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477A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477A
KR20180031477A KR1020160120171A KR20160120171A KR20180031477A KR 20180031477 A KR20180031477 A KR 20180031477A KR 1020160120171 A KR1020160120171 A KR 1020160120171A KR 20160120171 A KR20160120171 A KR 20160120171A KR 20180031477 A KR20180031477 A KR 20180031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aby
user
headres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빈
Original Assignee
윤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빈 filed Critical 윤혜빈
Priority to KR102016012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477A/ko
Publication of KR2018003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측 어깨와 타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춘 제1밴드대;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와 일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추며, 상기 사용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일부분이 상기 제1밴드대의 일부분과 결합되는 제2밴드대; 및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와 결합되며, 상기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머리받침대는 유연성이 있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아기띠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아기띠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아기띠{Band for Carrying Baby}
본 발명은 아기를 받쳐 안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가 용이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독립적으로 보행할 수 없는 아기를 안고 이동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하여 아기띠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정을 이룬 후 아기를 낳아서 기르는 것이 보편적인 만큼 아기를 키우는데 있어서 아기띠는 필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아기띠를 착사용자가 보다 편하고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 아기를 안전하게 안아줄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하여 많은 기술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 중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6232호(발명의 명칭 : 아기띠. 이하 선행기술) 등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우천이나 강풍과 같은 악천후 속에서 아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아이의 체격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실용적인 측면에서 아기를 키우는 많은 부모들이 아기를 안을 때 아기띠를 요긴하게 이용하지만, 많은 아기띠들이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큰 아기띠를 챙기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가 복잡하다보니 착용의 용이성과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가 용이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기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는 사용자의 일측 어깨와 타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춘 제1밴드대;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와 일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추며, 상기 사용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일부분이 상기 제1밴드대의 일부분과 결합되는 제2밴드대; 및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와 결합되며, 상기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머리받침대는 유연성이 있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측단이 상기 제2밴드대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밴드대와 결합되며, 상기 제1밴드대와 상기 제2밴드대에 의해서 받쳐지는 아기의 하중이 상기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 부위로 집중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허리측으로 분산시켜주는 허리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받침대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허리받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를 접어서 내장시킬 수 있는 포켓주머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지 않도록 묶어주는 묶음띠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어 젖지 않는 방수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받침대의 테두리가 부채꼴의 호의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머리받침대의 일부분을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에 선택적으로 체결시켜줄 수 있는 체결수단이 상기 머리받침대와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에 구비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체결수단은 똑딱단추, 갈고리단추 및 벨크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체결수단은 똑딱단추이고, 상기 똑딱단추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다수개의 상기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다수개의 상기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밴드대 와 상기 제2밴드대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밴드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길이조절수단은 지퍼 또는 단추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길이조절수단은 지퍼이고, 상기 지퍼에 포함되는 제1이빨(tooth)띠 및 제2이빨띠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구조가 단순하므로 착용 또는 휴대가 용이하며, 아기를 안전하고 보다 편하게 안을 수 있는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으며, 허리받침대를 포함하면 사용자의 어깨나 목부위에 집중되는 아기의 하중을 다른 신체부위로 분산시켜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력소모 또는 피로도 상승을 억제시켜주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후측에서 본 후측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 포함되는 허리받침대의 예시적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머리받침대 및 제1밴드대의 일부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서 제1밴드대, 제2밴드대 및 지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서, 아기띠가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지 않도록 묶어주는 묶음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후측에서 본 후측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 포함되는 허리받침대의 예시적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의 머리받침대 및 제1밴드대의 일부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서 제1밴드대, 제2밴드대 및 지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를 착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는 제1밴드대, 제2밴드대(200), 머리받침대(500), 허리받침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밴드대(100)는 사용자의 일측 어깨와 타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는 아기띠를 착용하여 아기를 안아주는 사용자의 좌측어깨와 오른쪽 우측 부위를 잇는 제1밴드대(100)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밴드대(100)와 사용자의 어깨가 닿는 내측면 부위에는 푹신하면서도 얇고 가벼운 소재로 된 패드(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밴드대(200)는 사용자의 타측어깨와 일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사용자의 우측어깨와 좌측골반부위를 잇는 제2밴드대(200)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2밴드대(200)는 사용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일부분이 제1밴드대(10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인 형태로서,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가 사용자의 전측과 후측에서 X자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에는 선택적으로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밴드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밴드길이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예로서 지퍼 또는 단추를 들을 수 있다.
