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278U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278U
KR20110003278U KR2020090012624U KR20090012624U KR20110003278U KR 20110003278 U KR20110003278 U KR 20110003278U KR 2020090012624 U KR2020090012624 U KR 2020090012624U KR 20090012624 U KR20090012624 U KR 20090012624U KR 20110003278 U KR20110003278 U KR 201100032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width
backrest
zi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남
우경희
Original Assignee
신용남
우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남, 우경희 filed Critical 신용남
Priority to KR2020090012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278U/ko
Publication of KR20110003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2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등받이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고안 아기띠는,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 어깨띠, 허리띠로 구성되는 통상의 아기띠에 있어서,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의 폭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넓힐 수 있도록 등받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절개부의 내측에 폭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 조절부의 벌어지는 폭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외측에 지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기띠, 등받이, 폭, 조절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등받이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아기띠는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는 것으로, 포대기 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기띠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기의 등받이 역할을 하는 등받이부(10)의 하측으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허리띠(20)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0)의 상측으로 일정길이의 어깨띠(30)가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측면으로 겨드랑이띠(32)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어깨띠(30)와 같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어깨띠(30) 각각에는 어깨띠(30)를 서로 체결고정하기 위해 측면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에서 체결되는 어깨 고정띠(34)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기 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을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와 아기의 신체에 맞게 허리띠, 겨드랑이띠 및 어깨 고정띠의 길이를 조절하 여 사용한다. 그러나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았을 때는 겨드랑이띠와 어깨 고정띠의 조절부가 등에 위치하는 관계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서 편하게 아이를 안고자 하는 경우는 아기띠 자체를 풀거나 다른 이에게 길이 조절을 부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기띠의 등받이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아기 띠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안겨 있는 아기의 머리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머리 받침부가 구비된 아기 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아기띠는,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 어깨띠, 허리띠로 구성되는 통상의 아기띠에 있어서,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의 폭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넓힐 수 있도록 등받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절개부의 내측에 폭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 조절부의 벌어지는 폭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외측에 지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는 절개부의 개방으로 인해 벌어지는 폭을 양측이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 상단의 한쪽에 구비되어 지퍼가 닫혀있을 때 지퍼고리를 커버하면서 절개부의 다른 쪽과 똑딱단추로 체결되는 커버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으로 머리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받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제1포켓이 등받이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아기띠의 등받이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아기 띠를 풀지 않더라도 아기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아기띠는 머리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아기를 커버하면서 받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아기띠는 앞서 설명한 아기의 등받이 역할을 하는 등받이부(10), 상기 등받이부(10)의 하측으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사용자의 허리 를 감쌀 수 있는 허리띠(20),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 어깨띠(30),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겨드랑이띠(32) 및 어깨 고정띠(34)의 구성은 종래의 아기띠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아기 띠는 등받이부(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0)에서 연장 형성된 양측 어깨띠(30) 안쪽으로 길이방향의 절개부(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절개부(40)의 내측에는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폭 조절부(4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폭 조절부(4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지퍼(44)가 구비된다.
상기 폭 조절부(42)는 아기띠의 전체 안감과 같은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지퍼(44)가 닫혔을 때는 보이지 않지만, 열었을 경우 외부로 보이므로 다양한 문양이 디자인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40)의 외측에는 등받이부(10)의 폭을 넓히기 위해 지퍼(44)를 열 때 양측이 동일하게 열리지 않으면 균형이 잘 맞지 않아 불편할 수 있으므로 동일하게 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6)가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40) 상단 한쪽에 고정되어 지퍼가 닫혀있을 때 지퍼고리(44a)를 커버하면서 다른 쪽과 똑딱단추(48a)로 체결되는 커버부(48)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48)는 지퍼고리(44a)를 커버하면서 절개부(40)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개부(40)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고 있다가 사용자가 등받이부(10)의 폭을 조절하고 싶으면, 먼저 절개부(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커버부(48)의 똑딱단추(48a)를 풀고 나서 지퍼고리(44a)를 아래로 내려서 지퍼(44)를 열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아기띠는 등받이부(10)의 폭 조절 기능과 함께 아기가 안긴 상태에서 자거나 할 경우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머리받침부(50)가 별도로 구비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부가 제1포겟에 보관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부가 펼쳐진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등받이부(10)에는 상기 머리받침부(50)가 보관되는 제1포켓(52)과 손수건 등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인 제2포켓(56)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받침부(5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양측을 접어서 상기 제1포켓(52)에 보관하고, 상기 머리받침부(50)를 펼쳐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어깨띠(30)에 고정하기 위해 머리받침부(50)와 어깨띠(30) 각각에는 똑딱단추(54a)가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머리받침부(50)를 상기 어깨띠(3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이 불거나 하더라도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를 이용하여 아기를 안은 경우 대부분의 아기는 쉽게 잠이 드는 경향이 있는데 잠을 자게 되면 고개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아기의 고개를 계속 지지해줘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머리받침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아기의 머리를 지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등받이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등받이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기가 안긴 상태에서 잠을 자더라도 머리받침부로 머리를 받쳐줄 수 있어 아기의 머리가 흔들리거나 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띠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아기 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부가 제1포겟에 보관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부가 펼쳐진 상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등받이부 20:허리띠
30:어깨띠 40:절개부
42:폭조절부 44: 지퍼
46:가이드 48: 커버부
50: 머리받침부 52: 제1포켓

Claims (4)

  1.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침부, 어깨띠, 허리띠로 구성되는 통상의 아기 띠에 있어서,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의 폭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넓힐 수 있도록 등받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절개부의 내측에 폭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폭 조절부의 벌어지는 폭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외측에 지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외측에는 절개부의 개방으로 인해 벌어지는 폭을 양측이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아기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 상단의 한쪽에 구비되어 지퍼가 닫혀있을 때 지퍼고리를 커버하면서 절개부의 타측과 똑딱단추로 체결되는 커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아기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측으로 머리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받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제1포켓이 등받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KR2020090012624U 2009-09-25 2009-09-25 아기띠 KR201100032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624U KR20110003278U (ko) 2009-09-25 2009-09-25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624U KR20110003278U (ko) 2009-09-25 2009-09-25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278U true KR20110003278U (ko) 2011-03-31

Family

ID=4420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624U KR20110003278U (ko) 2009-09-25 2009-09-25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27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50B1 (ko) * 2013-10-16 2014-08-21 임관빈 아기띠
KR20210094790A (ko) * 2020-01-22 2021-07-30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450B1 (ko) * 2013-10-16 2014-08-21 임관빈 아기띠
KR20210094790A (ko) * 2020-01-22 2021-07-30 정재호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JP5827008B2 (ja) 運搬具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6112960A (en) Combination sling carrier and cushion
JP2010524605A5 (ko)
KR200450651Y1 (ko) 유아용 힙시트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KR20060105446A (ko) 유아 보호띠
EP2462844A1 (en) Child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100002191U (ko) 아기 포대기
JP2024053035A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110003278U (ko) 아기띠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CN111200958A (zh) 婴儿或小孩携带装置
KR20160003634U (ko) 아기띠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150116232A (ko) 아기띠
KR20100007076U (ko) 유아용 포대기
KR20140050139A (ko) 유아용 캐리어
KR20160000999U (ko) 아기띠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