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90A -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4790A KR20210094790A KR1020200008449A KR20200008449A KR20210094790A KR 20210094790 A KR20210094790 A KR 20210094790A KR 1020200008449 A KR1020200008449 A KR 1020200008449A KR 20200008449 A KR20200008449 A KR 20200008449A KR 20210094790 A KR20210094790 A KR 202100947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shoulder belt
- belt
- hip seat
- seat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8 babys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가 착용자의 등쪽에서 X자 형태로 위치시켜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착용 시 착용자의 어깨에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착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의 어깨 질환을 예방하며, 등받이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착용하여 사용 시 아기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아기가 더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하여 아기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를 착용자의 등쪽에서 X자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한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안거나 업는데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포대기의 불편함을 해소한 아기띠가 사용되고 있다.
아기띠는 아기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영아 또는 아기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아기의 몸통을 받쳐 주는 등받이 패드와, 상기 등받이 패드의 양측에 형성하여 보호자의 어깨에 메는 어깨벨트 및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아기띠를 사용할 경우 보호자가 양팔로 아기를 안는 것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보호자의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기가 수면중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근래에 들어 무거워지는 아기를 보다 가볍게 안을 수 있도록 아기띠에 힙 시트(HIP SEAT)를 적용한 힙 시트 캐리어가 출시되고 있다. 힙 시트 캐리어는 힙 시트(엉덩이 받침부)로 허리에서 아기의 엉덩이를 한 번 더 받쳐주어 아기의 무게를 분산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준다.
힙 시트 캐리어는 아기의 무게를 힙 시트(엉덩이 받침부)로 허리에서 아기의 엉덩이를 한 번 더 받쳐주어 어깨 벨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있으나 착용자의 어깨에 대부분의 하중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힙 시트 캐리어는 장기간 착용 시 어깨 벨트에 의해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불편함이 발생되고,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힙 시트 캐리어는 장기간 착용 시 착용자의 어깨에 무리를 주어 착용자의 어깨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힙 시트 캐리어는 등받이부가 아기의 목을 받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생후 1세 미만 아기의 경우 등받이부가 머리까지 덮게되어 장기간 착용 시 아기에게 답답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를 착용자의 등쪽에서 X자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착용하여 사용 시 아기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아기가 더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한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어느 한 어깨에 착용되는 제1어깨 벨트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다른 한 어깨에 착용되는 제2어깨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는 서로 교차되어 서로 교차되어 X자 형태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되며, 상기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부분을 중심으로 좌, 우에 위치되는 제1등받이부와 제2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와 상기 제2등받이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등받이 연결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는 지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에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를 덮어 커버하고 상기 제2등받이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연결부 덮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인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지퍼의 개폐량을 제한하는 개폐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등받이부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지퍼의 손잡이가 걸려 지퍼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를 상기 제2등받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토퍼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 결합부는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부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결합부재 및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부 중 다른 한 측에 되는 제2스토퍼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는 자력으로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에는 결합 돌기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부착면과 제2부착면이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자력으로 부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는 평면인 상기 제1부착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돌기 삽입부는 평면인 상기 제2부착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에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를 덮어 커버하고 상기 제2등받이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연결부 덮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 덮개부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의 단부 측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 덮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가 착용자의 등쪽에서 X자 형태로 위치시켜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착용 시 착용자의 어깨에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착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의 어깨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등받이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착용하여 사용 시 아기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아기가 더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하여 아기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재를 열어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어깨 벨트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등받이부재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어깨 벨트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등받이부재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어깨 벨트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100)를 포함한다.
힙 시트부재(10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부재(200)에 위치되고, 허리 밴드부재(200)가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허리 밴드부재(200)에 의해 착용자의 배부분에 위치된다.
힙 시트부재(100)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기 위한 부분으로 허리 밴드부재(200)가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배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가 아기를 안아 감쌀 수 있도록 한다.
힙 시트부재(100)는 상부면에 아가가 앉을 수 있는 넓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면과 착용자의 배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각각 안장 완충 패드부재(미도시)과 배 완충 패드부재(미도시)가 위치된다.