여기서 잠시 밴드길이조절수단으로서 지퍼가 반영된 응용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는 밴드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응용된 실시 예로서 아기띠의 후측부분에 마련된 지퍼(700)를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밴드길이조절수단으로서 지퍼(700)가 포함된 응용된 실시 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인트밴드대(7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후측에서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가 만나는 X자 형태로 결합되는 부분을 따로 하나의 밴드대(780)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엑스트라밴드대(760)는 일측단이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조인트밴드대(780)에 결합된다. 이러한 엑스트라밴드대(7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구비된다. 즉, 제1밴드대(100a, 100b)와 조인트밴드대(780)와 결합되는 엑스트라밴드대(760)가 2개가 있고, 제2밴드대(200a, 200b)와 조인트밴드대(780)와 결합되는 엑스트라밴드대(760)가 2개가 있으므로 총 4개의 엑스트라밴드대(760)가 있게 된다.
여기에 하나의 지퍼(700)가 제1밴드대의 일단(100a) 및 조인트밴드대(780)와 결합되고, 또 하나의 지퍼(700)는 제1밴드대의 타단(100b) 및 조인트밴드대(780)와 결합되며, 또 하나의 지퍼(700)는 조인트밴드대(780) 및 제2밴드대의 일단(200a)과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지퍼(700)는 조인트밴드대(780) 및 제2밴드대의 타단(200b)와 결합된다.
여기서, 지퍼(700)는 기본적으로 제1이빨띠(710), 제2이빨띠(720) 및 슬라이더(7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퍼(700)에 포함되는 제1이빨(tooth)띠(710) 및 제2이빨띠(720)는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에 지퍼(700)가 각기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지퍼(700)의 슬라이더(730)로 제1이빨띠(710)와 제2이빨띠(720)가 서로 맞물리게 하여 체결시켜주면,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의 길이가 기본적인 길이가 되고, 지퍼(700)의 슬라이더(730)로 제1이빨띠(710)와 제2이빨띠(7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해제시켜주면 엑스트라밴드대(760)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퍼를 이용하여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의 엄마가 아기띠를 착용할 때에는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지퍼(700)의 슬라이더(730)로 제1이빨띠(710)와 제2이빨띠(720)가 서로 체결되도록 채워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체의 부피가 큰 아기의 아빠가 아기띠를 착용할 때에는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지퍼(700)의 슬라이더(730)로 제1이빨띠(710)와 제2이빨띠(720)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켜준다. 제1이빨띠(710)와 제2이빨띠(72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엑스트라밴드대(760)의 길이만큼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의 길이가 연장된다.
따라서, 아기의 아빠의 상체에도 아기띠가 맞을 수 있게 되어 아기를 안전하고 편하게 안을 수 있게 된다.
허리받침대(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측단이 제2밴드대(200)와 결합된다. 그리고 타측단이 제1밴드대(100)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받쳐지는 아기의 하중이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 부위로 집중되는 것을 사용자의 허리측으로 분산시켜준다.
