200626A1 (en) Baby carrier
US20120199619A1 (en) Easy wrap carrier with lumbar support
KR101432450B1 (ko) 아기띠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20150115925A (ko) 아기 지지체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0460001Y1 (ko) 휴대용 아기띠
CA3040227A1 (en) Baby carrier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20100002191U (ko) 아기 포대기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KR20180031477A (ko) 아기띠
US20190246811A1 (en) Infant carrier
KR20160003634U (ko) 아기띠
KR20040064749A (ko) 아기 캐리어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20150004498U (ko)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KR20150116232A (ko) 아기띠
KR20100007076U (ko) 유아용 포대기
JP2005288107A (ja) 子守帯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160000999U (ko) 아기띠
KR200484108Y1 (ko)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