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95550A1 -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95550A1
WO2023195550A1 PCT/KR2022/004763 KR2022004763W WO2023195550A1 WO 2023195550 A1 WO2023195550 A1 WO 2023195550A1 KR 2022004763 W KR2022004763 W KR 2022004763W WO 2023195550 A1 WO2023195550 A1 WO 20231955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der
wearable device
waist
wi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47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린
Publication of WO20231955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955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that allows workers to easily load, unload, and move heavy objects.
  •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stress relief device worn on the shoulder of the user's body to support a load,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used during use. It includes a yoke that transfers the load to both sides of the shoulder area to avoid stress in the shoulder area, the yoke comprising: a base bridging the shoulder area of the user; a front en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including a pad adjacent the front side of the user's body; and a rear end extending from the base and including a pad adjacent the rear side of the user's body.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worn on a waist belt and allows heavy objects such as boxes to be placed on top, thereby reducing physical fatigue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thereby reducing musculoskeletal damag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that can prevent.
  • the wearable trans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tector (2) having a plurality of belt loops (22) formed on the surface and having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waist belt worn on the worker's waist can be inserted;
  • a holder (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0) of the holder body (32) and consists of a holder plate (34) whose lower end is hinged with the holder body (32) and a support protrusion 3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do.
  • a suspender member 300 consisting of shoulder straps 3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a rear strap 34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 a first clamp 201 coupled to the hook of the holder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strap 320, and a second clamp 203 coupled to the waist belt r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strap 340.
  • the holding plate 34 has a concave recess 344 formed on the upper side, part or all of the holding plate 34 is made of an iron plate, and a magnet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30 of the holding plate 32. It is characterized by
  • a motor box 350 is formed on the rear strap 340, and a wire 352 is wound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351 in the motor box 350, and the wire 352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32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front wrist band 356 by penetrating the guide roller 354 formed at the top of the.
  • a cylinder box 350 is formed on the rear strap 340, and a wire 35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in the cylinder box 350, and the wire 35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3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ormed guide roller 354 and be connected to the front wrist band 356.
  • the mounting plate 34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a weight of 100 kg or more is detected.
  • a heavy object such as a box can be placed on a stand while worn on a waist belt, or it can be used by attaching it to a suspender strap.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transportation device and a waist belt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transport device and a suspender member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er wearing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tate where a wire is coupled to the suspender member of the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wire is wound or relaxed on a suspender member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 waist belt
  • Figure 3 is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uspender strap.
  •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o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a wire is coupled to the suspender member of the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operating state in which a wire is wound or relaxed on a suspender member of a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 the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is a waist belt 100 worn on the waist by a worker, which is combined with a protector 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and has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belt loops (2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or (2) and through which the waist belt (100) is coupled; A holder main body 32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or 2 and has a receiving groove 30 formed thereon and a hook 321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0 and has a lower end with the holder main body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er 3, which is hinged and consists of a holder plate 34 with a support protrusion 342 formed on one lower side.
  • the mounting plate 34 of the holder 3 is formed with a recess 344 whose upper side is concave, a support protrusion 342 is formed on one lower side, and a magnet 31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30.
  • An iron plate is formed on part or all of the mounting plate 34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 the mounting plate 34 when the mounting plate 34 is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0, i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31 and fixed in the folded state.
  • the downwardly tilted mounting plate 34 can be fixed in a horizontal state by supporting the support protrusion 342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34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32.
  • arm strength and waist strength can be relieved by placing it on the lower portion 344 of the mounting plate 34 and carrying it, thereby reducing physical strain.
  • It includes a waist holder 200 that the worker places on the waist, and a suspender member 300 that is worn on the shoulder and is connected to the waist holder 200.
  • the waist holder 200 includes a protector 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and has a plate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or 2 and has a receiving groove 30 formed thereon, and a holder main body with a hook 321 formed on the top. Including a holder (3) consisting of (32) and a holder plate 34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0, the lower end of which is hinged with the holder main body 32, and a support protrusion 342 formed on one lower side. It is composed.