이러한 허리받침대(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측에서 제1밴드대(100)와 제2밴드대(200)가 X자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부위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허리받침대(300)가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형태도 바람직하지만, 허리받침대(300)를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허리받침대(300)가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에 탈착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허리받침대(300),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에 벨크로, 똑딱단추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허리받침대(300)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허리받침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 3 의 (a) 및 (b)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타입으로 되고, 이러한 버클의 일측 또는 타측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바람직하며. 도 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태로 되어서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머리받침대(500) 및 허리받침대(300)는 유연성이 있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쉽게 말거나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머리받침대(500) 및 허리받침대(300)를 말아접어서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및 허리받침대(300)는 탄력성 또는 신축성이 있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및 허리받침대(300)가 탄력성있거나 신축성이 있으면, 아기띠가 탄력있게 사용자에게 착용되면서 동시에 아기를 받쳐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머리받침대(500) 및 허리받침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에 젖지 않는 방수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머리받침대(500) 및 허리받침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방수소재로 이루어지면, 아기를 데리고 물놀이를 한 후에도 바로 간편하게 즉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방수이면서도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물놀이 풀장 같은 곳에서 아기띠가 뜨기 때문에 분실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방수소재로 되지 않아서 물놀이 후 젖어버린 아기띠를 즉시 재사용할 수가 없어서 많이 불편한 점이 있었으나, 이처럼 방수소재로 구성하면 아기띠가 물에 젖지 않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아기띠는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및 머리받침대(500)을 포함하며, 허리받침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포켓주머니(600) 또는 엉덩이받침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포켓주머니(600)는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 및 허리받침대(300)를 접어서 크기를 축소시켜서 포켓주머니(600) 내에 내장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포켓주머니(600)가 제2밴드대(200)에 마련되되 사용자의 우측 어깨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밴드대(200)에 마련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포켓주머니(600)는 제2밴드대(2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접하는 부분은 봉합되어 있어고 제2밴드대(200)의 폭방향으로 한 변이 봉합되어 있고 나머지 한 변은 포켓주머니(600)의 입구부분으로서 봉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포켓주머니(600)의 입구부분에 탄력성이 있는 밴드띠가 마련되어 있는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아기띠를 말아서 포켓주머니(600)로 넣을 때 포켓주머니(600)의 입구부분의 둘레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아기띠를 접어서 내장시키면 임의로 주머니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입구부분의 둘레길이가 수축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포켓주머니(600) 대신에 묶음띠가 마련된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에서, 아기띠가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지 않도록 묶어주는 묶음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묶음띠(650)는 제2밴드대(200)의 일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물론 제2밴드대(200)가 아닌 제1밴드대(10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아기띠의 제1밴드대(100)과 제2밴드대(200)을 말아서 접은 후 묶음띠(650)을 도 7의 (b)처럼 둘러줌으로써 휴대하기 간편하게 작은 크기로 묶을 수 있게 된다.
묶음띠(650)은 고무밴드와 같이 고리형태로 된 것도 가능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에 똑딱단추 또는 벨크로가 마련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엉덩이받침대(400)는,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 사이에 위치하고,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준다. 이러한 엉덩이받침대(400)를 개략적으로 도1, 도2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엉덩이받침대(400)는 아기띠에서 전측의 X결합부위의 하측 부분에 마련되며,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아기띠에서의 전측이라 함은 사용자가 아기띠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앞측 방향을 말한다. 이러한 엉덩이받침대(400)는 아기의 엉덩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머리받침대(500)는,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 사이에 위치하여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와 결합되며, 아기의 머리를 받쳐준다.
