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79B1 - 운반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979B1
KR102459979B1 KR1020200124712A KR20200124712A KR102459979B1 KR 102459979 B1 KR102459979 B1 KR 102459979B1 KR 1020200124712 A KR1020200124712 A KR 1020200124712A KR 20200124712 A KR20200124712 A KR 20200124712A KR 102459979 B1 KR102459979 B1 KR 10245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frame
arm fixed
lower arm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472A (ko
Inventor
김일열
Original Assignee
김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열 filed Critical 김일열
Priority to KR102020012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9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3Linear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무게감을 감소시켜 팔 관절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운반 과정에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제1보조장치(100) 및 작업자의 팔에 착용하는 제2보조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보조장치(100)는, 허리벨트(110); 밴드 와이어(121)가 구비된 어깨벨트(120); 상기 허리벨트의 후부에 구비된 구동부(130);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밴드 와이어에 연결되며 자유단부가 상기 어깨벨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장치(200)는, 상기 제1와이어(15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210); 팔의 하박에 장착되는 하박 고정프레임(220); 팔의 상박에 장착되는 상박 고정프레임(230); 팔 관절과 대응하여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과 상박 고정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조절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240); 를 포함하는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반 보조장치{Transport aid device}
본 발명은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물품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또는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하는 등의 반복 작업으로 인한 팔 관절의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팔 보호대를 겸한 운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인력(人力)으로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은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중 약 60~80%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는 대부분의 주된 업무가 운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작업 중 중량물은 호이스트나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으나 경량물은 작업자의 반복 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운반작업으로 인해 작업자들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되어 산업재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588호(특허문헌 1)에서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 몸의 어깨 위에 착용하는 스트레스 완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그 구성은 사용 도중 어깨 영역의 스트레스를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하중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사용자의 상기 어깨 영역을 연결하는(bridging)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중량물의 하중을 어깨 전체로 분산시키는 방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방식이어서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만 유용할 뿐 물건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제시되지 않아, 활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588호 (2015.1.26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무게감을 감소시켜 팔 관절의 과부하를 줄임으로써 손목과 팔꿈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운반 과정에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운반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제1보조장치 및 작업자의 팔에 착용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진 운반 보조장치로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허리벨트; 양단이 상기 허리벨트의 전후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밴드 와이어가 구비된 어깨벨트; 상기 허리벨트의 후부에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밴드 와이어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마련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어깨벨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 팔의 하박에 장착되는 하박 고정프레임; 팔의 상박에 장착되는 상박 고정프레임; 팔 관절과 대응하여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과 상박 고정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조절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와이어의 타측 단부가 상기 하박 고정 프레임의 와이어 고정구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상박 고정프레임과 하박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박 고정프레임에 대한 하박 고정프레임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반 보조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의 무게감을 감소시켜서 손목과 팔꿈치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허리벨트 및 어깨벨트에 의해서 중량물의 무게 분산 및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감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팔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통해 산업재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과 회사 및 국익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2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2보조장치의 요부 변형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의 전체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1보조장치의 요부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2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 중 제2보조장치의 요부 변형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 보장치는 크게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제1보조장치(100) 및 작업자의 팔에 착용하는 제2보조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보조장치(100)는, 허리벨트(110), 어께벨트(120), 구동부(130), 컨트롤러(140) 및 제1와이어(150)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거치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벨트(110)는 허리에 장착되며 통상의 벨트와 같이 길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한 허리벨트(110)의 착용감을 위해 상기 허리벨트(110)의 후부에 허리와 접촉되는 허리보호패드(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허리보호패드(111)는 고정고리(112)에 허리벨트(110)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깨벨트(120)는 양단이 상기 허리벨트(110)의 전후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밴드 와이어(121)가 구비된다. 