  • the suspender member 300 is worn on the shoulder and consists of a shoulder strap 320 and a rear strap 340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hook 321 of the holder 3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houlder strap 320. ) is formed, and a second clamp 203 coupled to the waist belt ring 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strap 340.
  •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320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strap 340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oulder strap 320.
  • the waist holder 200 is placed on the waist, the suspender member 300 is worn on the shoulder, the first clamp 201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waist holder 200, and the second clamp 203 is attached to the pants. Wearing is completed by connecting to the waist belt loop (not show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 the supporting force can be exerted by the suspender member 300 worn on the shoulder without wearing the waist belt 100, and thus the support force can be doubled, thereby reducing physical fatigue.
  • a waist belt 100 worn on the waist by the worker, a waist holder 200 to which the waist belt 100 is coupled, and a suspender member 300 worn on the shoulder and connected to the waist holder 200. Includes.
  • the waist holder 200 is coupled to the waist belt 100 worn by the worker on the waist, and includes a protector 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and has a plate shape;
  • a holder main body 32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or 2 and has a receiving groove 30 and a hook 321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0 of the holder main body 32 and has a lower e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er (3), which is hinged to the holder body 32 and consists of a holder plate 34 with a support protrusion 342 formed on one lower side.
  • the suspender member 300 is worn on the shoulder and consists of a shoulder strap 320 and a rear strap 340 form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hook 321 of the holder 3 at the end of the shoulder strap 320.
  • a first clamp 201 coupled to is formed, and a second clamp 203 coupled to the waist belt ring 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strap 340.
  • the waist holder 200 is mounted on the waist belt 100, the suspender member 300 is worn on the shoulder, the first clamp 201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waist holder 200, and the second clamp ( 203) is connected to the waist belt loop 2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nts to complete wearing.
  • the supporting force can be exerted by the suspender member 300 worn on the shoulder without wearing the waist belt 100, and thus the support force can be doubled, thereby reducing physical fatigue.
  • a motor box 350 or a cylinder box 350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strap 340 of the wearable device for transpor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ire 352 is wound around the motor shaft 351 of the motor box 350, and the wire 352 penetrates the guide roller 354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320 and the front wrist band 356. )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 a motor box 350 is formed in the rear strap 340.
  • a motor 351 in which a wire 352 is wound around a rotating shaft is formed in the motor box 350.
  • a guide roller 354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320 to guide the wire 352 forward and backward.
  • a wristband 35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352.
  • the motor 35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ereby enabling the wristband 356 to move up and down.
  • the wrist band 356 worn on the wrist is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ove the object upward.
  • the cylinder box 350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motor box.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wire 35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ist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the wrist band 356 connected to the wire 352 moves up and down when applied to the motor 351. Same as
  • the control unit When a worker wearing the wrist band 356 lifts an object with his or her h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motor or cylinder, and the wrist band 356 moves upward, allowing the object to be easily moved.
  • the mounting plate 34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not shown), which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a weight of 100 kg or more is detected, making it possible to protect the waist by restricting the transportation of objects exceeding the appropriate weight.