머리받침대의 형태는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부채꼴의 형태 혹은 역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받침대(500)의 테두리(510)가 부채꼴의 호의 형태를 갖춘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머리받침대(500)의 테두리 부분(510)이 부채꼴의 호의 형태를 갖추면 아기의 둥근 머리의 형태에 맞춰서 편안하게 감싸면서 받쳐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머리받침대(500)의 테두리(510)에서 부채꼴의 호의 일부 부분을 접어서 머리받침대(500)의 평면형태가 역삼각형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머리받침대(500)는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와 결합되어 아기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즉, 머리받침대(500)가 받쳐주는 아기머리의 하중이 제1밴드대(100) 및 제2밴드대(200)에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러한 머리받침대(500)의 일부분을 제1밴드대(100) 제2밴드대(200)에 선택적으로 체결시켜줄 수 있는 체결수단이 머리받침대(500)와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머리받침대(500)는 제1밴드대(100) 또는 제2밴드대(200) 둘 중 하나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밴드대와는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결합해제가 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머리받침대(500)가 제2밴드대(2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1밴드대(100)에 머리받침대(500)가 선택적으로 체결 또는 결합해제 될 수 있는 것을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의 바람직한 예로서 똑딱단추 또는 갈고리단추를 들을 수 있다. 벨크로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체결수단의 예시적 형태로서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똑딱단추를 나타내었다. 똑딱단추는 소켓원반과 볼원반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똑딱단추의 소켓원반은 제1밴드대(100) 또는 머리받침대(5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볼원반은 소켓원반의 장착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밴드대(100) 또는 머리받침대(5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원반(151)이 제1밴드대(100)에 장착되면, 볼원반(161)은 머리받침대(500)에 장착되어서 제1밴드대(100)와 머리받침대(500)의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밴드대(100)에 소켓원반(151, 152, 153, 154, 155)이 장착되고, 볼원반(161, 162, 163)이 머리받침대(500)의 일부분에 장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물론, 제1밴드대(100)에 소켓원반이 장착되고 볼원반이 머리받침대(500)에 장착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체결수단에 의해 제1밴드대(100)와 머리받침대(500)는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똑딱단추 외에 벨크로나 갈고리단추 또한 똑딱단추와 마찬가지로 머리받침대(500)와 제1밴드대(100) 사이의 선택적 결합을 가능하게 해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수단인 똑딱단추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볼원반(161, 162, 163)과 다수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 154, 155)이 각기 제1밴드대(100) 또는 머리받침대(500)에 장착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똑딱단추 또는 갈고리단추가 복수개가 마련되면, 기본적으로 하나인 경우에 비해 머리받침대(500)와 제1밴드대(100) 사이의 결합지점이 많으므로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제1밴드대(100)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제1밴드대(100)에 다수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 154, 155)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5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 154, 155)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머리받침대(500)에는 볼원반(161, 162, 163)이 3개 장착된 것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밴드대(100)의 폭방향으로 세 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이 장착되어 있고, 그 아래 행에 두 개의 소켓원반(154, 155)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받침대(500)에는 2개의 볼원반(161, 162)이 같은 방향의 동일선상에 있고, 그 아래에 하나의 볼원반(163)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볼원반(161, 162)이 이격된 간격은 3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이 이격된 간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 개의 소켓원반(151, 152, 153)에 대하여 두 개의 볼원반(161, 162)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소켓원반(154, 155)에 대하여 하나의 볼원반(163)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제1밴드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도시된 예에서 보면, 도면부호 153의 소켓원반과 도면부호 155의 소켓원반이 제1밴드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며, 도면부호 152의 소켓원반과 도면부호 154의 소켓원반이 제1밴드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3개의 소켓원반(151, 152, 154)에 3개의 볼원반(161, 162, 163)과 각기 결합될 수 있고, 나머지 한 형태로 3개의 소켓원반(152, 153, 155)과 3개의 볼원발(161, 162, 163)과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외측,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가운데 중심에서 팔쪽 방향을 외측이라고 한다면, 맨 외측의 두 개 소켓원반(151, 152)과 두 개의 볼원반(161, 162)이 결합되면 머리받침대(500)를 외측으로 좀 더 당겨서 결합시키는 형태가 되므로, 아기의 머리를 사용자의 가슴 측으로 좀 더 댕겨서 받쳐주는 형태가 된다. 이 때 도면부호 154의 소켓원반에는 도면부호 163의 볼원반이 결합되게 된다.
이와 달리 두 개의 소켓원반(152, 153)과 두 개의 볼원반(161, 163)이 결합되면 머리받침대(500)를 당기지 않고 결합되므로 아기의 머리와 사용자의 가슴 사이의 간격이 좀 더 이격되어 받쳐주는 형태가 된다. 이 때 도면부호 155의 소켓원반에는 도면부호 163의 볼원반이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소켓원반과 볼원반이 결합됨에 따라 제1밴드대(100)와 머리받침대(50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아기의 머리와 사용자의 가슴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똑딱단추 외에도 갈고리단추 또한 바람직한 예이다. 갈고리단추는 갈고리, 라운드아이, 라운드아이링, 스트레이트 아이 등으로 구성된 단추로서 갈고리를 라운드진 고리부위에 걸어주어서 체결시켜주는 체결수단의 한 예이다.