상기 허리벨트(120)는 좌우측 어깨에 각각 걸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후부는 'X'자 형태로 교차되게 할 수 있는데, 운반 보조장치의 좌우측 어깨 부분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한 쌍의 어깨벨트 중 어느 한쪽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어깨벨트(120)는 통상의 벨트 구조와 같이 길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착용감 향상을 위해 상기 어깨벨트(120)에는 어깨보호패드(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측 어깨벨트(120)는 좌우 연결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허리벨트(110)의 후부에 구비되고 스풀(131)과 연결된 모터(132)와, 상기 모터(13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33) 및 상기 모터(132)와 스풀(131)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웜기어(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웜기어(134)로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구동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벨트(110)의 전방 또는 어깨벨트(120)의 전방에 고정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50)는 상기 스풀(131)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풀(131)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된 것으로, 제1와이어(150)에서 일부분은 밴드 타입의 밴드 와이어(121)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 와이어(121)는 상기 어깨벨트(120)에 대응하여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는 상기 어깨벨트(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밴드 와이어(121)를 형성하면, 제1와이어(150)의 당김에 따른 어깨 부분의 압박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1보조장치(10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보조장치(200)는, 제2와이어(210), 팔의 하박에 장착되는 하박 고정프레임(220), 팔이 상박에 장착되는 상박 고정프레임(130), 팔 관절과 대응하여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220)과 상박 고정프레임(230)이 소정 각도로 조절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240), 연결대(250) 및 고정밴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2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와이어 고정구(2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220) 및/또는 상박 고정프레임(23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213) 및 가이드수단(214)에 의해 상기 상박 고정프레임(230)과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으로 제1와이어(150) 및 제2와이어(210)가 당겨지거나 풀리면 상박 고정프레임(230)에 대한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214)은 도 6과 같이 고리 형태일 수 있고, 도 7과 같이 관 형태일 수 있으며, 제2와이어(21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한 것이면 그 형태는 제한이 없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는 2개로 분기되고,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220) 및 상박 고정프레임(230)은 팔의 하박 좌우측 및 팔의 상박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와이어(210)는 한 쌍이 2개로 분기된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와 제1연결부로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220)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230)에 분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저부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230)의 저부에는 각각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220)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230)이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대(250)가 구비되고,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220)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230)은 팔을 감싸도록 마련된 고정밴드(260)에 의해 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260)는 어느 일측 단부가 하박 고정프레임(220)과 상박 고정프레임(230)에 각각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1연결부는,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고리(151)가 제2와이어(2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링(2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도면과 반대로 제2와이어(2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고리(151)가 상기 제1와이어(150)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제1연결링(2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허리벨트(110)의 전방에는 중량물을 거치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거치대(16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거치대(160)는 허리벨트(110)의 전방 좌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거치대(160)는 소정의 길이를 바 형태로 되어 그 하부가 상기 허리벨트(110)에 고정된 거치블럭(161)에서 축 핀(162)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거치대(160)가 상기 축 핀(162)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블럭(161)에서 수직하게 우배치되거나 전방으로 돌출 전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블럭(161)의 전방에는 상기 거치대(160)가 수직하게 위치할 때 거치블럭(161) 안으로 내입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블럭(161)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거치대(160)가 전방으로 돌출 전개시 거치대(160)의 하단을 지지하게 하는 받침대(1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중량물을 운반할 때 거치대(160)에 중량물을 걸친 상태로 이동하면 중량물의 무게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거치대(160)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거치블럭(161)에 내입하여 보관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전개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장치의 전체 사용상태도로서, 이하의 설명으로 본 발명이 더 구체화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220)에 감지핀(22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박 고정프레임(230)에는 모터 정지 센서(231) 및 모터 역회전 센서(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건트롤러(140)를 이용하여 모터(132)를 정회전시키면 스풀(131) 방향으로 제1와이어(150) 및 제2와이어(210)가 동시에 당겨지면서 하박 고정프레임(220)이 힌지(240)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박 고정프레임(230)에 대해 각도가 좁혀지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에 의해 팔이 안으로 굽혀지면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보조한다(중량물 UP).