  • Second clamp 300 Suspender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가 결합되는 것으로, 허리에 밀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호대; 상기 보호대의 표면에 형성되고, 허리벨트가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벨트고리; 상기 보호대의 표면에 부착되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가 형성된 거치대본체; 상기 거치대본체의 수용홈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와 힌지결합되며 하부일측에 지지돌부가 형성된 거치판으로 구성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연결되고 어깨에 착용하는 멜빵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본 발명은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무거운 물건을 용이하게 상·하차 및 이동할 수 있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인력(人力)으로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은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중 약 60~80%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택배 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는 대부분의 주된 업무가 운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 중 중량물은 호이스트나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고 있으나 경량물은 작업자의 반복 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운반작업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되어 산업재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588호(특허문헌 1)에서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 몸의 어깨 위에 착용하는 스트레스 완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그 구성은 사용 도중 어깨 영역의 스트레스를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하중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사용자의 상기 어깨 영역을 연결하는(bridging)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58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리벨트에 착용되고, 박스와 같은 고중량의 물건을 걸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운반과정의 육체 피로를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근골격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벨트고리(22)가 표면에 형성된 보호대(2);
상기 보호대(2)와 허리벨트 사이로 관통 결합되며, 거치판(34)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321)가 형성된 거치대본체(32); 및
거치대본체(32)의 수용홈(30)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32)와 힌지 결합되고 하부일측에 지지돌부(342)가 형성된 거치판(34)으로 구성되는 거치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본체(3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양측에 형성되는 어깨끈(320)과 후방의 중앙에 형성되는 후방끈(340)으로 구성된 멜빵부재(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깨끈(320)의 단부에는 거치대의 걸고리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201)가 형성되고, 후방끈(340)의 단부에는 허리벨트 고리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2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판(34)은 상측에 오목한 요부(344)가 형성되고 거치판(3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철판으로 형성되며, 거치대본체(32)의 수용홈(30)에는 자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끈(340)에는 모터박스(350)가 형성되되, 상기 모터박스(350)에는 모터(351)의 회전축에 와이어(352)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352)가 어깨끈(3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354)를 관통하여 전방의 손목밴드(3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끈(340)에는 실린더박스(350)가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박스(350)에는 피스톤의 일측에 와이어(352)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52)가 어깨끈(3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354)를 관통하여 전방의 손목밴드(3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판(34)에는 무게센서가 구비되어 100kg 이상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벨트에 착용한 상태로 박스와 같은 고중량의 물건을 거치대에 걸쳐 올려놓을 수 있거나 멜빵끈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축에 감긴 와이어를 권취시킬 경우 손목밴드에 연결된 와이어가 팔의 안쪽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쉽게 들어 올려 거치판에 올려둠으로써 피로를 절감시켜 이로 인해 근골격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와 허리벨트를 결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와 멜빵부재를 결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의 멜빵부재에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의 멜빵부재에 와이어가 권취 또는 이완되는 작동상태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와 허리벨트를 결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와 멜빵끈을 결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를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의 멜빵부재에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의 멜빵부재에 와이어가 권취 또는 이완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는,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1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허리에 밀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호대(2); 상기 보호대(2)의 표면에 형성되고, 허리벨트(100)가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벨트고리(22); 상기 보호대(2)의 표면에 부착되며 수용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321)가 형성된 거치대본체(32)와, 상기 수용홈(30)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32)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일측에 지지돌부(342)가 형성된 거치판(34)으로 구성되는 거치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3)의 거치판(34)은 상측이 오목하게 요입되는 요부(344)가 형성되고 하부일측에는 지지돌부(34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0)에는 자석(31)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판(34)에는 상기 자석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철판이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판(34)을 접어서 수용홈(30)에 삽입하면 자석(31)에 부착되어 접은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거치판(34)을 하방으로 젖히면 자연스럽게 자석(31)과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방으로 젖혀진 거치판(34)은 하부일측에 형성된 지지돌부(342)가 거치대본체(32)의 하단 표면에 지지됨으로써 수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박스 등의 중량물을 들고 옮길 때 거치판(34)의 요부(344) 위에 올려놓고 운반함으로써 팔힘, 허리힘을 덜어줄 수 있으므로 육체적 무리를 감소시켜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거치판(34)도 동일한 형상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허리에 배치되는 허리거치부(200)와, 어깨에 착용되며 상기 허리거치부(200)에 연결되는 멜빵부재(300)를 포함한다.
허리거치부(200)는, 허리에 밀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호대(2)와, 상기 보호대(2)의 표면에 부착되며 수용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321)가 형성된 거치대본체(32)와, 상기 수용홈(30)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32)와 힌지결합되며 하부일측에 지지돌부(342)가 형성된 거치판(34)으로 구성되는 거치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멜빵부재(300)는, 어깨에 착용되며 전·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어깨끈(320)과 후방끈(3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깨끈(320)의 단부에는 거치대(3)의 걸고리(321)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20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끈(340)의 단부에는 허리벨트고리(22)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20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어깨끈(320)은 좌우 두개의 어깨끈(320) 상부와 후방끈(340) 상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허리거치부(200)를 허리에 위치시키고, 멜빵부재(300)를 어깨에 착용한 후 제1클램프(201)를 허리거치부(200)의 앞쪽에 연결하고 제2클램프(203)는 바지의 후방에 구비된 허리벨트고리(미도시)에 연결하여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는 허리벨트(100)를 착용하지 않고 어깨에 착용하는 멜빵부재(300)로 인해 버티는 힘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지지력이 배가될 수 있어 육체 피로를 경감시켜주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100)와, 상기 허리벨트(100)가 결합되는 허리거치부(200)와, 어깨에 착용되며 상기 허리거치부(200)에 연결되는 멜빵부재(300)를 포함한다.