이러한 갈고리단추 또한 위에 설명한 똑딱단추의 배치형태에 따라 제1밴드대(100) 및 머리받침대(500)에 장착시키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기띠는, 사용자의 어께나 목 부위에 집중되는 아기의 하중을 다른 신체부위로 분산시켜주므로 사용자의 체력소모 또는 피로도 상승을 억제시켜주며, 아기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이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장점도 있으며, 아기띠의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조끼나 티셔츠를 착용하듯이 아기띠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하기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포켓주머니가 구비되어 있어 휴대성을 더욱 증진시켜주는 장점 또한 있다. 아울러 방수소재로 이루어지므로 물놀이 이후에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활용성이 증대되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밴드대 200 : 제2밴드대
300 : 허리받침대 400 : 엉덩이받침대
500 : 머리받침대 600 : 포켓주머니
700 : 지퍼

Claims (16)

  1. 사용자의 일측 어깨와 타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춘 제1밴드대;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와 일측 골반 부위를 잇는 띠의 형태를 갖추며, 상기 사용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서 일부분이 상기 제1밴드대의 일부분과 결합되는 제2밴드대; 및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와 결합되며, 상기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머리받침대는 유연성이 있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상기 제2밴드대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밴드대와 결합되며, 상기 제1밴드대와 상기 제2밴드대에 의해서 받쳐지는 아기의 하중이 상기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 부위로 집중되는 것을 상기 사용자의 허리측으로 분산시켜주는 허리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대에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 허리받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를 접어서 내장시킬 수 있는 포켓주머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지 않도록 묶어주는 묶음띠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대, 상기 제2밴드대 및 상기 허리받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어 젖지 않는 방수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대 및 상기 제2밴드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의 테두리가 부채꼴의 호의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의 일부분을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에 선택적으로 체결시켜줄 수 있는 체결수단이 상기 머리받침대와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똑딱단추, 갈고리단추 및 벨크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똑딱단추이고, 상기 똑딱단추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2. 제 1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3. 제 12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똑딱단추들 중 일부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제2밴드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대와 상기 제2밴드대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밴드길이조절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길이조절수단은 지퍼 또는 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길이조절수단은 지퍼이고,
    상기 지퍼에 포함되는 제1이빨(tooth)띠 및 제2이빨띠는,
    상기 제1밴드대 또는 상기 제2밴드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KR1020160120171A 2016-09-20 2016-09-20 아기띠 KR20180031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171A KR20180031477A (ko) 2016-09-20 2016-09-20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171A KR20180031477A (ko) 2016-09-20 2016-09-20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477A true KR20180031477A (ko) 2018-03-28

Family

ID=6190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171A KR20180031477A (ko) 2016-09-20 2016-09-20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4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06A1 (ko) * 2018-05-29 2019-12-05 Kim Seonhui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KR20210094790A (ko) * 2020-01-22 2021-07-30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210108342A (ko) * 2018-04-19 2021-09-02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KR102628400B1 (ko) * 2023-07-18 2024-01-23 홍주원 장착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아기 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342A (ko) * 2018-04-19 2021-09-02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어린이 캐리어
WO2019231106A1 (ko) * 2018-05-29 2019-12-05 Kim Seonhui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KR20210094790A (ko) * 2020-01-22 2021-07-30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2628400B1 (ko) * 2023-07-18 2024-01-23 홍주원 장착 구조의 변형이 가능한 아기 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9808A (en) Baby pack
US9750353B2 (en) Child carrier and methods of use
US6125792A (en) Shoulder harness with support handle
CN102469884B (zh) 婴儿携带器
US9545159B2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6000664A (en) Baby bottle support bib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US6213362B1 (en) Sling-type infant carrier
US9314111B2 (en) Convertible child carrier
KR20180031477A (ko) 아기띠
CN107205558B (zh) 可穿戴式儿童背带和其使用方法
JP2013502297A (ja) 関節結合可能なショルダストラップ
US4458834A (en) Infant carrier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US6398088B1 (en) Baby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CA1332928C (en) Baby carrier
US8505542B2 (en) Infant hand restraint with diaper
CN211382029U (zh) 一种肩背姿势矫正带
KR200460001Y1 (ko) 휴대용 아기띠
KR101999940B1 (ko) 캐리어
US20050189386A1 (en) Front mounted baby carrier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JP2005288107A (ja) 子守帯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