중량물을 UP하기 위해 하박 고정프레임(220)이 회전할 때 소정 각도에서 상기 모터 정지 센서(231)가 상기 감지핀(221)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132)의 구동이 정지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하박 고정프레임(220)을 더 회전시켜서 상기 모터 역회전 센서(232)가 상기 감지핀(221)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132)가 역회전하여 스풀(131)에 감겨진 제1와이어(150)를 풀어서 하박 고정프레임(2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서 들어올려진 중량물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50)는, 상기 스풀(131)과 밴드 와이어(121) 사이 위치에서 제2연결링(153) 및 상기 제2연결링(153)에 착탈되는 제2연결고리(152)에 의해 분리되거나 연결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허리벨트(110)에서 구동부(130)를 분리하거나 또는 허리벨트(110)에서 어깨벨트(120)를 분리할 때 편리하다.
상기 컨트롤러(140)의 기능은, 예컨대 좌측 팔과 우측 팔의 각 구동을 on/off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박 고정프레임(220)을 들어올였을 때의 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 정지 센서(231)와 감지핀(221)과의 접촉시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업(up) 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하박 고정프레임(220)의 업/다운(up/down) 속도를 조절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구동부(130)가 스풀(131), 모터(132) 및 배터리(133)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구동부(130)는 제1와이어(150)를 당기거나 풀 수 있으면 만족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제1와이어(15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한 상태에서 그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예컨대 스트로크가 50mm인 것)로 신축되는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전동으로 길이 방향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그 종류과 구조에 제한이 없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제1보조장치
110 : 허리벨트 111 : 허리보호패드
112 : 고정고리 120 : 어깨벨트
121 : 밴드 와이어 122 : 벨트결속고리
123 : 어깨보호패드 130 : 구동부
131 : 스풀 132 : 모터
133 : 배터리 135 : 웜기어
140 : 컨트롤러 150 : 제1와이어
151 : 제1연결고리 152 : 제2연결고리
153 : 제2연결링 160 : 거치대
161 : 거치블럭 162 : 축 핀 163 : 받침대
200 : 제2보조장치
210 : 제2와이어 211 : 제1연결링
212 : 와이어 고정구 213 : 가이드롤러
214 : 가이드수단 220 : 하박 고정프레임
221 : 감지핀 230 : 상박 고정프레임
231 : 모터 정지 센서 232 : 모터 역회전 센서
240 : 힌지 250 : 연결대 260 : 고정밴드

Claims (11)

  1.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제1보조장치 및 작업자의 팔에 착용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진 운반 보조장치로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허리벨트; 양단이 상기 허리벨트의 전후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밴드 와이어가 구비된 어깨벨트; 상기 허리벨트의 후부에 구비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밴드 와이어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마련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어깨벨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장치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팔의 하박에 장착되는 하박 고정프레임; 팔의 상박에 장착되는 상박 고정프레임; 팔 관절과 대응하여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과 상박 고정프레임이 소정 각도로 조절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와이어는, 타측 단부가 상기 하박 고정 프레임의 와이어 고정구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상박 고정프레임과 하박 고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박 고정프레임에 대한 하박 고정프레임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하는 운반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한 스풀과,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모터와 스풀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웜기어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는 2개로 분기되고,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 및 상박 고정프레임은 팔의 하박 좌우측 및 팔의 상박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와이어는 한 쌍이 2개로 분기된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와 제1연결부로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에 분리 연결된 것이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 또는 제2와이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고리가 상기 제1와이어의 자유단부 또는 제2와이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연결링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허리벨트의 후부에 허리와 접촉되는 허리보호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구동부와 밴드 와이어 사이에서 제2연결링 및 상기 제2연결링에 착탈되는 제2연결고리에 의해 분리 및 연결 가능하게 된 것이고,
    상기 허리벨트의 전방에는 중량물을 거치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는 소정의 길이를 바 형태로 되어 그 하부가 상기 허리벨트에 고정된 거치블럭에서 축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거치대가 상기 축 핀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블럭에서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전방으로 돌출 전개 가능하게 된 것이며,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의 저부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의 저부에는 각각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하박 고정프레임 및 좌우측 상박 고정프레임은 팔을 감싸도록 마련된 고정밴드에 의해 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에 감지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박 고정프레임에는 모터 정지 센서 및 모터 역회전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모터 정지 센서가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가 정지되고, 인위적으로 상기 하박 고정프레임을 회동시켜 상기 모터 역회전 센서가 상기 감지핀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가 역회전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장치.