힙 시트부재(100)는 천 재질의 힙 시트 내부에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보형물이 삽입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공지의 힙 시트 캐리어에서 공지된 구조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허리 밴드부재(200)는 힙 시트부재(10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위치되어 착용자의 허리 중 일부분을 감싸는 제1허리 밴드부(210), 힙 시트부재(10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위치되어 착용자의 허리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제1허리 밴드부(210)와 일부분 겹쳐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허리 밴드부(220)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1허리 밴드부(210)와 제2허리 밴드부(220)는 벨크로 테이프로 서로 탈부착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허리 밴드부재(200)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 시 착용자의 허리에 맞게 착용될 수 있다.
허리 밴드부재(200)는 내부 패드 장착과 넓은 단면적으로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아기의 하중을 한 번 더 허리에서 잡아주게 되어 아기의 체중을 분산시키므로 아기를 앉고 있을 때의 무거움을 감소시키고 어깨 통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허리 밴드부재(200)에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를 조이는 허리띠부재(230)가 외측면에 위치되고, 허리띠부재(230)는 제1허리 밴드부(210)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는 제1허리띠부(231)와 제2허리 밴드부(220)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어 제1허리띠부(23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허리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허리띠부(231)와 제2허리띠부(23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버클과 숫버클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제1허리띠부(231)와 제2허리띠부(23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는 두개의 끈, 띠, 벨트 등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지의 벨트 연결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숫버클에는 제1허리띠부(231) 또는 제2허리띠부(2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 클립부가 위치되어 허리띠부재(2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제1허리 밴드부(210)와 제2허리 밴드부(220)가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 착용된 상태에서 허리띠부재(230)가 착용자의 허리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길이조절 클립부는 제1허리띠부(231) 또는 제2허리띠부(232)가 가로바를 중심으로 앞측에 위치된 제1띠통과부를 통과한 후 가로바의 뒷슥에 위치된 제2통과부를 통과하여 제1허리띠부(231) 또는 제2허리띠부(2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허리띠부재(230)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싼 제1허리 밴드부(210)와 제2허리 밴드부(220)를 감싸 조임으로써 제1허리 밴드부(210)와 제2허리 밴드부(220)를 연결하는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을 지지하며 제1허리 밴드부(210)와 제2허리 밴드부(220)가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허리를 바로 잡아주어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 측에는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재(300)가 위치된다.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는 착용자의 어느 한 어깨에 착용되는 제1어깨 벨트부재(400) 및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제2어깨 벨트부재(500)를 포함하며,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서로 교차되어 X자 형태를 가지도록 위치된다.
등받이부재(300)는 하단부가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 측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힙 시트부재(100)의 바깥쪽 원호 라인 중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힙 시트부재(100)에 앉은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등받이부재(300)는 앞면쪽으로 노출되는 겉감이 면 소재 또는 캔버스 소재로 되고 안쪽에서 아기와 닿는 안감이 에어메쉬 또는 메쉬소재로 되어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제1어깨 벨트부재(400)는 일단부가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일단부가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교차되어 X자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제1어깨 벨트부재(400)는 등받이부재(300)의 상부에서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등받이부재(300)의 하부에서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등받이부재(300)의 상부에서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등받이부재(300)의 하부에서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된다.
즉,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의 대각선으로 위치되어 서로 교차되고 X자 형태를 가지도록 위치된다.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 조절부재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착용 시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제1어깨 벨트부재(400)는 상단부 측이 등받이부재(300)의 상부 측에 고정되는 제1벨트부(410), 하단부 측이 등받이부재(300)의 타측에 고정되고 제1벨트부(410)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벨트부(420)를 포함하고,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상단부 측이 등받이부재(300)의 상부 측에 고정되는 제3벨트부(510), 하단부 측이 등받이부재(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3벨트부(510)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벨트부(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벨트부(410)와 제2벨트부(420)는 길이 조절 클립부로 연결되어 즉, 제1벨트부(410)의 하단부 측과 제2벨트부(420)의 상단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길이 조절 클립부가 봉재로 고정되고 제1벨트부(410)의 하단부 측과 제2벨트부(420)의 상단부 측 중 다른 한 측을 길이 조절 클립부로 연결하여 제1어깨 벨트부재(4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벨트부(510)와 제4벨트부(520)는 길이 조절 클립부로 연결되어 즉, 제3벨트부(510)의 하단부 측과 제4벨트부(520)의 상단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길이 조절 클립부가 봉재로 고정되고 제3벨트부(510)의 하단부 측과 제4벨트부(520)의 상단부 측 중 다른 한 측을 길이 조절 클립부로 연결하여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 조절 클립부는 벨트가 가로바를 중심으로 앞측에 위치된 제1띠통과부를 통과한 후 가로바의 뒷슥에 위치된 제2통과부를 통과하여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어깨 벨트부재(400) 또는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어께 벨트부재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벨트 길이 조절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제1어깨 벨트부재(400)의 안쪽면에는 제2어깨 벨트부재(500)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가 위치된다.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제1어깨 벨트부재(400)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의 사이에 제2어깨 벨트부재(500)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제2어깨 벨트부재(5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된다.