허리거치부(200)는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1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허리에 밀착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호대(2);
상기 보호대(2)의 표면에 형성되고, 허리벨트(100)가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벨트고리(22);
상기 보호대(2)의 표면에 부착되며 수용홈(30)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321)가 형성된 거치대본체(32)와, 상기 거치대본체(32)의 수용홈(30)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32)와 힌지결합되며 하부일측에 지지돌부(342)가 형성된 거치판(34)으로 구성되는 거치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멜빵부재(300)는 어깨에 착용되며 전·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어깨끈(320)과 후방끈(3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깨끈(320)의 단부에는 거치대(3)의 걸고리(321)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20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끈(340)의 단부에는 허리벨트고리(22)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20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허리벨트(100)에 허리거치부(200)를 장착하고, 멜빵부재(300)를 어깨에 착용한 후 제1클램프(201)를 허리거치부(200)의 앞쪽에 연결하고 제2클램프(203)는 바지의 후방에 구비된 허리벨트고리(22)에 연결하여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는 허리벨트(100)를 착용하지 않고 어깨에 착용하는 멜빵부재(300)로 인해 버티는 힘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지지력이 배가될 수 있어 육체 피로를 경감시켜주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의 후방끈(340) 표면에 모터박스(350) 또는 실린더박스(3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박스(350)의 모터축(351)에는 와이어(352)가 권취되되, 상기 와이어(352)는 어깨끈(3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354)에 관통되고 전방의 손목밴드(356)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상기 후방끈(340)에는 모터박스(3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박스(350)에는 회전축에 와이어(352)가 권취된 모터(3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어깨끈(320) 상부에 와이어(352)를 전·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3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52)의 단부에는 손목밴드(35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모터(351)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손목밴드(356)가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351)는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됨으로써 손목밴드(356)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손목에 착용된 손목밴드(356)는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물건을 상측으로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박스 대신에 실린더박스(350)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352)는 실린더에 연결된 피스톤(미도시)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며, 그 외 와이어(352)에 연결된 손목밴드(356)가 상하이동 작동되는 것은 상기 모터(351)에 적용된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목밴드(356)를 손목에 착용한 작업자의 손으로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제어부에 의해 모터 또는 실린더를 작동시키면, 손목밴드(35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물건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또한 거치판(34)에 무게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100kg 이상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함으로써, 적정무게를 초과한 물건의 운반을 제한하여 허리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호의 설명
2 : 보호대 3 : 거치대
22 : 벨트고리 31 : 자석
32 : 거치대본체 34 : 거치판
200 : 허리거치부 201 : 제1클램프
203 ; 제2클램프 300 : 멜빵부재
321 : 걸고리 342 : 지지돌부
350 : 모터박스 또는 실린더박스 352 : 와이어
354 : 가이드롤러 356 : 손목밴드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인력(人力)으로 물건을 반복적으로 운반하는 작업에서 사용되며, 특히 택배 서비스나 퀵서비스에서 물건을 상하차할 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한 허리벨트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벨트고리(22)가 표면에 형성된 보호대(2);
    상기 보호대(2)와 허리벨트 사이로 관통 결합되며, 거치판(34)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걸고리(321)가 형성된 거치대본체(32); 및