KR1020200124712A 2020-09-25 2020-09-25 운반 보조장치 KR10245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12A KR102459979B1 (ko) 2020-09-25 2020-09-25 운반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12A KR102459979B1 (ko) 2020-09-25 2020-09-25 운반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72A KR20220041472A (ko) 2022-04-01
KR102459979B1 true KR102459979B1 (ko) 2022-10-26

Family

ID=8118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12A KR102459979B1 (ko) 2020-09-25 2020-09-25 운반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550A1 (ko) * 2022-04-04 2023-10-12 주식회사 재린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719B2 (ja) * 1999-03-12 2004-09-02 韓国科学技術研究院 ヒト腕取付け型力再現機能を有するマスター装置
JP2011200447A (ja)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Corp 筋力補助装置
US20110266323A1 (en) * 2008-12-18 2011-11-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earable Material Handling System
WO2018065476A1 (en) * 2016-10-05 2018-04-12 Bioservo Technologies Aktiebolag Arm lifting support device
JP2018192564A (ja) * 2017-05-17 2018-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作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829B2 (en) 2005-12-05 2014-08-12 All Of It Scandinavia Ab Stress-reducer for shoulder and the use thereof
KR101201415B1 (ko) * 2010-02-23 2012-11-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가동풀리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KR101570396B1 (ko) * 2014-04-17 2015-11-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보조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719B2 (ja) * 1999-03-12 2004-09-02 韓国科学技術研究院 ヒト腕取付け型力再現機能を有するマスター装置
US20110266323A1 (en) * 2008-12-18 2011-11-0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earable Material Handling System
JP2011200447A (ja)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Corp 筋力補助装置
WO2018065476A1 (en) * 2016-10-05 2018-04-12 Bioservo Technologies Aktiebolag Arm lifting support device
JP2018192564A (ja) * 2017-05-17 2018-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動作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72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78B1 (ko) 착용식 근력 보조 장치
KR101500525B1 (ko) 산업용 착용로봇의 접이식 작업유닛
KR102026060B1 (ko) 어시스트 슈트
JP6541554B2 (ja) アシストスーツ
US11045940B2 (en) Devices for the support of tools
KR102034988B1 (ko)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KR102459979B1 (ko) 운반 보조장치
KR102062998B1 (ko) 어시스트 슈트
WO2017122502A1 (ja) アシスト器具
WO2019004345A1 (ja)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及びアシスト器具
KR102470381B1 (ko)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JP2000143148A (ja) クレーンの吊上補助具
JP2019014499A (ja) シート掛け補助装置
JP7433213B2 (ja) アシスト器具
JP6854732B2 (ja)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JP6382730B2 (ja) アシストスーツ
KR102539033B1 (ko) 운반 보조장치
JP6643874B2 (ja) アシストスーツ
JP6833633B2 (ja) アシスト器具
KR20140067268A (ko) 중량물 운반 및 설치용 착용로봇의 작업유닛
KR20230000838U (ko) 운반 보조기능을 갖는 멜빵
JP6879843B2 (ja) アシスト器具
JP6749443B2 (ja) アシストスーツ
JP6833665B2 (ja) アシスト器具
JP6833663B2 (ja) アシスト器具又は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