또한,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안쪽면에는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700)가 위치된다.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700)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제2어깨 벨트부재(500)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제2어깨 벨트부재(500)와의 사이에서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된다.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의 양 단부 측은 각각 제1어깨 벨트부재(400)의 안쪽면에 봉제로 고정되고,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700)의 양단부 측은 각각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안쪽면에 봉제로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어깨 벨트부재(500)는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 사이를 통과하여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X자 형태로 교차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제1어깨 벨트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700)는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600)를 덮어 커버하는 역할을 하여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의 서로 교차된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물론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가 서로 교차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가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착용된 교차된 지점이 착용자의 등에서 중앙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양 측으로 고르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에서 등받이부재(300)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더 상세하게 도 3은 등받이부재(300)가 등받이 개폐부를 중심으로 열려지는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를 포함하는 예를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등받이부재(300)의 연결부 덮개부(330)를 열어 등받이 개폐부를 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등받이 연결부재(800)의 일부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등받이 연결부재(800)의 개폐량을 제한하는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차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등받이부재(300)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부분을 중심으로 좌, 우에 위치되는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를 포함하고, 절개된 부분에서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위치된다.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는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분리되어 절개된 부분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등받이 연결부재(800)는 지퍼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지퍼인 경우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에서 열리는 개폐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가 원하는 만큼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고 닫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등받이 연결부재(800)는 지퍼 이외에도 스냅 단추, 버클 등 공지의 분리 가능하여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를 개폐할수 있는 공지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등받이부(310)에는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덮어 커버하고 제2등받이부(320)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연결부 덮개부(330)가 구비된다.
연결부 덮개부(330)는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즉, 등받이 연결부재(800)에 의해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가 닫힌 상태에서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덮어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증대시키고,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보호하여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등받이 연결부재(800)가 분리되어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등받이 연결부재(800)는 제1등받이부(310)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1연결부재, 제2등받이부(320)의 바깥쪽면에 위치되며 제1연결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 덮개부(330)는 제1등받이부(310)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1연결부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된 형태로 위치되어 제2등받이부(320)의 일부분을 덮어 제2등받이부(32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제2연결부재를 덮어 커버하게 된다.
등받이 연결부재(800)는 연결부 덮개부(330)를 들어 올려야만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태에서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등받이 연결부재(800)인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지퍼의 개폐량을 제한하는 개폐 스토퍼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제1등받이부(310)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제2등받이부(3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지퍼의 손잡이가 걸려 지퍼의 이동을 제한한다.
더 상세하게 도 5를 참고하면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천재질로 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연결부 덮개부(330)의 안쪽면에 봉재로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제2등받이부(3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퍼의 슬라이더가 이동될 때 지퍼의 손잡이가 걸려 지퍼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타단부 측이 제2등받이부(3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젖혀져 지퍼를 완전히 개방시킴으로써 슬라이더가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위치를 지나 더 아래로 이동되어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개폐 스토퍼부재(900)를 제2등받이부(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토퍼 결합부(1000)를 더 포함한다.
스토퍼 결합부(1000)는 개폐 스토퍼부재(900)와 제2등받이부(320)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 개폐 스토퍼부재(900)와 제2등받이부(320) 중 다른 한 측에 되는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를 포함하고,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는 자력으로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에는 결합 돌기부(1110)가 돌출되고,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에는 결합 돌기부(1110)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부(1210)가 위치된다.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부착면과 제2부착면이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자력으로 부착되며, 결합 돌기부(1110)는 평면인 제1부착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돌기 삽입부(1210)는 평면인 제2부착면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부착면과 제2부착면이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어 자력을 통해 안정적인 부착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돌기 삽입부(1210) 내에 삽입된 결합 돌기부(111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 중 어느 한 측에는 제1자석이 위치되고,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 중 어느 한 측에는 제1자석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제2자석 또는 제1자석과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가 위치됨으로써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는 자력으로 서로 탈부착될 수 있다.