    거치대본체(32)의 수용홈(30)에 삽입되며 하단이 거치대본체(32)와 힌지 결합되고 하부일측에 지지돌부(342)가 형성된 거치판(34)으로 구성되는 거치대(3);를 포함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3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양측에 형성되는 어깨끈(320)과 후방의 중앙에 형성되는 후방끈(340)으로 구성된 멜빵부재(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어깨끈(320)의 단부에는 거치대의 걸고리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201)가 형성되고, 후방끈(340)의 단부에는 허리벨트 고리에 결합되는 제2클램프(2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34)은 상측에 오목한 요부(344)가 형성되고 거치판(3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철판으로 형성되며, 거치대본체(32)의 수용홈(30)에는 자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끈(340)에는 모터박스(350)가 형성되되, 상기 모터박스(350)에는 모터(351)의 회전축에 와이어(352)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352)가 어깨끈(3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354)를 관통하여 전방의 손목밴드(3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끈(340)에는 실린더박스(350)가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박스(350)에는 피스톤의 일측에 와이어(352)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52)가 어깨끈(3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354)를 관통하여 전방의 손목밴드(35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34)에는 무게센서가 구비되어 100kg 이상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PCT/KR2022/004763 2022-04-04 2022-04-04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WO20231955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528 2022-04-04
KR1020220041528A KR102470381B1 (ko) 2022-04-04 2022-04-04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550A1 true WO2023195550A1 (ko) 2023-10-12

Family

ID=8423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4763 WO2023195550A1 (ko) 2022-04-04 2022-04-04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0381B1 (ko)
WO (1) WO202319555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878A (en) * 1988-01-07 1989-09-05 Richards Medical Company Orthopedic prosthesis to aid and support the shoulder muscles in movement of the human arm
KR200483465Y1 (ko) * 2015-09-08 2017-05-18 주식회사 토마스존 다기능 벨트
KR102281497B1 (ko) * 2019-05-29 2021-07-23 최말숙 링거 수액걸이용 폴대수납부가 형성되는 조끼
KR102331093B1 (ko) * 2020-01-22 2021-11-24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220041472A (ko) * 2020-09-25 2022-04-01 김일열 운반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23241A1 (en) 2005-12-05 2007-06-14 All Of It Scandinavia Ab Stress-reducer for shoulder and the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878A (en) * 1988-01-07 1989-09-05 Richards Medical Company Orthopedic prosthesis to aid and support the shoulder muscles in movement of the human arm
KR200483465Y1 (ko) * 2015-09-08 2017-05-18 주식회사 토마스존 다기능 벨트
KR102281497B1 (ko) * 2019-05-29 2021-07-23 최말숙 링거 수액걸이용 폴대수납부가 형성되는 조끼
KR102331093B1 (ko) * 2020-01-22 2021-11-24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220041472A (ko) * 2020-09-25 2022-04-01 김일열 운반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381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71585A1 (ko) 아기 캐리어
US4280645A (en) Harness for lifting heavy objects
US6581222B1 (en) Lifting sling
WO2023195550A1 (ko)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US11013653B1 (en) Caregiver lifting harness and use thereof
WO2023003160A1 (ko) 공기호흡기용 등지게
WO2014042354A1 (ko) 혁대 버클
WO2022010067A1 (ko) 충격흡수용 안전대
WO2019146873A1 (ko) 다목적 벨트
WO2020246757A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앞치마
KR102459979B1 (ko) 운반 보조장치
CN114558260A (zh) 一种高空作业防坠落护具
KR102539033B1 (ko) 운반 보조장치
WO2013022195A2 (ko) 어깨끈과 허리끈이 일체로 연결된 멜빵 구조
CN113620110A (zh) 一种电力电缆放线器
CN220655010U (zh) 站务员多功能腰带包组件
CN211769932U (zh) 一种塔式起重机的伸缩式侧向防护装置
CN217972368U (zh) 新型光纤通信传输线路检修装置
SE9400979D0 (sv) Anordning vid uppbärande av tyngd
WO2023017888A1 (ko) 엑소수트
CN217760177U (zh) 一种高楼建筑施工用施工人员安全保护装置
WO2020230975A1 (ko)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CN214570277U (zh) 一种塔式起重机检验用防护装置
WO2017086759A1 (ko) 아기띠
CN219823364U (zh) 一种液压机组装机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6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