스토퍼 결합부(1000)는 연결부 덮개부(330)에 의해 가려지고,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단부 측 일부분은 연결부 덮개부(3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연결부 덮개부(3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 측 일부분에 의해 착용자에 의해 젖혀지는 경우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가 분리되면서 연결부 덮개부(330)를 젖혀 등받이 연결부재(800)를 외부로 자연스럽게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는 자력으로 서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결합 돌기부(1110)가 돌기 삽입부(1210) 내로 삽입된 구조를 가져 지퍼의 슬라이드가 이동되는 방향 즉, 지퍼의 슬라이더가 아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개폐 스토퍼부재(900)를 젖혀 결합 돌기부(1110)가 돌기 삽입부(1210)에서 분리될 수 있는 방향 즉,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결합부재 중 어느 한 측이 결합 돌기부(1110)의 돌출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착용자가 지퍼의 손잡이를 잡고 슬라이드를 아래로 내려 개폐 스토퍼부재(900)에 걸린 상태에서 아무리 힘을 주어도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제2등받이부(320)에서 분리되지 않고 지퍼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자가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아래 부분까지 지퍼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스토퍼부재(900)의 타단부 측을 젖혀 제1스토퍼 결합부재(1100)와 제2스토퍼 결합부재(1200)를 분리해야만 한다.
개폐 스토퍼부재(900)는 지퍼의 손잡이가 걸려 지퍼의 개폐량을 제한함으로써 갑자기 지퍼가 과도하게 열리면서 등받이부재(300)에 기대고 있는 아기의 자세를 불안정하게 함과 아울러 아이의 고개가 젖혀지거나 아이가 낙하하는 등의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는 등받인 연결부재인 지퍼를 통해 사이가 열릴 수 있어 아기의 머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어 아기가 등받이부재(300)에 의해 머리가 가려지면서 답답한 느낌을 받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등받이부(310)와 제2등받이부(320)의 사이 개폐량은 지퍼를 통해 착용자가 원하는 만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 스토퍼부재(900)에 의해 갑자기 과도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를 착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등쪽에서 제1어깨 벨트부재(400)와 제2어깨 벨트부재(500)가 서로 교차되어 X자 형태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가 착용자의 등쪽에서 X자 형태로 위치시켜 착용자의 어깨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착용 시 착용자의 어깨에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착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자의 어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등받이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착용하여 사용 시 아기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아기가 더 편안한 환경에서 쉴 수 있도록 하여 아기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재(300)를 열어 사용자가 쉽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힙 시트부재
200 : 허리 밴드부재
210 : 제1허리 밴드부 220 : 제2허리 밴드부
230 : 허리띠부재 231 : 제1허리띠부
232 : 제2허리띠부 300 : 등받이부재
310 : 제1등받이부 320 : 제2등받이부
330 : 연결부 덮개부 400 : 제1어깨 벨트부재
410 : 제1벨트부 420 : 제2벨트부
500 : 제2어깨 벨트부재 510 : 제3벨트부
520 : 제4벨트부 600 :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
700 :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 800 : 등받이 연결부재
900 : 개폐 스토퍼부재 1000 : 스토퍼 결합부
1100 : 제1스토퍼 결합부재 1110 : 결합 돌기부
1200 : 제2스토퍼 결합부재 1210 : 돌기 삽입부
210 : 제1허리 밴드부 220 : 제2허리 밴드부
230 : 허리띠부재 231 : 제1허리띠부
232 : 제2허리띠부 300 : 등받이부재
310 : 제1등받이부 320 : 제2등받이부
330 : 연결부 덮개부 400 : 제1어깨 벨트부재
410 : 제1벨트부 420 : 제2벨트부
500 : 제2어깨 벨트부재 510 : 제3벨트부
520 : 제4벨트부 600 :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
700 :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 800 : 등받이 연결부재
900 : 개폐 스토퍼부재 1000 : 스토퍼 결합부
1100 : 제1스토퍼 결합부재 1110 : 결합 돌기부
1200 : 제2스토퍼 결합부재 1210 : 돌기 삽입부
Claims (15)
-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며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어느 한 어깨에 착용되는 제1어깨 벨트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위치되며 착용자의 다른 한 어깨에 착용되는 제2어깨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는 서로 교차되어 서로 교차되어 X자 형태를 가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타측에 상단부가 봉재로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하단부가 봉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사이로 통과되는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1어깨 벨트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되며,
상기 제2벨트 지지 밴드부재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2어깨 벨트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통과될 수 있고 통과된 상기 제1벨트 지지 밴드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2벨트 이동 공간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절단되어 절단된 부분을 중심으로 좌, 우에 위치되는 제1등받이부와 제2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절개된 부분에서 상기 제1등받이부와 상기 제2등받이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등받이 연결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등받이부에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를 덮어 커버하고 상기 제2등받이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연결부 덮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인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지퍼의 개폐량을 제한하는 개폐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등받이부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등받이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퍼를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지퍼의 손잡이가 걸려 지퍼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를 상기 제2등받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토퍼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결합부는,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부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스토퍼 결합부재; 및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등받이부 중 다른 한 측에 되는 제2스토퍼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는 자력으로 서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에는 결합 돌기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 결합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 결합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부착면과 제2부착면이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자력으로 부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는 평면인 상기 제1부착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돌기 삽입부는 평면인 상기 제2부착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등받이부에는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를 덮어 커버하고 상기 제2등받이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연결부 덮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 덮개부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개폐 스토퍼부재의 단부 측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 덮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449A KR102331093B1 (ko) | 2020-01-22 | 2020-01-22 |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449A KR102331093B1 (ko) | 2020-01-22 | 2020-01-22 |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4790A true KR20210094790A (ko) | 2021-07-30 |
KR102331093B1 KR102331093B1 (ko) | 2021-11-24 |
Family
ID=7714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8449A KR102331093B1 (ko) | 2020-01-22 | 2020-01-22 |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10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9594B1 (ko) | 2023-06-28 | 2023-12-29 | 주식회사 꿈비 | 폴딩 휴대용 아기띠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5550A1 (ko) * | 2022-04-04 | 2023-10-12 | 주식회사 재린 |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3278U (ko) * | 2009-09-25 | 2011-03-31 | 신용남 | 아기띠 |
KR101401494B1 (ko) * | 2013-07-12 | 2014-06-03 | 이준기 |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
KR200473475Y1 (ko) | 2013-12-24 | 2014-07-04 | 이진섭 | 아기띠 힙시트 |
KR20180031477A (ko) * | 2016-09-20 | 2018-03-28 | 윤혜빈 | 아기띠 |
-
2020
- 2020-01-22 KR KR1020200008449A patent/KR102331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3278U (ko) * | 2009-09-25 | 2011-03-31 | 신용남 | 아기띠 |
KR101401494B1 (ko) * | 2013-07-12 | 2014-06-03 | 이준기 |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
KR200473475Y1 (ko) | 2013-12-24 | 2014-07-04 | 이진섭 | 아기띠 힙시트 |
KR20180031477A (ko) * | 2016-09-20 | 2018-03-28 | 윤혜빈 | 아기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9594B1 (ko) | 2023-06-28 | 2023-12-29 | 주식회사 꿈비 | 폴딩 휴대용 아기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1093B1 (ko) | 202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1201176B2 (en) | A Baby Carrier | |
US6763983B2 (en) | Infant carrier | |
JP3856625B2 (ja) |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 |
KR101812529B1 (ko) | 힙시트 겸용 아기띠 | |
US20070062989A1 (en) |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 |
KR102331093B1 (ko) |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
KR200485256Y1 (ko) |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 |
US20210030076A1 (en) | Inner wrapper for infant | |
KR102377913B1 (ko) |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 |
KR101955475B1 (ko) |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 |
KR20160035495A (ko) | 아기띠 | |
GB2389509A (en) | A head restraint | |
KR200489399Y1 (ko) |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 |
EP3644796B1 (en) | Multi-adjustable child carrier system | |
KR101955476B1 (ko) |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 |
KR102326818B1 (ko) | 어깨 외전 보조기 | |
CA2619634A1 (en) | Infant carrier | |
CN221044632U (zh) | 婴幼儿背袋 | |
KR900003424Y1 (ko) | 아기띠 | |
KR200483520Y1 (ko) | 아기띠 | |
KR20170051038A (ko) | 유아용 캐리어 | |
KR200315990Y1 (ko) | 베이비 슬링 | |
JP3998673B2 (ja) | ベビースリング(布製子守帯) | |
KR20230041568A (ko) | 유아용 하네스 | |
KR200368707Y1 (ko) | 자세 교정용 복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